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26 22:01:27

대티역

대티역
파일:Busan1.svg
다른 문자 표기
로마자 Daeti
한자 大峙
간체자
가나 [ruby(大峙, ruby=テティ)]
주소
부산광역시 사하구 낙동대로 지하141 ( 괴정동)
관리역 및 운영사업소
괴정관리역 소속 / 제1운영사업소
운영 기관
1호선 부산교통공사
개업일
1호선 1994년 6월 23일
역사 구조
지하 5층 (심도: 26.14m)
승강장 구조
복선 섬식 승강장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4. 일평균 이용객5. 승강장6. 요금7. 연계 교통
7.1. 낙동대로 가변 정류장7.2. 대티로 가변 정류장7.3. 마을버스
8. 사건 사고9. 여담10.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부산 도시철도 1호선 106번. 부산광역시 사하구 낙동대로 지하141 ( 괴정동) 소재.

부역명은 동주대학[1]이었으나 삭제되었다. 인근역인 하단역과 멀리 있는 동매역, 신장림역, 다대포항역도 마찬가지이다.[2] 하단역과 동매역, 신장림역, 다대포항역 모두 부역명으로 병원같은 민간업체가 붙어 있던 것을 생각하면 계약만료인 것으로 추정된다.

2. 역 정보

한자로는 '대치(大峙)역( 서울 지하철 3호선 대치역과 같다)'으로 적고 있으나, 대티고개를 비롯해서 괴정2동 일대가 예전부터 '대티'라는 이름으로 불렸기 때문에 이렇게 명명되었다.[3] 실제로 이 역에서 서대신역 방면으로 건너가려면 대티고개를 넘어야 하며 낙동대로상으로는 대티터널도 조성되어 있다. 널리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여기도 은근히 정체가 심한 곳. 러시 아워 시간대에는 도시철도를 타는 편이 훨씬 낫다.

3. 역 주변 정보

부산보건대학교를 포함하여 근처에 학교가 많아서 학생들이 많이 보인다.[4] 부산지역의 유명한 프라모델 가게도 이 역 근처에 있었으나 건물을 헐게 되면서 하단의 동아대 맞은편으로 이사가게 되었다. 1번 출구에는 괴정초등학교[5], 3번 출구로 나가면 대티고개로 올라갈 수 있는 대티로가 위치해 있다.

구도로 일대에 남포, 부산역 쪽으로 나가는 버스가 잘 운행되고 있어 굳이 역까지 내려와서 시내로 나갈 이유가 없는 것도 저조한 수요에 한 몫한다. 차가 막히는 시간엔 얘기가 다르겠지만.

4. 일평균 이용객

대티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06a00><bgcolor=#f06a00> 연도 || 파일:Busan1.svg ||<bgcolor=#f06a00>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2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002년 10,586명 비고
2003년 9,903명
2004년 8,947명
2005년 9,286명
2006년 7,022명
2007년 6,583명
2008년 6,909명
2009년 7,112명 }}}}}}}}}
2010년 7,176명
2011년 7,808명
2012년 7,952명
2013년 8,196명
2014년 8,368명
2015년 8,383명
2016년 8,620명
2017년 8,289명
2018년 7,901명
2019년 8,063명
2020년 5,949명
2021년 6,290명
2022년 7,267명
2023년 7,584명
출처
부산교통공사 자료실

괴정동 동부에 있는 역으로 하루 평균 7,584명이 이용하는 역이다. 부산 1호선에서 손에 꼽힐 만큼 수요가 적은데, 역세권의 상권이 거의 조성되지 않았고 유동 인구가 적으며 역의 주변이 온통 산비탈 지형이라 역을 이용하기가 불편한 사람들이 많은 탓이다. 특히 괴정2동의 경우 역의 위치가 너무 서쪽에 치우쳐진 탓에[6] 역 이용이 더욱 불편하다.

5. 승강장

파일:KakaoTalk_20240326_195833435.jpg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승강장
파일:KakaoTalk_20240326_195833435_01.jpg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역명판
파일:1061.gif
역 안내도
괴정
서대신
파일:Busan1.svg 부산 도시철도 1호선 괴정· 하단· 신평· 다대포해수욕장 방면
부산역· 서면· 동래· 노포 방면
역 구내에 3퍼밀의 구배가 있다.

앞 역인 서대신역과 마찬가지로 1호선에서 4개밖에 없는 섬식 승강장 중 하나이며 다대포해수욕장역 방면의 마지막 섬식 승강장이다.

특히 곡선 섬식 승강장 부산 도시철도에서는 이 역밖에 없다. 그리고 사하구 내에서 다대포 연장 전까지는 괴정역과 더불어 반대편 승강장으로 건너갈 수 있는 유이한 역이었다. 또한 괴정역 방향으로 유치선이 있던 빈 공간이 있다.

1호선의 역 중 가장 깊다. 대티고개 밑을 지나고 있기 때문에 승강장이 지하 5층에 있어[7] 3호선 만큼은 아니지만 꽤 깊은 편이며 역세권이 그다지 발달해 있는 편은 아니라서 승객 수가 많지 않다. 또한 사하구 마을버스 집합소인 괴정초등학교 정류장과는 멀리 떨어져 있어 버스 환승 역시 불편하다. 하지만 일평균 승차객은 무려 8,000명 정도이다.

개통 당시 대티역 벽면은 위 아래에 노란색, 중앙에는 흰색이었던 내장재였으나 화재가 일어난 이후에는 화재가 난 부분에 같은 색 계열 타일로 땜질을 해놓았고, 이후 대티역 벽면이 가연재인 것으로 밝혀져 벽면 전체를 청록색과 회색이 섞인 내장재로 교체했다.

6. 요금

1구간 요금으로 갈 수 있는 범위
1 낫 개 대 티 좌 천

7. 연계 교통

7.1. 낙동대로 가변 정류장

7.2. 대티로 가변 정류장

7.3. 마을버스

8. 사건 사고


2012년 8월 27일 오후 2시 7분 이 역으로 진입하는 신평행 열차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다. #

2013년 4월 23일 오전 10시 16분 신평행 열차가 이상전류로 불꽃이 발생하여 4분간 열차가 지연되었다. # 그래서인지 사고 이후 조명을 밝게 해 놓았고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다.

2017년 1월 31일에 에스컬레이터에 흰색 가루가 든 가방이 발견되어 이날 에스컬레이터가 중지되어 승객들이 엘리베이터로 올라가는 사건이 발생했다.

9. 여담

성냥팔이 소녀의 재림에서 임은경이 총기를 난사하는 장면은 이 역에서 촬영했다.

1991년 7월 13일에 방영된 부산MBC 프로그램 부산을 연다 유기경의 발로뛰는 현장에서 이 역의 건설 현장이 나왔다.[12]

10. 둘러보기

파일:Busan1.svg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1] 현 부산보건대학교 [2] 대신 하단역은 이후 아트몰링이라는 부역명을 새로 얻었다. [3] 그리고 峙의 원래 발음은 '티'였다. 대티의 순우리말 버전이라고 할 수 있는 도 그래서 '티'를 쓴다. 한국 한자음 항목 참조. 실제로 지금도 몇몇 법정리 중에서는 티로 표기하는 곳들이 있다. [4] 허나 정작 대티역은 지상으로 올라가는 데 상당히 많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이용률이 생각보다 높진 않다. [5] 6번을 비롯하여 여러 사하구 마을버스들의 기종점이다. [6] 이것은 대티역에서 구도로와 신도로가 나뉘기 때문이다. [7] 실제 승강장 깊이는 지하 6층 정도이다. [심야] 심야포함 [심야] [심야] [심야] [12] 영상에서 알 수 있듯이 건설작업 인부가 이 역의 완공예정연월이 1993년 8월 완공이라고 말한다.(착공은 1990년 8월 20일) 하지만 부산교통공사 정기감사목록에 나온 해당역 완공일자는 1994년 3월 28일이다. 예산투입지연이나 현장여건으로 인해 공사가 지연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