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23:51

로런츠 힘

전자기학
Electromagnetism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기초 개념
<colbgcolor=#009><colcolor=#fff> 관련 수학 이론 [math(boldsymbol{nabla})] · 디랙 델타 함수 · 연속 방정식 · 분리 벡터
전기 · 자기 개념 전자기력 · 전자기 유도( 패러데이 법칙) · 맥스웰 방정식 · 전자기파 · 포인팅 벡터 · 전자기학의 경계치 문제 · 전자기파 방사
정전기학 전하 · 전기장 · 전기 변위장 · 전기 퍼텐셜 · 가우스 법칙 · 전기 쌍극자 모멘트 · 유전율 · 대전현상 · 정전용량 · 시정수 · 정전기 방전
정자기학 자성 · 자기장 · 자기장 세기 · 자기 퍼텐셜 · 자기 쌍극자 모멘트 · 로런츠 힘 · 홀 효과 · 비오-사바르 법칙 · 앙페르 법칙 · 투자율
구현체 자석( 전자석 · 영구 자석) · 발전기 · 전동기
회로이론 · 전자회로 개념 회로 기호도 · 전류 · 전압 · 전기 저항( 비저항 · 도전율) · 전력( 전력량) · 직류 · 교류 · 키르히호프의 법칙 · 중첩의 원리 · 삼상
소자 수동소자: 직류회로( 휘트스톤 브리지) · RLC회로( 커패시터 · 인덕터 · 레지스터), 변압기
능동소자: 전원 · 다이오드 · 트랜지스터 · 연산 증폭기
응용 및 심화개념
관련 학문 상대론적 전자기학 · 양자 전기역학 · 응집물질물리학 · 고체물리학 · 전자공학 · 전기공학 · 제어공학 · 물리화학 · 광학 · 컴퓨터 과학( 컴퓨터공학)
토픽 이론 광자 · 게이지 장( 역장 · 장이론) · 물질파( 광전효과) · 다중극 전개 · 맥스웰 변형 텐서
음향 앰프( 파워앰프 · 프리앰프 · 인티앰프 · 진공관 앰프) · 데시벨 · 네퍼
반 데르 발스 힘( 분산력) · 복사 · 전도( 전도체 · 열전 효과) · 초전도체 · 네른스트 식
광학 굴절( 굴절률 · 페르마의 원리) · 스넬의 법칙 · 산란 · 회절 · 전반사 · 수차( 색수차) · 편광 · 분광학 · 스펙트럼 · 렌즈( 얇은 렌즈 방정식) · 프리즘 · 거울( 구면 거울 방정식) · ( 색의 종류 · RGB)
전산 논리 연산 · 논리 회로 · 오토마타( 프로그래밍 언어) · 임베디드 · 컴퓨터 그래픽스( 랜더링) · 폴리곤 · 헥스코드
생물 생체신호( 생체전기 · BCI) · 신경계( 막전위 · 활동전위 · 능동수송) · 신호전달 · 자극(생리학)( 베버의 법칙 · 역치)
기타 방사선 · 반도체 · 전기음성도 · 와전류 · 방전 · 자극 · 표피효과 · 동축 케이블 · 진폭 변조 · 주파수 변조 · 메타물질
관련 문서
물리학 관련 정보 · 틀:전기전자공학 · 전기·전자 관련 정보 · 틀:이론 컴퓨터 과학 · 틀:컴퓨터공학 }}}}}}}}}

'''[[전기전자공학과|전기·전자공학
{{{#!wiki style="font-family: Times New Roman, serif; font-style: Italic; display: inline;"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9><colcolor=#fff> 학문 기반 학문
물리학 ( 전자기학 ( 회로이론 · 전자 회로 · 논리 회로) · 양자역학 · 물리화학 · 열역학 · 응집물질물리학) · 화학
연관 학문
수학 ( 공업수학 · 수치해석학 · 위상수학 · 미분방정식 · 대수학 ( 환론 · 표현론) · 선형대수학 · 이론 컴퓨터 과학 · 컴퓨터공학 ( 프로그래밍 언어 ( HDL · VHDL · C · C++ · Java · 파이썬 · 베릴로그)) · 재료공학 · 제어 이론
공식 · 법칙 전자기 유도 · 가우스 법칙 · 비오-사바르 법칙 · 무어의 법칙 · 키르히호프의 법칙 · 맥스웰 방정식 · 로런츠 힘 · 앙페르 법칙 · 드모르간 법칙 · 페르미 준위 · 중첩의 원리
이론 · 연구 반도체 ( P형 반도체 · N형 반도체) · 디스플레이 · 논리 회로 ( 보수기 · 가산기 · 플립플롭 · 논리 연산) · 전자 회로 · RLC 회로 · 역률 · DSP · 히스테리시스 곡선 · 휘트스톤 브리지 · 임베디드 시스템
용어 클럭 · ASIC · CPU 관련 ( BGA · 마이크로아키텍처 · GPS · C-DRX · 소켓) · 전계강도계 · 축전기 · CMCI · 전송선 · 양공 · 도핑 · 이미터 · 컬렉터 · 베이스
전기 · 전자
관련 정보
제품
스마트폰 · CPU · GPU ( 그래픽 카드) · ROM · RAM · SSD · HDD · MPU · CCD · eMMC · USB · UFS · LCD · LED · OLED · AMOLED · IoT · 와이파이 · 스마트 홈 · 마그네트론 · 마이크 · 스피커 · 배터리
소자
집적 회로 · 다이오드 · 진공관 · 트랜지스터 ( BJT · FET · JFET · MOSFET · T-FT) · CMOS · IGBT · 저항기 · 태양전지 · 연산 증폭기 · 사이리스터 · GTO · 레지스터 · 펠티어 소자 · 벅컨버터
자격증
전기 계열 기능사
전기기능사 · 철도전기신호기능사
기사
전기기사 · 전기산업기사 · 전기공사기사 · 전기공사산업기사 · 전기철도기사 · 전기철도산업기사 · 철도신호기사 · 철도신호산업기사
기능장 및 기술사
전기기능장 · 건축전기설비기술사 · 발송배전기술사 · 전기응용기술사 · 전기안전기술사 · 철도신호기술사 · 전기철도기술사
전자 계열 기능사
전자기기기능사 · 전자계산기기능사 · 전자캐드기능사
기사
전자기사 · 전자산업기사 · 전자계산기기사 · 전자계산기제어산업기사
기능장 및 기술사
전자기기기능장 · 전자응용기술사
기타 기능사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능사(태양광)
기사
소방설비기사 ·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태양광) · 로봇소프트웨어개발기사 · 로봇하드웨어개발기사 · 로봇기구개발기사
}}}}}}}}}


1. 개요2. 상세
2.1. 전기장 영역에 대한 로런츠 힘2.2. 자기장 영역에 대한 로런츠 힘2.3. 일반적인 로런츠 힘2.4. 상대론적 로런츠 힘
3. 대표 예제
3.1. 속도 선택기3.2. 질량 분석기3.3. 자기장 영역에 입사한 대전 입자의 운동
3.3.1. 양자역학에서
4. 응용5. 관련 문서

1. 개요

Lorentz force

전하량을 가진 물체가 전자기장 내에서 받는 힘.

1892년, 헨드릭 A. 로런츠(Hendrik Antoon Lorentz; 1853~1928)가 유도하였다.

2. 상세

2.1. 전기장 영역에 대한 로런츠 힘

전기장 영역에 전하가 있는 입자는 전기력에 의해 힘을 받게 되며, 아래와 같이 주어진다.

[math( \mathbf{F}=q\mathbf{E})]

여기서 [math( q )]는 전하량, [math( \mathbf{E} )]는 전기장이다.


만약, 전하가 연속적으로 분포하는 계가 전기장 영역에 있는 경우에서는 전하 밀도 [math( \rho \equiv {\rm d}q/{\rm d}V )]를 도입하여,

[math(\displaystyle \mathbf{F}= \iiint \rho \mathbf{E} \,{\rm d}V)]

로도 쓸 수 있다.

2.2. 자기장 영역에 대한 로런츠 힘

자기장 영역에 전하가 있는 입자가 운동할 때, 입자는 힘을 받게 되는데, 아래와 같이 주어진다.

[math( \mathbf{F}=q\mathbf{v} \times \mathbf{B} )]

여기서 [math( q )]는 전하량, [math( \mathbf{v} )]는 입자의 속도, [math( \mathbf{B} )]는 자기장이다.


연속적인 전하 분포를 가진 계에서 전하밀도 [math( \rho={\rm d}q/{\rm d}V )]와 [math( \mathbf{v} )]의 곱 [math( \rho \mathbf{v} )]은 전류밀도 [math( \mathbf{J} )]이므로 로런츠 힘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math( \displaystyle \mathbf{F}=\iiint\, (\mathbf{J} \times \mathbf{B})\,{\rm d}V )]


전류가 흐르는 도선은 곧 전하의 흐름이 지속되는 관이라 볼 수 있고, 이것이 자기장 영역 안에 놓여있다면, 관을 통과하는 전하들은 힘을 받는다. 관을 통과하는 전하는 근사적으로 선형 전류로 취급할 수 있어[1], 일정한 전류 [math( I )]가 흐르는 도선이 받는 힘은

[math(\displaystyle \mathbf{F}=\iiint\, (\mathbf{J} \times \mathbf{B})\,{\rm d}V \approx \int\, I\, {\rm d}\mathbf{l} \times \mathbf{B} )]

여기서 [math( {\rm d}\mathbf{l} )]은 전류의 미소 변위 벡터이다. 쉽게 말하면 전류가 통과하는 미소 길이를 벡터로 나타냈다고 생각하면 된다.

가장 제한적인 형태로 도선의 길이가 [math( l )]이고, 자기장과 전류가 수직한 방향으로 지난다면, 로런츠 힘의 크기는

[math(\displaystyle F=BIl )]

로 익숙한 형태가 된다. 방향은 아래를 참고한다. 흔히 말하는 플레밍의 왼손 법칙이다.
파일:pic1-1.png

2.3. 일반적인 로런츠 힘

위에서 논의한 로런츠 힘은 전기장 혹은 자기장이 단일로 존재할 경우이지만, 실제 상황에서는 둘 다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로런츠 힘은 전기장 [math( \mathbf{E} )]에 의한 가속력 [math( q\mathbf{E} )]을 더한 것까지 쳐준다.

[math( \mathbf{F}=q(\mathbf{E}+\mathbf{v} \times \mathbf{B}) )]

또한, 다르게 쓰면,

[math( \displaystyle \mathbf{F}= \iiint\, (\rho \mathbf{E}+\mathbf{J} \times \mathbf{B})\,{\rm d}V)]

로 쓸 수 있다. [math( \rho,\,\mathbf{E},\,\,\mathbf{B},\,\,\mathbf{J} )]는 각각 전하 밀도, 전기장, 자기장, 전류 밀도이다.

참고적으로 CGS 단위계에서 로런츠 힘은 다음과 같다. [math(c)]는 광속이다.

[math( \displaystyle \mathbf{F}=q\biggl(\mathbf{E}+\frac{\mathbf{v}}{c} \times \mathbf{B}\biggr) )]

2.3.1. 퍼텐셜 형태

전기장 [math(\mathbf{E})]과 자기장 [math(\mathbf{B})]는 아래와 같은 퍼텐셜 형태로 쓸 수 있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mathbf{E}&=-\boldsymbol{\nabla}\Phi-\frac{\partial \mathbf{A}}{\partial t} \\ \mathbf{B}&=\boldsymbol{\nabla} \times \mathbf{A} \end{aligned})]

이때, [math(\Phi)], [math(\mathbf{A})]는 각각 전기 퍼텐셜 자기 퍼텐셜이다. 이것을 적용하여 로런츠 힘을 퍼텐셜 형태로 쓰면,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mathbf{F}&=q( \mathbf{E}+ \mathbf{v} \times \mathbf{B} ) \\&=-q\boldsymbol{\nabla}\Phi-q\frac{\partial \mathbf{A}}{\partial t}+q\mathbf{v}\times (\boldsymbol{\nabla} \times \mathbf{A}) \end{aligned})]

벡터 항등식을 사용하여 우변의 제3항은

[math(\displaystyle q\mathbf{v}\times (\boldsymbol{\nabla} \times \mathbf{A})=q\boldsymbol{\nabla} (\mathbf{v} \boldsymbol{\cdot} \mathbf{A})-q(\mathbf{v} \boldsymbol{\cdot} \boldsymbol{\nabla})\mathbf{A} )]

한편,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frac{d \mathbf{A}}{dt}&=\frac{\partial \mathbf{A}}{\partial t}+\sum_{i} v_{i} \frac{\partial \mathbf{A}}{\partial x_{i}} \\&=\frac{\partial \mathbf{A}}{\partial t}+(\mathbf{v} \boldsymbol{\cdot} \boldsymbol{\nabla})\mathbf{A} \end{aligned} )]

이므로 로런츠 힘은 아래와 같이 써질 수 있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mathbf{F}&=-\boldsymbol{\nabla}(q\Phi-q \mathbf{v} \boldsymbol{\cdot} \mathbf{A})-\frac{d (q\mathbf{A})}{dt} \\&=-\boldsymbol{\nabla}(q\Phi-q \mathbf{v} \boldsymbol{\cdot} \mathbf{A})+\frac{d }{dt} \boldsymbol{\nabla}_{\mathbf{v}}(q\Phi-q \mathbf{v} \boldsymbol{\cdot} \mathbf{A}) \end{aligned})]

[math(\boldsymbol{\nabla}_{\mathbf{v}})]는 속도에 관하여 미분 연산하라는 것이다. 즉,

[math(\displaystyle \boldsymbol{\nabla}_{\mathbf{v}}= \sum_{i} \frac{\partial}{\partial v_{i}} \mathbf{\hat{x}}_{i} = \sum_{i} \frac{\partial}{\partial \dot{x}_{i}} \mathbf{\hat{x}}_{i} )]

마지막 식의 제 2항은 수학적 요구에 의해 변형된 것으로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boldsymbol{\nabla}_{\mathbf{v}}(q\Phi-q \mathbf{v} \boldsymbol{\cdot} \mathbf{A}) &=q\sum_{i}\frac{\partial }{\partial v_{i}} v_{i}A_{i} \mathbf{\hat{x}}_{i} \\&=q \sum_{i} A_{i} \mathbf{\hat{x}}_{i} \\&=q\mathbf{A} \end{aligned})]

이다. [math(\Phi)]는 속도에 의존하지 않으므로 속도에 대한 미분은 0이다.

2.3.2. 라그랑지언 해밀토니언

이 문단에서는 대전된 전하가 전자기장 내부에 있을 때, 라그랑지언과 해밀토니언을 구해보도록 하자.

일반적으로 속도에 의존하는 퍼텐셜 [math(U)]와 일반화힘 [math(\mathbf{Q})]에 대하여

[math(\displaystyle \mathbf{Q}=-\boldsymbol{\nabla} U +\frac{d}{dt}\boldsymbol{\nabla}_{\mathbf{v}} U )]

로 쓸 수 있음에 따라 퍼텐셜은 [math(U=q(\Phi- \mathbf{v} \boldsymbol{\cdot} \mathbf{A}) )]로 쓸 수 있고, 이에 따라 라그랑지언은 아래와 같이 쓸 수 있다. 이때, [math(T)]는 운동 에너지이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mathscr{L}&=T-U \\&=\frac{1}{2}mv^{2}-q(\Phi- \mathbf{v} \boldsymbol{\cdot} \mathbf{A}) \end{aligned} )]


라그랑지언과 해밀토니언은 르장드르 변환으로 연결돼있다. 운동량을 [math(\mathbf{p})]라 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math(\displaystyle \mathcal{H}=\mathbf{p} \boldsymbol{\cdot} \mathbf{v}-\mathscr{L} )]

이때, 운동량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mathbf{p}&=\boldsymbol{\nabla}_{\mathbf{v}} \mathscr{L} \\&=m\mathbf{v}+q\mathbf{A} \end{aligned})]

으로 결정할 수 있음에 따라 해밀토니언은 아래와 같이 쓸 수 있다.[2]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mathcal{H}&=mv^{2}+q \mathbf{v} \boldsymbol{\cdot} \mathbf{A} - \left[ \frac{1}{2}mv^{2}-q(\Phi- \mathbf{v} \boldsymbol{\cdot} \mathbf{A}) \right] \\&=\frac{1}{2m} (\mathbf{p}-q \mathbf{A})^{2}+q \Phi \end{aligned})]


위의 결과는 국제단위계에서 유도된 것이고, CGS 단위계에서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math(c)]는 광속이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mathscr{L}&=\frac{1}{2}mv^{2}-q \left(\Phi- \frac{\mathbf{v}}{c} \boldsymbol{\cdot} \mathbf{A} \right) \\\mathcal{H}&=\frac{1}{2m} \left(\mathbf{p}-\frac{q}{c} \mathbf{A} \right)^{2}+q \Phi \end{aligned})]


이 결과는 두 가지의 생각할 점을 주는데, 라그랑지언은 본래 퍼텐셜이 속도에 의존하면 단순히 운동 에너지에서 퍼텐셜 에너지의 차로 정의해도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이 훼손되는데 이 경우는 그렇지 않다는 점이 그 하나이고, 두 번째는 해밀토니언이 운동 에너지와 퍼텐셜 에너지의 합으로 주어지지 않는 점이다. 이는 계 자체는 스클로노믹하나 퍼텐셜이 속도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즉, 해밀토니언이 꼭 운동 에너지와 퍼텐셜 에너지와 항상 같다고 생각하면 위험함을 암시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라그랑주 역학, 해밀턴 역학 문서를 참조한다.

2.4. 상대론적 로런츠 힘

상대론적 로런츠 힘은 전자기장 텐서 [math(F^{\mu \nu})]의 도입으로 정의되는데,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K^{\mu}=q u_{\nu} F^{\mu\nu} \end{aligned} )]

여기서 [math(u_{\nu})]는 고유 속도로,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u_{\nu}=\frac{{\rm d} x_{\nu}}{{\rm d}\tau} \end{aligned} )]

으로 정의된다. [math(\tau)]는 고유 시간이다.

여기서 상대론적 힘 [math(\mathbb{K})]의 공간 성분은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mathbf{K}=\gamma q (\mathbf{E}+\mathbf{u} \times \mathbf{B}) \end{aligned} )]

로 나오게 된다. 이때, 상대론적 힘과 일반 힘의 관계는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mathbf{K}=\gamma \mathbf{F} \end{aligned} )]

로, 위의 정의된 상대론적 로런츠 힘을 사용하면 고전적으로 알려진 로런츠 힘으로 환원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3. 대표 예제

3.1. 속도 선택기

속도 선택기(Velocity selector)는 일정한 전기장과 자기장을 직교하게 걸어서 전하를 띠는 입자의 속도를 재는 기구이며, 간략하게 나타내면 아래의 그림과 같이 생겼다.


파일:로런츠 힘_1_수정_1.png

그림과 같이 서로 직교하면서 균일한 전기장 [math( \mathbf{E} )]와 자기장 [math( \mathbf{B} )]를 걸어준 영역에 수직으로 [math( \mathbf{v} )]의 속도로 입사하는 질량과 전하량이 각각 [math( m )], [math( q )]인 입자를 고려하자.[3]

입자는 전하를 띠고, 전기장과 자기장 모두 있는 영역에 입사하므로 아래와 같은 로런츠 힘을 받는다.

[math(\mathbf{F}=q(\mathbf{E}+\mathbf{v} \times \mathbf{B}) )]

그런데, 입자가 등속도 운동했다면, 입자에 가해지는 알짜힘은 [math( 0 )]이 돼야 하므로

[math(q(\mathbf{E}+\mathbf{v} \times \mathbf{B})=0)]

을 만족해야 한다. 위 그림에서 두 힘은 작용 방향만 반대인 것을 알 수 있으므로 벡터 대신 스칼라로 적어도 무관하다.

[math(qvB=qE)]

따라서 입자의 속력은

[math(\displaystyle v=\frac{E}{B})]

로 정리된다.


위의 논의는 다음을 얻는다.
  • [math( v={E}/{B} )]를 만족하지 않는다면, 입자는 선택기 내부에서 등속도 운동하지 않는다. 즉, 입자의 운동 경로는 더 이상 직선이 아니고, 휜 경로를 갖는다.
  • 전기장과 자기장의 세기만 조절하면 원하는 속도를 가진 입자만 골라내거나, 원하는 속도로 입자가 방출되게끔 할 수 있다.


여담으로,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중 "물리 II"과목에서 문제 오류가 발생했던 주제이기도 하다. 자세한 것은 이곳을 참조하기 바란다.

3.2. 질량 분석기

질량 분석기는 일정한 자기장 영역에 전하를 띤 입자를 자기장에 수직으로 입사시켜, 입자의 원운동 반지름으로 입자의 질량을 추적하는 장치이다. 간략하게 나타내면 아래의 그림과 같이 생겼다.


파일:나무위키_로런츠힘2.png

위 그림과 같이 균일한 자기장 [math( \mathbf{B} )]가 형성된 영역에 수직으로 [math( \mathbf{v} )]의 속도로 입사된 질량과 전하량이 각각 [math( m)], [math( q )]인 입자를 고려하자.

이때, 입자는 전하를 띄고, 이것이 자기장 영역에 입사됨에 따라 로런츠 힘

[math(\mathbf{F}=q\mathbf{v} \times \mathbf{B})]

를 받는다.

따라서 입자가 받는 힘은 움직이는 방향의 항상 수직이 되므로 입자는 자기장 영역 내에서 반지름 [math( r )]인 원운동하게 된다. 이때, 입자가 받는 구심력은 곧 로런츠 힘이고, 자기장과 속도 벡터가 수직이므로 이것을 스칼라로 써도 무방하므로

[math(\displaystyle qvB=\frac{mv^{2}}{r})]

를 얻는다.

이상에서 입자의 원운동 반지름은

[math(\displaystyle r=\frac{mv}{qB})]

가 된다.

따라서, [math( B,\,q,\,v )] 모두 같은 조건에서는 원운동 반지름은 질량에 비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동위원소의 경우 중성자의 개수만 달라 전하량은 같지만, 질량만 다르게 된다. 따라서 이 질량 분석기를 써써 같은 속도로 자기장 영역에 입사시킨다면, 질량에 따라 다른 반지름을 가지고 원운동하므로 동위원소의 질량을 추적하고,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질량 분석기의 경우 아래의 그림과 같이 위 문단에서 논의된 속도 분석기와 같이 해서 쓰는데, 그 이유는 입사 속도를 같게 해줘야 하기 때문이다.

파일:나무위키_로런츠힘3.png

화학에서도 이온의 질량 분석을 위해 이 원리를 사용한다.

해당 링크에서 속도 선택기와 질량 분석기가 붙어있는 경우에 대해 시뮬레이션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같은 조건에서 같은 입자를 다른 속도로 질량 분석기에 입사시킨다면, 그 속도를 알아낼 수 있다. 위에서 구한 식에서 [math( v )]에 대하여 정리해주면,

[math(\displaystyle v=\frac{qBr}{m}\propto r)]

즉, 원운동 반지름에 비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3. 자기장 영역에 입사한 대전 입자의 운동

[math(\mathbf{B}=B \mathbf{\hat{y}})]

위와 같은 자기장 영역에 다음의 속도로 입사한 질량과 전하량이 각각 [math( m)], [math(q )]인 입자를 고려하자.

[math(\mathbf{v}=\dot{x} \mathbf{\hat{x}}+\dot{y} \mathbf{\hat{y}}+\dot{z} \mathbf{\hat{z}})]

이때, 입자가 받는 로런츠 힘은

[math( q \mathbf{v} \times \mathbf{B} =q \begin{vmatrix}\,\mathbf{\hat{x}} &\mathbf{\hat{y}} &\mathbf{\hat{z}}\, \\ \,\dot{x} & \dot{y} & \dot{z}\,\\\,0 & B &0\, \end{vmatrix}=qB(\dot{x}\mathbf{\hat{z}}-\dot{z}\mathbf{\hat{x}}) )]

따라서, 입자의 질량을 [math( m )]이라 놓으면, 다음이 성립한다.

[math(\displaystyle \ddot{x}=-\frac{qB}{m}\dot{z},\,\,\ddot{y}=0,\,\, \ddot{z}=\frac{qB}{m}\dot{x})]


이상에서 위의 운동 방정식을 풀면, 다음을 얻는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x-x_{0}&=c_{1}\sin{\frac{qB}{m}t}+c_{2}\cos{\frac{qB}{m}t} \\ y-y_{0}&=c_{3}t \\ z-z_{0}&=c_{1}\sin{\frac{qB}{m}t}-c_{2}\cos{\frac{qB}{m}t} \end{aligned})]

초기조건으로 다음을 설정하면[4],

[math(\displaystyle \dot{x}(0)=0,\,\,\dot{y}(0)=v_{y},\,\,\dot{z}(0)=v_{z})]

쉽게 상수는 결정됨에 따라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x-x_{0}&=\frac{mv_{z}}{qB}\cos{\frac{qB}{m}t} \\ y-y_{0}&=v_{y}t \\ z-z_{0}&=\frac{mv_{z}}{qB}\sin{\frac{qB}{m}}t \end{aligned} )]

이 된다.


식을 분석해보면, 입자는 [math( xz )]평면에서 반지름 [math( R=mv_{z}/Bq )]로 원운동함과 동시에 [math( y )]축 방향으로는 [math( v_{y} )]의 속력으로 등속 운동한다. 따라서 입자는 아래와 같이 나선 궤도를 그리며 운동하게 된다.

파일:namu_자기장 영역 내 입사한 입자의 운동_궤도.svg


입자의 속력은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는다. 이것은 로런츠 힘이 입자의 운동 방향에 수직으로 작용한다는 것에서 자기장이 물체에게 하는 일이 없다는 것과 연결된다.


또, 입자의 [math( y )]축 속력이 없이 입사되었다면, 즉, 자기장에 대해 수직이게 [math( v_{z}=v )]의 속력으로 입자가 입사되었다면, 입자는 원운동한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원운동 반지름 [math( R )]과 진동수 [math( f )]는 다음과 같다.

[math( \displaystyle R=\frac{mv}{qB}\qquad \qquad f=\frac{1}{2\pi}\frac{qB}{m} )]

이 중 반지름은 윗 문단의 질량 분석기에서 논의했던 것과 같은 결과를 얻었음을 알 수 있다.

3.3.1. 양자역학에서

위와 같은 문제 상황을 양자역학적으로 다뤄보자. 양자역학에서는 자기장을 다루기 위해 자기 퍼텐셜의 도입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불행히도 해당 자기 퍼텐셜은 유일하게 결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가장 간단한 형태인 다음을 고려하자.

[math( \displaystyle \mathbf{A}=zB \mathbf{e}_{x} )]

단위 벡터와 연산자 표기의 혼동을 막기 위해 이 문단에서만 단위 벡터를 [math(\mathbf{e}_{x})] 형식으로 표기했다. 이 경우 [math(\boldsymbol{\nabla}\times \mathbf{A}=B \mathbf{e}_{y})]으로 환원된다.

자기장 영역 내 슈뢰딩거 방정식은 아래와 같이 주어진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mathcal{H}\psi= \frac{p^2}{2m} \psi+\frac{i \hbar q}{m} \mathbf{A} \boldsymbol{\cdot} (\boldsymbol{\nabla}\psi)+\frac{q^2 A^2}{2m} \psi =E\psi \end{aligned})]

자세한 유도는 이곳을 참조한다. 위의 자기 퍼텐셜을 대입하면,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frac{p^2}{2m} \psi+\frac{i \hbar qBz}{m} \frac{\partial \psi}{\partial x}+\frac{q^2 A^2}{2m} \psi =E\psi \end{aligned})]

이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frac{1}{2m}(p_{x}^2+p_{y}^2+p_{z}^2) \psi-\frac{ qBz}{m} p_{x}\psi+\frac{q^2 A^2}{2m} \psi =E\psi \end{aligned})]

다음은 쉽게 보일 수 있는 교환자 관계이다.[5]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mathcal{H},\,p_{y}]=[\mathcal{H},\,p_{x}]=0 \end{aligned})]

이것은 곧 [math(\{ \mathcal{H},\,p_{x},\,p_{y}\})]가 서로 같은 고유함수를 공유함을 나타낸다. 따라서 위의 해를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psi(\mathbf{r})=e^{ik_{x}x}e^{ik_{y}y}f(z) \end{aligned})]

로 쓸 수 있다. 따라서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frac{\hbar^{2}}{2m}\frac{{\rm d}^2 f}{{\rm d}z^2}+\biggl[\frac{q^2 B^2}{2m}z^2-\frac{\hbar k_{x}}{m}qBz+\frac{\hbar^2k_{x}^2}{2m} \biggr]f & =\biggl[E -\frac{\hbar^2 k_{y}^{2}}{2m} \biggr]f \\ -\frac{\hbar^{2}}{2m}\frac{{\rm d}^2 f}{{\rm d}z^2}+\frac{q^2 B^2}{2m}\biggl[z^2-\frac{2\hbar k_{x}}{qB}z+\frac{ \hbar^2 k_{x}^2 }{q^2 B^2} \biggr]f&=\tilde{E}f \\ -\frac{\hbar^{2}}{2m}\frac{{\rm d}^2 f}{{\rm d}z^2}+\frac{q^2 B^2}{2m}\biggl(z-\frac{\hbar k_{x}}{qB} \biggr)^2 f & =\tilde{E}f \\ -\frac{\hbar^{2}}{2m}\frac{{\rm d}^2 f}{{\rm d}z^2}+\frac{m}{2}\frac{q^2 B^2}{m^2} \tilde{z}^2 f & =\tilde{E}f \\ -\frac{\hbar^{2}}{2m}\frac{{\rm d}^2 f}{{\rm d}\tilde{z}^2}+\frac{1}{2}m\omega^2 \tilde{z}^2 f & =\tilde{E}f \qquad \biggl( \omega \equiv \frac{qB}{m} \biggr)\end{aligned} )]
으로 정리되는데, 이는 1차원 양자 조화 진동자의 슈뢰딩거 방정식이다. 따라서 해는 다음과 같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f(\tilde{z})=\varphi_{n}(z-z_{0}) \qquad \biggl(z_{0} \equiv \frac{\hbar k_{x}}{m \omega} \biggr) \end{aligned})]

[math(\varphi_{n})]은 양자 조화 진동자의 [math(n)]번째 고유함수(단, [math(n \geq 0)]의 정수)이다.

이상에서 자기장 영역 내 입자가 가질 수 있는 에너지는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E_{n}=\hbar \omega \biggl( n+\frac{1}{2}\biggr)+\frac{p_{z}^2}{2m} \end{aligned})]

이처럼 자기장 영역 내에서도 입자의 (진동) 에너지는 양자화가 되는데 이러한 에너지를 란다우 준위(Landau level)라 한다. 고유함수는 아래와 같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psi=e^{ik_{x}x}e^{ik_{y}y}\varphi_{n}(z-z_{0}) \end{aligned})]

4. 응용

  • 레일건: 해당 문서에서는 도체 탄자를 이용한 경우를 다루었는데, 소형 레일건 (일명 사제 레일건) 등이나, 어떤 종류의 레일건은 중간의 연결 도선을 높은 전류로 순간적으로 증발시키면서 비금속 탄자를 가속시킨다고 한다.
  • 홀 효과: 반도체에서 응용되고 있는 현상이며, 전자가 전하 운반체임을 증명한 실험이다.
    전류가 흐르는 도선에 자기장을 수직으로 건다. 이 때 로런츠 힘에 의해, 전하 운반체를 전자로 가정할 때와 전하 운반체를 양성자(원자핵)으로 가정할 때의 힘의 방향이 결국 같아진다. 그런데 전위차는 한 방향으로만 생긴다. 이 전위차에 의해 전자가 전하 운반체임을 증명할 수 있다.
    자기 항아리 에서도 이 원리가 쓰인다. KSTAR 와 같은 플라즈마를 가두는 장치에서 반드시 필요한 개념이다. 이 경우, 적절한 세기의 강한 자기장을 걸면 어떤 입자건 무조건 특정 궤도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는 원리가 이용된다. 로런츠 힘 중 자기장에 의한 성분이 운동 방향에 수직임을 이용한 것이다.

그 외 전자기학의 거의 모든 분야에서 사용되는 힘이라고 할 수 있다.

5. 관련 문서


[1] 이것의 증명은 학부 전자기학 수준이므로 증명은 하지 않는다. [2] 해밀토니언이 운동 에너지와 퍼텐셜 에너지의 합으로 주어지는 것은 퍼텐셜이 속도에 의존하지 않을 때이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그러한 간단한 방법으로 구해선 안되고, 라그랑지언을 르장드르 변환하여 구하여야 한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3] 문제를 간단히 하기 위해서 중력은 고려하지 않았다. [4] 여기서 자기장에 대해 비스듬하게 입사되었음을 알 수 있다. [5] 서로 다른 축에 대한 운동량 연산자는 교환한다, 운동량 연산자와 그 멱수는 교환한다, 위치 연산자와 운동량 연산자는 정준 교환 관계를 만족시킨다. 이 세 가지를 이용하면 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2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22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