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6 14:56:30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구성국
파일:슬로베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svg 파일: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svg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svg 파일: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svg 파일: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svg 파일: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63-1991).svg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마케도니아
세르비아의 역사
세르비아 군정청 세르비아 구국정부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 세르비아 공화국
세르비아 인민공화국 (1944~1963)
People's Republic of Serbia
Народна Република Србија
Narodna Republika Srbija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 (1963~1990)
Socialist Republic of Serbia
Социјалистичка Република Србија
Socijalistička Republika Srbija
세르비아 공화국 (1990~1992)
Republic of Serbia
Република Србија
Republika Srbija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구성 공화국
파일: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svg 파일:세르비아 국장(1947-2004).svg
국기[1] 국장[2]
파일:Locator_map_Serbia_in_Yugoslavia.svg
1945년 ~ 1992년
성립 이전 유고슬라비아 전쟁 이후
세르비아 군정청 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
, 세르비아 공화국,
세르비아 구국정부
위치 세르비아
수도 베오그라드
정치체제 공산주의
국가원수 대통령
언어 세르비아어
민족 세르비아인
종교 세르비아 정교회
주요사건 1945년 건국
1945년 헌법 채택
1974년 헌법 개정
1988년 반관료제 혁명
1990년 헌법 개정
1992년 유고 내전
통화 유고슬라비아 디나르

1. 개요2. 역사3. 기타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현 세르비아의 전신으로,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소속국 중 하나. 유고슬라비아 연방 내에서 가장 넓은 면적과 가장 많은 인구를 보유한 공화국으로 비유하자면 소련 안의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과 비슷한 위상이었다. 다만 소련 내에서 정치적 위상, 인구, 경제력 모두 압도적이었던 소비에트 러시아에 비하면 유고 내 세르비아는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에 비해 경제력이 떨어졌고 인구도 과반이 채 안 됐기에 그 입지가 상대적으로 좁았다. 1963년까지는 세르비아 인민공화국으로 불렸다.

2. 역사

1974년 헌법 개정[3]으로 보이보디나 사회주의 자치주 코소보 사회주의 자치주가 실질적으로 분리되었다. 그전까지는 명목상 자치주였지만, 그 이후 이 두 자치주는 다른 공화국들과 거의 비슷한 지위를 누렸다.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은 존속한 기간의 대부분 동안, 유고 연방 정부에 충실했고 일반적으로는 종속적이었다. 그러나 요시프 브로즈 티토가 1980년에 사망하고 코소보에서 세르비아인, 알바니아인 두 민족의 민족주의가 확산되자 그것에 대한 대처법을 둘러싼 공산주의자 연맹에도 균열이 생겼다.

1988년에서 1989년까지 슬로보단 밀로셰비치가 이끄는 일파가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의 지배권을 획득하는 것에 성공하자 세르비아 민족주의자의 지지를 얻고 코소보 및 보이보디나의 자치권을 박탈했다.[4]

1989년, 밀로셰비치는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대통령이 되었다. 밀로셰비치는 코소보에 유고슬라비아 인민군(JNA)을 파견함으로써 연방이 코소보에서 세르비아의 이익을 위해 행동하도록 요구했다억지. 이런 움직임에 대한 다른 연방을 구성하는 각 공화국의 반발과 세르비아 측이 요구했던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공산당)에서의 당원 1인1표 제도(이에 의해서 수적으로 다수인 세르비아인이 지배권을 쥘 수 있었다.)에 대한 반발로 유고슬라비아 내에서 민족 간 긴장이 고조되면서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 동맹의 붕괴, 그리고 1991년의 유고슬라비아 붕괴로 이어졌다.

1990년에 국명이 세르비아 공화국(Republika Srbija)으로 개정되고, 1992년 이후에는 세르비아 공화국과 몬테네그로 공화국의 2국으로만 이루어지는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신유고연방. 2003년 이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으로 이행했다. 2006년에 몬테네그로가 독립한 결과, 연방은 해체되면서 세르비아 공화국도 단독 국가가 되었다.

3. 기타

세르비아 왕국 당시에는 마케도니아 북부도 영토로 가지고 있었지만 유고슬라비아의 지도자 요시프 브로즈 티토가 이를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독립시켰다.1차너프 이로 인해 마케도니아는 주변국들에 의해 티토스탄이라는 멸칭으로도 불린다.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0.93em; letter-spacing: -0.7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ce333a>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colcolor=#fca453> 20세기 초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
( 달마티아 왕국)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동통치령)
세르비아 왕국
세르비아 - 크로아티아 - 슬로베니아 왕국
혼란기 유고슬라비아 왕국
나치 독일
헝가리 왕국
크로아티아 독립국 알바니아 왕국
구 유고 유고 연방
슬로베니아 | 크로아티아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세르비아 | 몬테네그로 | 마케도니아
내전 유고 연방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세르비아 | 몬테네그로
신유고 연방
세르비아 공화국 | 몬테네그로 공화국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스릅스카 공화국
21세기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공화국 | 몬테네그로 공화국
코소보 전쟁
UN 과도정부
세르비아 공화국 코소보 공화국 북마케도니아 공화국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0.95em"
코소보 니시 라슈카 베오그라드 보이보디나
<colbgcolor=#000000> 고대 일리리아인
일리리아 켈트족
로마 제국 이아지게스
동로마 제국 훈족
슬라브 민족 유입 게피드
아바르 칸국
남슬라브
세르비아 공국
블라스티미로 왕조
프랑크 왕국
vs 불가리아 마자르
세르비아 공국
블라스티미로 왕조

시메온 대제
헝가리 왕국
동로마 동로마 제국
세르비아 대공국
부카노비치 왕조

두클랴
보스니아 공국
세르비아 대공국
네마니치 왕조
헝가리 왕국
세르비아 제국
세르비아 왕국
네마니치 왕조
헝가리 왕국
세르비아 제국
네마니치 왕조
세르비아 제국 멸망
분열과 통일
브란코비치 영역 세르비아 공국
라자레비치 왕조

1차 코소보 전투
헝가리 왕국
세르비아 전제군주국
라자레비치 왕조 | 브란코비치 왕조

2차 코소보 전투
헝가리 왕국
오스만 지배기 오스만 제국
대 튀르크 전쟁 신성동맹 - 합스부르크 - 대투르크전쟁
오스만 제국
오스만 제국 합스부르크 제국
오스만 제국
합스부르크 제국
자치권 쟁취 세르비아 대봉기
오스만 제국 세르비아 공국 오스트리아
보이보디나
독립 오스트리아 - 헝가리 제국
세르비아 왕국
20세기~21세기 불가리아 왕국 오스트리아 - 헝가리 제국
유고슬라비아 왕국
나치 독일 | 군정청 | 위원정부 | 구국정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 | 코소바 공화국
유엔 코소보 임시행정부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공화국 | 코소보
코소보 세르비아 }}}}}}}}}



[1] 몬테네그로 사회주의 공화국과 국기가 같다. [2] 전통적인 세르비아 국장에서 십자가를 뺐다. [3] 같은 해 유고슬라비아의 헌법 개정과 혼동해선 안 된다. [4] 물론 밀로셰비치가 실각한 이후에는 다시 자치권이 부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