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1-24 03:14:20

선종영가집언해

1. 개요2. 편찬 배경3. 종류
3.1. 보물 제774-1호3.2. 보물 제774-2호3.3. 보물 제774-3호3.4. 보물 제1163호3.5.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62호3.6.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76호3.7.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228호

[clearfix]

1. 개요

禪宗永嘉集諺解. 조선의 7대 왕 세조가 직접 한글로 토를 달고 신미대사, 효령대군 등이 한글로 번역한 불경. 당나라 영가대사(永嘉大師)가 편찬하고 송나라 행정(行靖)과 정원(淨源)이 주를 달며 수정한 선종영가집을 세조 10년, 1464년에 언해한 것이다. 동국대학교 도서관, 서울대학교 도서관 일사문고 등에 소장되어 있으며, 대한민국의 보물 제774-1호, 774-2호, 774-3호, 1163호,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62호,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76호,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28호로 지정되어 있다.

2. 편찬 배경

조선의 7대 왕 세조는 왕위에 오르기 전부터 불교를 선호하였으며 그 지식 또한 남달라 이를 눈여겨본 세종의 곁에서 불서편찬과 불경간행을 도맡아 왔다. 그리고 왕위에 오른 뒤에는 피로 물들어버린 왕위찬탈 행위를 속죄하고 용서받고 구원받으려는 마음에서 더욱 불교에 심취하였다. 1457년 묘법연화경을 간행하고, 1458년 해인사 대장경 50부를 꺼내 전국 사찰에 분장하였으며, 1459년에는 월인석보를 간행하였다. 이렇게 어느 정도 불경 간행의 업적을 쌓은 뒤 크게 마음을 먹고 유학자들의 거센 반대를 무릅쓰고 1461년 설치한 기구가 간경도감이다.

간경도감은 한자로 만들어져 있어 백성들이 그동안 마음놓고 읽을 수 없던 불경들을 언문으로 번역하고 간행하는 기관으로 서울의 본사(本司)를 중심으로 안동부, 개성부, 상주부, 진주부, 전주부, 남원부 등 전국에 설치하여 전 백성이 한글과 불경을 자유롭게 읽고 쓸 수 있게 만들었다. 거의 대부분의 업무를 세조가 관장하였고 성종이 즉위한 후 성리학적 관점에서 폐지될 때까지 11년간 존속하며 능엄경언해, 법화경언해, 선종영가집언해, 사법어언해, 원각경언해, 아미타경언해, 몽산화상법어약록언해, 목우자수심결언해, 반야바라밀다심경약소언해, 금강반야바라밀다경언해 등 수많은 불경을 한글로 번역하여 전국에 배포하였다. 선종영가집 또한 이 시기 언해본이 간경도감에서 만들어져 전국의 사찰과 민간인들이 쉽게 볼 수 있게 하였다.

3. 종류

3.1. 보물 제774-1호

{{{#!wiki style="margin:-12px 0" <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보물 寶物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보물 제774-1호
선종영가집(언해)(1984)
禪宗永嘉集(諺解)(1984) | Seonjong yeonggajip (Essence of Zen Buddhism), Korean translation
소재지 서울특별시 서울 필동로1길 30-0
(장충동2가, 동국대학교도서관)
분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간경도감본
시설 2권 2책
지정연도 1984년 5월 30일
시대 1464년( 세조 10년)
소유자
(소유단체)
동국대학교
관리자
(관리단체)
동국대학교도서관
파일:선종영가집(언해){禪宗永嘉集(諺解)}.jpg
<colbgcolor=#ff8c00> 선종영가집(언해)[1]
[clearfix]
동국대학교 도서관본. 선종영가집에 세조가 토를 달고 신미(信眉) 등이 한글로 번역한 상·하권 2책이다. 상권은 세조 10년(1464)에 간경도감에서 목판에 새긴 후 볏짚과 닥나무 껍질을 섞어 만든 종이에 처음 찍어냈으며, 크기는 세로 33.1㎝, 가로 20.3㎝이다.

하권은 연산군 1년(1495)에 정현대비가 성종의 명복을 빌기 위해 대대적으로 간행한 것 가운데 하나이며, 원각사에서 간경도감판을 가지고 다시 찍어낸 것으로, 크기는 세로 32.6㎝, 가로 21.2㎝이다.

책 끝부분에는 고승 학조(學祖)가 쓴 간행기록이 목활자로 찍혀있다.

3.2. 보물 제774-2호

{{{#!wiki style="margin:-12px 0" <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보물 寶物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보물 제774-2호
선종영가집(언해)(2010)
禪宗永嘉集(諺解)(2010) | Seonjong yeonggajip (Essence of Zen Buddhism), Korean translation
소재지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묵곡리 210번지 겁외사
분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시설 2권 2책
지정연도 2010년 12월 21일
시대 1464년( 세조 10년)
소유자
(소유단체)
겁외사
관리자
(관리단체)
겁외사
파일:보물_제774-2호_선종영가집(언해)(2010년_국보,보물_지정보고서).jpg
<colbgcolor=#ff8c00> 선종영가집(언해)[2]
[clearfix]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묵곡리의 겁외사 소장본. 겁외사 소장본은 보물 제774호(동국대 도서관)와 제1163호 보다도 선본(善本)에 속하는 자료로 매우 귀중하다.

조선 전기 불교학 및 판본연구와 훈민정음이 반포된 직후의 국어를 반영하는 어학연구 자료로서 학술적 가치가 있다.

3.3. 보물 제774-3호

{{{#!wiki style="margin:-12px 0" <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보물 寶物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보물 제774-3호
선종영가집(언해)(2017)
禪宗永嘉集(諺解)(2017) | Seonjong yeonggajip (Essence of Zen Buddhism), Korean translation
소재지 대구광역시 남구
분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시설 2권 4책
지정연도 2017년 8월 31일
시대 1464년( 세조 10년)
파일:선종영가집언해.jpg
<colbgcolor=#ff8c00> 선종영가집(언해)[3]
[clearfix]
대구광역시 남구의 개인 소장. 『선종영가집』(언해본)은 세조(世祖)가 친히 구결(口訣)을 달고 신미(信眉) 등이 국역한 책으로 1464년(세조 10)에 간경도감(刊經都監)에서 인출한 초인본으로, 상, 하권 4책이다. 권수면에「교정(校正)」인이 날인된 초인본으로, 하권의 마지막 4장의 결락이 있지만 현재까지 알려진 같은 책 중에서 최고의 선본(善本)이라고 하겠다. 이 책은 한글 창제의 초창기에 인출된 관계로 초기의 한글 연구에 매우 귀중한 자료로서, 그리고 불교학 연구와 서지학 연구에도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국가문화재(보물)로 지정 보존할 가치가 충분한 것으로 평가된다.

3.4. 보물 제1163호

{{{#!wiki style="margin:-12px 0" <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보물 寶物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보물 제1163호
선종영가집(언해) 권하
禪宗永嘉集(諺解) 卷下 | Seonjongyeonggajip(Essence of seon/zen buddhism< last volume>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9
(용산동6가, 국립한글박물관)
분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사찰본
시설 1권 1책
지정연도 1993년 6월 15일
시대 1495년( 연산군 1년)
소유자
(소유단체)
국립한글박물관
관리자
(관리단체)
국립한글박물관
파일:권말.jpg
<colbgcolor=#ff8c00> 선종영가집(언해) 권하 권말[4]
[clearfix]
국립한글박물관 소장본. 보물 제774호의 권 하와 동일한 판본으로 인쇄가 정교하고 종이질이 좋다.

3.5.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62호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도의 유형문화재
261호 262호 263호
영가대사증도가남명천선사게송2책 선종영가집언해권상1책 경율이상1책권1-6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62호
선종영가집(언해)
禪宗永嘉集(諺解)
소재지 <colbgcolor=#fff,#191919>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로185번길 30
(구미동, 대광사)
분류 기록유산
수량 / 면적 1책(冊)
지정연도 2011년 10월 4일
파일:성남선종영가집언해.jpg
<colbgcolor=#ff8c00> 선종영가집(언해)[5]
[clearfix]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의 대광사 소장본.

3.6.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76호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375호 376호 377호
묘법연화경 권1∼3 선종영가집(언해) 감지금니묘법연화경 권1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76호
선종영가집(언해)
禪宗永嘉集(諺解)
소재지 <colbgcolor=#fff,#191919>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부순환로152길 53
( 신림동, 호림박물관)
분류 기록유산 / 전적류 / 활자본 / 목활자본
수량 / 면적 2책(冊)
지정연도 2015년 6월 18일
소유자
(소유단체)
성보문화재단
파일:선종영가집(언해).jpg
<colbgcolor=#ff8c00> 선종영가집(언해)[6]
[clearfix]
호림박물관 소장본. 첫 장에 교정(校正)의 인이 날인되어 있으며, 표지는 개장하였으며 본문의 제52장~73장이 결락되어 있다.

3.7.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228호

파일:전북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전북특별자치도의 유형문화재
227호 228호 229호
남원 백련사 육조대사 법보단경 남원 백련사 선종영가집언해 순창 일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

파일:전북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전북특별자치도의 유형문화재 제228호
남원 백련사 선종영가집언해
南原 白蓮寺 禪宗永嘉集 諺解
소재지 <colbgcolor=#fff,#191919>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인월중군길 550
(인월면, 백련사)
분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간경도감본
수량 / 면적 1책
지정연도 2014년 10월 31일
파일:남원선종영가집(언해).jpg
<colbgcolor=#ff8c00> 선종영가집(언해)[7]
[clearfix]
선종영가집 언해는 당나라 영가 현각(永嘉 玄覺)이 찬술하였으며, 송나라 행정(行靖)이 주를 달고 정원(淨源)이 수정과문(修定科文)한 선종 불서이다. 백련사 소장본은 비록 상권 1책이 결본상태이며 권수(卷首)와 권말(卷末)이 온전한 상태는 아니지만 조선 세조 년간(1417~1468)에 간행된 간경도감(刊經都監) 원본으로 동일한 판본인 보물 제774호 선종영가집 언해와 보물 제1163호 선종영가집 언해와 같이 조선전기 한글 연구에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1]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2]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3]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4]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5] 사진 출처 - 경기문화재단 - 경기문화재연구원. [6]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7]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