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1 06:37:04

삼성 라이온즈/1995년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074ca1><tablebgcolor=#074ca1> 파일:삼성 라이온즈 심볼(흰색).svg 삼성 라이온즈
역대 시즌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000000; margin:-6px -2px -12px"
1982 1983 1984 1985 1986
2위
4위 2위
'''1위
'''
2위
1987 1988 1989 1990 1991
2위
3위
4위
2위

3위
1992 1993 1994 1995 1996
4위
2위
5위 5위 6위
1997 1998 1999 2000 2001
4위
3위
매직 2위
드림 3위
2위
2002 2003 2004 2005 2006
'''1위
'''
4위
2위
'''1위
'''
'''1위
'''
2007 2008 2009 2010 2011
4위
4위
5위 2위
'''1위
'''
2012 2013 2014 2015 2016
'''1위
'''
'''1위
'''
'''1위
'''
2위
9위
2017 2018 2019 2020 2021
9위 6위 8위 8위 3위
2022 2023 2024 2025 2026
7위 8위 2위
?위 ?위
: 우승: 준우승 | : 포스트시즌 진출
}}}}}}}}} ||
삼성 라이온즈 시즌별 성적
1994 시즌 1995 시즌 1996 시즌
파일:삼성 라이온즈 워드마크(1995~2007).svg {{{+1 KBO 리그 1995 시즌 {{{#FFFFFF }}} 삼성 라이온즈 }}}
<rowcolor=#FFFFFF> 순위 승차 승률
5 / 8 60 6 60 13.5 0.500

1. 시즌 전2. 스토브리그
2.1. 코칭스태프 이동2.2. 선수 이동2.3. 신인 지명2.4. 기타
3. 전지훈련4. 정규 시즌
4.1. 선수 이동
5. 선수별 개인 성적
5.1. 투수5.2. 타자
6. 수상 및 기록7. 둘러보기 틀

1. 시즌 전

구단 BI 변경 출처
구단명 삼성 라이온즈 삼성 라이온즈
워드마크 파일:samsung_lions_logo_1989.png 파일:삼성 라이온즈 워드마크(1995~2007).svg
심볼 파일:삼성 라이온즈 심볼(1989~1994).png 파일:삼성 라이온즈 심볼(1995~2007).svg
파일:external/imgnews.naver.net/101911237_%25B0%25AD%25B1%25E2%25BF%25F51.jpg
미국 베로비치로 전지훈련을 떠난 라이온즈 선수단의 모습.

2. 스토브리그

우용득 감독은 전년도 백인천 인스트럭터의 선임으로 구단과 갈등을 빚었지만 일단 계약기간이 남은 만큼 감독직은 부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그룹 차원의 구단 감사가 벌어지면서 사장과 단장은 모두 교체됐다.

2.1. 코칭스태프 이동

김충 2군 감독과 재계약을 포기해 조창수 수석코치가 2군 감독으로 보직을 옮겼고, 대신 배대웅이 수석코치로 승격됐다. 한편 2군 수비코치로 김동재를 영입했다.

2.2. 선수 이동

1994년 시즌 후 이영재, 이용철이 은퇴했다. 이용철은 삼성 스카우트진에 합류했다. 이영재는 1996년에 KBO 심판이 됐다.

1994년 12월 1일에 정경훈 정영규 한화 이글스 이정훈과 장정순을 상대로 트레이드됐다.

2.3. 신인 지명

  • 포지션은 지명 당시 기준.
  • #표시는 대학 진학이나 유급으로 이후에 지명 당해가 아닌, 그 이후에 입단한 선수.
이름 포지션 경력 계약금
1차 안윤호 투수 경주고 - 동아대 8000만원
2차 1라운드 김영진 포수 동대문상고 - 동국대 1억원
2라운드 김재걸 내야수 덕수상고 - 단국대 2억 1000만원
3라운드 홍광천 내야수 군산상고 - 경남대 3500만원
4라운드 차상욱 내야수 한서고 - 경성대 1500만원
5라운드 최승우#[1] 내야수 영흥고 - 영남대 -
6라운드 구대회 내야수 동대문상고 - 동국대 2000만원
7라운드 김경호 외야수 충암고 - 동국대 1500만원
고졸 연고 김승관 내야수 대구상고 9500만원
김진삼 내야수 포철공고 2500만원
신성필 투수 경북고 4800만원
이상달 외야수 포철공고 1500만원
이승엽 투수 경북고 1억 3200만원[2]
장형석 투수 경북고 4000만원
해외교포 김귀홍 포수 일본 후네하시고 2400만원
신고선수 박석진 투수 경남고 - 단국대 없음

김재걸의 경우에는 현대 피닉스와 이중계약 파동으로 1995년 3월이 돼서야 삼성 선수로 인정받곤 계약금 2억 1천만원에 연봉 2천만원으로, 당시 역대 신인 최고금액을 받으며 입단했다. 그리고 역대 최고의 백업 내야수가 됐다

대구에서 좌승엽, 우승관으로 불렸던 김승관 이승엽의 입단도 주목을 받았다. 애초 이승엽은 당시 고졸선수로는 최고 대우를 받으며 투수로 입단했지만 팔꿈치 부상으로 공을 던질 수 없는 상태였고, 우용득 감독의 권유로 이승엽은 타자로 전향했다.

1995년 3월에는 재일교포 포수 김귀홍을 영입했다. 당시 김귀홍은 고교를 갓 졸업했는데, 고졸 선수인만큼 미래를 보고 육성하기 위해 영입한 것. 구단 관계자들 모두 일본 아마야구 출신인 강춘경, 강태윤, 한명호가 어떤 성적을 냈는지 까먹었나보다 김귀홍도 1군에 올라오지 못하고 은퇴했다.

한편 김재걸, 이승엽, 김승관 등 이 주목받는 와중에 1차 지명자 안윤호는 계약금 8천만원을 받았다. 같은 해 입단한 다른 선수들에 비하면 턱없이 낮았고, 입단 첫 해를 빼고는 1군 등판 기록도 없고 1997년에 방출됐다. 이 때문에 라이트팬들은 이승엽을 이 해 1차 지명자로 착각하기도 한다.[3]

한편 신고선수로 입단한 박석진은 1997시즌 중에 박동희, 김종훈과 트레이드 되었는데, 그 뒤 롯데에서 최고의 불펜투수로 활약했다. 그리고 2004 시즌 중 노장진과 트레이드되어 다시 복귀하게 된다.

2.4. 기타

장기적인 선수 양성을 목적으로 경산훈련장의 시설을 개보수하기 시작해 삼성 라이온즈 볼파크를 만들었다.

3. 전지훈련

1994년 말 미국 교육리그에 양준혁을 비롯한 22명의 선수와 김충, 김용철, 양일환, 장태수 등 2군 코치를 파견했다.

1군 선수단은 2년만에 베로비치로 갔다. 전년도 호주 전지훈련의 실패로 모든 훈련을 한 곳에서 끝낼 계획이었다고. 때마침 메이저리그가 파업 중이어서 토미 라소다 다저스 감독을 비롯해 많은 코치들이 자발적으로 전지훈련을 도왔다.

4. 정규 시즌

중고신인 이동수가 22개의 홈런을 쳤는데 시즌 내내 OB의 김상호와 홈런왕 경쟁을 벌여 신인왕이 됐고, 고졸 신인 이승엽은 1루수와 좌익수를 오가면서 주전급 선수로 활약했다.

그러나 전년도에 이어 1995년에도 부상 선수가 아주 많았다. 류중일은 목 디스크 재발, 김성래는 허벅지 부상, 이종두는 어깨와 허리통증, 강기웅은 5월 13일 한화 이글스전 때 이승엽과 충돌로 발목 부상을 당했다. 이 와중에 628 대첩도 나왔다.

결국 60승 6무 60패로 5할 승률을 기록하면서 2년 연속 5위로 시즌을 마감했다. 팀별 상대전적에서 당해 준우승팀인 롯데를 비롯해서 해태, 한화, 쌍방울에 우세했고 태평양에 동률을 기록했지만 잠실을 쓴 페넌트레이스 1,2위 팀 OB와 LG에 5승 2무 11패, 6승 12패로 크게 밀린 것이 뼈아팠다.

성적은 다소 좋지 못했지만 흥행력에 있어서는 구단 역사상 가장 뜨거운 한 해이기도 했다. 이 해 삼성은 경기당 평균 9904명의 관중을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으로 불러모았는데 당시 시민 야구장에 입석 포함 최대 1만3000명까지 관중이 들어올 수 있는 점을 고려한다면 이 시즌의 평균 좌석 점유율은 무려 76.2%에 달했다. 야구장의 규모가 워낙 작아서 총 관중 수는 62만명 수준에 그쳤지만 좌석 점유율로만 본다면 관중 수 1~3위를 차지한 LG, 롯데, OB를 압도하는 수준이었다. 9900명의 관중이 들어올 경우 홈 응원석인 3루 내야석과 중앙 지정석은 그야말로 빈자리 없이 꽉 차게 되며 1루 내야석과 외야석까지도 대부분 찼다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평일, 주말 할 것 없이 거의 모든 홈경기마다 만원사례에 가까울 정도로 구름 관중이 시민 야구장에 몰렸다는 뜻이다.

4.1. 선수 이동

5월 3일, 한화 이글스 이중화를 현금 트레이드로 데려왔다.

5월 10일에는 좌완투수 부족으로 쌍방울 레이더스에서 좌완 투수 최한림과 외야수 윤혁을 데려오면서 대신 류명선 김현욱을 보냈다.

류명선은 계속 성적이 하락세였고, 허리 부상이 있던 김현욱은 자비로 수술을 했을 정도로 트레이드 전부터 사실상 전력외 취급을 받았다. 쌍방울로 간 이후 류명선은 그대로 이듬해 은퇴했지만 김현욱은 전무후무한 구원 20승의 신화를 쓰며 쌍방울의 기둥으로 자리매김한다.

5. 선수별 개인 성적

  • 진한 표시는 리그 5위내 성적. 붉은 글씨는 1위 입상 성적.
  • 투수는 이닝이 많은 순서대로, 타자들은 타수가 많은 순서대로.
  • 시즌 중 이적한 선수들은 당해 삼성 소속 성적만 기록.

5.1. 투수

  • 우완
  이름 경기수 선발등판 이닝 세이브 ERA 피안타 사사구 탈삼진
30 김상엽 27 26 191⅔
(5위)
17
(2위)
7 0 2.30
(4위)
140 75 132
(7위)
18 오봉옥 39 10 133⅓ 6 9 5 2.90
(8위)
117 54 99
17 박충식 19 19 128 9 6 0 3.16 106 39 72
75 최한경 21 13 83⅔ 7 4 0 5.70 72 66 55
59 박석진 27 12 72⅔ 4 6 0 4.71 85 26 30
69 신성필 26 4 67⅔ 1 4 0 4.26 56 41 42
13 김인철 21 8 62⅓ 1 5 0 4.91 59 37 23
60 곽채진 27 3 59 1 2 1 5.19 66 32 40
31 김승남 19 1 36⅓ 0 0 0 5.20 40 32 21
29 최용희 4 1 6⅔ 0 0 0 5.40 6 5 5
77 이상훈 6 0 4⅔ 1 0 0 13.50 7 2 5
39 박종철 2 0 2 0 0 0 13.50 2 2 0
26 안윤호 1 0 0⅔ 0 0 0 0.00 1 0 0
66 허삼영 3 0 1⅓ 0 0 0 13.50 3 0 0
  • 좌완
  이름 경기수 선발등판 이닝 세이브 ERA 피안타 사사구 탈삼진
14 성준 25 22 126 7 8 0 4.36 127 52 58
28 김태한 44
(6위)
5 97 5 8 22
(3위)
2.97 81 56 75
16 최한림 21 2 41⅔ 0 1 0 4.10 45 19 13
19 감병훈 2 0 1⅓ 0 0 0 40.50 5 2 2

5.2. 타자

  • 포수
  이름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23 김성현 99 227 .273 62 11 1 7 36 22 2
22 이만수 97 158 .215 34 10 0 5 27 17 1
2 박선일 73 125 .216 27 1 1 3 11 8 0
38 임채영 72 125 .168 21 9 1 1 10 5 0
20 김영진 36 31 .161 5 0 0 0 3 4 0
  • 내야수
  이름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57 이동수 125 420 .288 121 17 3 22
(2위)
81
(4위)
70
(8위)
2
36 이승엽 121 365 .285 104 29
(2위)
1 13 73
(6위)
55 0
9 김재걸 109 281 .249 70 11 5
(5위)
3 32 32 10
6 강기웅 55 177 .271 48 4 0 3 19 25 6
1 류중일 64 155 .226 35 11 1 0 10 11 2
5 김성래 44 124 .258 32 4 0 3 17 13 0
15 김태균 69 116 .164 19 3 0 0 8 10 2
50 김한수 34 92 .304 28 4 0 2 13 17 3
49 차상욱 58 56 .179 10 1 1 0 3 5 5
54 강두곤 51 39 .179 7 2 0 0 1 6 0
68 김승관 6 4 .000 0 0 0 0 0 0 0
58 김진삼 8 1 .000 0 0 0 0 0 1 0
  • 외야수
  이름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10 양준혁 125 438 .313
(4위)
137
(5위)
34
(1위)
1 20
(6위)
84
(3위)
81
(2위)
8
37 신동주 115 328 .238 78 14 2 5 28 39 23
(10위)
46 동봉철 110 293 .235 69 11 0 1 18 54 11
7 이정훈 74 236 .250 59 9 0 1 10 33 12
8 김실 89 154 .201 31 8 2 1 33 51 4
40 이종두 45 123 .236 29 5 1 3 11 18 1
24 강태윤 39 53 .170 9 0 0 0 3 3 0
45 강종필 46 27 .259 7 0 0 1 2 5 5
65 전상렬 18 15 .267 4 1 0 0 1 5 1
3 최찬욱 10 9 .000 0 0 0 0 0 0 0
47 이중화 7 7 .143 1 0 0 0 0 0 0
34 윤혁 5 4 .000 0 0 0 0 0 0 0
67 최익성 3 3 .000 0 0 0 0 0 0 0
4 최홍주 2 1 .000 0 0 0 0 0 0 0

6. 수상 및 기록

7. 둘러보기 틀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bordercolor=#061731> 파일:KBO 리그 로고(1982~2012).svg 한국프로야구
구단별 1995 시즌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181818"
파일:LG 트윈스 엠블럼(1990~2005).svg 파일:태평양 돌핀스 엠블럼(1994~1995).svg 파일:해태 타이거즈 엠블럼(1982~1995).svg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1994~2006).svg
LG 트윈스
1995년
태평양 돌핀스
1995년
해태 타이거즈
1995년
한화 이글스
1995년
파일:삼성 라이온즈 워드마크(1995~2007).svg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1993~1995).png 파일:OB 베어스 엠블럼.svg 파일:PKPuIYF.png
삼성 라이온즈
1995년
롯데 자이언츠
1995년
OB 베어스
1995년
쌍방울 레이더스
1995년
}}}}}}}}}}}} ||




[1] 상무 입대 이후 1997년 입단. [2] 당시 고졸선수 최고 계약금. [3] 이 당시만 해도 1차 지명으로는 주로 대졸 선수를 뽑았고 지역 연고의 고졸 선수들은 고졸우선지명 제도를 통해 따로 입단 계약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