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인물
1.1. 실존 인물
- 김장훈: 호소력과 투박함으로 부족한 기본기를 커버하는 가수였고, 한때 전성기를 잘 누려서 유명해졌으며 여러 기부, 사회적 활동으로 대중들에게 좋은 인상을 남기기도 했으나 이후 각종 사건사고를 일으키면서 끊임없이 비난받았다. 이와 더불어 나이를 먹고 가창력이 떨어진 상태로 고음을 내지르는 것과 공연 도중에 발차기를 하는 것이 ' 숲튽훈' 개그영상으로 쓰이게 되었는데 본인 스스로도 이에 대해 반성적인 모습을 보였고, 이 또한 관심이라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며 오히려 이것이 팬층을 다시 늘리는 계기가 되었다. #
- 김채원: 도도독 #
- 민경훈: 쌈자를 몰라 #
- 박미경: 무대를 뒤집어 놓으셨다 #
- 박정민: 썩소라도 괜찮은 아이돌 1위 2006년 당시의 박정민의 썩소가 유행했으며 후배 아이돌이 박정민의 썩소를 따라 하기도 했다. # # #
- 비: 김장훈에 비견되는 만만치 않은 케이스. 5집까지만 해도 월드 스타로서의 면모를 여실히 드러냈지만 본인이 앨범 프로듀싱을 맡기 시작하면서 퀄리티가 이상해지기 시작했다. La Song은 '트로트 같다'라는 혹평을 받았으며, 태진아 패러디물이 유명했는데 진짜로 태진아와 콜라보 무대를 하며 평가를 반전시켰다. 이 분야에서의 절정은 바로 깡인데 노래 자체는 당시 흥행하지 못했지만 역대급으로 망한 탓에 인터넷 밈으로서 알음알음 퍼졌고, 밈 때문에 역주행하자 숲튽훈처럼 본인의 전성기가 재조명받으며 가수로서 다시 반등하는 계기가 되었다. #
- 성시경: 모다시경 #
- 신봉선: 상상도 못한 정체 #
- 야지마 마이미: 존나 카와이 하게 잘라 볼게요 #
- 유노윤호: 인생의 진리 #
- SixTONES: 여기의 움짤 참고. 참고로 이 안무는 일본에서도 호불호가 갈린다.
- JUSTHIS: You #
- 정홍일: 싱어게인 - 무명가수전/TOP 10 결정전에서 김수철의 못다 핀 꽃 한 송이를 부르던 중 마무리 포즈를 너무 빨리 하는 바람에 이를 만회하고자 '피우리'를 생으로 부르고 '라'를 다시 마이크를 대고 불렀다. 그런데 너무 자연스러웠던 데다 엄청난 임팩트를 주었으며 오히려 완벽함을 초월하는 효과가 생겼다. #
- JUN. K: 염소꽃 #
1.2. 가상 인물
- 야인시대[1]
- 심영: 처음에는 친일반민족행위자이자 빨갱이가 악행의 대가 치고는 정말 참담한 대가를 받은 것으로 각색되었다. 하지만 2008년에 디시인사이드 합성 갤러리에서 합성 소재로 각광받은 덕분에 합성계 최고의 이슈, 필수요소계의 황제가 되어 10년이 지나 쇠락한 합필갤을 지나 유튜브에서 수많은 패러디를 낳고 있다.[2] #
- 태조 왕건
2. 게임
3. 영화
- 더 룸: 영화계에서 가장 유명한 사례로, 저예산 인디 영화가 오직 퀄리티만으로 엄청난 유명세를 얻게 되었다는 점에서 다른 영화들과 궤를 달리한다. #
- 무서운집: 본격 한국판 더 룸이라고 불릴 정도의 퀄리티를 자랑하는 괴작. 다만 다른 망작들과 달리 의도적으로 망가뜨린 작품인데 연기를 잘하려는 연기자에게 감독이 왜 그렇게 연기를 잘하려고 하느냐라고 했을 정도다. 감독이 일부러 자기 영화를 망칠 만한 외부적 문제도 없었고 말 그대로 그냥 그렇게 만든 것이다.[3] 그래서 진지하게 악평을 하는 사람은 거의 없고, 오히려 컬트적인 인기를 얻었다. # #
- 클레멘타인 #
- 자전차왕 엄복동: 손익분기점 400만 명에 최종 관람객수 17만을 기록하며 비 본인의 술 한잔 했읍니다 밈까지 합쳐져 1 UBD=17만이라는 밈을 만들어 냈다. #
- 성냥팔이 소녀의 재림 #
4. 드라마
- 모두 다 김치: 김치 싸대기 #
- 박재정(배우): 저랑 새벽씨, 붕가하겠습니다! #
- 사랑했나봐: 예나 선정이 딸이에요 #
- 신동욱(배우): "가슴에 삼천원" - 쩐의 전쟁(SBS)에 나온 희대의 명대사(?)로, 그 후에 하나의 밈이 되어 버렸다. #
- 지리산: 작품성이 낮아 '지리산은 망했지만 네파는 네팝니다'로 알려진 광고 문구 # 등 지리산과 관련된 짤방들이 생겼다.
- 후아유 - 학교 2015: 무리하게 끼워진 전동휠 질주 장면이 웃음거리가 됐다. #
- 오로라 공주: 암세포도 생명
5. 만화, 애니메이션
6. 스포츠
- 기아우승: 한국시리즈 7차전 끝내기 홈런이라는 극적인 상황과 완벽히 반비례하는 SBS 배기완 캐스터의 재미없는 우승콜로 망가져서 유명해진 밈이 되었다. 한명재 아나운서의 맛깔나는 샤우팅과 눈물나게 하는 멘트와 자주 비교되지만 단어 자체만큼은 흠잡을 데 없이 좋은 뜻이기도 해서 기아팬들도 항의하길 포기하고 같이 쓰는 분위기다. #
- K리그 10000번째 골: 득점자는 김태영. 유명해진 이유는 자책골이기 때문이다. #
- 하루 우라라: 1998년 경주마로 데뷔하고 2004년 은퇴할 때까지 113전 전패를 달성했다. #
- 이스라엘 마다예: 차드의 양궁선수. 2024 파리 올림픽 남자 양궁 개인전 64강에서 한국의 김우진을 상대로 패배했다. 이때 2세트에서 1점을 쏘아 화제가 되었는데, 오히려 이 때문에 열악한 조국의 사정으로 제대로 된 후원도 코치도 없이 생업도 포기한 채 양궁을 독학했다는 배경이 알려져 격려와 응원을 받았다. #
- RAYGUN: 비걸 국가대표라고 믿기지 않는 처참한 퍼포먼스로 세계적으로 온갖 패러디의 대상이 되었으며, NBC에서 2024 파리 올림픽 화제의 선수 중 한 명으로 선정하기도 했다. # # 상세한 것은 2024 파리 올림픽/브레이킹 여담 항목 참조.
7. 음악
- 더 섀그스 - 의도하지 않은 저퀄로 유명해진 밴드. #
- 카우치 - 생방송 음악캠프 알몸노출 사건 #
- My Teenage Dream Ended # Wikipedia
- 노라조 #
- 미룬이 - 문서 참조.
8. 미술, 건축
- 스페인 에케 호모 화 훼손 사건 #
- ‘풍선과 소녀(Girl With Balloon)’ - 익명의 그래피티 아티스트 (혹은 아트 테러리스트) 뱅크시의 작품으로, 경매에 나와 한화로 약 15억 원에 낙찰됐다고 선언된 순간 액자 속에 숨겨져있던 파쇄기가 작동하면서 작품을 찢어버렸고[4] 후일 뱅크시 본인의 셀프 테러로 밝혀졌다. 뱅크시는 “파괴하려는 충동은 곧 창조의 충동이다”라는 피카소의 말을 인용해보였고 작품도 진품이라고 한다. 이후 세계적으로 화제가 됐다. # 이 사건 덕분에 가치가 굉장히 올라서 3년만에 당시 낙찰가의 약 18배인 한화 300억대에 팔렸다. #
- 피사의 사탑 - 이 분야의 대표적 사례. 기울어지지 않은 평범한 건물이었다면 아무 관심도 못 받았겠지만 기울어졌다는 것 하나만으로 유명세와 인기를 얻게 되었다. #
- '무제(UNTITLED)' - 이례적으로 대한민국에서 벌어진 일이기도 한데 유명 그래피티 아티스트 존원(JonOne)의 작품이며 당시 서울시 송파구 롯데월드몰에 전시되어 있었으나 관계자의 부주의로 인해 진짜 페인트와 붓도 옆에 같이 전시되어 있었기 때문에 지나가던 한 커플이 참여형 예술인줄 알고 작품을 훼손해 버린 사건이 있었다. # 당시 이 작품의 가격은 무려 5억이었으나 이 일을 계기로 전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게 되면서 가격이 5억에서 더 껑충 뛰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11119118800051
- 밀로의 비너스상 - 원래는 팔이 있었지만 팔이 부서져서 오히려 더 유명해졌다. #
- 스웨덴 프레드리크 1세의 사자 박제 #
9. 음식, 요리
10. 기타
- 갤럭시 노트7: 타 기종과 비교하여 폭발 사례가 많이 보고된 기종으로 알려져 있다. # 이를 활용한 인터넷 밈에 대해서는 갤럭시 노트7 폭발 사고 문서의 9번째 문단 참조.
- 꼽등이: 2010년쯤 크게 유행하기 시작하여 각종 게임, 꼽등이송 등 인터넷 밈으로 사용되었다. 자세한 것은 해당 문서 참조. #
- 다윈상 #
- 리먼 브라더스: 파산으로 대침체의 서막을 올렸다. 창조적인 경영이랍시고 2010년에 이그노벨상도 수상했다.[5] # #
- 짐바브웨 달러: 말 그대로 지나치게 비현실적인 수준의 초인플레이션 때문에 졸지에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아프리카 화폐가 되었으며 최고액권인 100조 달러 지폐는 현재 수집가들 사이에서 본래 가치를 아득히 초월하는 100달러대에 거래되고 있다. #
[1]
하지만 심영과 의사양반은 밑의 3명하고 다르게 야인시대 2부가 호평을 받게 만든 캐릭터이기도 하다. 만약 심영하고 의사양반이 없었다면 2부 자체가 공기가 될 뻔한 위기를 벗어나게 해 준 캐릭터이기도 하다.
[2]
차후 심영을 연기한
김영인이 처음엔 너무 놀라고 충격을 크게 받은 탓에 합성한 사람들을 모두 고소할까 생각도 했었지만 그들을 모두 용서해주고 자신을 합성요소로 사용해도 괜찮다며 허락해주는
대인배스러운 행보를 보여주며 대합필 시대가 열리게 되었다.
# 대신 정치적 입장이나
붕탁물처럼 배우 본인에게 큰 타격이 갈만한 합성은 자제해 달라는 부탁이 있었기에 정치색, 붕탁은 암묵적으로 슴지되어있다.
[3]
그래도 누구나 공포영화를 만들 수 있다는 명분을 내세우긴 했지만 네티즌들의 반응은 아무나 공포영화를 만들면 안 된다는 걸 의미한 것 같다는 의견이 있었다.
[4]
정확히는 절반 정도 파쇄된 뒤 멈췄다.
[5]
다만 이건 리먼만 수상한 게 아니라
골드만삭스,
AIG,
베어스턴스,
메릴린치와 공동수상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