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2 02:48:33

소프라노


성악가의 음역 구성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열기 / 닫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5px -1px -10px;"
남성 음역
베이스 바리톤 테너 카운터테너
여성 음역
콘트랄토1 메조 소프라노 소프라노
윗첨자1: 알토(Alto)는 4부 (혹은 5부) 합창에서 소프라노와 비교되는 여자의 낮은 음역을 말하는 것으로, 성악가의 음역을 지칭할 땐 콘트랄토가 옳은 단어다. }}}}}}}}}

1. 개요2. 소프라노의 종류
2.1. 콜로라투라 (coloratura)2.2. 수브레트 (soubrette)2.3. 리리코 (lirico)2.4. 스핀토 (spinto)2.5. 드라마티코 (drammatico)
3. 팝 음악에서의 소프라노

1. 개요

소프라노는 클래식 음악의 성악에서 2옥타브 도(C4, 가온다)에서 최소한 4옥타브 도(C6, 가온다보다 2옥타브 높은 도) 이상의 높은 음역을 가지는 여성 성악가, 혹은 그 목소리를 말한다. 소프라노는 정확히 여자 가수의 높은음자리표이다.

본디 이탈리아어로 soprano/soprana는 ‘높은’이란 뜻의 형용사다. Soprano는 남성을 지칭하는 형태로 정말 옛날에는 남자들이 이 역을 맡았기 때문에 남성형이 기본이 된 것이다. 이것이 굳어져 여자들에게도 soprano라고 하는 것이다. 남성들이 고음 성부를 맡았던 이유는 다음과 같다. 유럽 성악의 본격적인 시작은 교회 음악이다. 폐쇄성이 심하던 중세 초기에는 오로지 남성들만이 미사를 위한 교회 음악 활동에 참여할 수 있었다. 여성이 참여하면 수사들이나 신도들에게 그릇된 정욕을 일으킬 것이라는 걱정이 만연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당시엔 어린 소년들이 이 역을 맡았다. 혹은 남성호르몬의 원천인 고환이 없는 상태로 성장한 성인이 소프라노를 포함한 높은 음역대를 맡았다. 남자들은 2차 성징과 남성 호르몬 분비로 인해 성대 조직이 발달하여 음성의 기저 주파수가 낮아지기 때문. 이런 현상이 발생하기 전에 고환을 제거한다.

현대에 들어선 보통, 소프라노라는 용어는 여성 성악가만을 가리키며 소프라노 음역을 맏는 남성 성악가는 잘 모르는 인물이나 아니면 편의를 따질땐 그냥 남성 소프라노나 아니면 소프라노라고 싸잡아 칭하지만 제대로 된 소프라노 담당 남성 성악가를 칭하는 용어는 '소프라니스트'이다. 일반적으로 가성을 사용하여 부르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카운터테너와 동일시하는 경우도 있지만, 카운터테너는 '가성을 이용한 창법으로 높은 음역을 내는 남성 가수'이고, 소프라니스트는 단순히 '소프라노 음역대를 내는 남성 성악가'로 엄밀하게 따지면 약간 다른 뜻이다. 남성 성악가의 경우는 육체적 한계로 대부분이 가성이지만 한국의 정세훈이나, 일본의 오카모토 토모타카처럼 진성으로도 소프라노를 부를 수 있는 남성 성악가도 존재한다.( 오카모토 토모타카 - Nessun dorma) 이 경우 변성기 때 성대가 일반적인 남성들처럼 많이 길게 자라지 않았고, 2~3도가 낮아지는 정도로만 적게 자란 관계로 가능한 것이라고 한다.

오페라의 소프라노가 낼 수 있는 가장 낮은 음은 1옥타브 시(B3)나 1옥타브 라(A3)로서, 가온다(C4, 2옥타브 도)의 조금 아래다. 가장 높은 음은 최소한 4옥타브 도(C6)인데, 대개는 이보다 높은 4옥타브 도♯(C♯6) 나 4옥타브 레(D6) 까지는 올라갈 수 있어야 한다. 게다가 화려한 음색을 뜻하는 '콜로라투라' 소프라노의 경우는 더 더욱 높은 음을 낼 수 있어야 한다. 4옥타브 레♯(D♯6) ~ 4옥타브 파(F6)까지 올라가야 하는 배역도 종종 있고, 드물지만 4옥타브 솔(G6), 4옥타브 라(A6)까지 필요한 배역이 있기도 하다.


소프라노라는 용어 자체는 성악뿐만 아니라 기악에서도 쓰이는데, 성악에서 쓰이는 것과는 뜻이 조금 다르다. 기악에서 소프라노는 같은 계열의 악기 중에서 고음의 음역대를 내는 악기를 가리킬 때 쓰인다. 예를 들어 소프라노 색소폰, 소프라노 리코더 같은 경우.[1]

합창에서는 소프라노라는 용어는 합창의 파트를 가리키지 목소리의 종류를 가리키지는 않는다. 2부, 3부, 4부, 6부 합창 등에서 소프라노 파트는 가장 음역이 높은 파트를 맡는데, 그 파트는 대개 멜로디 부분이다. 그리고 합창에 쓰이는 음역은 3옥타브 라(A5)정도로 오페라보다 낮다.

노바1492 전투 테마곡 중 하나로 우렁찬 반주로 소프라노 1명이 부른 BGM인 soprano가 있으며 Classic War와 함께 웅장한 곡으로 알려져있다.

음역에 맞추어 사용되는 최저음은 C4 정도이다.


2. 소프라노의 종류

소프라노라고 해서 다 같지는 아니고, 음색이나 분위기, 기교 유무에 따라 세부적으로 분류된다.

2.1. 콜로라투라 (coloratura)

콜로라투라는 경쾌한 움직임과 높은 음으로 복잡한 꾸밈음이 있는 곡을 화려한 음색으로 부르는 소프라노. '콜로라투라'는 색(color)이 있다는 뜻이다. 낼 수 있는 음도 소프라노 중에서 가장 높다.

세부적으로는 다시 리릭 콜로라투라와 드라마틱 콜로라투라로 나뉜다. 음역은 리릭 콜로라투라의 경우 2옥타브 도(C4)부터 4옥타브 파(F6), 드라마틱 콜로라투라의 경우 1옥타브 시(B3)에서부터 4옥타브 파(F6)까지다.

리릭 콜로라투라는 매우 빠른 꾸밈이 가능한 가벼운 음색을 뜻하며, 조수미, 신영옥, 박혜상, 박은주, 릴리 폰스, 레나타 스코토, 루치아나 세라가 대표적인 리릭 콜로라투라이다. 유명한 작품으로는 몽유병의 여인의 아미나, 청교도의 엘비라, 사랑의 묘약의 아디나, 리골레토의 질다, 라크메의 타이틀롤 등이 있다.

드라마틱 콜로라투라는 고음부에 유연성을 가지면서도 힘이 넘치는 음색을 말한다. 대표적인 성악가로는 조앤 서덜랜드, 크리스티나 도이테콤, 에디타 그루베로바, 미렐라 데비아, 나탈리 드세이 등을 들을 수 있다. 이들이 맡는 대표적인 역할은 마술피리의 밤의 여왕[2], 마리아 스투아르다의 타이틀롤인 메리 스튜어트, 루크레치아 보르지아 타이틀롤, 람메르무어의 루치아의 타이틀롤, 일 트로바토레의 레오노라, 라 트라비아타의 비올레타 등이 있다.

드라마틱 콜로라투라 중에서도 콘트랄토의 어둡운 음색과 강한 낮은 음역, 그리고 콜로라투라 소프라노의 고음과 기교를 모두 가졌을 경우 소프라노 스포가토(Soprano sfogato) 혹은 소프라노 아솔루타(soprano assoluta)라고 칭한다. 주디타 파스타가 대표적인 소프라노 아솔루타로 전해지고 있고, 목소리를 음원으로 감상할 수 있는 성악가로는 마리아 칼라스, 레일라 젠체르[3]가 있다. 소프라노 스포가토 배역은 아래의 바그네리안 소프라노의 배역들과 함께 오페라 레퍼토리 중 가장 어려운 소프라노 배역으로 꼽힌다. 현재까지 전해지는 배역으로는 메데이아의 타이틀롤, 아르미다의 타이틀롤, 안나 볼레나 타이틀롤, 노르마의 타이틀롤, 로베르토 데브뢰 엘리자베타, 나부코의 아비가일레, 맥베스의 맥베스 부인 등이 있다.

2.2. 수브레트 (soubrette)

수브레트는 배역의 성격을 말하기도 하고 소프라노의 목소리 톤을 말하기도 한다. 배역을 말할 때는 희극 오페라에서의 젊고 장난기가 많은 여자 배역을 뜻한다. 목소리를 말할 때는 가볍고 밝은 색채를 가지며 꾸밈이 많지 않은 목소리를 가리킨다. 수브레트의 테시투라는 리리코나 스핀토보다 약간 낮다. 2옥타브 도(C4)에서 4옥타브 레(D6)까지의 음역. 피가로의 결혼의 수잔나, 코지 판 투테의 피오르딜리지, 사랑의 묘약의 아디나가 대표적인 수브레트 배역이다.

근데, 진정한 수브레트 가수가 그리 많지 않다. 왜냐하면 수브레트 역할을 맡은 가수들이 나이 먹고 성숙해지면서 리릭이나 스핀토로 재분류되기 때문이다. 그나마 로제 바르소니, 캐서린 배틀 정도가 진정한 수브레트 가수로 볼 수 있을 듯.

한국에서는 소프라노 신영옥, 정혜욱이 음색적으로 수브레트 소프라노에 가장 가깝다는 평가를 받는다.

수브레트 중 보다 어두운 음색을 가졌으면 Dugazon이라고 한다.

2.3. 리리코 (lirico)

따뜻하고 밝은 음색의 소프라노. 천진한 배역을 맡는 경우가 많다. 세부적으로, 어린 느낌의 light와 성숙한 느낌의 full로 나뉜다. 테시투라(tessitura, 자연스러운 발성 시의 음)는 수브레토보다 약간 높다. 2옥타브 도(C4)에서 4옥타브 레(D6)까지의 음역.

대표적인 배역으로는 피가로의 결혼의 알미비바 백작부인 로지나, 마술피리의 파미나, 시몬 보카네그라의 아멜리아 그리말디(마리아 보카네그라), 가면 무도회의 아멜리아, 라 보엠의 미미, 수녀 안젤리카의 안젤리카, 잔니 스키키의 라우레타, 투란도트의 류, 팔리아치의 넷다를 꼽을 수 있다.

가수로는 미렐라 프레니[4], 빅토리아 데 로스 앙헬레스, 일레아나 코투르바스, 체칠리아 가스디아, 카티아 리치아렐리, 엘리자베스 슈바르츠코프, 힐데 귀덴, 바바라 핸드릭스, 홍혜경이 대표적이다.

2.4. 스핀토 (spinto)

리리코-스핀토라고도 한다. '스핀토'란 '밀어붙이다'라는 뜻의 이탈리아어. 스핀토는 리리코의 밝은 색채를 가지면서도, 드라마틱한 클라이맥스로 올라갈 수 있는 소프라노를 가리킨다. 종종 약간 어두운 음색을 가지기도 한다. 2옥타브 도(C4)에서 4옥타브 레(D6)까지의 음역.

배역으로는 베르디 아이다 타이틀롤, 오텔로의 데즈데모나[5], 일 트로바토레의 레오노라, 운명의 힘의 레오노라, 돈 카를로스의 엘리자베타, 푸치니 마농 레스코의 타이틀롤, 토스카의 타이틀롤, 나비부인의 타이틀롤, 조르다노의 안드레아 셰니에의 마달레나, 차이코프스키 예브게니 오네긴의 타티아나를 꼽을 수 있다.

대표적인 스핀토 소프라노는 세나 유리나츠, 필라 로렝가, 레나타 테발디, 리자 델라 카사, 가브리엘라 투치, 레온타인 프라이스, 몽셰라 카바예[6]가 있다.

국내에서는 아레나 디 베로나 페스티벌에 한국인 최초 아이다 역으로 데뷔한 임세경이 바로 이 스핀토 영역에 속해 있는 가수라 할 수 있으며, 그밖에 최근의 홍혜경과 김영미, 서선영 또한 이 영역에 매우 근접해 있는 가수들이다.

2.5. 드라마티코 (drammatico)

드라마틱 소프라노라고도 부르며, 강력하고 풍부한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약간 어두운 빛깔의 목소리를 가진 소프라노다. 음역은 다른 소프라노와 비슷하지만, 테시투라는 다른 소프라노에 비해 약간 낮다. 2옥타브 도(C4)에서 4옥타브 레(D6)까지의 음역.으로 라 지오콘다의 지오콘다, 나부코의 아비가일레[7], 맥베스의 맥베스 부인, 살로메의 타이틀 롤, 페도라의 타이틀 롤, 안드레아 셰니에의 마달레나, 서부의 아가씨의 미니, 탄호이저의 엘리자베트, 로엔그린의 엘자, 니벨룽의 반지의 지클린데 등이 대표적인 드라마티코 배역이다. 마리아 체보타리[8], 레오니 리자넥, 게나 드미트로바, 에바 마르톤, 마그다 올리베로가 대표적인 드라마틱 소프라노이다.

드라마티코 중 보다 어두운 음색을 가졌으면 Falcon이라 부른다.

특히 방황하는 네덜란드인의 젠타나 트리스탄과 이졸데 이졸데, 니벨룽의 반지 브륀힐데, 파르지팔의 쿤드리처럼 바그너가 작곡한 오페라의 히로인들은 대부분 드라마티코를 위한 배역이며, 이들을 주로 맡는 소프라노를 바그네리안 소프라노(Wagnerian soprano)라 칭한다. 꼭 바그너의 악극이 아니더라도 푸치니가 작곡한 투란도트의 타이틀 롤이나 리하르트 슈트라우스가 작곡한 엘렉트라의 타이틀 롤, 그림자 없는 여인의 염색집 아내 등의 배역은 일반 드라마티코보다 더 크고[9] 전음역대에 걸쳐 고른 목소리를 요구하기 때문에 바그네리안 소프라노의 배역으로 본다.

키르스텐 플라그스타트 비르기트 닐손을 위시하여 헬렌 트라우벨, 마르타 뫼들, 아스트리드 바르나이, 귀네스 존스, 힐데가르트 베렌스, 발트라우트 마이어 등이 대표적인 바그네리안 소프라노이다.

3. 팝 음악에서의 소프라노


[1] '소프라노'가 붙은 악기보다 더 높은 음역대의 악기에는 '소프라니노'를 붙인다. [2] 한국에서는 조수미의 밤의 여왕이 너무 유명한 나머지 리릭 콜로라투라 배역인 것으로 잘못 인식되는 경우가 많은데, 실제로 조수미가 부른 밤의 여왕의 아리아를 들어보면 악역이 부르는 노래인데 전혀 악역같지가 않다. [3] 터키 출신의 소프라노로 마리아 칼라스와 함께 히달고 밑에서 동문수학한 소프라노이다. [4] 프레니의 경우 리릭 스핀토로도 구분된다. [5] 본문에 언급된 것은 베르디 버전을 말하며, 롯시니 버전은 메조 소프라노가 맡는다. [6] 카바예는 리릭 영역도 맡은 가수이지만, 대체적으로 스핀토로 구분된다. [7] 사실 이 역할은 꾸밈음도 있어 위에 소개된듯이 콜로라투라 소프라노의 배역으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아비가일레의 드라마틱함과 기교를 모두 소화할 수 있는 가수가 적어 드라마틱 소프라노들이 많이 부르는 추세이다. [8] 마리아 체보타리는 리릭, 드라마틱 상관없이 많은 배역을 맡았지만, 가장 많이 맡은 레퍼토리는 살로메 이므로... [9] 마이크 없이 80-100대의 악기 이루어진 오케스트라를 뚫고 관객들에게 목소리가 전달되어야 한다! [10] 팀 내에서 저음 파트를 맡고 있지만 정작 음역대는 소프라노이다. 가인의 솔로곡 피어나에서 진성 3옥타브 파(F5) 고음이 여러 번 나온다. 본래 목소리의 질감도 소프라노이다. [11] 남성이고 본래 테너지만 에 공식 포지션이 테너, 소프라노이고, 진성으로 3옥타브 중반까지 소화 가능하고, 가성으로 4옥타브도 가능하니 이 문서에 적는다. [A] 콜로라투라 소프라노 출신. [B] 소프라노 출신. [14] E2-F6-F6 음역대를 가졌다. 진성으로 무려 4옥타브 파(F6)를 올리는데 이 음역대는 밤의 여왕 아리아 후렴 가장 높은 음, 펜트하우스 오윤희 천서진의 섀도우 싱어로 부르는 노래 Una voce poco fa의 마지막 가장 높은 음으로 길게 내빼는 부분, 브라운아이드걸스 가인, 나르샤 Sixth Sense 후반부 가성 부분과 같다. 뒤에 세 사례는 전부 다 가성으로 부르는데 박기영은 진성으로 4옥타브 파(F6)를 소화한다. 진성 4옥타브 파(F6)는 전세계 방송에서 나온 최고 높이의 진성음이다. 다만 이는 팝 음악 한정으로 오페라 까지 넓히면 4옥타브 솔#(G#6)까지 있다. [B] [A] [B] [18] 리리코 ~ 리리코-스핀토 소프라노다. D3 - C#6 - A6두성 ~ Eb7휘슬 음역대를 가졌다. 진성으로 무려 4옥타브 도#C#6)을 올린다. 가성은 박기영보다 더 넓은 편인데 4옥타브 라(A6) 그냥 두성으로 부르고 5옥타브 미b(Eb7)까지 휘슬로 올릴 수 있다. [B] [20] 리리코 소프라노. [21] 리리코 ~ 리리코-스핀토 소프라노다. [A] [A] [24] 학창 시절 가창 영상을 보면 본래는 소프라노가 맞다. 가수 활동을 하면서 중저음과 고음을 왔다갔다하는 스타일이 자리잡혔고 메조 소프라노처럼 활동하고 있다. 따라서 소프라노로 보아도 맞고 메조소프라노로 보아도 맞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