동일 이름을 사용하는 역들에 대한 내용은 시청역 문서 참고하십시오.
시청(연제)역 | ||
다대포해수욕장 방면
양 정 ← 0.8 ㎞ |
1호선 (122) |
노포 방면
연 산 0.9 ㎞ → |
역명 표기 | ||
1호선 |
시청 (연제) City Hall 市廳 (蓮堤) / 市厅 / [ruby(市庁, ruby=シチョン)] |
|
주소 | ||
부산광역시 연제구 중앙대로 지하1017 ( 연산동) | ||
관리역 및 운영사업소 | ||
동래관리역 소속 / 제1운영사업소 | ||
운영 기관 | ||
1호선 | 부산교통공사 | |
개업일 | ||
1호선 | 1985년 7월 19일 | |
역사 구조 | ||
지하 2층(심도: 11.10m) | ||
승강장 구조 | ||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
[clearfix]
1. 개요
부산 도시철도 1호선 122번. 부산광역시 연제구 중앙대로 지하1017 ( 연산동) 소재.2. 역 정보
대합실 |
상대식 승강장 중에서 반대편 승강장으로 건너갈 수 있는 몇 안 되는 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운용중이다.
부산광역시 공공디자인 도입으로 2009년 12월에 이 역이 시범역으로 선정되었는데 안내판, 폴사인 등이 교체되기도 했다.
부산 도시철도 3호선 계획수립 초창기인 1994년에 1호선과의 환승역을 연산역 대신에 이 역으로 하려는 계획이 있었다. #
2.1. 시청역과 부산찬가
안내방송 음악으로 부산찬가가 흘러나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예전에는 윤시내의 오리지널 버전[3]이 흘러나왔으나[4], 2016년 5월 초부터는 원곡이 아닌 리메이크 부산찬가 공모전에서 대상을 수상한 부러버의 부산찬가 버전으로 방송되고 있다. 송출 타이밍도 직전 역인 양정역, 연산역에서 출발과 동시에 부산찬가가 흘러나왔으나 현재는 거의 도착 1분 전쯤에 흘러나온다. 부러버가 커버한 버전으로 바뀐 이후로는 과거에 비해 굉장히 짧게 나온다. 게다가 아카펠라풍 커버 특성 때문인지 반주, 보컬의 소리가 이전보다 작고 지하철 소음과 겹쳐지면서 존재감이 많이 옅어졌다. 열차 안에서는 짧은 버전만 흘러나오지만 지하철역 대합실이나 승강장에서는 긴 버전으로도 종종 들을 수 있다.
그나마 2013년 말 안내방송 개정 이후로 기존 연산역과 양정역 도착 안내방송에 각각 있었던 시의회, 경찰청 주변안내 한국어, 영어 멘트가 시청역으로 옮겨온 영향으로 뒷부분이 조금 더 길어지게 되었다.
그리고 부산광역시청 앞 역에 도착하면서 부산찬가가 나오는 사례는 이후 다른 지자체에도 영향을 주기 시작했는데, 이 영향을 받은 대표적인 지자체가 바로 대전광역시다. 대전광역시청 앞의 1호선 시청역에 접근할 때 대전의 찬가[5]가 송출되는 것이 바로 부산의 선례를 따라간 것이다. 하지만, 정작 대한민국의 수도인 서울의 시청역 안내방송에서는 1호선과 2호선이 만나는 환승역이라는 이유로 서울의 찬가가 흘러나오지 않고 얼씨구야( 한국철도공사 소속 전동차), 풍년( 서울교통공사 소속 전동차)이 흘러나온다.(...)
3. 역 주변 정보
인근에 부산광역시청, 부산광역시의회, 부산지방국세청, 부산광역시경찰청, 부산지방고용노동청, 연제구청, 연제구 보건소가 있으며, 부산광역시청과 부산시의회는 지하 통로로 역과 연결된다. 다만 연제구청은 역 바로 앞이 아니고, 역 동쪽으로 좀 걸어야 한다. 그리고 시청역과 양정역 사이에는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가 있다. 그야말로 부산광역시의 입법, 행정의 중심.[6]역 주변 1,000여 세대의 아파트 단지들이 여러 곳 있으며, 추후 완공 예정인 행복주택 또한 시청역 바로 옆에 위치하기 때문에 유동 인구가 상당히 많다.
소재지는 연산동이지만, 부산광역시경찰청 정면으로 부산진구 양정동과 만난다.
2번 출구로 나와 연제구청 방면으로 올라가다 보면 이마트 연제점이 있다.
4. 일평균 이용객
시청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06a00><bgcolor=#f06a00> 연도 ||
||<bgcolor=#f06a00>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2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2002년 | 28,967명 | 비고 | ||
2003년 | 26,927명 | ||||
2004년 | 26,191명 | ||||
2005년 | 28,368명 | ||||
2006년 | 22,979명 | ||||
2007년 | 22,556명 | ||||
2008년 | 23,566명 | ||||
2009년 | 23,837명 | }}}}}}}}} | |||
2010년 | 24,556명 | ||||
2011년 | 25,889명 | ||||
2012년 | 25,583명 | ||||
2013년 | 26,236명 | ||||
2014년 | 27,159명 | ||||
2015년 | 26,809명 | ||||
2016년 | 27,640명 | ||||
2017년 | 28,138명 | ||||
2018년 | 28,055명 | ||||
2019년 | 29,453명 | ||||
2020년 | 23,349명 | ||||
2021년 | 23,612명 | ||||
2022년 | 25,216명 | ||||
2023년 | 26,977명 | ||||
출처 | |||||
부산교통공사 자료실 |
2019년 기준 하루 평균 이용객 29,453명으로 평균에서 살짝 많은 정도의 수요를 보이고 있다.
특히 이 주변은 공공기관 및 공기업이 많이 소재하고 있기 때문에 공무원들이 가장 많이 이용한다. 부산광역시청, 연제구청, 부산광역시경찰청, 동남지방통계청, 부산지방국세청, 부산광역시 선거관리위원회, 국민건강보험공단 부산연제지사, 국민연금공단 부산지역본부 등 각종 시설들이 상당히 밀집한 곳이다. 즉, 여기를 출발지가 아닌 목적지로 삼는 승객들이 많다는 이야기이다. 물론 시청이 이곳으로 옮겨오기 전까지는 역세권 주민들이 출퇴근을 하기 위해 사용하던 역 중 하나였고, 지금도 그런 목적으로 사용되는 역이기도 하다.
위의 표를 보면 2005년 → 2006년 사이에 하루 평균 이용객이 5천 명 이상 폭락한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연수로 - 연제로를 통해 이 역으로 내려와서 열차를 탔던 연산동 남부 주민들이 3호선의 개통으로 물만골역, 배산역으로 대거 빠져나간 데에 따른 하락이다. 특히 물만골역과는 직선거리 800m 거리로 비교적 가까워서 역세권이 겹치는 부분이 많다. 그러나 2007년에 저점을 찍고 이용객이 다시 반등하기 시작했고, 국세청 이전 및 유가 상승으로 인하여 2011년에 25,000명 고지를 회복했고, 2017년에 이르러서는 3호선 개통 이전의 수요를 회복했다.
승객 증가는 앞으로도 지속될 전망인데 그 이유는 인근 역세권의 재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행복주택, SK뷰, 비스타동원 등의 아파트 단지들이 2018~2019년 완공을 앞두고 있어서 3만 명 돌파가 머지않은 것으로 보인다.
5. 승강장
파일:20250102 122 시청역 승강장.jpg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승강장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역명판 |
역 안내도 |
양정 ↑ | |||
하 | ㅣ | ㅣ | 상 |
↓ 연산 |
상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 서면· 남포· 하단· 다대포해수욕장 방면 |
하 | 연산· 동래· 부산대· 노포 방면 |
6. 연계 교통
6.1. 중앙대로 가변 정류장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부산시청(시청역)(13-040) ||
일반 |
6.2. 중앙대로 BRT 정류장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부산시청(13-708) ||
일반 | |
심야 |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부산시청(13-709) ||
일반 | |
심야 |
6.3. 마을버스
7. 둘러보기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다대포해수욕장 -
다대포항 -
낫개 -
신장림 -
장림 -
동매 -
신평 -
하단 -
당리 -
사하 -
괴정 -
대티 -
서대신 -
동대신 -
토성 -
자갈치 -
남포 -
중앙 -
부산역 -
초량 -
부산진 -
좌천 -
범일 -
범내골 -
서면 -
부전 -
양정 -
시청 -
연산 -
교대 -
동래 -
명륜 -
온천장 -
부산대 -
장전 -
구서 -
두실 -
남산 -
범어사 - '''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1]
이 명칭은
10년 뒤에
신설된 자치구의 명칭에도 사용되었다.
[2]
부산대학앞역을
부산대역으로 바꾼다거나 연산동역을
연산역으로 바꾸는 것 같이 역명에서
동을 일괄삭제하는 등의 미미한 변경은 몇 차례 있었다. 운영기관이 다른
부산김해경전철 역시 아직 역명이 바뀐 사례는 없다.
[3]
2012년까지는 후렴 도입부 부분부터 시작했다면,
2013년에 안내방송 개정으로 국악버전으로 나오는 것(현재
영도대교 도개가 끝날 때 흘러 나온다.)으로 교체했으나 이미 원곡에 익숙해져 있던 승객들의 항의로 인해서(실제 부산교통공사 홈페이지 고객의 소리에 항의 민원이 많았다.) 2013년 말에
스크린도어 설치 이후 양 방향 모두 후렴 부분으로 바꿔서 방송한다.
[4]
2016년에 리메이크버전으로 교체된 이후에도
오리지널 버전이 송출된 사례가 있다. 유튜버 파라미안이 촬영한 해당 편성은 2015년에 도입된
신차로 부산 1호선에 도입된 신차 중 두 번째인 147편성이다.
[5]
노래 :
김그림
[6]
부산광역시의
사법의
중심은 시청 북서쪽의
거제역 인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