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0 18:45:18

브리지트

1. 켈트 신화의 여신
1.1. 개요1.2. 어원1.3. 설명1.4. 원전
2. 인명
2.1. 실존 인물2.2. 가상 인물

1. 켈트 신화의 여신

1.1. 개요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90db90>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91db90><colcolor=#fff> 주신 다누* · 누아다 아르게틀람 · 루 라와더F · 다그다 모르F
남신 고브뉴 · · 디언 케히트 · 레르 · 루어던 · 루흐타너 · 마나난 막 리르 · 미더르 · 미어흐 · 보브 · 삼한 · 아브칸 · 아살 · 에드 리르그네히 · 에르미어흐 · 오그머F · 오하드 브레스F · 옹구스 · 카르브러 · 케르마트 · 케헨 · 콘 · 쿠 · 크레너 · 키언 · 티란( 델바)F · 티란의 아들들(브리언 · 우하르 · 우하르바) · 피어허 · 피어흐러
여신 네반 · 니어우 · 다난 · 루어드 · 모리안( 모리안 · 마허 · 바이브) · 베빈 · 베 힐러 · 보안 · 브리지트 · 아너 · 아누 · 아르메드 · 에른마스 · 에류와 자매들(에류 · 반바 · 포들라) · 에브 · 에탄 · 에포나 · 이페 · 카너 클루모르 · 판 · 플리다스 · 피누얼러
관련 문서 아일랜드 신화 · 포모르 · 투어허 데 다넌의 4대 보물 · 티르 너 노그( 마그 멜) · 모이투라
*어떠한 신격인지 전해지는 바가 없음.
F 포모르 혼혈.
}}}}}}}}} ||
파일:Thecomingofbrideduncan1917.jpg
존 던컨(John Duncan)의 1917년 그림 <브리지트의 강림(The coming of Bríde)>
bríd
고대 아일랜드에서 엄청나게 숭배받았던 여신. 영어에도 그녀의 이름을 딴 어휘 ' Bride'가 있을 정도로 영향력이 있었다.

1.2. 어원

브리드(bríd/Brighid[1][bʲɾʲi:dʲ])는 '고귀한 자(exalted one)'라는 뜻의 원시 켈트어 *Brigantī에서 왔다. 브리튼 신화의 여신 브리간티아와 기원을 같이하며, 원시 인도유럽어족 사용 부족들에게서 믿어졌던 새벽의 여신에서 유래했을 수도 있다.

1.3. 설명

다그다 모르의 딸이며, 난로의 여신이다. 또한 켈트인들이 정신적이고 초감각적인 불꽃의 형태라고 여겼던 시(詩)의 여신이기도 하다[2]. 가축의 여신으로 여겨지기도 하는데, '멧돼지의 왕'이라 불리운 토르크 트리어(Torc Triath, 트레허르너Treithirne 평원의 이름 유래)와 '양의 왕'이라 불리운 양을 소유하고 있었다는 전설이 있었기 때문이다. 오하드 브레스가 왕이 될 때 그와 결혼하여 루어던(Ruadán)이라는 아들을 얻었다. 루어던의 죽음을 애도하면서 장례식 때 곡을 하는 전통과 밤길을 다닐 때 쓰는 호루라기를 만들었다고 한다. 그녀는 세 갈래의 창을 들고 다녔는데 그녀의 강력한 힘을 상징하며, 삼위일체와 비슷한 의미를 뜻하기도 한다. 초기 전승에서는 시의 여신 혹은 여자 현자로 나오며, 이름이 같은 대장장이 여신과 의사 여신을 동생으로 두었다고 나온다. 이로써 브리드가 이름이 아닌 모종의 칭호였을 것이라는 추측도 나오는 편이다.

1.4. 원전

브리지트 이야기

2. 인명

Bridget

어원은 1. 브리드(bʲɾʲiːdʲ), 브리짓(brigitte), 브리깃드(brigit), 브리지다, 브리이트, 브리잇취, 브라이드, 브리간티아라고도 표기한다.[3]

2.1. 실존 인물

2.1.1. 기독교 성인

451년 ~ 525년

아일랜드 수녀로, 한국 가톨릭에서의 정식 명칭은 성녀 브리지다. 킬데어의 브리지다(Brigit of Kildare)라고도 하며, 성 파트리치오 성 골룸바와 함께 아일랜드의 공동 수호성인이다. 축일은 2월 1일. 위의 브리간티아 여신과는 이름만 같을 뿐인 여러 성인 중 한 명이었지만, 후대의 사람들이 브리간티아 여신과 관련된 여러 전승을 성인에게 엮어 기려왔기 때문에 일각에서는 브리간티아 여신이 기독교에 넘어와 성인이 되었다고 여겨지기도 한다.

한 예로는 성 브리짓의 일대기에 대한 이야기가 있는데, 다음과 같다. 렌스터(Leinster)의 부족장 두브타흐(Dubtach)라는 사내가 그의 시녀 브로카(Brocca)와 맺어졌다고 한다. 이후 두 사람은 성 파트리치오로부터 세례성사를 받았고, 딸인 브리지다는 그러한 환경 속에서 일찍이 수도생활에 눈을 떴다고 한다. 후에 그녀는 아르다그의 성 멜 주교를 따라 킬데어로 자리를 옮겨 성당 수도원을 세우고 지역 발전에 기여했으며 특히나 성당은 킬데어가 대도시로 발전한 뒤 수 차례 외세에 의해 파괴되거나 복원되기를 반복하여 남아있다고도 한다.

다만, 이와 같은 얘기도 확실한 것은 아닌게, 중세시대의 사람인 파멜라 버거(Pamela berger)의 기록에 따르면, 기독교의 성인 성 브리지다는 본래 아일랜드로 이주한 기독교의 수도자들이 고대의 여신상, 즉 켈트의 여신이었던 브리지트 여신상을 수도원을 옮긴 뒤, 그녀의 이름과 속성 등을 기독교 식으로 어레인지 한 것이라고 말한다.

2.2. 가상 인물



[1] 근대 아일랜드어 표기. [2] 레이디 오거스타 그레고리(Lady Augusta Gregory)의 추측. [3] 여자 이름이지만 어느 분 덕분에 남자 이름으로 아는 사람도 적잖게 있는 듯. [4] 이쪽은 Brigit로 표기한다. [5] 신성연합 영웅. [6] 직접적인 등장은 없고 언급만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