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2 23:17:47

디즈니 캐릭터 보이스 인터네셔널

파일:월트 디즈니 컴퍼니 로고.svg 파일:월트 디즈니 컴퍼니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11px; word-break:keep-all"
Disney Entertainment
월트 디즈니 스튜디오 | 월트 디즈니 픽처스 | 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 마블 스튜디오 | 루카스필름 | 디즈니 시어트리컬 그룹
20세기 스튜디오 | 서치라이트 픽처스
ABC entertainment | ABC News | ABC signature | ABC owned television station
Disney Branded Television( 디즈니채널, 디즈니주니어, 디즈니 XD, 디즈니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Freeform | FX | 내셔널 지오그래픽
디즈니+( 디즈니+ 핫스타) | Hulu | 디즈니 뮤직 그룹
월트 디즈니 스튜디오스 모션 픽처스
ESPN
ESPN | ESPN+
Disney Experiences
디즈니랜드 리조트 | 월트 디즈니 월드 | 상하이 디즈니 리조트
디즈니랜드 파리 | 도쿄 디즈니 리조트 | 홍콩 디즈니랜드 리조트
디즈니 크루즈 라인 | 디즈니 베케이션 클럽 | 아울라니, 어 디즈니 리조트 앤 스파
어드벤처스 바이 디즈니 | 월트 디즈니 이매지니어링
디즈니 퍼블리싱 월드 와이드 | 디즈니 스토어
기타
D23 | 마블 엔터테인먼트 | 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
A&E Networks | 디즈니 모바일 | 21세기 폭스 인수전 | 디즈니 네이처
디즈니 르네상스 | 디즈니 리바이벌 | 디즈니 레전드 | 미디어 프랜차이즈
해산
할리우드 픽처스 | 내셔널 지오그래픽 코리아 네트워크 | 터치스톤 픽처스 | 디즈니툰 스튜디오 | 블루 스카이 스튜디오 | 디즈니 디지털 네트워크
}}}}}}}}} ||

디즈니 캐릭터 보이스 인터네셔널
Disney Character Voice International, inc.
파일:Disney_Character_Voices.png
형태 자회사
업종 더빙 녹음
설립 1988년
소재지 미국 캘리포니아 글렌데일
주요 인물 마이클 아이스너 ( 창립자)
소유주 월트 디즈니 컴퍼니

1. 개요2. 역사3. 캐스팅4. 언어5. 한국에서
5.1. 초창기(1988~2004)5.2. 홍콩 디즈니 시기(2004 ~ 2014)5.3. 다시 디즈니 코리아 시기
5.3.1. DCVI와 같이 작업한 더빙 스튜디오

파일:440px-Oldanimationbuilding.jpeg.jpg
글렌데일에 있는 디즈니 캐릭터 보이스 인터네셔널 본사 건물

[clearfix]

1. 개요

디즈니 캐릭터 보이스 인터네셔널 일명 DCVI는 디즈니의 작품들의 더빙/자막을 총괄 관리 하는 곳으로 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작품들을 비롯한 픽사, 마블 스튜디오, 스타워즈 시리즈 등 다양한 디즈니 작품에 더빙을 관리, 감독 하는 곳이다. 한국을 비롯한 여러나라의 사무소가 있다.

2. 역사

디즈니에서 제일 첫번째로 더빙된 영화는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였으며 포르투갈어, 스웨덴어, 스페인어 등 다양한 언어로 당시 1938년도에 더빙되어 개봉하였다.[1][2]

이후 1947년 디즈니측은 인도 독립 운동이 끝나자 힌두스탄어로 밤비를 더빙하였으며[3] 영화에서의 미국의 영향을 강화했다는걸 인정받아 제5회 골든글로브 시상식에서 특별 공로상을 받았다.

3. 캐스팅

디즈니는 본인들의 캐릭터에 목소리를 관리하기 위해 전세계에 있는 '목소리 연기자'[4]해들의 오디션을 개최하여 뽑는 중앙 집중적 시스템을 구축 하였고, 2017년 DCVI는 '기술 및 엔지니어링 에미상'을 수상하였다. 수석 부사장인 릭 뎀프시는 본인이 박스오피스 순위 14%에 드는 나라들의 캐릭터 성우들을 선택한다고 밝혔다.

DCVI에서 직접 목소리를 선택한 나라들은 각나라의 설치된 사무실은 해당나라의 지리적 영역에 대한 역량을 갖게된다.

덤프시에 따르면 굳이 영어 성우와은 똑같지 않아도 되지만 맡은 캐릭터와는 일치해야하며 목소리를 통해 빛을 발하여야 한다.

특히 2000년 이후엔 캐릭터에 맞추거나 부각시키는 능력보다는 현지시장에 어필하기 위해 유명 연예인을 통해 해당 영화의 매력을 현지인이 느끼도록 하고 있다.[5]

4. 언어

DCVI는 체계적으로 작품의 따라 영화를 다양한 언어로 더빙하여 배포하고 있다. 다만 몇몇영화는 비정기적으로 더빙하는 언어가 존재한다.

밤비 니모를 찾아서 같은 경후 각각 아라파호어랑 나바호어로 특별 제작 되었는데 이는 아라파호족과 나바호족의 문화랑 접촉하지 않고 해당 언어들을 보존하는 목적으로 각각 미국에 와이오밍 인디언 학교랑 나바호 민족 박물관이랑 공독 제작 하였다. 라이온 킹, 모아나, 겨울왕국 2도 각각 줄루어, 타히티어 하와이어, 북부 사미어로 더빙 되었는데 이는 해당작품들에 배경이 되는 나라의 매력을 보여주기 위해 제작한 것이다.

5. 한국에서

5.1. 초창기(1988~2004)

한국에서 DCVI는 1989년부터 활동을 시작하였으며 당시 미키 마우스의 장광을 비롯한 다양한 애니 캐릭터 성우들은 일일이 이럭서를 받아 오디션을 하고 심사후 캐스팅을 하는데 이 때 난이도가 정말 장난이 아니라고 한다.

이러한 높은 난이도 덕분에 항상 퀄리티가 좋은 편이며 이 때문에 디즈니는 초월더빙의 대명사라고 불리는 편이다.[6]

디즈니는 맨 처음에 계약한 스튜디오는 프로덕션 애드원(현 애드원 스튜디오)이며 무려 1988년에 설립된 스튜디오로 당시 미키 마우스, 도날드 덕, 구피 단편 시리즈와 실리 심포니 시리즈를 시작으로 디즈니 더빙작품 제작을 하기 시작하였다.

이를 위해 디즈니는 애드원을 자신들에 맞는 스튜디오로 변화 시켜 주었으며 애드원 측도 자기들 엔지니어를 해외 스튜디오에 가서 공부를 시키게 하는 등 디즈니가 요구하는 스튜다오로 변화 시키려고 한다.

그러다가 1991년 인어공주를 기점으로 애니메이션 영화 또한 맡기 시작하였다. 평가는 좋으며 특히 위에 언급한 우르슐라 역에 박정자의 연기가 매우 졀륜하다. 다만 인어공주 목소리가 지금 들으면 올드하다는게 흠.[7]

1992년 디즈니는 미녀와 야수 더빙 작업 당시 리드사운드 측과 계약 하였으며, 당시 KBS 영상사업단과 계약에 성공하여 당시 KBS측에서 방영한 디즈니 만화동산, 일요 가족 특선[8] 같은 어린이 작품이나 컬러 오브 머니, 칵테일, 죽은 시인의 사회 등 디즈니와 산하 브랜드였던 터치스톤 픽쳐스에 작품 또한 디즈니 측이 직접 제작하였다.

일단 디즈니 만화동산에 경우에는 편집을 제외하면 디즈니 측이 총괄하였으며 더빙 제작 또한 당시 디즈니 작품들 대부분 더빙 제작한 애드원에서 담당하게 되었다. 외화에 경우에는 KBS측이 강하게 요구를 했었던 것인지 KBS 영상사업단이 더빙 제작을 하되 디즈니가 총괄 하고 애드원이 녹음하는 식으로 제작이 되었다.

그리고 1994년 정확하지는 않지만 한국의 DCVI 사무소가 생겼다.[9] 이로인해 본사에서 총괄하거나 스튜디오에서 어느정도 총괄 하였던 것들은 DCVI 한국지사에서 직접 관리하게 됐으며 디즈니 작품을 믹싱감수, 가사 감수, 스튜디오 선택, 성우 선택 등 제작총괄 하는 직책인 크리에이티브 슈퍼바이저도 이 시기에 처음 나왔다.

이시기 대부분 작품들은 사실상 외화를 제외하면 애드원이 100% 제작하였으며 외화는 제작은 안했어도 녹음은 담당하였으니 당시 대부분 디즈니 작품은 애드원이 담당 하였다고 볼수 있다.

이로 인해서 생긴 문제점은 크게 두가지 인데 하나는 성우진이 작품마다 비슷비슷 하다는 거다. 이는 현재까지 애드원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으로 가끔식 KBS나 MBC, 투니버스 신인 성우 일부를 제외 하면 거의 비슷비슷한 성우진으로 구성을 하였고, 신인들 마저도 단역 같은데에 배치를 하였다. 이런 캐스팅을 한 이유는 아무래도 디즈니가 요구하는 커트 라인에 맞춰서 더빙 제작을 해야하니 이전 디즈니 작품에서 호평을 받은 성우들로 캐스팅 하는 것 같다. 이 때문에 00년대 당시 성우팬들은 애니맥스 김정규에 묻혀서 그렇지 성우 캐스팅이 거기서 거기라는 인식을 어느정도 심어줬다고 비판을 받았다. 다행인것은 앞에서 말했든 신인 성우들을 단역이라도 캐스팅 했고, 대부분 디즈니 더빙 작품을 연출한 박원빈 감독이 연출력 자체는 좋아서 저 둘 보다는 낮다는 의견이 많다.

두번째는 개사가 너무 의역이 많다는 것이다. 물론 당시에 방영한 애니 대부분은 개사를 하면 의역을 하는건 거의 반 의무화 되어있었기 때문에 없얼수 없는 문제이고 당시에는 딱히 문제가 안됐으나 현재 특히 예전 디즈니 작품의 자막에서 더빙판 가사를 거의 그대로 써서 ~딪코의 병신 짓거리 때문에~ 혹평을 받고 있다. 일단 당시 디즈니 작품의 OST를 대부분 개사한 박원빈 감곡의 개사 스타일이 원곡 의미는 좀 날아가도 말이 되게 자연스럽게 어울리고 동화적인 리듬을 돋게하는 개사를 많이 하였는데 어떤 팬들은 저런 감성이 맘에 들어 좋아하는 팬들이 있지만 너무 원곡의 의미를 날아가게 해서 안좋게 보는 호불호가 많다.

다만 이는 박원빈 감독이 혼자 개사한 것들은 그렇고 후배 및 변역가와 개사한 작품들이나 아예 후배한태 개사를 준 작품들은 평이 괜찮다. 특히 뮬란은 초월 번역이란 반응이 많다.

디즈니 측도 의식 했는지 미녀와 야수의 음악 녹음을 담당 했었던 리드사운드를 제 2의 디즈니 공식 밴더로 만들려고 하였다. 실제로 당시 디즈니는 리드사운드의 음악 녹음 및 믹싱 능력을 좋게 보고 있었는지 일부 디즈니 작품의 노래 녹음 및 믹싱을 맡았으며 헤라클레스를 기점으로 아예 더빙 녹음 또한 맡았다.

다만 위에 있는 캐스팅 문제와 개사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는데 이는 녹음실은 리드사운드 지만 프로덕션자체는 애드원 이여서 생긴 문제이다. 아무래도 디즈니가 박원빈 감독을 매우 마음의 들어했기 때문인데 실제로 디즈니는 박감독에게 워너 브라더스, 20세기 폭스, 그리고 드림웍스의 더빙 공식 밴더로 추천을 해준것만 봐도 알수 있으며 박감독은 미국 국적을 따면서 까지 더빙 작업에 열심히 임하였기에 디즈니에서 이런 박감독의 노력을 높이 산 것 같다.

그래도 박감독도 이를 의식해서 전술 한것처럼 후배나 번역가와 같이 개사 하였다. 특히 위에 나온것처럼 호평을 받았던 뮬란 또한 이 시기에 나왔다.

1999년 타잔은 리드사운드 측에서 개사 또한 직접 담당하였다. 허나 애드원 때보다 나아지기는 커녕 오히려 퇴화하였다. 이는 아마 당시 타잔의 OST를 개사한 양인자가 당시에도 연세가 많았던 건지라 가사 자체가 올드하고 동요풍이며 가사 자체의 이해도 도 떨어졌는지 제 3자의 시점의 가사를 '''타잔의 시점으로'" 개사를 하여 90년대 가사를 좋게보는 팬들도 타잔의 가사를 좋아 하지는 않는다.

그러다가 00년도때 나온 올리버와 친구들 부터 리드사운드측이 직접 더빙 제작을 시작하였는데 캐스팅 문제는 해결이 안됐지만[10] 개사는 애드원 보다 더 좋다란 의견이 많았으며 캐스팅 문제도 점점 애드원과 차별화 되었다.

허나 그래도 대부분 작품들 특히 디즈니 프린세스 작품들은 애드원이 제작하여서 개사 문제가 나아지지 않았다.

5.2. 홍콩 디즈니 시기(2004 ~ 2014)

그러다가 2004년 이후부터 디즈니 코리아 내부 사정으로 한국 DCVI가 홍콩 DCVI로 흡수 되면서 조금씩 바뀌기 시작하였는데 일단 홍콩 디즈니 내부에서 통제를 하려고 했으나 당시 홍콩 DCVI는 홍콩 뿐만 아니라 대만, 중국도 컨트롤 해야 했기에 당시 애드원 대표 였던 박원빈 감독에게 컨트롤 권한 즉 크리에이티브 슈퍼바이저 직위를 주었고 이 때문에 박감독이 당시에 나온 디즈니 작품에 95%를 전부 컨트롤 하게 되었다.

이때문에 애드원 다음으로 디즈니 공식 밴더 였던 리드사운드 측이 공식 밴더 권한이 해지 되었고 애드원이 전부 제작 하게 되었다.

물론 컨트롤 한다 해서 캐스팅은 디즈니 본사 부사장이 선택하는 것이기 때문에 박감독 마음 대로 할수는 없으나 그래도 박감독이 일반 감독일 때보단 힘이 더 쌔졌다고 볼수 있다.

물론 박감독이 혼자 다 한건 아니고 가끔 홍콩 측 슈퍼바이저가 담당할때도 있었으며 예전부터 캐스팅이 거기서 거기여서 캐스팅에 큰 변화는 없다. 다만 후배를 폭행해서 재명당한 박조호를 계속 쓰는건 안좋게 보는 사람이 많다. 그리고 앞서 말한 것 처럼 이미 애드원이 대부분 디즈니 작품을 담당하고 있었기 때문에 그냥 박감독의 권한이 커졌을뿐 그 이상 그 이하에 일은 안생겼다.

허나 가사 감수 부분도 슈퍼바이저의 역할이였기 때문에 의역이 있긴 하나 그래도 박감독도 시대에 맞춰서 개사를 하여서 옛날 만큼은 심하지 않았다.

이후 디즈니채널 디즈니 주니어가 한국에서 송출 시작되면서 해당 채널에서 방영하는 작품들 또한 애드원이 제작하고 있었으나 아무래도 수많은 TV 시리즈와 작업하긴 빡센 극장용 영화들을 애드원 혼자서 제작하기엔 어느 정도 무리였고 당시 애드원 소속PD는 4명 정도 밖에 없었기 때문에 드디어 새로운 스튜디오와 계약하였다.

새로 계약한 스튜디오는 STORM, 디지소닉, 중앙AV스튜디오, CIC 미디어가 있다. 이후 해당 스튜디오들은 작업을 시작하였으나 주로 디즈니가 판권을 구해가지고 온 애니들만 작업을 했으며, 하이 스쿨 뮤지컬이나 스노우 버디즈 등을 제외하면 대부분 애드원에서 제작하였다.

그런데 디즈니는 저 스튜디오중 스톰를 가장 마음에 들어 했는지 자사의 신작 영화인 어벤져스를 더빙 제작 하게 하였다. 그 이후 디즈니는 스톰을 본격적으로 푸쉬하기 시작했다.

이후 스톰은 마블 작품 전담 스튜디오가 되었으며 디즈니 채널, 디즈니 주니어 작품도 다른 스튜디오에 비해서 애드원급으로 활발히 활동하였다.

그러다가 2014년 겨울왕국이 개봉하였으며 대부분 사람들이 알듯 항상 드림웍스 한태 한국시장에서 밀리던 디즈니가 무려 1000만 관객수를 돌파하였다. 이 때문에 더빙 또한 주목 하게 되었으며 소연, 박지윤 성우 또한 대중들에게 인지도를 얻게 되었다.

근데 개사는 안좋은 의미로 주목을 받았는데 일단 Do You Want to Build a Snowman? 이나 For the First Time in Forever, Love Is an Open Door은 평가가 괜찮았으나 하필 가장 히트 친 곡인 Let It Go에서 오역 논란이 일어났다.

일단 Let it Go의 한국어인 다잊어 자체는 오역이 아니다. 오히려 원곡의 의미를 생각하면 좋은 번역이다. 사람들이 렛잇고에 익숙해 져서 그렇지 디즈니 본사 정책상 그대로 렛잇고로 그대로 갈수도 없고, 일부 팬들의 의견 처럼 '가버려'로 개사 하면 그거 나름대로 오역이 된다. 오히려 원곡과 뜻이 비슷하고 입모양도 맞는 다잊어가 더 적절한 번역인 것이다. 다만 가사가 전체 적으로 유치하고 일부 가사의 뜻이 좀 애매하기 때문애 팬들 차이에서 요역 인지 아닌지에 대해 갑론을박이 있다. 자세한건 Let It Go 문서 참고

사실 이렇게 개사에 대한 논란이 있는 이유는 아무래도 더빙의 주 타겟층이 어린이 들이고 특히 겨울왕국은 가사에 어린이 들이 이해하기 힘들거나 난해한 가사들을 쉽게 이해하도록 바꿔야 하며 입모양도 고려을 해야하며 운도 맞춰야 하고 높은 음 특히 렛잇고은 높은 음이 많기 때문에 그 가라나 어미가 음을 높으는데 적당하냐도 고려을 해야 한다. 한 마디로 렛잇고는 한국어 개사 면으로 보면 거의 '''최고 난이도"'의 곡이며 개사의 트랜드가 의역에서 직역으로 넘어 갔기 때문에 예전보다 더 개사하기 빡세졌다.

해당 글에 댓글에서 박감독이 얼마나 렛잇고 개사에 힘을 줬는지 알수있다. #

그 이후 홍콩 디즈니에서 다시 한국 디즈니로 다시 넘겨 졌다.

5.3. 다시 디즈니 코리아 시기

디즈니 코리아에서 넘겨진 이후 변경점은 일단 대부분 애드원만 제작한 디즈니 작품들이 스톰으로 넘어가기 시작한것이다. 실제로 당시 MCU 작품들과 빅 히어로 같은 작품들을 스톰이 제작하기 시작하였다. 애드원과의 큰 차이점은 애드원은 주로 KBS 성우들을 불러낸다면 스톰은 투니버스, 대원방송 성우들을 부른다는 점이다.

스톰이 제작한 작품들은 처음엔 평가가 좋지 못했다. 특히 대사 번안 쪽이 애드원에 비해서 은어를 많이 쓰고 매끄럽지 못하기 때문에 연출력이나 대사 번안에 대해서는 애드원이 평가가 좋다.

그러다가 2016년 주토피아가 한국에서 개봉을 하였고 이를 스톰이 맡았는데 평가는 디즈니 본사도 인정한 초월 더빙이란 평가를 받았다. 성우들의 훌륭한 연기력이 디즈니 팬들과 성우 팬들을 매우 만족하게 하였으며 이 때문인지 주토피아 더빙을 원판 보다 더 좋아하는 디즈니 팬들도 있다.

이렇게 디즈니가 스톰을 푸쉬를 하였기 때문에 애드원은 인사이드 아웃과 일부 디즈니 채널 작품을 제외하면 활동이 거의 없는 상태였는데 모아나를 기점으로 다시 활동 하기 시작했는데 더빙 퀄 자체는 좋으나 일부 성우팬들은 성우들 보다 뮤지컬 배우가 많은것에 불만이 있는 편이고 모아나 성우의 연기가 호불호 갈린다.

그렇지만 개사가 무려 30여년 만에 평가가 좋아졌는데 더빙판 가사를 들은 디즈니 팬들 반응은 "드디어 한국에도 재대로된 가사가 나오는 구나!!" 란 반응이다. 가사들이 찰지게 번역 되었으며 음율 또한 잘 살렸다. 특히 We Know The Way와 Shiny에 대한 평가는 초월 번역 이란 반응이 많은데 Who We Are를 발음이 비슷한 우리야로 번역 을 한것이나 Shiny 타마토아에 캐릭터 성을 살리면서 원곡의 느낌과 뜻을 그대로 개사 하여서 평가가 좋다. 나머지 곡들도 평가가 좋으며 이대로 쭉 가면 한국도 디즈니 OST 개사 강국이 될수 있다. 란 반응이 많다.

그 이후에 나온 코코는 스톰이 제작 하였는데 코코 또한 모아나 급은 아니지만 평가가 좋다. 특히 잊지마는 갓지마란 소리를 팬들에게 들을 정도로 평가가 좋다. 다만 대사에 은어 많거나 하는 문제는 여전 하다는 평

미녀와 아수 실사판 또한 평은 괜찮다. 다만 디즈니 본사의 요구로 가사의 절반 정도는 오리지널 애니 더빙의 가사를 쓰기 때문에 예전 의역 가사가 싫은 팬들은 평을 안좋게 받았으나 자막판을 까보니 박지훈 번역가가 가사의 트롤을 저질러 나서[11] 오히려 더빙판 가사의 평가가 상승 하였다.

그리고 겨울왕국 2 땐 팬들은 1편 처럼 오역이 생길지 않을까 걱정이 많았으나 평가는 1편과 비교도 안되게 평이 매우 좋았다. 일단 현재 처럼 직역이 아니라 90년대를 연상하듯이 의역이 많았는데 의역을 하였으나 원곡의 뜻을 담으면서 의역을 하여 팬들이 만족 하였으며 입에도 잘 붙고 화면에도 잘 어울렸다. 가사의 뜻도 영화와 잘 어울렸으며 음율도 잘살려 팬들에게 매우 좋은 평가를 받았다.

이후엔 대부분 애드원과 스톰이 제작을 담당을 하였으며 중간에 플레이백이나 CIC 미디어가 제작하였다. 그러다가 2021년 디즈니+가 한국에 출시하게 되면서 많은 스튜디오와 계약을 하게 되었다. 디즈니는 쥬스미디어, 토키미디어, 아이유노 등 스튜디오와 새롭게 계약을 하였다.

근데 2022년 후반에 디즈니가 내부적으로 혼란을 겪게 되면서 대부분 더빙 제작된 작품들, 특히 외화, 다큐멘터리가 올스탑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디즈니는 외부적으로 비난을 받았으며 스튜디오 또한 대부분 계약이 해지 되었다. 이후 디즈니와 계약한 스튜디오중 큰 비중을 갇지고 있던 스톰과 애드원이 갑자기 디즈니+에 이름이 안보이게 되고, BESPOKE LAP, 플레이백, CIC 미디어가 주로 디즈니+및 극장용 작품들을 제작하기 시작하였다.

이후 애드원 같은 경우 인어공주를 시작으로 다시 이름이 보이기 시작되었다. 스톰 또한 최근에 레고 마블 어벤져스로 이름을 보이기 시작한걸 보면 잠기 계약이 해지되었거나 아니면 걍 일을 안준거 같다.

다만 이런 혼란 때문에 대부분 수퍼바이저는 DCVI 한국지사를 떠났으며 팬들도 디즈니측에 거의 기대를 안하는 상황까지 왔다.

5.3.1. DCVI와 같이 작업한 더빙 스튜디오



[1] 참고로 월트 디즈니는 해외에서 백설공주의 성우 중에 가장 좋아하는 성우는 스웨덴어의 타샤나 앙겔리니 였다. [2] 라틴방언의 스페인어 같은 경우 월트 디즈니 스튜디오에서 직접 더빙녹음/믹싱 등을 전부 하였다. [3] 현재는 해당더빙은 구할수 없다. [4] 성우가 아닌 목소리 연기자라 표기한 이유는 디즈니는 성우를 포함한 아역, 뮤지컬 배우, 가수, 배우 등도 오디션하여 뽑고 있다. [5] 우리나라는 대표적으로 이순재 주먹왕 랄프 정준하가 있다. 이들은 연예인이지만 전형적인 연예인 더빙의 문제 없이 오히려 검증된 연기력으로 홍보 효과와 퀄리티 둘 다 만족시킨 최고의 사례로 남았다. [6] 대표적으로 한국에서 우르슐라역을 맡은 박정자는 디즈니 본사에서 '영어만 된다면 (미국의)우르슐라 전담성우로 캐스팅 하고 싶다' 라는말를 들을정도.. [7] 사실 90년대때 더빙된 디즈니 작품 뿐만 아니라 일본 애니메이션도 보면 다 올드하다. [8] 나중에 디즈니 가족 특선으로 이름을 변겅한다. [9] 라틴 아메리카, 일본 등도 이시기에 생겼다. [10] 이는 연출을 애드원 출신 이였던 조정란 PD가 담당하여서 그런거 같다. [11] 대표적으로 dozen을 한 판 으로 번역해버려 개스톤을 어렸을때 달걀을 120개 먹는 식신으로 만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