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5 15:29:20

블레이크 스넬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5A9C> 파일: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화이트 엠블럼.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5A9C><colcolor=#FFFFFF> 투수 7 스넬 · 18 야마모토 · 26 곤솔린 · 28 밀러 · 29 그로브 · 31 글래스나우 · 35 스톤 · 43 반다 · 45 코펙 · 48 그라테롤 · 49 트라이넨 · 51 베시아 · 57 브레이저 · 59 필립스 · 60 엔리케스 · 63 허트 · 70 로블레스키 · 77 라이언 · 78 캐스패리우스 · 79 프라소 · 80 시핸 · 85 메이 · 96 · # 드라이어
포수 15 반스 · 16 스미스 · 67 페두시아 · 76 카르타야
내야수 5 프리먼 · 9 럭스 · 11 로하스 · 13 먼시 · 50 베츠
외야수 3 테일러 · 25 에드먼 · 30 콘포토 · 33 아웃맨 · 44 파헤스
투타겸업 17 오타니
'''''' 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브 로버츠 파일:미국 국기.svg 대니 레만 파일:미국 국기.svg 마크 프라이어
파일:미국 국기.svg 애런 베이츠 · 파일:미국 국기.svg 로버트 반 스코욕 파일:미국 국기.svg 크리스 우드워드 · 파일:미국 국기.svg 디노 에벨
파일:미국 국기.svg 조시 바드 파일:미국 국기.svg 코너 맥기니스 파일:미국 국기.svg 스티브 실라디
파일:미국 국기.svg 밥 게런
파일:MLB 로고.svg 다른 MLB 팀 40인 로스터 보기
파일:오클라호마시티 베이스볼 클럽 엠블럼.svg 산하 AAA팀 로스터 보기
파일:털사 드릴러스 엠블럼.svg 산하 AA팀 로스터 보기
}}}}}}}}}
블레이크 스넬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탬파베이 레이스 등번호 4번
제이미 넬슨
(2015)
블레이크 스넬
(2016~2020)
브레이디 윌리엄스
(2023~)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등번호 4번
윌 마이어스
(2015~2020)
블레이크 스넬
(2021~2023)
루이스 아라에즈
(2024~)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등번호 7번
J.D. 데이비스
(2022~2023)
블레이크 스넬
(2024)
결번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등번호 7번
훌리오 유리아스
(2016~2023)
블레이크 스넬
(2025~)
현역
}}} ||
<colbgcolor=#005A9C><colcolor=#FFFFFF> 파일:Gd661QUXUAAlvQX.jpg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No.7
블레이크 스넬
Blake Snell
본명 블레이크 애슈턴 스넬
Blake Ashton Snell
출생 1992년 12월 4일 ([age(1992-12-04)]세)
워싱턴 주 시애틀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학력 쇼어우드 고등학교
신체 193cm | 102kg
포지션 선발 투수
투타 좌투좌타
프로 입단 2011년 드래프트 1라운드 (전체 52번, TB)
소속팀 탬파베이 레이스 (2016~2020)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2021~2023)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2024)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2025~)
계약 2025 - 2029 / $182,000,000[1][option]
연봉 2025 / $26,000,000
에이전트 보라스 코퍼레이션
기록 노히트 노런 (2024.8.2.)[3]
파일:MLB 로고.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피칭 스타일4. 수상 내역5. 명예의 전당 입성 여부6. 여담7. 관련 문서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소속 좌완 투수.

2. 선수 경력

블레이크 스넬의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 블레이크 스넬/선수 경력
파일:MLB 로고.svg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3. 피칭 스타일


구위만큼은 정상급이지만 통산 BB/9이 4.1일 정도로 제구력이 떨어지고 이닝 소화력이 매우 나빠[4] 오로지 구위 하나[5]만 믿고 가는 유형의 좌완 강속구 투수. 이닝 소화력이 엉망진창인 까닭은 극악의 제구로 인한 볼넷으로 인한 투구수도 문제지만, 경기 운영 능력이 떨어진다[6]는 점도 꼽을 수 있다. 때문에 운이 따라주는 시즌은 타자들을 찍어누를 수 있는 훌륭한 구위 덕에 사이 영 상 수상까지도 가능[7]할 정도의 에이스의 모습을 보여주지만 운이 그저 그런 대부분의 시즌에는 규정 이닝도 채우기 버거워하는 하위 선발급 성적을 찍는 양날의 검과도 같은 투수.

스넬의 가장 큰 장점은 바로 큰 체구[8]에서 뿜어져나오는 무지막지한 구위이다. 컨디션이 좋을 때의 스넬은 좌완 선발 투수들 중 손에 꼽히는 구속인 평균 95~96마일, 최고 99마일의 강력한 포심 패스트볼로 타자들을 압도한다. 하지만 사실 스넬의 최대 강점은 패스트볼이 아니라 변화구의 구위에 있는데, 사이 영 상을 수상한 2018시즌 스넬이 던진 공들의 구종가치를 살펴보면 패스트볼 8.9(AL 6위), 슬라이더 10.6(AL 5위), 커브 13.2(AL 2위), 체인지업 7.2(AL 2위)로 모두 리그 최상위권이다.

특히나 전매특허인 폭포수 커브는 스넬의 결정구로 평균 81~82마일 정도를 기록하며 파워커브에 가까운 궤적을 보여주고 있다. 체인지업 역시 완성도가 상당히 뛰어난데 위 움짤만 봐도 어느 정도 느껴지겠지만 피치 터널이 길다 보니 타자들이 쉽게 속는다. 평균 구속은 약 88마일 정도이며 스텝업하기 전인 2017 시즌까지 스넬이 주력으로 이용하던 변화구가 바로 이 체인지업이었다. 슬라이더는 한때 느린 구속으로 인해서 스넬의 구종 중에서 가장 완성도가 떨어진다는 평을 들었으나, 시간이 지나며 구속을 끌어올리고 횡무브먼트 역시 전에 비해 강해지면서 2018 시즌에는 1할대 피안타율을 기록하는 등 위협적인 구종으로 변모했다. 이렇듯 던질 수 있는 모든 구종의 구위는 좌완 선발 투수들 중 한 손에 꼽힐 정도로 뛰어나다.

하지만 이런 뛰어난 구위에도 불구하고 스넬이 대부분의 시즌에서 규정 이닝도 못 채우는 하위선발급 성적을 찍는 이유가 있으니, 바로 극악의 제구. 제구는 결코 좋지 않은 편으로 마이너 시절을 포함해도 BB/9이 3 밑으로 내려간 게 2015년 트리플A 시절 딱 한 번이며 메이저 데뷔시즌인 2016년에는 무려 5.16을 기록하기도 했다. 2018 시즌에도 K/9은 11을 넘는데 BB/9이 3.19를 기록해 볼삼비가 3점대에 머물고 FIP도 이 볼넷 때문에 ERA보다 1 넘게 높은 2.95를 기록해 WAR 계산에서도 손해를 봤다.

또한 스넬은 이상하게도 1~3회까지는 언터쳐블한 모습을 보여주다가도 4~6회로 가는 순간 망하는 경우가 많은 편이다. 이로 인해 이닝 당 투구 수가 상당히 많아 이닝 소화력은 현역 선발 투수 중 상당히 나쁜 편이다.[9] 사이 영 상을 받은 2018년, 2023년을 제외하면 130이닝 이상 기록한 시즌조차 없다.[10] 웃긴 건 규정 이닝을 유이하게 소화한 두 시즌에는 모두 리그를 파괴하는 활약을 펼치며 사이 영 상급 투수로 돌변했다는 점. 이 말은 즉 제구만 어느 정도 되고 운만 따른다면 충분히 에이스급의 투수가 될 수 있다는 얘기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시즌에서는 볼질만 하다가 조기강판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계산이 전혀 안 서는 로또형 에이스의 모습을 보여준다.

하지만 그러한 로또스러움을 스넬의 유니크함으로 분석한 시각도 있다. [원문][번역글] 투구수가 많아지지만 볼넷 주는 것을 꺼리지 않고 투구하되 다양한 (예측이 힘든) 결정구로 삼진이나 땅볼/뜬공으로 유효타를 허용하지 않는 방식이 2023년에 이어 2024년 부상 복귀 후 후반기에도 꾸준하게 먹히고 있기 때문에 좋은 성적을 단순히 운으로만 치부할 수 없을 수도 있겠다.

종합적으로 평가하자면 구속과 구위, 구종의 완성도 자체는 뛰어나지만 극악의 제구와 경기 운영 능력 등 선발투수로서 치명적인 약점 또한 가지고 있는 양날의 검과도 같은 투수. 물론 이런 투수들이 대부분 그렇듯이 긁히는 날에는 그야말로 랜디 존슨의 재림이 될 정도로 정상급의 피칭 내용을 선보이곤 하지만[13] 시즌 별 기복이 매우 커 대부분의 시즌에서는 규정 이닝도 못 채우는 하위선발급 성적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다저스와의 장기 계약을 맺으면서 어느 정도 기대감이 다시 올라가고 있는데, 이유는 다저스가 이견의 여지가 없는 고쳐쓰기의 대명사 팀이기 때문이다. 과연 고질적인 제구력 문제를 고쳐쓰며 안정적인 상위 선발 투수로 발돋움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4. 수상 내역

수상 내역
파일:MLB 로고.svg 올스타 ( 2018)
파일:MLB 로고.svg 워렌 스판 상 2회 (2018, 2023)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아메리칸 리그 사이 영 상 (2018)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내셔널 리그 사이 영 상 (2023)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아메리칸 리그 평균자책점 1위 (2018)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내셔널 리그 평균자책점 1위 (2023)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아메리칸 리그 다승 1위 (2018)
파일:MLB 로고.svg All-MLB 퍼스트 팀 ( 2023)

5. 명예의 전당 입성 여부

2018년에 아메리칸 리그 사이 영 상, 2023년에 내셔널 리그 사이 영 상을 수상하면서 역대 7번째 양대 리그 사이 영 상 수상이라는 대기록을 달성하였다. 양대 리그 사이 영 상 수상 자체는 메이저리그의 역사적 대기록으로 2023년을 기점으로 명예의 전당 떡밥이 나오기 시작했다.

스넬의 강점은 바로 높은 고점. 애초에 고점이 이 정도로 높지 않았더라면 명예의 전당 떡밥이 생길 일도 없었을 것이다. 스넬 이전까지 양대리그 사이 영 상 수상자는 6명인데[14] 현역인 맥스 슈어저[15]와 약물 파동이 있었던 로저 클레멘스[16]를 제외하고 모두 명전 입성에 성공했다. 그렇기에 오로지 임팩트 따지면 합격점에 들어갈 수 있어 보인다.

하지만 스넬은 고질적 약점인 제구력으로 인해 이닝을 많이 못 먹는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로, 잔부상까지 잦은 편이라 아무리 투수 분업화 시대에 뛰는 투수라고 하더라도 누적 성적이 명전급이라고 말하기엔 너무나 턱없이 부족하다. 우선 통산 누적 이닝[17], 다승, 탈삼진 같은 클래식 누적도 부족하고, 세이버 또한 2023 시즌 종료 시점까지 bWAR 20.2에 그쳤다. 임팩트가 없다는 가정하에는 당연히 첫턴 광탈감이며, 임팩트로 만회한다고 해도 지금 은퇴한다면 저조한 득표율로 몇번 버티다가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18] 사실 어쩌다 보니 그동안 명전급 투수들이 양대 리그 사이 영 상을 수상한 것이지, 양대 리그 사이 영 상을 수상했다고 해서 명전급 투수라고 단정지을 수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나마 희망적인 부분을 찾자면 FA 자격을 취득한 시점에서 스넬의 나이가 30대 초반으로 아직 젊은 편에 속하기도 하고 결정적으로 나이가 들면서 구위가 하락하는 문제가 아직 나타나고 있지 않는 중이기에[19] 남은 커리어 동안 사이 영 상을 몇번 더 추가하거나 2018 시즌, 2023 시즌과 같은 폼을 꾸준히 보여주며 추가적으로 누적 스탯을 쌓는 것이 조금이나마 명예의 전당 입성 가능성을 높이는 방법일 것으로 여겨졌으나 FA 재수를 택한 2024 시즌엔 스프링 트레이닝을 거른 여파로 전반기를 망치게 됨에 따라 스넬의 명전 가능성을 낙관적으로 봤던 극소수의 의견 또한 자연스럽게 줄고 있다.[20] 그나마 후반기에는 2023년으로 돌아오며 반등했으나 고점에 비해 안정성이 너무나도 떨어지는 건 사실이다.

6. 여담

  • 별명은 'Zilla'이다.
  • 에릭 라우어와 마찬가지로 로스앤젤레스 다저스만 만나면 저승사자로 돌변하는 진기록을 가지고 있다. 어느 정도냐면 통산 다저스전 성적이 정규시즌 9경기 1승 1패 ERA 2.49이며 포스트시즌 3경기 1승 ERA 2.35로 극히 강하다. 승운이 따라주지 않을 뿐 투구내용이 아주 좋다.
파일:blakesnell3.jpg
  • 브라이스 하퍼와 10-11살 때부터 야구하며 상대해 온 친구 사이다. 22년 6월에 스넬의 힛바이피치로 하퍼의 왼손 엄지 골절 부상이 발생했는데 하퍼가 심한 좌절감으로 소리지르며 경기장을 나갔다. 하퍼가 손을 맞자 스넬도 자책한다. 하퍼가 나가며 소리지른 내용은 'i know you weren't trying to do it.... I know, I know. It's my game bro.”이다. "네가 일부러 그런거 아니라는 거 안다. 알어. 내가 분해서 그래 친구야." 정도의 의미. 스넬도 고의가 아니라며 경기장을 떠나는 하퍼에게 사과했다. 경기 후 인터뷰에서 하퍼도 블레이크는 뛰어난 선수이자 좋은 사람이며 그에게 악의가 전혀 없다는 걸 안다고 강조했다. 출처
  • 투수 치고는 드물게 등번호로 한 자리 숫자를 사용한다.
  • 2023년까지 규정이닝을 두 차례밖에 채우지 못했다. 그런데 규정이닝을 채운 2018, 2023년 그 두 시즌을 모두 사이영상을 수상해 역대 7번째 양대리그 사이영상을 수상한 신기한 기록을 가지고 있다.

7. 관련 문서

8.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tablebordercolor=#092c5c> 파일:탬파베이 레이스 엠블럼.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데블레이스 시절 (1996~2007)
1996
폴 와일더
외야수 / 전체 29번
1997
제이슨 스탠드릿지
투수 / 전체 31번
1998
FA 로베르토 에르난데스 영입
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SFG)
1999
조시 해밀턴
외야수 / 전체 1번
2000
로코 발델리
외야수 / 전체 6번
2001
데원 브래즐턴
투수 / 전체 3번
2002
B.J. 업튼
유격수 / 전체 2번
2003
델몬 영
외야수 / 전체 1번
2004
제프 니먼
투수 / 전체 4번
2005
웨이드 타운젠드
투수 / 전체 8번
2006
에반 롱고리아
3루수 / 전체 3번
2007
데이비드 프라이스
투수 / 전체 1번
레이스 시절 (2008~)
2008
팀 베컴
유격수 / 전체 1번
2009
르본 워싱턴
2루수 / 전체 20번
2010
조시 세일
외야수 / 전체 17번
2010[1]
저스틴 오코너
포수 / 전체 31번
2010[2]
드루 베틀슨
외야수 / 전체 42번
2011[3]
테일러 게리에리
투수 / 전체 24번
2011[4]
미키 마툭
외야수 / 전체 31번
2011
제이크 헤이거
유격수 / 전체 32번
2011[5]
브랜던 마틴
유격수 / 전체 38번
2011[6]
타일러 괴델
3루수 / 전체 41번
2011[7]
제프 아메스
투수 / 전체 42번
2011[8]
블레이크 스넬
투수 / 전체 52번
2011[9]
케스 카터
외야수 / 전체 56번
2011[10]
그레이슨 거빈
투수 / 전체 59번
2011[11]
제임스 해리스
외야수 / 전체 60번
2012
리치 섀퍼
3루수 / 전체 25번
2013
닉 슈포
포수 / 전체 21번
2013[12]
라인 스태닉
투수 / 전체 29번
2014
케이시 길레스피
1루수 / 전체 20번
2015
개럿 위틀리
외야수 / 전체 13번
2016
조시 로우
3루수 / 전체 13번
2017
브렌던 맥케이
1루수 / 전체 4번
2017[CBA]
드루 래스머센
투수 / 전체 31번
2018
매튜 리베라토어
투수 / 전체 16번
2018[14]
셰인 맥클래너핸
투수 / 전체 31번
2018[15]
닉 슈넬
외야수 / 전체 32번
2019
그렉 존스
유격수 / 전체 22번
2019[CBA]
JJ 고스
투수 / 전체 36번
2019[CBA]
세스 존슨
투수 / 전체 40번
2020
닉 비츠코
투수 / 전체 24번
2020[CBA]
알리카 윌리엄스
유격수 / 전체 37번
2021
카슨 윌리엄스
유격수 / 전체 28번
2021[CBA]
쿠퍼 키니
2루수 / 전체 34번
2022
제이비어 아이작
1루수 / 전체 29번
2023
브레이든 테일러
내야수 / 전체 19번
2023[CBA]
아드리안 산타나
유격수 / 전체 31번
2024
시오 길런
외야수 / 전체 18번
* 취소선 처리된 선수는 구단과 계약하지 않은 선수

[1] 2009년 르본 워싱턴 계약 실패로 인한 지명권 보상 [2] FA 그렉 존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3] FA 칼 크로포드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 BOS) [4] FA 라파엘 소리아노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 NYY) [5] FA 라파엘 소리아노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6] FA 칼 크로포드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7] FA 그랜트 밸포어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8] FA 브래드 호프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9] FA 호아킨 벤와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10] FA 랜디 초트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11] FA 채드 퀄스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12] FA B.J. 업튼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 ATL) [CBA] [14] FA 알렉스 콥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15] 2017년 드루 래스머센 계약 실패로 인한 지명권 보상 [CBA] [CBA] [CBA] [CBA] [CBA]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tablebordercolor=#092c5c> 파일:탬파베이 레이스 엠블럼.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fff> 1998~1999 2000 2001 2002 2003
윌슨 알바레즈 스티브 트랙슬 알비 로페즈 태넌 스터츠 조 케네디
<rowcolor=#ffffff> 2004 2005 2006~2007 2008~2010 2011
빅터 잠브라노 데원 브레즐턴 스캇 카즈미어 제임스 실즈 데이비드 프라이스
<rowcolor=#8fbce6> 2012 2013~2014 2015~2018 2019 2020
제임스 실즈 데이비드 프라이스 크리스 아처 블레이크 스넬 찰리 모튼
<rowcolor=#8fbce6> 2021 2022~2023 2024
타일러 글래스노우 셰인 맥클래너핸 잭 에플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tablebordercolor=#2f241d> 파일:샌디에이고 파드리스 로고.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4e2200> 1969 1970 1971 1972~1973 1974
딕 셀마 팻 돕슨 톰 포버스 클레이 커비 빌 그리프
<rowcolor=#4e2200> 1975~1977 1978~1979 1980 1981 1982
랜디 존스 게일로드 페리 랜디 존스 존 커티스 후안 아이첼버거
1983 1984 <rowcolor=#de6108> 1985 1986~1987 1988
팀 롤러 에릭 샤우 라마르 호이트 에릭 샤우 에드 윗슨
1989 1990 <rowcolor=#ffffff> 1991 1992 1993~1995
에릭 샤우 브루스 허스트 에드 윗슨 브루스 허스트 앤디 베네스
<rowcolor=#ffffff> 1996 1997 1998 1999 2000
앤디 애시비 조이 해밀턴 케빈 브라운 앤디 애시비 스털링 히치콕
<rowcolor=#ffffff> 2001 2002 2003~2004 2005 2006~2009
우디 윌리엄스 케빈 자비스 브라이언 로렌스 우디 윌리엄스 제이크 피비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2013 2014 2015
존 갈랜드 팀 스토퍼 에딘슨 볼케즈 앤드류 캐시너 제임스 실즈
<rowcolor=#ffffff> 2016 2017 2018 2019 2020
타이슨 로스 줄리스 차신 클레이튼 리차드 에릭 라우어 크리스 페덱
<rowcolor=#ffc425> 2021~2022 2023 2024
다르빗슈 유 블레이크 스넬 다르빗슈 유
}}}}}}}}} ||
블레이크 스넬의 수상 경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18 MLB 올스타전 로고.svg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
2018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18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사이 영 상
코리 클루버
(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블레이크 스넬
( 탬파베이 레이스)
저스틴 벌랜더
( 휴스턴 애스트로스)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2023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사이 영 상
샌디 알칸타라
( 마이애미 말린스)
블레이크 스넬
(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크리스 세일
(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18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다승왕
코리 클루버
(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블레이크 스넬
( 탬파베이 레이스)
저스틴 벌랜더
( 휴스턴 애스트로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18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평균자책점왕
코리 클루버
(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블레이크 스넬
( 탬파베이 레이스)
게릿 콜
( 휴스턴 애스트로스)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2023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평균자책점왕
훌리오 유리아스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블레이크 스넬
(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크리스 세일
(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파일:MLB 로고.svg 2018년 메이저 리그 워렌 스판 상
클레이튼 커쇼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블레이크 스넬
( 탬파베이 레이스)
패트릭 코빈
( 워싱턴 내셔널스)
파일:MLB 로고.svg 2023년 메이저 리그 워렌 스판 상
훌리오 유리아스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블레이크 스넬
(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2024년 수상자

파일:MLB 로고.svg
2023 ALL-MLB FIRST TEA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ATL | OF

LAD | OF

ARI | OF

TEX | SS

TEX | 2B

ATL | 3B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프리먼}}}
LAD | 1B ||

LAA | DH

BAL | C

NYY | SP

SD | SP

ARI | SP

LAA | SP

ATL | SP

BAL | RP

SD | RP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tablebordercolor=#000> 파일:Cy_Young_.jpg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AL 사이 영 상 1~3위 (2010-2019)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시즌 <rowcolor=#000> 1위 2위 3위
2010년 펠릭스 에르난데스 데이비드 프라이스 CC 사바시아
2011년 저스틴 벌랜더 제러드 위버 제임스 실즈
2012년 데이비드 프라이스 저스틴 벌랜더 제러드 위버
2013년 맥스 슈어저 다르빗슈 유 이와쿠마 히사시
2014년 코리 클루버 펠릭스 에르난데스 크리스 세일
2015년 댈러스 카이클 데이비드 프라이스 소니 그레이
2016년 릭 포셀로 저스틴 벌랜더 코리 클루버
2017년 코리 클루버 크리스 세일 루이스 세베리노
2018년 블레이크 스넬 저스틴 벌랜더 코리 클루버
2019년 저스틴 벌랜더 게릿 콜 찰리 모튼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tablebordercolor=#000> 파일:Cy_Young_.jpg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NL 사이 영 상 1~3위 (2020-)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시즌 <rowcolor=#000> 1위 2위 3위
2020년 트레버 바우어 다르빗슈 유 제이콥 디그롬
2021년 코빈 번스 잭 휠러 맥스 슈어저
2022년 샌디 알칸타라 맥스 프리드 훌리오 유리아스
2023년 블레이크 스넬 로건 웹 잭 갤런
2024년 크리스 세일 잭 휠러 폴 스킨스
}}}}}}}}} ||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18년 8월 ~ 9월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이 달의 투수 상
크리스 세일
( 보스턴 레드삭스)
블레이크 스넬
( 탬파베이 레이스)
타일러 글래스노우
( 탬파베이 레이스)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2023년 6월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이 달의 투수 상
마이클 와카
(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블레이크 스넬
(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코빈 번스
( 밀워키 브루어스)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2023년 9월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이 달의 투수 상
프레디 페랄타
( 밀워키 브루어스)
블레이크 스넬
(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레인저 수아레즈
( 필라델피아 필리스)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2024년 8월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이 달의 투수 상
딜런 시즈
(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블레이크 스넬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닉 마르티네스
( 신시내티 레즈)


[1] 계약금 $52,000,000 / 디퍼 $62,000,000 [option] club option $10,000,000 for 2030 [3] vs 신시내티 레즈 / 9이닝 11탈삼진 3볼넷, 113구 [4] 데뷔시즌, 단축시즌을 제외한 풀타임 6시즌 중 규정이닝 달성시즌이 고작 2시즌. 참고로 스넬은 통산 191경기 모두 선발로 출장했다. [5] 통산 K/9이 11.1이며, 3년차 시즌부터 지금까지 6시즌 연속 K/9이 11을 넘었다. [6] 부진하는 경기에서의 모습을 보면 1~3회까지는 잘 막아내지만, 4~6회만 되면 급격히 털리는 모습이 상당히 잦은 편이다. [7] 2018시즌 AL 사이 영 상 수상, 2023시즌 NL 사이 영 상 수상 [8] 프로필 기준 193cm, 102kg으로 키도 키지만 체구도 은근 꽤 큰 편이다. [9] 대한민국의 투수들 중에서는 이의리가 딱 이러한 케이스이다. [10] 메이저리그 규정이닝 기준은 162이닝이다. [원문] https://www.si.com/mlb/2023/09/22/padres-blake-snell-will-be-an-exceptionally-unusual-cy-young-winner [번역글] https://mania.kr/g2/bbs/board.php?bo_table=mlbtalk&wr_id=198241 [13] 바로 그 잘 풀리는 날만 모여서 만들어진 시즌이 바로 저스틴 벌랜더를 꺾고 사이 영 상을 따낸 2018 시즌이다. 다만 2018 시즌의 호성적은 지나치게 낮은 BABIP(0.241)의 덕을 본 플루크로 여겨지기도 한다. 그리고 FA 직전 시즌인 2023 시즌에 기가 막히게 또 다시 잘 풀리는 시즌을 만들어내며 커리어 2번째 사이 영 상을 수상했다. [14] 게일로드 페리, 로저 클레멘스, 랜디 존슨, 페드로 마르티네즈, 로이 할러데이, 맥스 슈어저 [15] 슈어저는 성적상 명전 첫 턴 입성이 사실상 확정된 선수로 여겨진다. [16] 성적만 놓고 보면 만장일치 명전을 노려볼 수 있었지만 약물 파동으로 입성에 실패. [17] 규정 이닝을 달성한 시즌이 단 두 시즌밖에 없지만, 그 두 번의 시즌 모두 사이 영 상을 수상했다. 저점과 고점이 모두 확실한 투수인 셈. [18] 냉정하게 보자면 저 정도 누적이면 임팩트고 뭐고 첫턴에 광탈할 확률이 높다. 비록 투수 분업화 시절과 세이버매트릭스를 중시하던 시기가 아니긴 했지만 2000년대 초반의 지배자였던 요한 산타나도 첫 턴에 광탈했다. 단 산타나 같은 경우 세이버매트릭스를 중시하기 시작한 최근에 투표가 이루어졌다면 광탈은 면했을 것이라는 의견도 많아서 어찌보면 아쉬운 케이스이다. [19] 역설적으로 스넬은 지금까지 커리어 누적 이닝이 적은 편이라 혹사를 당하지 않았으며 이에 따라 오히려 데뷔 당시보다 구위가 좋아졌다. 극악의 제구에도 구위만으로 타자들을 압도하며 두 번째로 사이 영 상을 탄 2023년의 경우 첫 사이 영 상을 탄 2018년보다 구위는 더 높게 평가받기도 한다. [20] 누적이 부족한 선수일 수록 한해한해가 소중할 수 밖에 없고, 특히 스넬처럼 커리어의 등락이 심했던 선수가 부진한 시즌이 늘어난다면 안그래도 적었던 입성 긍정론자들의 숫자가 줄어드는건 당연지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