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5 03:51:33

대전 사이언스콤플렉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해당 건물 내에 위치한 백화점에 대한 내용은 대전신세계 Art & Science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특별시
서울특별시
롯데월드타워
(554.5m)
광역시
대구광역시
수성 SK리더스뷰
(225m)
인천광역시
포스코타워-송도
(305m)
광주광역시
호반써밋 광주*
(158.11m)
울산광역시
태화강 엑소디움
(201m)
특별자치시
세종특별자치시
세종 한신더휴 리저브*
(188.28m)
}}}
충청북도
청주 지웰시티 푸르지오*
(158.3m)
충청남도
천안 펜타포트
(239.7m)
전라남도
목포하당 중흥S-클래스 센텀뷰*
(164.75m)
경상남도
창원 메트로시티 2단지*
(195.77m)
특별자치도
전북특별자치도
포레나 전주 에코시티*
(153.785m)
제주특별자치도
제주드림타워*
(169m)
||<-3><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
국제표준상 마천루(200m 이상)를 최우선 순위로 기재합니다.
* : 해당 지역에 마천루가 없을 경우, 최고 높이 빌딩(Building)으로 대체합니다.
||
}}}}}} ||


<colbgcolor=#e60000><colcolor=#fff> 대전 사이언스콤플렉스
Daejeon Science Complex
파일:대전 사이언스콤플렉스.jpg
별칭 엑스포 타워
종류 마천루
착공 2018년 5월
완공 2021년 8월 27일
개장 2021년 8월 25일
공사비 429,682,000,000원
층수 지상 43층, 지하 5층
높이 193m
연면적 284,233㎡
건설 <colbgcolor=#e60000><colcolor=#fff> 설계 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콘 페더슨 폭스(KPF)[1]
시공사 계룡건설산업, 신세계건설
감리 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소유주 대전신세계
주소
대전광역시 유성구 엑스포로 1 ( 도룡동)
1. 개요2. 구성
2.1. 대전 엑스포 타워 (타워동)
2.1.1. 호텔 오노마
2.2. 대전신세계 Art & Science (포디움)
3. 역사4. 사건사고5. 여담

[clearfix]

1. 개요

파일:대전 사이언스콤플렉스 투시도.jpg
대전 사이언스콤플렉스 투시도

대전광역시 유성구 엑스포로 1( 도룡동)에 소재한 마천루이다.

2. 구성

신세계그룹 계룡건설이 컨소시엄으로 공사를 진행하여 2021년 8월 27일에 완공하였다. 엑스포과학공원 중 5만 1614㎡ 부지에 높이 193m, 지상 43층, 지하 5층 규모로 건설되었으며, 포디움(백화점동)과 타워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2.1. 대전 엑스포 타워 (타워동)

파일:대전 엑스포 타워.jpg
대전 엑스포 타워
  • 호텔
    오노마, 오토그래프 컬렉션

지상 43층 규모 타워동의 이름은 대전시 설립 100주년과 93엑스포의 의미를 담아 대전 엑스포 타워로 정해졌다. 높이는 193m로 대전광역시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자 부산광역시를 제외한 비수도권에서 가장 높은 비주거용 건물이 되었다. 다만 광주 챔피언스시티 랜드마크타워가 완공되면 3위로 물러날 전망이다.[2][3]

정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몫으로 정해진 15개 층은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에서 사용해 벤처 기업들의 창업과 입주를 돕는 ‘연구소기업 지원센터’로 운영된다.

38층에는 스타벅스 매장이 위치하여 대전 전경을 전망할 수 있는데, 층 수 기준으로는 전세계에서 두 번째로 높은 스타벅스이다. 참고로 1위는 스타벅스 해운대 엑스더스카이점의 99층, 3위(종전 2위)는 대만 타이베이 101의 35층이다.[4]

나머지 층에는 대전신세계에서 운영하는 호텔 오노마가 들어섰다.

포디움(백화점동)과 바로 연결되어있다.

2.1.1. 호텔 오노마

대전 엑스포 타워 내에 들어선 신세계 계열 특급 호텔. 2백 실 규모로, 2022년 6월 21일자로 5성급 인증을 받았다.[5]

호텔 이름인 '오노마'는 고전 그리스어로 '이름'과 '명성'이라는 뜻이다. 풀 네임은 '오노마, 오토그래프 컬렉션'[6]이며, 신세계 오너 정유경의 취향을 강하게 반영하되, 메리어트의 노하우와 회원과 예약망 등을 공유하는 형식이 된다고 한다. #

조선호텔을 운영하고 있는 조선호텔앤리조트 및 웨스틴 조선은 운영에 관여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전부 신세계그룹 산하의 호텔이지만 조선호텔 체인은 정용진이 이끄는 이마트에서 소유하고있으며 JW 메리어트 호텔 서울과 본 호텔은 정유경이 이끄는 신세계백화점 산하의 신세계센트럴시티에서 소유하고있기 때문에 실질적인 경영 주체부터가 갈리기 때문이다.

2.2. 대전신세계 Art & Science (포디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전신세계 Art & Science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대전신세계 Art & Science.jpg
대전신세계 Art & Science

백화점동인 포디움은 지상 9층, 지하 3층으로 되어 있으며 과학과 문화, 쇼핑·여가시설이 어우러진 복합 엔터테인먼트 시설과 대전신세계 Art & Science가 입점하였다.

신세계백화점을 중심으로 영화관과 2만여 마리의 수생동물이 있는 아쿠아리움이 들어섰고, 야외 옥상엔 공룡시대 컨셉의 테마파크인 '쥬라지' 가 문을 열었다.

3. 역사

2017년 12월 19일 기공식을 하였고,[7] 2018년 4월 27일 건축허가를 받아 2018년 5월 18일 사이언스콤플렉스 신축공사를 수주했으며,[8] 2018년 5월 28일에 착공하였다.[9]

타워동은 지상 43층, 지하 5층으로 되어 있고 최상층부 6개층에 전망대가 들어선다고 하며, 대전신세계에서 운영하는 호텔 오노마와[10]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에서 운영할 예정인 벤처기업 지원 센터가 입주한다.[11] 규모가 규모인만큼 완공 후엔 대전의 랜드마크 중 한 곳이 될 것으로 보인다.

2020년까지 골조공사, 2021년 중순까지 외벽공사가 완료되었고, 완공되어 준공허가를 기다리고 있다. 다만 2021년 7월 현재 서쪽 광장과 남쪽 보도 등은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2021년 8월 25일과 26일에는 임시 오픈을 하였고 27일 정식 영업에 들어갔다.

4. 사건사고

  • 준공을 앞두고 2021년 6월 20일 건설 현장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

5. 여담

  • 사이언스콤플렉스의 교통난 완화를 위해 갑천 대덕대교와 엑스포교 사이에 제2 엑스포교가 건설되었다. 다리 길이는 약 320m로, 갑천도시고속도로와 사이언스콤플렉스를 곧바로 연결하는 왕복 4차로이다. 다만 이 제2엑스포교의 남단측 연결이 갑천도시고속도로 대덕대교 남단 교차로 진출램프에만 이뤄지고 본선과의 교차로가 따로 건설되지 않았다. 따라서 주변 지하차도 상부 램프에서 유턴 등을 해야 진출입이 가능하다. 타 방향은 그래도 진출입에 큰 문제는 없지만 유성구로부터의 진출입이 특히 불완전해서 대학로를 활용하는게 더 유리하며, 특히 제2엑스포교 남단 우회전 진출시 유성방향으로는 아예 진입이 불가능하다.

[1] 롯데월드타워, 롯폰기 힐스 모리 타워 설계사 [2] 금강 엑슬루타워(160m, 지상 50층), 철도기관 공동사옥(150m, 지상 28층), 다만 금강 엑슬루타워는 50층이라 법적인 마천루에 적용되지만 사이언스콤플렉스는 50층보다 층이 적으며 높이도 200m에 못미쳐 법적인 마천루에서 제외된다. 아파트까지 합치면 천안 펜타포트가 가장 높다. [3] [리포트] 사이언스콤플렉스 193m로...내년 6월 착공, 2016-11-25, 대전문화방송 [4] 다만 타이베이 101점은 층고가 다르기에, 실제 높이를 기준으로 하면 타이베이 101 쪽이 2위일 수 있다. [5] 대전에서 유일한 5성급 호텔이다. [6] 한국에는 플라자호텔, 라이즈호텔, 그래비티 판교(조선호텔)가 소속돼 있다. [7] 대전 신세계 사이언스콤플렉스 기공식…2021년 준공, 2017-12-19, 연합뉴스 [8] 신세계건설, 432억원 대전 콤플렉스 신축공사 수주, 2018-05-21, 연합뉴스 [9] 신세계 대전 사이언스 콤플렉스 조성사업 28일 착공, 2018-05-23, 충청투데이 [10] 신세계 DNA로 만든 '호텔 오노마' 27일 대전에 문 연다, 2021-08-18, 뉴시스 [11] [리포트] 5성급 호텔 기대감 속 대전 호텔업계 새바람, 2019-10-08, 대전방송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5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54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