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0px; 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808080,#111><colcolor=#fff> 게임 | <colbgcolor=#BFBFBF,#222226><colcolor=#000,#fff> 규칙 |
게임 진행 ·
승리 조건 ·
용어 ·
색 ·
마나 ·
카드 ·
유형 구역 · 스택 · 덱 종류 · 금지/제한 카드 |
포맷(경기 방식) |
컨스트럭티드(
스탠다드 ·
파이어니어 ·
모던 ·
파우퍼 ·
레거시 ·
빈티지 ) 리미티드( 부스터 드래프트 · 실드 덱 ) 디지털 전용( 알케미 · 익스플로러 · 히스토릭 · 타임리스 ) 캐주얼( 커맨더 ) |
||
개발자 | 리처드 가필드 · 마크 로즈워터 · 빌 로즈 | ||
상품 | 카드 | 스탠다드 · 파이어니어 · 모던 · 레거시 이하 · 비정규 제품 | |
제품 |
제품 일람 ·
정규 세트 ·
특별 세트 ·
초보자용 제품 콜라보레이션 제품( 유니버스 비욘드 · 시크릿 레어 ) |
||
관련 정책 | 관련 대회 · 뉴 월드 오더 · 에라타 · 오라클 텍스트 · 리저브드 리스트 | ||
비디오 게임 | 매직 더 개더링 온라인 · 아레나 · 플레인즈워커의 결투 · 매직 듀얼 | ||
설정 | 인물/단체 |
플레인즈워커(
우르자 ·
야그모스 ·
관문수호대 ·
니콜 볼라스 ), 엘드라지 · 피렉시아 |
|
주요 사건 | 위대한 수복 | ||
기타 | 진남불용청 · 파워 나인 | }}}}}}}}} |
매직 더 개더링의 세트 |
||||||
{{{#!wiki style="margin: -15px -10px -16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1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정규 세트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e3e3e3,#181818>
빈티지 레거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모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스탠다드 | · · · · · · · · · · · · · · · · | |||||
|
}}}}}}}}}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특별 세트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e3e3e3,#181818><colcolor=#212529,#e0e0e0> Horizons | · · | |
Masters | · · · · · · · · · · | |||||
리마스터 | · · · · · · · | |||||
다인전 전용 | · · · · · · · · · · · · · · · · · | |||||
Unset | · · · · | |||||
· · · | ||||||
보너스 시트 | · · · · · · · · | |||||
[[유니버스 비욘드| Universes Beyond ]]
|
· · · · · · | |||||
기타 | · · · · | |||||
|
}}}}}}}}} | }}}}}} |
Premier set
매직 더 개더링의 정규 세트는 발매 즉시 스탠다드에서 빈티지까지를 포함한 모든 상/하위 경쟁 포맷에서 사용이 가능한 세트를 의미한다. 특히 스탠다드는 포맷 자체가 정의상 최근 3년간 발매된 정규 세트 카드만 사용이 가능하다.[1] 그런만큼 정규 세트 제품들은 위자드사가 심혈을 기울인 플레이테스트를 통해 파워 밸런스와 재미를 동시에 잡도록 노력하고 있다.
매직 더 개더링의 정규 세트 제품은 1년 주기[2]에 4회 발매가 원칙이다[3]. 정규 제품이 발매되지 않은 해는 한 번도 없었으며 앞으로도 꾸준히 발매될 예정인 제품으로, 명실상부 매직 더 개더링의 근본이라 할 수 있는 제품군이다.
정규 세트는 기본판(core set)과 확장판(expansion set)으로 이루어져 있다. 기본판과 확장판이 무엇인지는 아래 설명 참조.
1. 기본판(Core set)
이름답게 기본적인 성능의 카드, 익숙한 재판 카드, 에버그린 메커닉[4] 등을 주로 사용하면서 '중간 정도의 복잡성'을 추구하는 세트.숙련자도 초보자도 아닌 '보통 수준의 플레이어'들에게 어필하는 제품이다. 매직 더 개더링의 초창기에는 초보자들은 초보자용 제품을 즐기고, 숙련자들은 확장판을 즐기고, 나머지 일반인들은 기본판을 즐기게 유도한다는 회사측의 교통 정리가 있었다. 이론상으로는 중간 시장을 공략해서 매출이 제일 좋아야 했으나, 문제는 노잼 코어 세트만 뜯으면서 확장판에는 손도 안 대는 식으로 매직을 즐기는 '보통의' 플레이어 층이 실제로 거의 존재할 리 없었다는 것. 컨셉 단계에서부터 기본판은 매출이 저조할 운명이었다.
컨셉에서 짐작할 수 있듯 더럽게 재미없는 세트라는 악평이 많었다. 기본적이고 익숙한 카드만을 가지고 리미티드 포맷 게임을 하니 당연히 지루하기 그지 없는 것. 그렇다고 값나가는 카드를 뽑는 재미가 있는 것도 아니었다. Revised 부터 10판까지의 긴 기간 동안 기본판은 재판만을 담당하는 일명 '화이트보더 세트'였기에[5] 기본판에서는 낙원의 새와 신의 분노 빼고는 아무 것도 없다는 비아냥을 듣기도 했고 당연히 매출도 확장판에 비해 저조한 편이었다. 이러한 비판을 반영하여 Magic 2010부터는 재판 전문이라는 기조를 허물고 새롭고 강한 카드를 포함시키기 시작하여 태초의 거신이나 망자들의 벌판 같이 환경을 황폐화시키는 카드를 배출하는 쾌거(...)를 이루기도 했다.
메타적으로는 스탠다드 덱들의 속도와 다양성을 조절하는 역할을 맡는데, 스탠다드 덱을 짜는데 베이스로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몇몇 카드들을 줬다 말았다 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벼락을 내주느냐 아니면 충격을 대신 내주느냐, 또는 구속이나 마나 유실같은 카드들을 내주느냐 마느냐 등의 선택만으로도 환경에서 자주 쓰이는 몇몇 카드를 완전히 물먹여버릴 수 있고, 반대로 환경에서 외면받던 카드를 흥하게 만들어버릴 수도 있는 것이다. 가끔씩은 여름의 장막처럼 대놓고 특정 색을 직접적으로 골탕먹이는 카드를 찍어내는 극약 처방을 내릴 때도 있다..
기본판의 네이밍은 맨 처음 1~3번째 판까지는 Limited Edition Alpha, Limited Edition Beta, Unlimited Edition, Revised Edition으로 통일성 없이 나오다가 4판에서 10판까진 Fourth Edition, Fifth Edition 등 서수를 붙이는 형태가 나타났다. 그러다가 2009년부터는 Magic 2010 Core Set처럼 출시한 년도의 다음 년도를 표기하는 방식으로 정착했다.[6] 기본판의 영문 명칭도 Basic set/Base Set 등이 혼용되다가 이 시기에 Core Set으로 확정되었다. 가장 최신의 기본판은 넘버링을 완전히 포기하고 첫걸음이라는 이름으로 발매되었다.
발매 주기는 Tenth Edition 이전까진 2년 주기에 1회 였고, 그래서 기본판이 출시되지 않는 해엔 세트 하나 분량이 비었고 이를 땜빵하기 위해 Unset(공식대회와는 관련 없는 개그세트), 콜드스냅(과거 블럭 이야기), 로윈-셰도우무어(1블럭이 4세트) 등의 기획이 나왔었다. 년도 표기 세트부터는 1년 주기에 1회 발매 주기로 발매되어 스케줄상의 빈틈을 완전히 메웠으나 첫걸음 부터는 오히려 5년 주기에 1회 발매라는 기록적인 긴 발매 주기로 늘어났다.
인기가 없어서인지 기본판은 2015년 이후로 단종과 부활을 반복하고 있다.
- 2015년에 처음으로 단종되었다. 1블록 2세트를 연 2회 발매하는 것으로 블록 구조와 스케줄을 변경하여 기본판을 위한 스케줄을 삭제했다. 이에 매직의 기원 기본판을 끝으로 기본판이 단종되었다.
- 2018년에는 블록 개념이 폐지되고 1년에 기본판을 1회, 확장판을 3회를 발매하는 것으로 결정되면서 다시 기본판이 부활했다.
- 2021년부터는 그냥 확장판만을 연 4회 발매하는 것으로 또 한번 스케줄을 변경하면서[7] 코어세트 2021를 마지막으로 두번째 단종을 맞았다. 개발 중이던 코어세트 2022는 포가튼 렐름에서 펼쳐지는 모험이라는 확장판 세트로 개조되었다.
- 2024년에는 다시 한번 첫걸음이라는 이름으로 기본판이 두 번째로 부활했다. 파운데이션은 2029년까지라는 아주 긴 기간 동안 스탠다드에 잔류할 예정으로, 마치 하스스톤의 핵심 세트를 떠올리게 하는 구조이며, 이로서 매출이 떨어지는 제품이 발매 스케줄을 잡아먹는다는 기본판 발매의 난점을 극복한 것으로 보인다.
1.1. 역대 기본판 목록
이름 | 약자 | 발매년도 | 카드개수 | |
아래로 빈티지· 레거시 포맷 | ||||
Limited Edition Alpha | Alpha | 1993년 | 295장 | |
최초로 나온 기본판. | ||||
Limited Edition Beta(한정판 베타) | Beta | 1993년 | 302장 | |
알파에서 실수로 빠진 Volcanic Island 등 2장과 5종의 기본 대지가 포함된 것을 제외하면 알파와 같은 구성을 가진 기본판. | ||||
Unlimited Edition(언리미티드; 2nd) | UL | 1993년 | 302장 | |
베타와 같은 구성, 화이트 보더. | ||||
Revised Edition(개정판; 3rd Edition) | 3rd | 1994년 | 306장 | |
확장판의 카드가 포함되기 시작했다. 영어말고 다른 언어로도 나오기 시작한다. 화이트 보더. | ||||
Fourth Edition(4판; 4th Edition) | 4th | 1995년 | 378장 | |
화이트 보더. 최초의 한글판도 출시(블랙 보더). | ||||
Fifth Edition(5판; 5th Edition) | 5th | 1997년 | 449장 | |
가장 카드 장수가 많은 기본 셋이다. 한글판으로 출시. 화이트 보더 | ||||
Classic Sixth Edition(6th Edition, Classic) | 6th | 1999년 | 350장 | |
기존의 batch 룰을 대체하는 스택 룰이 생겼으며, 그 외에도 조잡하고 예외가 많았던 규칙들을 일신해서 현대 매직 룰의 기초를 세웠다. 기본판에도 세트 마크가 생기기 시작했다. | ||||
Core Set Seventh Edition(7th Edition, "Coreset") | 7th | 2001년 | 350장 | |
매직 온라인에서 처음 출시된 기본판. 모든 카드의 일러스트를 새로 그렸다. 기본판 포일(블랙보더)이 처음으로 등장했다. | ||||
아래로 모던 포맷 | ||||
Core Set Eighth Edition(8th Edition, "Coreset") | 8th | 2003년 | 357장 | |
카드 프레임 레이아웃이 바뀌었다. 모던 포멧 사용 가능 범위 시작. 매직 더 개더링의 10주년을 기념하여 모든 세트에서 한 번도 재판되지 않은 카드들을 하나씩 뽑아 재판했다. | ||||
Core Set Ninth Edition(9th Edition, "Coreset") | 9th | 2005년 | 359장 | |
러시아어판이 처음 나온 판이기도 하다, 마법진 유형으로 개편 | ||||
Core Set Tenth Edition(10판, "Coreset") | 10th | 2007년 | 383장 | |
기본판도 검정 테두리(블랙 보더)로 출시하기 시작, 기본판에서 전설카드가 등장. | ||||
Magic 2010 Core Set | M10 | 2009년 | 249장 | |
기본판이 매년 나오기 시작. 재판카드가 아닌 새로운 카드가 수록되기 시작. 추방(Exile), 발동(Cast), 전장(Battlefield) 등의 용어 개정. 마나풀에 대한 규칙 변경과 마나번 규칙의 삭제. 전투대미지 스택이 사라짐. | ||||
Magic 2011 Core Set | M11 | 2010년 | 249장 | |
돌아온 키워드 : 점술(Scry) | ||||
매직 2012 코어세트(Magic 2012) | M12 | 2011년 | 249장 | |
한글판 재출시가 시작된 세트. 돌아온 키워드 : 피굶주림(Bloodthirst) 새로운 키워드 방호(Hexproof) 등장. | ||||
매직 2013 코어세트(Magic 2013) | M13 | 2012년 | 249장 | |
돌아온 키워드 : 고귀(Exalted) 기본판 최초로 다색 카드 등장. | ||||
아래로 파이어니어 포맷 | ||||
매직 2014 코어세트(Magic 2014) | M14 | 2013년 | 249장 | |
슬리버 재등장. ' 플레인즈워커 유일성 규칙'과 '전설 규칙'에 변경이 생김. '파괴될 수 없다.'가 무적(Indestructble)이라는 키워드로 변경. 파이어니어 포맷 사용 가능 범위 시작. | ||||
매직 2015 코어세트(Magic 2015) | M15 | 2014년 | 270장 | |
카드 프레임 변경. 다른 게임 디자이너 초청해서 만든 카드들이 존재. | ||||
매직의 기원(Magic Origins) | ORI | 2015년 | 272장 | |
블럭 구조 개편과 함께 기본판이 단종됨. 새로운 키워드와 새로운 플레인즈워커 카드 다수 등장 | ||||
코어세트 2019(Core Set 2019) | M19 | 2018년 | 280장 | |
기본판 부활. 니콜 볼라스의 일대기가 테마로 관련 카드가 많다 | ||||
코어세트 2020(Core Set 2020) | M20 | 2019년 | 280장 | |
찬드라, 정령 테마 | ||||
코어세트 2021(Core Set 2021) | M21 | 2020년 | 274장 | |
기본판이 다시 단종됨. 테페리 테마, 새로운 키워드 밀기(Mill) 등장 | ||||
아래로 스탠다드 포맷 | ||||
첫걸음(Foundations) | FDN | 2024년 | 292장 | |
기본판 부활. 5년간 스탠다드 잔류 |
2. 확장판(Expansion Set)
새로운 메카닉, 새로운 등장인물과 세계관, 복잡하지만 강한 성능의 신카드 등이 도입되는, 기본판과는 대비되는 세트. 공식적으로는 가장 '숙련된' 플레이어 그룹을 대상으로 발매되는 제품이라지만, 실제로는 뉴비건 올드비건 무슨 포맷을 즐기건 간에 모든 매직 더 개더링 플레이어는 가장 최신의 확장판에 영향을 받게 된다.새로운 등장 인물과 카드가 나오므로 매직 더 개더링 세계관의 정사 스토리라인도 확장판의 발매를 통해 주로 진행된다. (신규 카드 세트라도 커맨더 덱 같은 특별 세트들은 사이드 스토리, 또는 메인 스토리라인과 무관한 그들만의 리그를 다루는 경우가 많다.)
2025년 이후로는 유니버스 비욘드의 모든 텐트폴 세트들이 스탠다드 허용으로 나오므로 이 역시 정규 세트 확장판으로 분류된다. 또한, 기존의 모던 리걸 신규 세트 등의 스탠다드 논리걸 신규 세트들의 발매 대신 스탠다드 리걸 텐트폴 세트를 1년에 6개 발매하는 것으로 정책을 변경함에 따라 환경이 좀 더 빠르고 공격적으로 변화할 것으로 예측된다.
기본판이 스탠다드 포맷의 메타를 '조절'하는 세트라면 확장판은 스탠다드 포맷의 메타를 '주도'하는 세트이다. 스탠다드 티어 덱은 그 파워가 확장판에서 인기를 끌고 검증받은 카드나 콤보의 잠재력에서 오는 경우가 많으며, 만약 그 카드가 돈법사의 예측을 벗어날 정도로 '망가진' 카드라면 모던이나 레거시, 빈티지까지 진출하기도 한다.
이런 파워 카드가 너무 많은 확장팩은 판매량도 당연히 수직 상승해서 단기적으로는 좋으나. 스탠다드 환경의 다양성을 망치고 후속 확장팩의 기획을 어렵게 하며, 심지어 후속 확장팩의 판매량을 잡아먹는 팀킬까지 일으키기도 한다. 역사적으로 우르자 블록, 미로딘 블록, 칼라데시 블록의 확장판들, 엘드레인의 왕좌 확장판이 과도한 파워 레벨로 유명했다.
반면에 파워 카드가 너무 없는 확장팩은 그것대로 겁쟁이같은 세트 디자인이라며 욕을 먹고 판매량도 하락해 매직판의 분위기를 침체시킨다. 멜카디언 블록, 카미가와 블록, 아몬케트 블록, 젠디카르 전투 블록의 확장판들이 카드 파워가 낮기로 유명했는데, 잘 보면 너무 강한 확장판과 너무 약한 확장판은 시기적으로 붙어 있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말인즉슨 극단적인 밸런싱을 하다가 거기에 얽힌 확장판이 다 망한다는 뜻이다(...) 이를 보면 확장판의 파워 레벨을 맞추기는 노련한 돈법사에게도 어려운 일인 듯.
발매 주기는 1년 주기에 3~6회 발매로, 기본판이 발매되던 시기엔 3회, 기본판이 폐지된 시기엔 4회, 2025년 이후에는 6회 발매되고 있다.
2.1. 블록
2018년 이전까지 확장판 세트들은 블록이라는 그룹으로 묶이는 것이 전통이었다. 블록은 같은 장소, 같은 시간대의 큰 스토리 하나를 연속해서 풀어나가고, 발매 시기 또한 연달아서 나오는 세트들의 모음이며, 주로 2개~3개의 확장판 세트로 구성된다. 블록 내의 각 확장팩 세트들은 블록 전체를 아우르는 컨셉을 공유하는 것은 물론이며, 미로딘 블록 이후로는 하나의 블록 = 하나의 차원이라는 공식까지도 유지하며 같이 묶이는 세트라는 점을 명확히 했다.게임 내적으로도 블럭 내의 확장판들은 주요 메인 키워드 능력이나 카드 사이클 등을 공유하며, 부스터 드래프트시에도 같은 블록 내의 확장팩 부스터를 섞어서 진행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8], 블록 컨스트럭티드라는 같은 블록 내 카드만 사용하는 경기 포맷도 존재했다. 심지어 포맷 로테이션 아웃도 블록 내 모든 확장판이 한날 한시에 빠져나가는[9] 끈끈한 관계이다.
관례적으로 블럭의 첫 세트는 240종 이상의 카드가 등장하는 대형 확장판(large expansion)으로 발매하고, 뒤따르는 두 세트는 200종 이하의 카드가 등장하는 소형 확장판(small expansion)으로 발매했었으나[10] 예외는 상당히 많아서, 라지/라지/스몰, 라지/스몰/라지 등의 변종 구조도 꽤 있었다.
이토록 유기적인 연결 관계가 있는 개념인지라 2018년에 블록 구조의 완전 폐지는 매직 더 개더링 유저들에게 큰 충격으로 다가왔다. 블록 개념의 폐지 이후 모든 확장판 세트들은 단독으로 대형 확장판으로 발매되며, 리미티드 게임도 단 하나의 세트만으로 하게 된다. 스토리적으로는 한 세계관이 여러 세트에 걸쳐 나타날수도 있고, 한 세트만으로 끝날 수도 있는 등 좀 더 유동적으로 페이스가 조정된다. 같은 세계관을 공유하는 여러 세트가 같은 메커니즘을 공유할 수도 있다. 즉 하나의 세계관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세트가 구성되고 있다.
블록 체제 폐지 이후에도 같은 세계관이나 메커니즘을 공유하는 세트들이 연달아 발매되면 이를 비공식적으로 블록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라브니카의 길드, 라브니카의 충성, 플레인즈워커 전쟁의 신 라브니카 트릴로지나 이니스트라드: 한밤의 사냥과 이니스트라드: 핏빛 서약의 이부작은 마치 블록같은 유기성이 느껴지며, 실제로 이들 세트들을 자기들끼리 묶어서 플레이하는 리미티드 게임이 이벤트성으로 시도되기도 한다. 도미나리아 유나이티드부터 기계군단의 행진: 그 이후까지의 5개 세트도 사람에 따라선 블록으로 부르기도 한다.
2.2. 역대 확장판 목록
2.2.1. 초기 확장판
Early Expansions확장판이나 블록이라는 개념이 단단하게 정립되기 전이라 모든 세트들이 개별적으로 출시되었다.
이름 | 약자 | 발매년도 | 카드개수 | 비고 |
아래로 빈티지· 레거시 포맷 | ||||
Arabian Nights | ARN | 1993년12월 | 78+14장 | 천일야화를 컨셉으로 삼은 세트, 한참후에 라비아차원이 배경이라고 설정됨 |
Antiquities | ATQ | 1994년3월 | 100장 | 오리지널 스토리 형제 전쟁을 기반으로 도미나리아을 배경으로한 마법물체 중심 세트 |
Legends | LEG | 1994년6월 | 310장 | 최초로 전설적 생물과 다색 카드가 등장, 도미나리아가 배경 |
The Dark | DRK | 1994년8월 | 119장 | 형제 전쟁 후의 스토리를 기반으로 한 세트, 도미나리아가 배경 |
Fallen Empires | FEM | 1994년11월 | 187장 | 형제 전쟁 후 도미나리아 남쪽대륙 사르파디아를 배경으로 한 세트, 역대급 악성 재고로 유명 |
Homelands | HOM | 1995년10월 | 140장 | 홈랜드차원이 배경이된 세트 |
2.2.2. 1블록 3세트 체제
확장판 3개 세트가 3개월 주기로 발매되어 한 블록을 이루었고, 기본판이 한개 발매되어 1년 주기를 완성했다.10판까지는 기본판이 2년에 한번만 발매되어, 기본판이 없는 년도에는 다른 보조 세트가 네 번째 상품 슬롯을 채우는 형태였으나, 매직 2010부터는 기본판이 1년에 한번씩 발매되는 것으로 변경되어 빈틈없는 제품 발매 스케줄을 갖추기 되었다.
이름 | 한국어명 | 발매년도 | 비고 |
Ice Age | 아이스 에이지 | 1995-1996, 2006년 | 콜드스냅(2006)이 발매되어 블록 구성이 완성됨, 배경 도미나리아 |
Mirage | 미라지 블록 | 1996~1997년 | 블록 구성판중 비젼,웨더라이트는 한글판 출시,웨더라이트호의 모험 스토리 시작, 배경 도미나리아 |
Tempest | 템페스트 블록 | 1997~1998년 | 구 한글판 중 유일하게 전체가 번역, 배경 도미나리아, 래스 |
Urza's | 우르자 블록 | 1998~1999년 | '우르자 사가'까지가 구 한글판, '우르자 레가시'는 처음 포일카드가 포함, 배경 도미나리아, 피렉시아 |
Masques | 멜카디언 | 1999~2000년 | 템페스트 블록에서 이어진 웨더라이트호의 모험 스토리라인, 배경 메르카디아 |
Invasion | 인베이젼 | 2000~2001년 | 웨더라이트호의 모험의 스토리라인의 최종화, 다색 테마, 배경 도미나리아, 피렉시아 |
Odyssey | 오디세이 | 2001~2002년 | 인베이젼 후의 도미나리아 차원을 배경 |
Onslaught | 온슬럿 | 2002~2003년 | 종족 테마, 오디세이의 스토리 연장 |
아래로 모던 포맷 | |||
Mirrodin | 미로딘 | 2003~2004년 | 마법물체 테마, 미로딘 차원 배경 |
Kamigawa | 카미가와 | 2004~2005년 | 일본풍 테마, 위아래로 뒤집어지는 카드, 카미가와 차원 배경 |
Ravnica | 라브니카 | 2005~2006년 | 2색 길드 테마, 라브니카 차원 배경 |
Time Spiral | 시간의 나선 | 2006~2007년 | 시간의 꼬임(timeshifted) 테마, 도미나리아 차원 배경, Mending이라는 사건 발생 |
Lorwyn-Shadowmoor | 로윈-샤도우무어 | 2007~2008년 | 종족 테마, 로윈= 샤도우무어 차원 배경 |
Shards of Alara | 알라라의 파편 | 2008~2009년 | 인접 3색 샤드 테마, 알라라 차원 배경 |
Zendikar | 젠디카르 | 2009~2010년 | 대지 테마, 젠디카르차원 배경, 엘드라지 스토리 시작 |
Scars of Mirrodin | 미로딘의 상처 | 2010~2011년 | 마법물체 테마, 미로딘→ 뉴피렉시아 차원 배경 |
Innistrad | 이니스트라드 | 2011~2012년 | 고딕호러 테마, 양면 카드, 이니스트라드 차원 배경 |
아래로 파이어니어 포맷 | |||
Return to Ravnica | 라브니카로의 귀환 | 2012~2013년 | 2색 길드 테마, 라브니카 차원 배경 |
Theros | 테로스 | 2013~2014년 | 그리스풍, 부여마법 테마, 테로스 차원 배경 |
Khans of Tarkir | 타르커의 칸 | 2014~2015년 | 중앙아시아 테마, 상극 3색 부족 테마, 타르커 차원 배경 |
2.2.3. 1블록 2세트 체제
확장판 2세트가 한 블록을 이루고, 1년 주기에 2블럭이 발매된다. 이러면 1년에 4개 제품을 발매하기로 한 정규 세트 발매 스케줄을 확장판만으로 채우게 되므로 기본판은 폐지되었다. 이 시기 동안 스탠다드 책정 범위는 4개 블록으로 연장하여 세트 개수로 따지면 동일하게끔 조절했다.[11]기본판 없이 밸런스 조절을 한다는 시도가 기막히게 실패하고, 2세트 체계 디자인에 익숙하지 않는 바람에 확장판의 밸런싱도 폭망하여 이 기간동안 대량의 밴 카드가 발생했고(본 문단의 모든 블럭에서 밴카드가 나왔다.), 결국 익살란을 마지막으로 이 체제는 막을 내린다.
이름 | 한국어명 | 발매년도 | 비고 |
Battle for Zendikar | 젠디카르 전투 | 2015~2016년 | 블록당 2세트의 첫 블록, 젠디카르 차원 배경 |
Shadows Over Innistrad | 이니스트라드에 드리운 그림자 | 2016년 |
고딕 호러 및 코스믹 호러 테마,
이니스트라드 차원 배경 젠디카르 전투 블럭 스토리의 연장. |
Kaladesh | 칼라데시 | 2016~2017년 |
마법물체 특화 테마,
칼라데시 차원 배경 매직 오리진에서 등장한 칼라데시 차원에서 일어나는 스토리. |
Amonkhet | 아몬케트 | 2017년 |
이집트풍 테마,
아몬케트 차원 배경 니콜 볼라스 재등장. |
Ixalan | 익살란 | 2017년~2018년 |
정글풍 및 종족 테마,
익살란 차원 배경 공룡 종족 첫 등장. |
2.2.4. 개별 세트 체제
2018년 4월에 출시하는 도미나리아 세트부터, 블록의 개념이 없어졌다. 동시에 매년 발매되는 확장판 세트의 수는 4개에서 3개로 줄어들고, 덕분에 기본판이 부활하여 매해 여름마다 발매되었다. 즉 스케줄적으로는 예전으로 사실상 복귀한 것이며, 블록이라는 제약만 없어진 상태.2021년에는 나올 예정이던 코어세트 2022를 개발 도중에 확장판인 포가튼 렐름에서 펼쳐지는 모험으로 전환하면서 기본판을 다시 폐지하기로 선언했다. 그 뒤로 매년 발매되는 확장판 세트의 수는 다시 4개로 조정되었다.
2023년에는 스탠다드의 로테이션 기간이 2년에서 3년으로 변경되었다. 덕분에 기존에 로테이션 아웃 예정이던 이니스트라드: 한밤의 사냥부터 뉴 카펜나의 거리사이의 확장판들이 엘드레인의 야생지의 발매에도 불과하고 1년 더 스탠다드에 잔류하게 되었다.
세트 이름 | 발매 시기 | 약자 | 주요 키워드 및 메카니즘 | 테마 | 배경 차원 | 비고 | |
영어 | 한국어 | ||||||
Dominaria | 도미나리아 | 2018년 4월 | DOM | 전설적 | 레트로 | 도미나리아 | |
Guilds of Ravnica | 라브니카의 길드 | 2018년 10월 | GRN | 2색 | 라브니카 | 신 라브니카 트릴로지의 첫번째 세트 | |
Ravnica Allegiance | 라브니카의 충성 | 2019년 1월 | RNA | 신 라브니카 트릴로지의 두번째 세트 | |||
War of the Spark | 플레인즈워커 전쟁 | 2019년 4월 | WAR | 플레인즈워커 | 올스타전 |
신 라브니카 트릴로지의 세번째 세트 니콜 볼라스 아크의 마지막 세트 |
|
Throne of Eldraine | 엘드레인의 왕좌 | 2019년 10월 | ELD | 단색, 모험 | 동화, 민담 | 엘드레인 | 역대급 오버파워 세트로 유명 |
Theros Beyond Death | 죽음 너머의 테로스 | 2020년 1월 | THB | 부여마법, 단색 | 그리스 신화 | 테로스 | |
Ikoria: Lair of Behemoths | 이코리아: 거대괴수들의 소굴 | 2020년 4월/5월 | IKO | 상극 3색, 단짝 | 괴수 테마 | 이코리아 | 코로나19 유행으로 일부 지역 출시 연기 |
Zendikar Rising | 젠디카르 라이징 | 2020년 9월 | ZNR | 대지, 파티 | RPG | 젠디카르 | |
Kaldheim | 칼드하임 | 2021년 1월 | KHM | 2색 및 생물 유형 | 북유럽 신화, 바이킹 | 칼드하임 | |
Strixhaven: School of Mages | 스트릭스헤이븐: 마법 학교 | 2021년 4월 | STX | 상극 2색, 순간마법 및 집중마법 | 마법학교 | 아르카비오스 | |
Dungeons & Dragons: Adventures in the Forgotten Realms | 포가튼 렐름에서 펼쳐지는 모험 | 2021년 7월 | AFR | 코어세트 | TRPG | 포가튼 렐름 | 던전 앤 드래곤 - 포가튼 렐름 콜라보레이션 |
Innistrad : Midnight Hunt | 이니스트라드: 한밤의 사냥 | 2021년 9월 | MID | 생물 유형, 변신 | 고딕 호러, 인간 vs 괴물 | 이니스트라드 | |
Innistrad : Crimson Vow | 이니스트라드: 핏빛 서약 | 2021년 11월 | VOW | ||||
Kamigawa: Neon Dynasty | 카미가와: 네온 왕조 | 2022년 2월 | NEO | 마법물체 vs 부여마법 | 일본, 사이버펑크 | 카미가와 | |
Streets of New Capenna | 뉴 카펜나의 거리 | 2022년 4월 | SNC | 친화 3색 | 갱스터 느와르, 디젤펑크 | 카펜나 | |
아래로 스탠다드 포맷 | |||||||
Dominaria United | 도미나리아 유나이티드 | 2022년 9월 | DMU | 전설적, 다색 | Invasion | 도미나리아 | 피렉시아 4부작의 첫번째 세트, 한글판 발매 재중단 |
The Brothers' War | 형제 전쟁 | 2022년 11월 | BRO | 마법물체 | 거대로봇, 시간여행 | 도미나리아 |
피렉시아 4부작의 두번째 세트 오리지널 스토리 '형제 전쟁' 시점 |
Phyrexia: All Will Be One | 피렉시아: 모두 하나가 되리라 | 2023년 2월 | ONE | 카운터 | SF 호러 | 뉴 피렉시아 | 피렉시아 4부작의 세번째 세트 |
March of the Machine | 기계군단의 행진 | 2023년 4월 | MOM | 전투, 변신 | 다차원 전쟁 | 여러 차원 | 피렉시아 4부작의 마지막 세트 |
March of the Machine: The Aftermath | 기계군단의 행진: 그 이후 | 2023년 5월 | MAT | 다차원 전쟁 | 여러 차원 |
피렉시아 4부작의 에필로그 미니 세트(드래프트 불가) |
|
Wilds of Eldraine | 엘드레인의 야생지 | 2023년 9월 | WOE | 부여마법, 토큰 | 동화, 민담 | 엘드레인 | |
Lost Caverns of Ixalan | 익살란의 잃어버린 동굴 | 2023년 11월 | LCI | 마법물체, 무덤 | 중앙아메리카, 지하세계 | 익살란 | |
Murders at Karlov Manor | 카를로프 저택의 살인 사건 | 2024년 2월 | MKM | 단서, 뒷면, 무덤 추방 | 살인 미스테리 | 라브니카 | |
Outlaws of Thunder Junction | 천둥 교차로의 무법자들 | 2024년 4월 | OTJ | 목표 지정, 손 이외에서의 카드 발동 | 서부극 | 천둥 교차로 | 오멘패스 아크의 마지막 세트 |
Bloomburrow | 블룸버로우 | 2024년 8월 | BLB | 생물 유형 | 수인 | 블룸버로우 | 중국어, 포르투갈어 발매 중단 |
Duskmourn: House of Horror | 더스크모언: 공포의 집 | 2024년 9월 | DSK | 부여마법 | 공포영화 | 더스크모언 | |
Aetherdrift | 에테르 드리프트 | 2025년 | DFT | 탑승물 | 데스 레이스 | 칼라데시, 아몬케트, ??? | |
Tarkir: Dragonstorm | 타르커: 용 폭풍 | 2025년 | TDM | 타르커 | 드래곤스톰 아크의 마지막 세트 | ||
Magic the Gathering-Final Fantasy | 매직 더 개더링-파이널 판타지 | 2025년 | FIN |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 | 시리즈마다 다름 | ||
Edge of Eternities | 영원함의 가장자리 | 2025년 | EOE | 스페이스 오페라 | 공허한 우주 | ||
Marvel's Spider-Man | Marvel's Spider-Man(매직 더 개더링) | 2025년 | SPM | 스파이더맨 시리즈 | 마블 유니버스 | ||
코드명 "Wrestling" | 2026년 | 로윈/샤도우무어 | |||||
코드명 "Yachting" | 2026년 | 아르카비오스 | |||||
코드명 "Ziplining" | 2026년 | ||||||
코드명 "Amsterdam" | 2027년 | ||||||
코드명 "Berlin" | 2027년 | ||||||
코드명 "Cairo" | 2027년 | ||||||
코드명 "Dublin" | 2027년 |
[1]
그런 의미에서 정규 세트를 'Standard-legal set'이라 부르기도 했었으나 지금은 Premier set로 리네임했다.
[2]
정확히 1월에 시작하고 12월에 시작한다는 것이 아니라, 1년의 시간 간격을 의미한다
[3]
유일하게 2개의 정규 제품만이 발매된 해가 1996년이었다.
[4]
여러 세트에서 반복해서 등장하는 메커닉
[5]
예전 정책으로는 재판 카드만이 담긴 세트는 카드의 테두리가 하얀색인 화이트보더로 출시되었다.
[6]
7월에 출시되는 기본판의 이름을 발매되는 년도로 했다가는 6개월만 지나면 마치 1년 묵은 재고품처럼 느끼지게 되기 때문이었다.
[7]
그 과정에서
메타에 지대한 악영향을 미쳤다.
[8]
예를 들어 블록 내의 1번 확장팩만이 발매되었을 땐 드래프트 시 1번/1번/1번 부스터를 뜯어서 진행하다가, 2번 확장팩이 발매되면 1번/2번/2번, 마지막 확장팩인 3번 확장팩이 발매되면 1번/2번/3번 부스터를 뜯어서 드래프트를 진행했다.
[9]
그런 관계로 블록 내 가장 마지막 확장판은 첫 확장판에 비해 수명이 6개월 짧았다
[10]
부스터 드래프트에서는 첫 번째 확장판이 끝까지 계속 쓰이기에, 밸런스 유지를 위한 카드들을 많이 집어넣기 위해 큰 카드풀이 필요했다는 것이 근거
[11]
잠깐동안 3개 블럭 체계였던 적이 있었으나, 1년도 안되어 다시 원상태로 롤백되었다. 이렇게 되면 스탠다드 사용 기간이 기존 24개월에서 18개월로 대폭 줄어들기 때문에 유저들의 엄청난 반발이 있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