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1 19:38:11

마포구

아현리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2px 0" <tablebordercolor=#ae1932>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자치구
파일:종로구 CI.svg
종로구
파일:중구(서울특별시) CI.svg
[[서울특별시청|
시청
]] 중구
파일:용산구 CI.svg
용산구
파일:성동구 CI.svg
성동구
파일:광진구 CI.svg
광진구
파일:동대문구 CI.svg
동대문구
파일:중랑구 CI.svg
중랑구
파일:성북구 CI.svg
성북구
파일:강북구 CI.svg
강북구
파일:도봉구 CI.svg
도봉구
파일:노원구 CI.svg
노원구
파일:은평구 CI.svg
은평구
파일:서대문구 CI.svg
서대문구
파일:마포구 CI.svg
마포구
파일:양천구 CI.svg
양천구
파일:강서구(서울특별시) CI.svg
강서구
파일:구로구 CI.svg
구로구
파일:금천구 CI.svg
금천구
파일:영등포구 CI.svg
영등포구
파일:동작구 CI.svg
동작구
파일:관악구 CI.svg
관악구
파일:서초구 CI.svg
서초구
파일:강남구 CI.svg
강남구
파일:송파구 CI.svg
송파구
파일:강동구 CI.svg
강동구
}}}}}}}}}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00aeef>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행정동 법정동
<colbgcolor=#00aeef> 공덕동 {{{#!wiki style="margin: -15px -10px" {{{#!wiki style="margin: -16px -11px -5px;" <tablewidth=50%><tablebgcolor=#fff,#1c1d1f> }}} 공덕동 신공덕동
염리동 }}}
아현동
염리동
도화동 마포동 도화동
용강동
대흥동 용강동 토정동 염리동
대흥동 노고산동 신수동
신수동 현석동 구수동
신정동
서강동
창전동 상수동 하중동 당인동
서교동 {{{#!wiki style="margin: -17px -10px" 노고산동 서교동 동교동 }}}
합정동 합정동
망원1, 2동 망원동
연남동 연남동
성산1동 [[마포구청|
구청
]] 성산동
성산2동
중동
상암동 상암동
}}}}}}}}} ||
서울특별시 자치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마포구 CI.svg
마포구
麻浦區
Mapo-gu
}}}
<colbgcolor=#00aeef><colcolor=#fff> 구청 소재지 월드컵로 212 ( 성산동)
광역자치단체 서울특별시
하위 행정구역 16[1]
면적 23.85㎢
인구 362,006명[2]
인구 밀도 15,178.44명/㎢[3]
구청장
박강수 ( 초선)
구의회
9석[4]

7석[5]

2석[6]

1석[7]
시의원
2석[8]

1석[9]

1석[10]
국회의원
<colbgcolor=#00aeef><colcolor=#fff>
조정훈 ( 재선)

정청래 ( 4선)
상징 구화 목련
구목 단풍
구조 청둥오리
지역번호 02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지식iN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카카오스토리 아이콘.svg

1. 개요2. 상징3. 역사
3.1. 인구
4. 지역 특징5. 경제6. 교통
6.1. 관내 철도역 목록
7. 관광8. 교육9. 의료기관10. 정치11. 하위 행정구역12. 산하 기관13.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서울특별시의 서부에 위치한 자치구. 서쪽은 경기도 고양시, 남쪽은 한강을 맞대고 강서구 영등포구, 동쪽으로는 용산구 중구, 북쪽으로는 은평구, 서대문구와 접한다.

구의 명칭은 예로부터 유명한 나루터이자 포구였던 마포에서 따왔다. 예로부터 한강의 나루터 역할을 했지만(마포, 서강진, 양화진 등), 수운이 쇠퇴하면서 20세기 초반부터 항구 기능을 잃었다.

마포구 동부(공덕, 아현, 용강, 도화 등)는 일제강점기 때부터 시가지화되었으며, 마포구 중·서부 지역은 해방 이후 점차 개발되어 아파트 및 다세대 주택들이 들어섰다. 구의 동서로 서울 지하철 6호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서쪽 남북으로 서울 지하철 2호선이 지나며, 동쪽 남북으로는 수도권 전철 5호선이 지난다.

참고로 '마포'라 하면 마포구 전체를 의미하기도 하지만(넓은 의미의 마포), 일반적으로는 공덕동, 도화동, 용강동 등 공덕오거리를 중심으로 마포대교 마포대로, 수도권 전철 5호선이 지나가는 지역만을 주로 의미한다.(좁은 의미의 마포) 법정동 마포동도 이 곳에 있으며, 행정동 도화동 관할 하에 있다. 현재의 마포구 행정구역은 원래부터 마포라 불린 지역에서 1960~70년대에 서대문구 관할이었던 노고산동, 연남동, 성산동, 상암동 일대를 편입하면서 서쪽, 북쪽으로 상당히 멀리까지 뻗어나간 것.

2. 상징

서울특별시 마포구의 휘장
<colbgcolor=#fff> 파일:마포구 CI(1996-2017).svg 1995년부터[11] 2017년 1월 11일 까지 사용됐던 마포구의 휘장이다. 마포구의 상징인 청둥오리를 모티브로 하여 제작되었다.
1995년(추정) ~ 2017년 1월 11일
파일:마포구 CI.svg [12] 2017년 1월 12일부터 현재까지 사용중인 마포구의 휘장이다. 마포가 지닌 다양한 특징들을 하나의 선으로 연결하고, 다채로움이 공존하며, 도시와 사람이 조화를 이루는 모습을 시각적으로 형상화하였다.
2017년 1월 12일 ~
서울특별시 마포구의 슬로건
<colbgcolor=#fff> 파일:마포구 민선 6기 슬로건.jpg 2015년 1월부터 2018년 7월까지 사용했던 마포구의 민선 6기 슬로건 이미지이다. 캘리그라피에 곁들인 이미지는 세대지 위에 두 팔을 벌린 가족의 모습을 그려 차별 없이 공정하게 경쟁하고 꿈을 펼치는 마포의 기반을 마련하겠다는 의미를 담았다.
2015년 1월 ~ 2018년 7월
파일:마포구 민선 7기 슬로건.svg 2018년 7월부터 2022년 6월까지 사용했던 마포구의 민선 7기 슬로건 이미지이다. 캘리그라피에 곁들인 이미지는 세 사람이 서로 팔짱을 낀 형태로 다양한 사람들이 소통하며 어울리는 행복한 마포를 표현했다. 캘리그라피와 함께 디자인에서도 사람을 강조해 연속성을 나타내고자 했다.
2018년 7월 ~ 2022년 6월
파일:마포구 민선 8기 슬로건.svg 2022년 6월부터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는 마포구의 민선 8기 슬로건 이미지이다.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명품도시로 새롭게 변화하고, 이를 통해 소외되는 주민 없이 모두가 행복한 더 살기 좋은 마포를 기대하는 주민의 소망이 담겨있다.
2022년 6월 ~
서울특별시 마포구의 캐릭터
<colbgcolor=#fff> 파일:마포동이.svg 머리의 별 두개는 새천년을 상징하면서 마포구민의 가진 꿈들이 모두 이루어진다는 소망을, 머리의 곡선은 마포지도를 나타냄은 물론 마포나루의 전통을 현대와 조화롭게 연결하며, 몸은 되살아 난 난지도의 자연을 상징한다.
2004년 7월 1일 ~

3. 역사

조선 시대에는 상암동 난지도 지역을 제외하고는 한성부 성저십리(1461년 이후) 연희방, 서강방, 용산방 지역이었으며, 1914년 경기도 고양군에 편입되어 고양군 용강면[13]이 되었다. 단, 마포나루가 있었던 마포동과 도화동은 경성부 관할이었다.

은평구처럼 서대문구에서 분리된 구인데, 일제강점기 말인 1944년 11월 조선총독부령 350호로 서대문구에서 일부를 분리하여 마포구가 신설되었다. #

1946년 10월에 미군정이 발포한 서울시헌장으로 산하 정(町)으로 환원되었다.

1964년 서대문구 노고산동을 편입해 왔으며, 서대문구와의 일부 경계 조정이 있었다.[14] 1975년 서대문구 성산동, 상암동, 연희동 일부(현재의 마포구 연남동) 등을 마포구에 편입한 이래 현재에 이른다.

3.1. 인구

서울특별시 마포구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306,280명
1970년 348,953명
1975년 10월 1일 서대문구 상암동, 성산동과 수색동·남가좌동· 연희동 일부마포구 편입
1975년 422,132명
1980년 432,131명
1985년 441,032명
1990년 435,176명
1995년 398,228명
2000년 387,308명
2005년 388,164명
2010년 391,865명
2015년 387,643명
2020년 371,890명
2024년 10월 362,00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행정동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성산제2동 39,067명
공덕동 36,431명
상암동 30,009명
아현동 27,437명
서강동 24,676명
서교동 24,466명
신수동 22,235명
용강동 21,301명
도화동 20,789명
망원제1동 19,376명
성산제1동 18,679명
망원제2동 18,204명
염리동 16,781명
합정동 16,654명
연남동 14,528명
대흥동 14,488명
2023년 2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 ||
법정동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성산동 47,574명
망원동 37,027명
상암동 29,657명
아현동 28,282명
공덕동 25,605명
도화동 21,461명
서교동 19,305명
염리동 18,070명
합정동 16,297명
신수동 15,395명
대흥동 15,319명
창전동 14,688명
연남동 14,189명
신공덕동 12,375명
중동 9,701명
상수동 7,412명
용강동 7,404명
노고산동 5,801명
현석동 4,978명
동교동 3,481명
마포동 2,648명
신정동 1,538명
하중동 1,445명
토정동 1,247명
당인동 1,019명
구수동 761명
2024년 1월 기준 행정안전부 법정동별(행정동 통반 단위) 성/연령별 주민등록 인구수, 그래프 최대 값은 5만 명
}}}}}}}}} ||

4. 지역 특징

마포구의 중심 지역은 4개 노선 환승역인 공덕역 주변과 2호선 라인의 홍대입구역- 합정역 주변을 꼽을 수 있으며, 상암동 디지털미디어시티에는 방송 관련 회사들이 밀집한 업무 지구가 있다. 이 중 홍대입구역 주변지역을 흔히 홍대거리라고 하며, 명동, 강남을 잇는 서울 제3의 번화가이자 많은 젊은이들이 모여 인디문화를 형성하고 공유하는 공간으로 유명하다. 이러한 분위기를 잘 느낄 수 있는 시설로는 KT&G 상상마당이 있다. 또한 공덕역 주변은 S-OIL, 효성그룹, 동서식품 그룹, HS애드 등의 회사들이 있는 비즈니스 지역이기도 하다.

마포구의 주요 시설로는 홍익대학교, 서강대학교와 2002 한일월드컵 개막전이 열린 서울월드컵경기장과 그 주변의 월드컵공원[15]이 있다. 서울월드컵경기장 완공 후 그동안 서울올림픽주경기장에서 열렸던 국가대표 축구 경기는 이곳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K리그 1 FC 서울의 홈구장으로 사용한다. 또한 한국배구연맹(KOVO)이 마포구 KGIT센터에 있다.
파일:FC서울 엠블럼(백색배경).svg
파일:seoul worldcup stadium night.jpg
FC 서울 서울월드컵경기장

2000년대에는 방송사를 주축으로 한 상암동의 디지털미디어시티(DMC) 지역이 새로운 업무 지구로 조성되었다. tvN, Mnet, 온미디어 등을 운영하는 CJ E&M 본사가 있는 지역이며 지역 일대가 방송 및 미디어 업무지구로 조성되어 있다. 보도 채널로 유명한 YTN을 비롯하여 지상파 SBS의 SBS 프리즘 타워, KBS의 KBS 미디어센터 그리고 MBC 문화방송, JTBC, 채널A 역시 상암동으로 이전했다. 이곳에는 세계 최초의 e스포츠 전용 구장인 상암 콜로세움[16]이 들어서 있기도 하다.

상암동엔 박정희 전 대통령 기념관도 있으며, 서교동엔 박정희 대통령 시절 국무총리를 지내고 박정희 암살 직후 대통령을 역임한 최규하 대통령의 사저가 있다. 동교동도 현대사에서 의미가 있는 곳인데, 바로 김대중 대통령의 사저가 있었고, 지금도 김대중 도서관이 있는 지역이다. 동교동에 살지 않아도 김대중과 긴밀했던 정치인들은 소위 동교동계로 불려서, 정치적으로는 김대중 코드를 상징하는 말로 명사화되기도 했다.

과거 YH 사건이 일어난 신민당사가 도화동에 있었고, 최근으로 오면 공덕동에 구 사회당 당사가 있었으며, 국민의당(2016년) 당사도 초기에 마포역 인근 도화동에 있었다.(2016년 총선 이후 여의도로 이전했다.) 현 노동당(구 진보신당) 당사가 서교동에 있다. 한겨레신문 사옥도 공덕동에 있다.

출판 문화에 있어서 가히 오덕의 지역이라 할 수 있다. 마포구에 소재지를 둔 출판사만 무려 4천 개. 전국의 출판사가 3만 5천 개 정도 되는데 마포구에만 그 정도니 말 다했다. 그러나 이 회사들 대부분은 마포구에 인쇄기가 없다. 마포구나 용산구에 위치한 출판사들은 대부분 출판사 면허만 가진 장롱면허 업체들이고, 인쇄가 필요한 경우 경기도 파주시 파주출판도시 고양시 장항1동 쪽에 의뢰해 OEM으로 책을 생산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매일 새벽 2~3시마다 파주출판도시 자유로 장항IC 일대에서 생산된 책들을 실은 트럭 트레일러들이 자유로 제2자유로를 통해 떼빙으로 마포·용산구 일대를 왕복한다.

5. 경제

마포구는 서울특별시 내에서 경제력이 매우 강한 지역이다. 박원순 서울특별시장 시절 취득세, 재산세 서울시 본청 통합과세 전에는 마포구 재정자립도도 50%를 넘었을 정도. 2024년 지금은 취득세, 재산세 통합과세의 여파로 마포구의 재정자립도가 28%이다.

공덕역 디지털미디어시티 일대에 업무지구가 형성돼 있으며, 신촌역, 홍대입구역, 합정역, 망원역 일대는 대규모 상업지구가 형성돼 있다. 여기에 몰린 기업 상가들에서 나오는 경제력이다. 특히 홍대입구역 인근 홍대거리 2020년대 들어서 대한민국을 넘어서 전 세계에서 찾아오는 관광지로 성장해 외국인들의 소비가 마포구 경제력의 원동력이 되고 있다.

디지털미디어시티 내에 있는 1,300여개 기업들의 매출과 더불어 공덕역 일대에 있는 효성그룹, 에쓰오일 대기업 본사, 홍대거리, 합정역, 망원역, 신촌역 일대의 상권 매출, 외국인 관광객 증가, 마포구의 부동산 상승에 따른 고소득자의 증가가 선순환을 이뤄 마포구의 경제성장을 이끌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마포구청의 경제 정책도 이 5가지의 축을 어떻게 조화롭게 마포구 발전에 쓸 것인지에 맞춰져 있다.

당연히 대규모 업무지구와 상업지가 있다 보니 부동산 가격도 매우 비싼 곳이다. 2000년대까지만 해도 마포구 일대는 노후화된 주거지로 인해 집값이 저렴했으나, 디지털미디어시티, 공덕역 일대가 재개발이 돼 업무지구와 주상복합, 대규모 아파트단지가 들어서며 서울특별시의 새로운 고급 주거지로 탈바꿈하고 있다.

특히 국회의원 선거구 기준 마포구 갑 지역은 공덕역 아현역이 중심인 지역으로, 부동산 업계에서 동마포라고 부르는 지역이다. 동마포 일대는 용산구의 영향을 크게 받아 땅값이 하루가 다르게 치솟고 있다. 동마포 일대의 땅값이 치솟으면서 취득세 재산세를 통합과세하는 서울특별시청 본청의 세금 수입을 책임지고 있다.

6. 교통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00aee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aeef> }}}
{{{#!wiki style="color: #000,#ddd;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colbgcolor=#00aeef> <colbgcolor=#fff,#191919> 강변북로 · 광성로 · 굴레방로
농수산시장로
대흥로 · 독막로 · 동교로
만리재로 · 망원로 · 매봉산로 · 모래내로
방울내로 · 백범로
삼개로 · 상암산로 · 새창로 · 서강로 · 선유로 · 성미산로 · 성산로 · 성암로 · 손기정로 · 신수로 · 신촌로
양화로 · 어울마당로 · 연남로 · 연희로 · 와우산로 · 월드컵로 · 월드컵북로 · 임정로
자유로 · 잔다리로 · 증산로
창전로
큰우물로
토정로
포은로
하늘공원로 · 한강난지로 · 화곡로 · 홍익로 · 효창원로 · 희우정로
서울특별시의 도로 틀 둘러보기 }}}}}}}}}



종로 도심권 및 영등포/여의도 접근성이 매우 탁월하다. 특히 공덕역은 4개 노선[17]이 교차하는 교통의 요지가 되면서 부동산 가격이 폭풍과 같이 올랐다. 1960년대부터 체계적으로 개발되지 못한 탓에 인근의 은평구 서대문구와 함께 난개발로 악명이 높았지만 2000년대부터 재개발이 이루어지면서 서울시내에서도 부동산 시장 상위권[18] 수준으로 올라갔다. 최근 부동산 업계의 유행어인 마용성의 마에 해당하는 동네다. 4개 노선이 적절한 위치로 적절하게 뚫고 지나가기 때문에 구 전역에서 도시철도 접근성이 매우 뛰어나다. 또 홍대입구역은 2호선과 공항철도, 경의중앙선이 합정역은 2호선과 6호선이 교차하면서 경기 서북부권으로 향하는 환승거점 역할을 하고 있다.

다만 강남 접근성이 좋지 않은 점은 약점이다. 그나마 2호선이 지나가긴 하지만 2호선은 순환선이기에 당산역/여의도역에서 1회 환승이 강력히 추천된다.

한강을 접하고 있기 때문에 구 남단으로 강변북로가 지나가며, 성산대교 북단에서는 내부순환로가 분기한다. 다만 그만큼 교통량도 많아 일부 구간은 상습정체구역으로 악명을 떨치고 있다. 대표적으로 성산대교 북단, 양화대교 북단이 있다.

6.1. 관내 철도역 목록

||<-3><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aeef><tablebgcolor=#fff,#1f2023><bgcolor=#00aeef><color=#fff> 파일:마포구 CI_White.svg 마포구의 철도역 ||
철도회사 노선
한국철도공사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홍대입구역, 서강대역, 공덕역
서울교통공사 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합정역, 홍대입구역, 신촌역, 이대역, 아현역
파일:Seoulmetro5_icon.svg 5호선 마포역, 공덕역, 애오개역
파일:Seoulmetro6_icon.svg 6호선 월드컵경기장역, 마포구청역, 망원역, 합정역, 상수역, 광흥창역, 대흥역, 공덕역
공항철도 파일:AREX_icon.svg 공항철도 공덕역, 홍대입구역, 디지털미디어시티역[19]
굵게 표시 된 역은 환승이 가능한, 사실상 같은 곳이다.

7. 관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마포구/관광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교육

파일:마포구 CI_White.svg 서울특별시 마포구 초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서울공덕초등학교 서울동교초등학교 서울마포초등학교 서울망원초등학교
서울상암초등학교 서울상지초등학교 서울서강초등학교 서울서교초등학교
서울성산초등학교 서울성서초등학교 서울성원초등학교 서울소의초등학교
서울신북초등학교 서울신석초등학교 서울아현초등학교 서울염리초등학교
서울용강초등학교 서울중동초등학교 서울창천초등학교 서울하늘초등학교
서울한서초등학교 홍익대학교사범대학부속초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마포구 CI_White.svg 서울특별시 마포구 중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경성중학교 광성중학교 동도중학교 상암중학교
서울여자중학교 성사중학교 성산중학교 성서중학교
숭문중학교 신수중학교 아현중학교 중암중학교
창천중학교 홍익대학교사범대학부속여자중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마포구 CI_White.svg 서울특별시 마포구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경성고등학교 광성고등학교 상암고등학교 서울디자인고등학교
서울여자고등학교 숭문고등학교 한세사이버보안고등학교 홍익대학교사범대학부속여자고등학교
홍익디자인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서울특별시 마포구의 대학교
서강대학교 홍익대학교
일반고이면서 남녀공학인 곳은 상암고등학교가 유일하다. 한강 이북지역 특성 상 서울 특유의 남녀별학 문화가 강한 지역이기 때문이다.

2010년대 들어서 서울염리초등학교가 각광 받기 시작하여 초등학교 경쟁력(?)은 어느 정도 갖추었으나, 중고등학교는 딱히 좋지는 않다는 평이었다. 자율형 사립고등학교로 지정된 숭문고등학교[20] 자율형 공립고등학교 서울여자고등학교가 있긴 하지만 지정 이전보다 기세를 펴지 못하는 기현상을 보이고 있다. 숭문고등학교는 자율형 사립고로 지정되고 나서 몇 년 동안은 정원을 채우지 못해 미달까지 발생한 바 있다.[21] 현재 숭문고등학교는 자사고 지정을 포기하고 일반고등학교가 되었다.

이런 관계로 외국어고등학교 유치 떡밥은 선거철만 되면 나타난다. 실제로 옛 한국산업인력공단 부지에 외고 유치를 추진하기는 했다고 한다. 그런데 투자하려는 기업이 없어서 망했다고.

다만 체육 쪽으로는 꽤 인정받는 모양이다. 광성고등학교는 아이스하키부가 전국적 명성을 떨치고 있고[22], 서울디자인고등학교는 야구부 등이 있을 정도로 체육 특기생이 많이 있는 듯. 신수중학교는 펜싱부로 전국적 명성을 떨치고 있다.

참고로 마포고등학교는 마포구에 없고 강서구 등촌동에 있다.[23] 원래 마포구 도화동 현 마포 한화 오벨리스크 자리에 있던게 강서구로 옮겨 간 것. 그래서 마포고 학생들이 많이 받는 오해가 '마포구 살아?'라는 것이라고.

최근 공덕, 아현 지역에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어 학생 인구 수가 늘어나고, 교통의 이점으로 인하여 공덕역과 대흥역 사이 백범로 인근에 학원가가 형성되고 있다. 기존 미래타임/타임교육 산하의 하이스트를 비롯하여 이투스, 대치이강학원 마포캠퍼스 등 대형 학원들이 생겼고, 2018년에는 대치명인학원 또한 서강대 방면에 마포캠퍼스를 열었다. 그리고 종로학원 강북본원이 신촌으로 이전되어 신촌~대흥~공덕역 사이에 학원가의 모습을 띄기 시작하였다. 대치동 생각하는 황소, 대치상상학원, 하이츠 마포캠퍼스 등의 학원이 들어와서 교육 환경이 이전보다 좋아졌다.

과거 보습학원 중심의 학원이 조성되어 있던 마포에 대형학원들이 속속히 생겨나는 것은 강북 부동산 신흥 강자로 떠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기존 마포지역 중견학원인 JK영어학원, 더베스트 입시학원(수학, 국어, 과학), 오미크론 수학학원, 행복한 수학학원 등도 있어 신흥 대형 입시학원과의 경쟁구도가 펼쳐지고 있다.
학교폭력은 낮은 편이다. 2017 서울 동네별 학교폭력으로 검거된 청소년 통계를 보면 송파구(8.6), 마포구(9.1), 강동구(9.7), 강서구(10.1) 순으로 송파구 다음으로 낮은 편이다.

대학교로는 서강대학교, 홍익대학교가 있다.

9. 의료기관

구 내에 종합병원이 하나도 없다. 병원급 중에서도 신촌연세병원(116병상) 정도가 100병상을 넘을 뿐 나머지는 작은 병원이거나 의원들 뿐이다. 물론 바로 옆 서대문구에 세브란스병원, 그리고 가까이에 강북삼성병원이나 여의도성모병원 같은 대학병원들이 있다 보니 큰 문제는 없다.

10.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마포구/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하위 행정구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마포구/행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산하 기관

13. 관련 문서


[1] 26개 법정동, 16개 행정동 [2] 2024년 10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통계 [3] 2024년 10월 기준 [4] 마포구 가선거구 (공덕동): 이상원
마포구 나선거구 (아현동, 도화동): 김승수
마포구 다선거구 (용강동, 신수동): 강동오
마포구 라선거구 (대흥동, 염리동): 오옥자
마포구 마선거구 (서강동, 합정동): 이한동
마포구 바선거구 (서교동, 망원1동): 안미자
마포구 사선거구 (망원2동, 연남동, 성산1동): 홍지광
마포구 아선거구 (성산2동, 상암동): 백남환
마포구 비례대표: 권인순
[5] 마포구 가선거구 (공덕동): 고병준
마포구 라선거구 (대흥동, 염리동): 남해석
마포구 마선거구 (서강동, 합정동): 채우진
마포구 바선거구 (서교동, 망원1동): 차해영
마포구 아선거구 (성산2동, 상암동): 신종갑, 최은하
마포구 비례대표: 장정희
[6] 마포구 나선거구 (아현동, 도화동): 한선미
마포구 다선거구 (용강동, 신수동): 권영숙
[7] 마포구 사선거구 (망원2동, 연남동, 성산1동) 김영미 의원 사망으로 인한 공석 [8] 마포구 제1선거구 (공덕동, 아현동, 도화동): 이민석 (초선)
마포구 제2선거구 (용강동, 신수동, 대흥동, 염리동): 소영철 (초선)
[9] 마포구 제4선거구 (망원2동, 연남동, 성산1동, 성산2동, 상암동): 김기덕 (4선) [10] 마포구 제3선거구 (서강동, 합정동, 서교동, 망원1동) 정진술 의원 제명으로 인한 공석 [11] 국가기록원 사이트에 있는 1995년에 발간한 자치법규집에서 처음 나오는 것으로 보아 이때부터 쓴 것으로 추정된다. [12] 서울 자치구 중 로고에 로마자가 들어간 곳 중 하나이다. 나머지는 구로구, 성북구. [13] 용산방의 '용'과 서강방의 '강'을 따서 지은 이름이다. 현재 마포구 용강동의 이름도 바로 옛 용강면의 흔적. 덤으로 이 당시에는 한강 건너편의 여의도도 용강면 관할이었다. [14] 도심과 신촌을 잇는 신촌로가 개수되면서, 신촌로를 따라 경계선을 직선화하였다. [15] 이곳은 마포구뿐만 아니라 인접한 은평, 서대문구 학교들의 사생대회나 백일장 장소로 서오릉, 호수공원과 함께 애용(?)된다. [16] 前 서울 OGN e스타디움. 임대하는 기업이 정하는 이름에 따라 그때그때 바뀌는 것으로 보인다. [17] 5호선, 6호선, 경의중앙선, 공항철도 [18] 평당가 기준 서울시내 6위. [19] 서울 지하철 6호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디지털미디어시티역은 각각 은평구 증산동, 은평구 수색동 관할이지만 공항철도의 디지털미디어시티역은 마포구 상암동 관할이다. [20] 2022년 일반고 전환 [21] 남자 학교의 경우가 특히 심각하다. 안그래도 광성고등학교, 경성고등학교등 주변에 남자 고등학교가 널려있는 와중에 이대부고, 숭문고 등이 끼어 있다. 이런 여파로 숭문고와 이대부고(남자만)은 수년째 지원생 미달 상태이고, 이 문제는 현재진행형이다. [22] 다만 상술했던 학생 감소문제로 아이스하키부도 인원이 줄어들면서 부서 유지가 어려워지고 있다고 한다. [23] 가양역 8번 출구로 나와서 조금만 걸으면 홈플러스 강서점 맞은편에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