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6 13:46:00

르노 사프란

파일:르노 로고(1992-2004).png
파일:르노 사프란.jpg
SAFRANE

1. 개요2. 유럽 사양(준대형)
2.1. 1세대 (1992~2000)
3. 한국 사양 리뱃징(중형)
3.1. 2세대 (A34R, 2008~2010)3.2. 3세대 (L43, 2011~2019)
4. 둘러보기


RENAULT SAFRANE / LATITUDE[1]
RENAULT-SAMSUNG SM5[2]

1. 개요

프랑스의 자동차 제조사인 르노에서 1992년부터 2000년까지 생산한 E세그먼트 차량이다. 유럽형과는 별개로, SM5 배지 엔지니어링 모델이 2008년부터 2010년대 후반까지 판매된 적이 있었다.

2. 유럽 사양(준대형)

2.1. 1세대 (1992~2000)

파일:renault-safrane.jpg
파일:safrane92.jpg
전기형 전기형 후면부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실내 모습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renault-safrane-interior.jpg
파일:Renault-Safrane-Interior.jpg
}}}}}}}}}
25의 후속 모델로 1992년 4월에 등장했다. 동급 차량들 대부분이 세단이었지만 이전 모델인 25처럼 5도어 리프트백 형상을 유지해 실용성을 강조했는데, BMW, 메르세데스-벤츠, 아우디 등 독일 브랜드의 세단과 정면으로 대결하기보다는 구매자들에게 대안을 찾도록 유도하려는 전략이었다.[3] 전륜구동을 기본으로 AWD 사양을 제공했고, 엔진은 직렬 4기통 2.0L 및 2.2L 가솔린과 2.1L 디젤이 존재했고, 변속기는 5단 수동을 기본으로 4단 자동이 제공되었다. 또한 르노 최초로 에어백을 장착했고, 25의 단점이었던 조립품질과 섀시 강성이 낮다는 점을 참고해 사프란에서는 섀시를 강화시키고 소음을 줄이기 위해 방음재를 사용해 품질 문제를 개선했다. 그와 동시에 차체 중량도 25 대비 200~300kg 정도 무거워졌다. 트림은 RN, RT, RXE, 바카라(Baccara)가 있었다.

1993년 말에는 115마력의 I4 2.5L 터보 디젤 엔진을 라인업에 추가했는데, 몇 달 후에 등장한 아우디 A6가 140마력짜리 2.5L TDI 엔진을 달고 나오면서 두 차량이 치열하게 경쟁하게 되었다.
파일:사프레인1-2.jpg
파일:safrane96.jpg
전기형 바이터보 바이터보 바카라 후면부
또한 1994년에는 알핀 A610에 들어가는 V6 3.0L 트윈터보 엔진을 얹은 "바이터보" 사양을 RXE와 바카라 트림에 제공했다. 바이터보 사양은 258마력(hp)의 최고출력을 기록했고 AWD 구동방식이 적용되었으며, 1996년 9월까지 806대가 생산되고 종료되었다.
파일:rs_5863.jpg
파일:rs_5864.jpg
사프란 롱 쿠르 프로토타입
파생형으로 사프란 롱 쿠르(Long Cours)라는 웨건형 모델도 있었지만 프로토타입으로만 제작되고 실제로 출시되지는 않았다. 이후 사프란의 웨건 모델은 라구나 에스테이트에서 이어지게 된다.
파일:사프레인1-3.jpg
파일:사프레인1-4.jpg
후기형 퀘스터 트림 후기형 후면부
1996년 7월, 르노에서는 사프란의 판매 부진을 극복하기 위해 페이스리프트를 거친 후기형을 출시했다. 전후면 디자인이 변경되었고, 퀘스터(Questor)라는 트림이 추가되었으며, 엔진 라인업을 변경했다. 가솔린의 경우, 직렬 4기통 2.0L와 직렬 5기통 2.5L 엔진은 볼보에서 가져왔고, V6 3.0L 엔진도 기존의 12밸브에서 24밸브로 바꾸었다. 디젤 엔진은 직렬 4기통 2.2L 엔진 한 가지만 제공되었다.

사프란은 25에서 지적받았던 문제점에 대해 개선 작업을 거치면서 25에 비해 많이 좋아졌다는 호평을 받았지만, 르노 최초로 적용한 케이블 방식 수동변속기가 운전재미를 말아먹었다고 까이기도 했고, 수동변속기 수요가 높은 유럽에서는 이를 심각한 문제로 인식했다. 또한, 차가 많이 무거워지면서 연비가 안 좋고 출력이 딸린다는 지적도 있었다. 그 결과, 사프란은 자크 시라크 프랑스 대통령의 의전차로 쓰이는 등 어느 정도 수요가 있었으나, 그 외의 지역에서는 잘 안 팔렸고, 독일 브랜드의 E세그먼트 차들을 이길 수 없었다. 페이스리프트를 거치면서 수동변속기를 재설계하는 등 추가 개선 작업을 거쳤지만, 판매량이 여전히 나아지지 않자, 르노에서는 사프란을 2000년 12월에 단종시키고, 후속모델로 벨 사티스를 2002년에 투입했다. 하지만 벨 사티스는 못생긴 디자인으로 엄청나게 까였고, 이에 따라 벨 사티스도 판매부진의 늪을 빠져나오지 못하고 2009년에 단종되었다.

3. 한국 사양 리뱃징(중형)

3.1. 2세대 (A34R, 2008~2010)

파일:슴오수출2.jpg
파일:90525205-6754-40CE-900D-41DE93F52857.png
외관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실내 모습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1932EB88-4385-439A-966B-16AF6EC56324.jpg
파일:4C210D38-1BD4-4DB6-9681-ACDB5AF11196.jpg
}}}}}}}}}
한편 사프란이라는 이름은 2008년에 중동 시장 차량의 이름으로 부활했는데, 르노삼성자동차 SM5 SM7 파워트레인을 조합한 모델이었다. 외관과 실내가 SM5 뉴 임프레션 그대로이기에 르노삼성 SM5의 오피셜 사진을 포토샵으로 르노 엠블럼만 합성해서 사프란의 공식사진으로 배포했었다. 한국 사양인 SM5 뉴 임프레션이 I4 2.0L MR20DE 엔진을 적용한 것과 달리, 사프란에는 중동 시장을 고려하여 같은 차체에 V6 3.5L VQ 엔진을 적용했다. 쉽게 말해 SM5의 외형에 SM7의 심장으로 바꾼 것이다. 티아나의 재림? 르노삼성 부산공장에서 생산된 이후로 2010년에 단종되었다.[4]

3.2. 3세대 (L43, 2011~2019)

파일:2D794B8A-68E8-42A5-A2D3-C7A9511FEE23.jpg
파일:DC72B0C7-D80E-4D82-9578-60460645CCE5.jpg
초기형 외관
파일:5ADF81A9-1085-4C49-86FA-876BA70F38EF.jpg
파일:F7E24185-3B0B-4DAB-8530-64429825533E.jpg
후기형 외관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실내 모습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2EE85420-42FB-4F4D-B96B-5F554AEAEFF8.jpg
파일:A8D3E43E-29E5-497D-9B60-374181B45D5A.jpg
파일:RS_5838.jpg 파일:rs_5839.webp
3세대 공통 실내[5] }}}}}}}}}

L43 SM5를 기반으로 한 사프란은 2011년부터 중동지역으로 수출되었다. 이전처럼 부산에서 만든 차를 수출하되, 이번에는 유럽 및 호주 사양인 르노 래티튜드의 외관과 같고, 1세대 탈리스만 실내와 VQ 엔진 중 3.5L 사양을 얹어 수출되었으며[6] 초기형은 2014년까지 판매되었고 2015년에 래티튜드와 같이 SM5 플래티넘의 외관으로 페이스리프트를 한 번 하고 2019년까지 판매되다 단종되었다.

4. 둘러보기

<colbgcolor=#000000>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000000><tablealign=center>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차급 판매 차량 단종 차량
<colbgcolor=#000><colcolor=#fff> 마이크로카 - 트위지
경차 트윙고(Z.E.) 3 · 4(1세대)
소형차 클리오 · 탈리안트( 크로스) · 5 E-테크 일렉트릭 타입 Y · AX · 타입 AG · 모나스텔라 · 4CV · 모나콰트르 · 유바콰트르 · 셀타콰트르 · NN · KJ · 도핀 · 7 · 로간/심볼 · 산데로 · 펄스 · 조에
준중형차 메간 뵈튜레 · 모나식스 · 6 · 8/ 10 · 9/11 · 얼라이언스/엥코르 · 14 · 19 · 스칼라 · 플루언스( Z.E.)
중형차 - 프리마스텔라 · 비바스포트 · 비바콰트르 · 노바콰트르 · GS · 12 · 16 · 18 · 20/ 30 · 21 · 토리노 · 사프란(2,3세대) · 래티튜드 · 탈리스만(2세대)/ SM6한국형
준대형차 - 프리마콰트르 · KZ · 콜로레일 · 25 · 사프란(1세대) · 벨 사티스 · 탈리스만(1세대)
대형차 - 타운카 · 40CV · 비바 그랑 스포트 · 비바스텔라 · 레이나스텔라 · 네르바스텔라 · 네르바스포트 · 수프라스텔라 · 비바식스 · 프레가트
그랜드 투어러 - 아반타임
스포츠카 - MT · 카라벨 · 15/ 17 · 푸에고
경형 SUV 크위드 E-테크 일렉트릭 시티 K-ZE
소형 SUV 카이거 · 산데로 스텝웨이/스텝웨이 · 더스터 · 카르디안 · 캡처 E-테크 하이브리드 · 메간 E-테크 일렉트릭 · 4 E-테크 일렉트릭 -
준중형 SUV 심비오즈 E-테크 풀 하이브리드 · 아르카나( E-테크 하이브리드) · 오스트랄 E-테크 하이브리드 · 라팔 E-테크 하이브리드 · 세닉 E-테크 일렉트릭 카자르 · 콜레오스(1세대)
중형 SUV 에스파스 E-테크 하이브리드 · 콜레오스(2세대)/ QM6한국형 · 그랑 콜레오스 -
소형 MPV 트라이버 모뒤스 · 롯지
준중형 MPV - 세닉
중형 MPV - 에스파스
픽업트럭 알래스칸 · 더스터 오로크 -
상용밴 트래픽 · 캉구 · 그랑 캉구 · 마스터 캉구 Z.E. · 익스프레스 · 에스타페테 · 쥬바카르트 · 콜로랄레 · 1000 kg
전차 - FT · B1 · B1 비스 · R35 · R40
장갑차 - UE 슈니예트
군용차 - TRM 500 · 셰르파 3
르노 스포트의 차량
르노 스포트의 레이스카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white><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역대 수상 차량
1991년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파일:1991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92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93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94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95 유럽 올해의 차.jpg
르노 클리오 폭스바겐 골프 닛산 마이크라 포드 몬데오 피아트 푼토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파일:1996 피아트 브라보.jpg 파일:1997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98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1999 유럽 올해의 차.jpg 파일:2000 유럽 올해의 차.jpg
피아트 브라보/브라바 르노 메간 세닉 알파 로메오 156 포드 포커스 토요타 야리스/ 야리스 베르소
역대 경합 후보
1991년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닛산 프리메라 오펠/복스홀 아스트라 피아트 친퀘첸토 시트로엥 잔티아 폭스바겐 폴로
오펠 칼리브라 시트로엥 ZX 르노 사프란 메르세데스-벤츠 C클래스 오펠 오메가
역대 경합 후보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푸조 406 포드 카 폭스바겐 골프 오펠 아스트라 피아트 멀티플라
아우디 A4 폭스바갠 파사트 아우디 A6 푸조 206 오펠 자피라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1] 원래 1990년대 1990년부터 1999년까지여야 하지만, 시작 연도가 2001년부터 후보 차량이 7대로 늘어나면서 틀의 크기가 안 맞는 현상을 조정하고자 2000년을 해당 부분에 포함하였음.
}}}}}}}}} ||



[1] 3세대 [2] 2, 3세대 [3] 딱히 그런 것은 아니고 단지 프랑스 사람들이 이런 형태의 차를 좋아하기 때문에 이렇게 나왔던 것일 뿐이다. 중~대형 자동차에 해치백 스타일을 적용하는 것은 프랑스 차에서는 이전에도 이후에도 흔한 것이었다. [4] 르노삼성 부산공장 근로자들은 알겠지만, 공장 내부에서 내구 시험 번호판이 부착된 상태로 돌아다닌 상태 나쁜 사프란 차량들을 쉽게 볼 수 있었다. [5] 탈리스만(1세대)의 실내도 추가되어 적용되었다. [6] 르노 래티튜드는 I4 2.0L, V6 2.5 / 3.5L 휘발유 사양과 I4 2.0L, V6 3.0L 디젤 등 엔진 바리에이션이 다양한데 그 중 3.5L 사양만 중동으로 수출하는 것이디. 한국 시장에도 3세대 SM5 초기형에 2.5L 사양이 판매된 적이 있었으나 저조한 판매량으로 삭제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6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66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