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1 11:06:58

벨루도라

파일:CoS_newlogo.png
[ 크리처 ]
🦖 크리처 목록
( 1티어 2티어 3티어 4티어 5티어)
[ 능력 및 효과 ]
⚔️ 액티브 능력 ・ 🛡️ 패시브 효과
( 상태이상)
[ 게임 플레이 ]
🎮 공략 ・ 🧬 돌연변이 ・ 📋 임무
⛈️ 계절 및 날씨 ・ 🍖 먹이 ・ ⛰️ 지형
🤝 거래 ・ 🛍️ 상점
[ 수집 요소 ]
🔥 아티팩트 ・ 🧸 인형 ・ 🍄 재화
🏅 칭호 ・ ❤️ 토큰 ・ 🎨 팔레트
[ 이벤트 ]
🎄 이벤트
( 2020~2021 2022
2023 2024)
[ 기타 ]
🛠️ 리코드 출시 이전 정보 ・ 🗑️ 삭제 및 취소 콘텐츠

1. 개요2. 설정3. 획득 조건4. 능력&효과
4.1. 액티브 능력4.2. 패시브 효과
5. 특징6. 콘셉트 아트7. 기타

1. 개요

Veludorah
벨루도라
파일:VeludorahMale.png
제작자 출시 날짜
• TyrantDinosaur889 2022/1/8
스탯
크리처 유형:
식성: 육식
티어: 대형(4티어)
체력: 4,000 회복률 5%
공격력: 260
스태미나: 80 초당 3 회복
성장 시간: 33분
무게: 4,000파운드
속도: 걷기 30 / 질주 77
[ 세부 스탯 펼치기·접기 ]
식욕: 60
깨물기 쿨타임: 0.8초
야간 시야: 2/4 (괜찮음)
산소: 25
회전 반경: 3
피 색깔: 붉은색
피 질감: 일반

벨루도라(Veludorah)는 Creatures of Sonaria에 등장하는 대형(4티어) 크리처이다.

2. 설정

크리처 설명문
벨루도라는 오래된 황동 금속의 잔해였으나 불가사의한 환경을 통해 생명을 얻었습니다. 이들의 금속 겉껍데기는 다른 불행한 크리처들의 살점으로 이루어진 진짜 신체를 보호해줍니다. 이 금속 보초들은 증기를 통해 동력을 공급받으며, 역사 속으로 사라진 지열 배관 내 과거 서식지로 사용했던 동굴 속에서 아무런 자각 없이 돌아다닙니다.
공식 설정 출처
* 벨루도라의 행동 양식은 곰과 유사하지만 수줍고 호기심이 많은 사냥꾼에 가깝다.
* 등반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높은 지대에 둥지를 트는 걸 선호한다.
* 벨루도라는 자신보다 작은 대상에게 매우 공격적이며 특히 새끼를 양육할 때에는 더더욱 그러하다. 그러나 자신보다 더욱 거대한 대상을 만다면 곧바로 도망칠 것이며, 필요하다면 자신의 새끼를 버리기도 한다.
* 푸른색의 볏을 통해 빛 에너지를 얻을 수 있지만 신체 대부분이 유기물인 까닭에 단백질을 필요로 하며 이 때문에 육식 생활을 한다.

3. 획득 조건

벨루도라는 파일:CoS_Mushroom.png 300슘으로 돌릴 수 있는 기계 탐험가 뽑기(Mecha Explorer Gacha)에서 확률적으로 얻을 수 있으며, 뽑기를 해금하기 위해서는 맵 곳곳에 확률적으로 생성되는 기계 탐험 토큰(Mecha Exploration Token)을 수집해야 한다.

영구가 아닌 일회용 크리처는 상점 메뉴의 체험 카테고리에서 파일:CoS_Mushroom.png 150슘(♂)/1,500슘(♀)으로 구매할 수 있다.

4. 능력&효과

4.1. 액티브 능력

광역 충격(Shock Area) 액티브 능력 - 광역
능력이 배정된 번호키를 누르면 사용자 주변에 존재하는 다른 플레이어들에게 6포인트의 충격, 1포인트의 부러진 다리 상태이상을 부여한다. 사용 후 90초 동안 쿨타임에 들어간다.
  • 충격
    • 주기적으로 방향 조작이 반전되어 혼란을 준다.
  • 부러진 다리
    • 점프, 뜀박질, 비행 능력이 차단된다.


매복(Ambush) 액티브 능력 - 기동
능력이 배정된 번호키를 누르면 질주 속도가 정해진 배율에 따라 더 빨라지며 물속에서도 질주 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대신 스태미나 소모량이 더 늘어나고 회전 속도가 느려진다. 일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스태미나가 전부 소진되거나 이동을 멈추면 매복 질주가 중단된다.
해당 크리처의 매복 배율은 '''
40%
'''이다.


번개 브레스(Lightning Breath) 액티브 능력 - 브레스
67살 이상이 되면 C키를 눌러 사용할 수 있다. 브레스로 상대를 적중하면 연쇄 피해가 발생해 적중 시간이 길수록 피해량이 점점 상승하며, 상대에게 충격20% 확률 상태이상을 부여한다.
  • 충격
    • 주기적으로 방향 조작이 반전되어 혼란을 준다.

  • 공격력: 3 DPS(히트 당 1.5%)
  • 최대 발사 지속 시간: 5초
  • 브레스 재생 시작: 5초 후
  • 사정거리: 175스터드
  • 치명타 확률: 25%
  • 연쇄 피해값/최대 누적 횟수: 100/10회


점프(Jump) 액티브 능력 - 기동
지상에 있는 상태에서 스페이스키를 누르면 스태미나를 소모하면서 정해진 방향으로 점프할 수 있으며, 크리처마다 점프 방향(수직, 전방 혹은 후방)이 다르게 설정되어 있다. 점프에 요구되는 스태미나가 부족하면 사용이 불가능하다.
해당 크리처의 점프 위력은 '''
4.47
이며 스태미나 소모량은
20
'''이다.

4.2. 패시브 효과

강철 위장(Iron Stomach) 패시브 효과 - 상시 발동
해당 효과를 지닌 크리처는 썩은 사체를 먹거나 더러운 물을 마실 때 발생하는 병약 상태이상 피해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등반가(Climber) 패시브 효과 - 상시 발동
해당 효과를 지닌 크리처는 가파른 절벽, 나무 줄기, 천장 등에 등반하거나 붙어 다닐 수 있다.


출혈 공격(Bleed Attack) 패시브 효과 - 상시 발동
해당 효과를 지닌 크리처는 상대를 공격하면 출혈 상태이상을 부여하며, 상대를 공격할 때마다 수치가 누적된다. 효과가 음수값일 경우 상대의 출혈 피해를 치유한다.
  • 출혈
    • 체력 재생이 차단된다.
    • 지속적으로 대미지를 받으며 틱이 증가할수록 대미지 또한 증가한다.

해당 크리처의 출혈 공격 수치는 '''
5
'''이다.


출혈 차단(Block Bleed) 패시브 효과 - 상시 발동
해당 효과를 지닌 크리처는 출혈 상태이상 피해를 백분율 계산에 따라 덜 받거나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다만 차단율이 음수값일 경우 상태이상 피해를 더 받게 된다.
  • 예시
    • 상태이상 차단율이 20%인 크리처가 10포인트의 상태이상을 받게 되면, 해당 크리처는 최종적으로 8포인트의 상태이상 피해를 받게 된다.
    • 상태이상 차단율이 -20%인 크리처가 10포인트의 상태이상을 받게 되면, 해당 크리처는 최종적으로 12포인트의 상태이상 피해를 받게 된다.

해당 크리처의 출혈 차단율은 '''
35%
'''이다.

5. 특징

벨루도라는 재빠른 이동 속도와 기동성을 갖춘 날렵한 크리처이다. 4티어 내에서 드물게 점프 능력을 가지고 있는 데다 등반가 효과 덕분에 가파른 절벽이나 나무 줄기 등지에 올라탈 수도 있어 도주에 용이하다. 출혈 공격 효과도 지니고 있어 히트 앤드 런 플레이도 가능하다.

기계 콘셉트의 크리처인지라 전기와 관련된 능력들을 지니고 있다. 광역 충격을 사용하면 주변 대상들에게 조작 혼란을 주고 비행/활공 크리처의 비행을 일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번개 브레스로 원거리 공격이 가능하고 상대에게 연쇄 대미지를 가할 수 있다.

비록 이동 속도는 빠르지만 스태미나 수치는 매우 낮기 때문에 오래 달릴 수 없으며, 특히 점프를 사용할 경우 스태미나가 엄청 빨리 소모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6. 콘셉트 아트

파일:Veludorah_art.png

7. 기타

  • 벨루도라는 로봇과 스팀펑크 콘셉트를 바탕으로 디자인되었으며 여기에 태양전지 스냅 서킷을 연상시키는 요소를 넣었다고 한다.
    • 벨루도라의 제작자는 광육식을 염두에 두고 태양전지 요소를 넣었다고 했으나 정작 게임 내에 정식으로 출시되었을 때는 일반적인 육식 크리처로 나왔다. 아마 크리처 디자인에 식물적인 요소가 들어가지 않은 게 큰 이유인 것으로 보인다.[1]
    • 원래 계획된 이름은 벨두오라(Velduorah)였고 콘셉트 아트에도 이렇게 표기되어 있는데, 당시 개발자였던 NauticaElurra가 '벨루도라'라는 잘못된 이름으로 부르는 걸 아무도 지적하지 않아서(...) 결국 해당 이름으로 정착된 것이다.

[1] 실제로 무넬의 경우 처음에 광섭식 크리처로 나왔으나 식물적인 요소가 없다는 이유로 나중에 초식 크리처로 변경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6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65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