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21 05:27:47

메조 소프라노

성악가의 음역 구성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열기 / 닫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5px -1px -10px;"
남성 음역
베이스 바리톤 테너 카운터테너
여성 음역
콘트랄토1 메조 소프라노 소프라노
윗첨자1: 알토(Alto)는 4부 (혹은 5부) 합창에서 소프라노와 비교되는 여자의 낮은 음역을 말하는 것으로, 성악가의 음역을 지칭할 땐 콘트랄토가 옳은 단어다. }}}}}}}}}

1. 개요2. 메조 소프라노의 종류
2.1. 메조 소프라노 콜로라투라 (mezzo soprano coloratura)2.2. 메조 소프라노 리리코 (mezzo soprano lirico)2.3. 메조 소프라노 드라마티코 (mezzo soprano drammatico)
3. 팝 음악에서의 메조 소프라노

1. 개요

mezzo-soprano.

메조 소프라노는 소프라노 콘트랄토 사이의 음역을 가지는 여성 성악가 혹은 그의 목소리다. 메조는 이탈리아어로 중간이라는 뜻이다.

음역은 대략 G3에서 B5까지, 1옥타브 솔부터 3옥타브 시까지이다. 소프라노보다 음이 낮아 어둡고 무거운 음색을 가지거나 음역대는 알토 정도인데 음색이 맑아서 메조 소프라노인 경우도 있다. 보통 조연을 맡지만, 몇몇 작품에서는 주연을 맡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으로 조르주 비제 카르멘, 조아키노 로시니 세빌리아의 이발사의 로지나는 너무나도 유명하여 소프라노들도 탐내는 메조 소프라노 역이다.

뮤지컬에서는 가장 흔한 성종이며 1옥타브 미에서 3옥타브 도#이다. 호흡을 섞어 내리면 1옥타브 레 정도 까지 내려간다.

또 가장 낮은 소프라노 역할인 소프라노 드라마티코 배역을 메조 소프라노들이 맡은 경우도 있었다.[1] 물론, 지금은 메조 소프라노도 기근현상 이라서 그런 경향이 많이 사라졌지만. 아니면 수브레트 배역을 메조 소프라노가 맡기도 한다. 모차르트의 코지 판 투테 중 데스피나 역이나 돈 조반니 중 체를리나 등이 이런 경우.

소프라노 드라마티코가 메조로 전향하는 경우가 많다. 나이탓도 있겠지만, 중저음과 드라마틱한 표현은 가능하기 때문.[2]

최저음은 평균 1옥타브 미~1옥타브 파인 경우가 많다.

최고음은 평균 3옥타브 도~도#인 경우가 많다.

2. 메조 소프라노의 종류

음색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되지만, 절대적인 것은 아니고 영역이 겹치기도 한다. 따라서 같은 배역에 대해 다른 분류로 해석되기도 하고, 같은 가수가 다른 음색의 배역들을 오가며 활약하는 경우도 있다.

2.1. 메조 소프라노 콜로라투라 (mezzo soprano coloratura)

메조 소프라노 콜로라투라는 경쾌한 고음과 따뜻한 저음을 가진다. 이탈리아어로 콜로라투라는 색을 입혔다는 뜻이다. 민첩한 움직임으로 저음부로부터 고음부까지 빠르게 오가며, 화려한 기교를 과시한다. 리리코 혹은 소프라노의 수브레트 역을 맡기도 한다.

메조 소프라노 콜로라투라 배역으로는 로시니 오페라 히로인이 거의 대부분 이다.[3] 세빌리아의 이발사의 로지나, 오텔로의 데즈데모나, 라 체네렌톨라의 안젤리나, 알제리의 이탈리아 여인의 이자벨라가 로시니의 대표적인 메조 소프라노 콜로라투라 배역이라 하겠다.

또, 로시니 히로인은 아니지만 도니체티 안나 볼레나 중 조반나 세이모르와 벨리니의 노르마 아달지자도 메조 소프라노 콜로라투라에 속한다. 그리고 헨델이 활동하던 바로크 시대에 카스트라토들이 맡던 배역도 최근에는 이 메조 소프라노들이 부른다.

대표적으로 테레사 베르간자와 마릴린 혼이 로시니 배역에서 큰 호응을 얻었으며, 근래에는 소니아 가나시와 조이스 디도나토가 유명하다. 체칠리아 바르톨리도 현재 로시니 오페라에서 활약하고 있지만 바로크 오페라로도 명성을 떨치고 있다.

2.2. 메조 소프라노 리리코 (mezzo soprano lirico)

매우 매끄럽고 감성적인 음색을 가지며, 콜로라투라의 기교나 드라마티코의 강력함은 없다. 그래서 특별히 꾸밈음과 성량이 필요없는 많은 메조 소프라노 배역들이 이에 속하며, 자연스레 많은 배역들이 히로인의 라이벌이나 사이드킥이 된다. 그러나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으니 주로 프랑스 오페라에서 메조 소프라노 리리코들이 활약한다. 대표적으로 카르멘의 타이틀롤과 베르테르의 샤를로트 등이 있다.

또, 여성이 연기하는 젊은 남성 인물인 '바지역'(trouser role)[4]에 가장 잘 어울리는 목소리다. 배역으로 얘기하자면, 피가로의 결혼의 케루비노, 장미의 기사의 옥타비안, 헨젤과 그레텔의 헨젤, 호프만의 이야기의 니클라우스 등이 있다.

유명한 메조 소프라노 리리코 가수는 타티아나 트로야노스, 아그네스 발차, 프레데리카 폰 슈타데, 안나 카테리나 안토나치, 엘리나 가랑차가 있다. 그러나 사실 메조 소프라노 배역 내에서는 목소리 구분 없이 부를 수 있는 역할이면 부르기 때문에, 이들은 모두 콜로라투라나 드라마티코 배역도 자주 맡았다. 리리코 배역을 전문으로 부른 가수를 그나마 한명 꼽자면 르네 야콥스가 지휘한 피가로의 결혼에서 케루비노역으로 참여했던 안젤리카 키르히슐라거나 일본의 후지무라 미호코가 있으며, 미국의 그레이스 호프만도 남장역을 자주 맡았었다.

2.3. 메조 소프라노 드라마티코 (mezzo soprano drammatico)

강한 중음과 두껍고 강력한 저음, 따뜻한 고음이 특징으로, 리리코나 콜로라투라보다 더 극적인 음색을 낸다. 19세기 오페라에서는 종종 노파나 마녀, 악인 역할을 맡는다. 물론 타이틀롤을 맡을 때도 있다. 바그너 같은 독일 낭만파 음악가의 작품이나 베르디 오페라의 주조연 중에서 적합한 배역이 많다. 또 프랑스 오페라 삼손과 데릴라의 데릴라도 매력적인 메조 소프라노 드라마티코 배역이다.

이탈리아 오페라의 메조 소프라노 드라마티코 역할에는 일 트로바토레의 아주체나, 돈 카를로스의 에볼리 공녀, 아이다의 암네리스, 라 파보리타의 레오노라 디 구수만, 아드리아나 르쿠브뢰르의 공작부인 등이 있다. 특히 언급된 베르디의 세 오페라에서 메조 소프라노의 카리스마와 인기는 그 오페라의 소프라노를 넘어서기도 한다.[5] 이를 맡은 가수들은 줄리에타 시미오나토, 페도라 바르비에리[6], 피오렌차 코소토 등이 있다.

독일 오페라에서는 바그너의 탄호이저의 베누스, 트리스탄과 이졸데의 브란게네, 니벨룽의 반지 프리카와 발트라우테, 파르지팔의 쿤드리[7], 그리고 슈트라우스의 살로메(오페라)의 헤로디아스, 엘렉트라의 클리템네스트라 등이 대표적인 드라마티코 역할이다. 케르스틴 토르보르크[8], 리타 고르, 크리스타 루드비히, 오랄리아 도밍게스, 발트라우트 마이어, 돌로라 차지크, 나디아 크라스테바, 아니타 라흐벨리쉬빌리가 메조 소프라노 중에서 드라마티코로 분류된다.

또 빼놓을 수 없는 가수들이 흑인 메조 소프라노 그레이스 범브리와 셜리 버렛, 데니스 그레이브스이다. 이들은 흑인 특유의 강렬하고 풍부한 저음으로 유럽인들과 전세계 애호가들을 사로잡았다. 범브리는 1961년에 바그네리안(바그너 매니아)들의 성지로 불리는 바이로이트 음악제 무대에서 탄호이저의 베누스 역으로 데뷰했는데, 흑인 성악가로는 처음으로 해당 음악제에 출연한 것이라 보수적인 매니아들은 거부감을 보였지만 공연 후 무려 30분이나 커튼 콜에 응해야 할 정도로 대성공을 거두어 바이로이트 음악제의 인종차별 분위기를 누그러뜨리는 데 크게 기여했다.

3. 팝 음악에서의 메조 소프라노


[1] 대표적으로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의 산투짜, 맥베스의 맥베스 부인. [2] 엘리나 술리오티스, 레오니 리자넥, 마르타 뫼들이 대표적으로 소프라노에서 메조로 전향한 가수들이다. 또, 전향은 아니지만 게나 디미트로바도 메조 소프라노 배역을 맡은 적도 있다. [3] 로시니가 소프라노가 아닌 메조 소프라노를 히로인으로 많이 세우는 이유는 오텔로 초연 당시에 데즈데모나를 맡은 마리아 말리브란과 그 다음 해에 둘의 눈이 아주 잘 맞아서(...) 결혼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 때문에 로시니가 아내를 위해서 콘트랄토 배역을 히로인으로 많이 내세운다는 의견이 다수 존재한다. 로시니의 시절에는 '메조 소프라노'라는 개념이 없었기 때문에 원래 로시니 오페라 히로인들은 콘트랄토 배역이다. [4] 이 배역들은 원래 여성 목소리를 위해 작곡된 남자 역할로 카스트라토들과는 다르다. [5] 그 이유로 세기의 소프라노 마리아 칼라스가 저 세 오페라를 별로 좋아하지 않았다는 얘기도 있다(...) [6] 콘트랄토로 분류되기도 한다. [7] 원래는 소프라노 배역이지만 메조 소프라노들이 주로 맡는다. [8] 콘트랄토로 분류되기도 한다. [9] 정작 러블리즈 내에서는 고음 셔틀이었는데, 그 고음들이 본인 음역대보다 높아서 고생을 많이 했다. 그 대신 고음에서 힘이 좋다. 복면가왕 출연 때는 이런 고음 없이 본인이 편한 음역대에서 노래했다. [10] 콜로라투라 메조 소프라노이며 과거에는 소프라노였지만 임신으로 인해 목소리가 많이 낮아져 현재는 메조 소프라노다. [11] 1~2집 앨범 때는 소프라노 였으나 3집부터는 성대결절로 메조 소프라노로 바뀐 케이스 [12] 드라마티코 메조 소프라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