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0 23:59:54

제국신문

뎨국신문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성신문
京城新聞
경성일보
京城日報
경향신문
京鄕新聞
국민신보
國民新報
대한매일신보
大韓每日申報
대한민보
大韓民報
대한신문
大韓新聞
독립신문
獨立新聞
만세보
萬歲報
매일신문
每日新聞
제국신문
帝國新聞
한성순보
漢城旬報
한성신보
漢城新報
한성주보
漢城周報
황성신문
皇城新聞
협성회회보
協成會會報
}}}}}}}}} ||

{{{#!wiki style="margin:-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254170> 파일:이승만투명.svg 이승만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254170,#ddd> 일생 일생 · 평가 ( 긍정적 평가/ 부정적 평가) · 이승만/여담
가족 아버지 이경선 · 양아들 이강석 · 양아들 이인수 · 아내 프란체스카 도너
정책 대한민국 정부 수립 · 신문지법 · 농지개혁법 · 한미상호방위원조협정 · 한미상호방위조약 · 한미원조협정
발언 정읍발언 · 과도정부 당면 정책 33항
정당 자유당
역대 선거 제헌 국회의원 선거 제1대 대통령 선거 제2대 대통령 선거 제3대 대통령 선거 3.15 부정선거
저서 일본 내막기 · 만주의 한국인들 · 독립정신
사건사고 위임통치 청원 사건 · 단파방송 밀청사건 · 제주 4.3 사건 · 여수·순천 10.19 사건 · 국회 프락치 사건 · 6.25 전쟁 · 국민방위군 사건 발췌 개헌 · 반공포로 석방 사건 · 암살 미수 사건 · 사사오입 개헌 · 진보당 사건 · 3.15 부정선거 · 4.19 혁명 · 부산정치파동
관련 독립운동 단체 독립협회 · 대한인국민회 · 대한민국 임시정부 · 한미협회 · 독립촉성중앙협의회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대한인동지회 · 흥업구락부
관련 신문 제국신문 · 매일신문 · 태평양잡지 · 협성회회보
관련 시설 돈암장 · 이화장 · 인하대학교 · 인하공업전문대학
관련 사상 일민주의 · 기독교입국론
기타 에버레디 계획
관련 창작물 국민 여러분 안심하십시오 · 이승만(야인시대) · 건국전쟁 · 기적의 시작
별도 문서가 없는 평가 및 논란은 해당 주제 관련 문서를 참고
이승만 정부와 관련된 문서는 틀:이승만 정부 참고
}}}}}}}}} ||

제국신문
帝國新聞
<colbgcolor=#ab9207><colcolor=#fff> 국가
[[대한제국|
파일:대한제국 국기.svg
대한제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창간 1898년 8월 10일
종간 1910년 8월 2일
설립자 이종일
편집 유영석
이종면
장효근 등
주필 이승만
종류 일반일간신문
파일:seo000876-000-000.jpg
<colbgcolor=#ab9207> 《제국신문》[1]

1. 개요2. 상세3. 기타

[clearfix]

1. 개요

근대 시기의 대표적인 민족주의적 성격의 일간신문으로, 유영석과 이승만이 《 협성회회보》와 《 매일신문》시절의 경험과 이종일의 자금 지원을 바탕으로 1898년( 광무 2년) 8월 10일 창간한 신문이다. 창간 당시 제호는 한글로 쓴 《뎨국신문》이었다. 그러다가 1903년(광무 7년) 7월 7일에 한자 표기인 《帝國新聞》으로 바꿨다.

2. 상세

협성회회보》와 《 매일신문》 시절처럼 순국문체로 쓰였으며 민중계몽과 일반 대중이 타겟이었다. 신문을 개명·개화의 가장 좋은 수단으로 생각하여 민족적인 자주정신의 배양과 대중의 지식계발이라는 창간 취지 아래 한문을 익히지 못한 부녀자, 하층민까지 독자층으로 확대함으로써 사회적 단결과 민족적 공감대 형성에 기여하였다. 매일 4면이 발행되었는데 주로 1면에는 논설, 2면에는 관보대게와 잡보[2], 3면에는 국내외 정세, 4면에는 광고를 게재했다. 발행 부수는 대체로 2,000부 내외였다.

이승만, 유영석, 이종일 3인이 주동이 되어 창간하였으나 이승만은 한달도 못되어 만민공동회로 인해 감옥에 가게 되고, 유영석은 개인 사정상 퇴사하여 한동안 이종일 단독으로 사장과 기자 역할을 하며 운영하였다.[a][b] 또한 이윤추구를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창간 초기부터 항상 운영난에 시달렸다.

《제국신문》은 발행 당시 대한제국과 외세의 수탈 야욕을 신랄하게 비판했다. 그리하여 외세와 조정의 법적인 탄압이 심했고[b][6]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또 러일전쟁 이후, 일본이 제정한 신문지법[7]과 시스템 미비[8]로 인해 광고 수입과 구독료를 제대로 거두어들이지 못하자 결국 경영난으로 1907년 9월 20일에 휴간에 들어간다. 이후 독자들이 의연금을 보내는 등 각종 지원으로 같은 해 10월 4일에 간행을 다시 시작했으나 결국 각종 여건의 문제로 1910년 6월 10일 다시 휴간에 들어가 결국 이 해 8월 2일에 폐간하고 만다. 종간 당시 《제국신문》의 발행 호수는 약 3,240호였다.

황성신문》이나 《 대한매일신보》와 마찬가지로, 《제국신문》 역시 한국의 문명개화와 국권 수호를 주요 주제로 삼아 계몽주의적이고 민족주의적인 성격을 지닌 매체로 활동하였다. 《제국신문》은 대한제국의 국권 수호와 사회 개혁을 촉구하였으며 당시 구조적 문제를 지적하기도 하였다. 예를 들어, 《제국신문》은 대한제국 정부의 사법제도 운영 실태를 비판하면서, 사법제도의 문제점과 이를 해결하지 못하는 정부의 정책을 강하게 지적하였다. 또한, 사법제도의 개혁 방향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사법제도가 단순한 사회 통제 수단을 넘어 인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본연의 역할을 다할 수 있기를 기대하였다.[9]
발간 당시 일본 세력이 대한제국의 내정까지 간섭할 때였으며, 특히 을사늑약 이후 일제에 대한제국의 외교권이 박탈당하자 《제국신문》은 일본의 제국주의적 침략과 이에 협력하는 친일 세력을 강력히 비판하는 기사를 자주 보도하였다. 과정에서 일제의 탄압과 재정난으로 어려움을 겪으면서도 오랜 기간 발행되었으며 민족의 자주성을 고취하고, 국권 수호와 독립 의지를 일깨우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국사편찬위원회

《제국신문》은 대중 친화적인 노선을 고수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지고 있으며 당시 국민 계몽에 실질적인 힘이 되었다.

3. 기타

  • 당시의 《 황성신문》과는 대조적인 노선을[10] 가지고 있었는데, 사이가 좋지는 못했는지 《황성신문》은 《제국신문》을 아녀자들이나 보는 암신문이라며 신명나게(...) 깠다.
  • 가장 중요하고 인기가 있던 1면 논설 부분을 맡을 국문에 능하고 글을 쓸 여력과 학식을 갖춘 인물을 찾기가 어려워 한동안 옥중에 있는 이승만에게 부탁하여 1901년 1월부터 1903년 4월 17일까지 약 27개월간 비밀리에 그의 글을 익명으로 게재하였다. 그러나 외세와 정부에 대한 비판으로 압력이 들어오자 더이상 버티지 못하고 이승만을 주필에서 해임시켰다. 이후에는 이종일이 직접 논설을 담당하였다가 1907년 6월 7일, 새로운 주필인 정운복으로 교체되었다.[a]
  • 놀랍게도 21세기 대한민국의 발전상을 예언 수준으로 적어놓은 글을 실은 적이 있다. 무려 1899년(광무 3년) 2월 25일자에 실린 논설(론셜)로, 필자가 꿈에서 본 미래 대한(大韓)의 모습을 묘사하는 방식으로 전개되는 글이다. 해당 부분은 다음과 같다.
    “(...) 홀연히 잠들어 꿈을 꾸었는데 대한국(大韓國)이 세계에 제일 문명(文明)하고 부강한 나라가 된지라 동지 친구들과 더불어 세계를 유람하기로 작정하고 먼저 우리나라 강산부터 구경하니 성중(城中)에서 시작해 종로(鍾路)라 하는 곳을 간즉 십여 층씩 되는 옥석(玉石)으로 지은 집들은 반공(半空)에 솟아났다. 이리저리 둘러 본즉 전깃줄 전홧줄은 방으로 거미줄 얽히듯 하였으며 길들은 다 우물 정(井)자로 되었는데, 사람 왕래하는 길과 우마(牛馬) 다니는 길이 각각 있어 편리하다. 길 위에 박석(薄石)을 깔아 티끌 하나 없으며, 길 가운데에는 꽃무늬 식물이 각으로 있어 보기도 좋거니와 왕래하는 사람들을 향기롭게 하고, 사방에 화륜차(火輪車)와 마거(馬車) 소리에 정신을 가다듬기 어렵도다. 각 전(廛)들을 구경할새 문을 열고 들어간즉 태산같이 쌓인 물건 다 전에 보지도 못하고 이름도 모르는 물건인데 장사들의 자본이 얼마나 되는 것을 물은즉 적은 장사 수백만 원 큰 장사는 수천만 원이라. 이리저리 다니면서 구경하니 한강물을 성중(城中)으로 대었는데 강상(江上)에 왕래하는 화륜선(火輪船)과 풍범선(風帆船)은 수없이 많고 강 위에는 좋은 다리 많이 있어 왕래하기 한량(限量)없이 편하도다. 처처(處處)에 공원(公園)이라 비낀 볕 석양(夕陽)에 공원에 들어간즉 각색(各色) 보기 좋은 나무와 꽃다운 화초(花草) 속에 백성들이 돈을 내어 유명한 공 있는 사람들의 형상을 옥석(玉石)으로 수백 장씩 되게 만들어 세워 천추만세(千秋萬歲)에 공을 표하였으며, 사방에 품는 물은 수백 장씩 올라갔다 내려올 때 오색(五色)이 영롱(玲瓏)하니 경치도 좋거니와 풍악(風樂) 소리에 세상 근심 없어진다. 학교(學校)마다 들어간즉 학교들도 크거니와 학도(學徒) 수도 많은지라 전국 인민(人民) 교육(敎育)으로 말할진대 백에 구십구 분은 다 글 못하는 사람 없다. 성중(城中)을 다 구경하고 새 문 밖을 나아가매 정거장(停車場)이 있는데 한번 타면 삼천리(三千里) 반도국(半島國)에 어디든지 못 갈 곳이 없는지라 인(因)하야 철도(鐵道)에 올라 인천(仁川)으로 향할새 용산(龍山)삼가 다다르니 좌우에 각색(各色) 제조소(製造所)들은 이루 다 기록하야 말할 수 없는지라. 잠시 간에 인천에 다다르니 태극(太極) 국기(國旗) 높이 단 병선(兵船)들과 상선(商船)들은 항구에 가득하며 세출(歲出)은 세입(歲入)보다 몇백 배라. 삼남(三南)을 다 구경하고 강원도(江原道) 금강산(金剛山)에 이르매 금강산 경치도 좋거니와 꾸미기도 잘 하였도다. 산 속에 철로(鐵路) 있고 처처(處處)에 누각(樓閣)이라 금강산이 세계에 유명하야 외국(外國) 사람 몇만 명씩 항상 와서 유람하며 쓰는 것이 돈이오 대한(大韓) 사람 버는 것이 돈이로다. 금강산을 다 구경하고 의주(義州) 압록강(鴨綠江)에 이르러 청국(淸國) 지경(地境) 바라보니 청국 인종(人種) 별로 없고 태반이나 눈 깊고 코 큰 사람이라. 한심하고 답답하나 제 못나서 이러한 걸 어디 누가 불쌍타 하리오. 며칠 안에 삼천리 강산을 다 구경하매 삼천리 반도국에 돌아가며 십 리마다 포대(砲臺) 있어 외국 군함(軍艦)은 고사하고 비도(匪徒)라도 들어올 수 없으며 백성들은 업(業)에 편안하야 무명잡세(無名雜稅)가 무엇인지 죄 없이 잡혀가며 혹독한 형벌(刑罰)이 무엇인지 압제(壓制)가 무엇인지 모르고 태평(太平)한 세월이라. 다시 한성(漢城)에 들어와 마지막 경복궁(景福宮) 대궐(大闕)을 한번 더 구경할새 대궐도 굉장하거니와 십아문(十衙門)이 좌우에 벌어져 있는데 마을마다 들어가본즉 대신(大臣) 이하 주사(主事)까지 학문이 넉넉하야 백성의 돈으로 월급(月給)을 먹더라도 일호(一毫)도 백성 보기 부끄러울 것 없는지라. 나라에 공 있는 사람 어디를 가든지 백성들이 기쁜 마음으로 갓 벗고 경례(敬禮)로다. 십아문을 다 구경하고 마지막 상의원(上議院)에 들어가매 백성들이 뽑아 보낸 의관(議官)들의 학문도 유여(有餘)하다. 좌우에 벌여 앉아 공사(公私)를 의론(議論)하는데 한 의관이 연설(演說)하되 ‘우리나라가 수백 년 전에 나라의 시각(時刻)이 위태하고 지극히 빈약하였으니 그때에는 관민(官民)이 다 학문이 없어 그리하였는지라. 어떤 유세력(有勢力)한 관인(官人)은 땅을 외국에도 주려 하고 매관매직(賣官賣職)도 할새 백성들이 떠들고 일어나매 외국 사람이라도 다 말하기를 나라가 좀 여망(輿望)이 있다 하더니 그 후에 학문 없는 백성들이 남의 말을 곧이 듣고 철 모르고 떠들다가 정부(政府)에서 죽기로 기약하고 그 백성을 압제(壓制)하야 입을 막고 마음대로 벼슬도 팔며 협잡(挾雜)도 하더니 그 후에 백성을 압제하던 사람들 중에도 몇몇 사람이 백성을 압제하면 나라가 부지(扶持)치 못할 줄을 알고 죽기로 힘을 다하야 관민 간에 합동하야 나라를 도운 고로 오늘날 우리나라가 이렇게 문명부강국(文明富強國)이 되었는지라. 그때 사상(思想)을 불고(不顧)하고 나랏일 하던 사람들의 형상을 만들어 종로에 세워 천추만세(千秋萬歲)에 이르도록 공을 표하는 것이 옳다.’하는 연설을 듣고 나아오다가 딱 소리에 놀라 깨어본즉 음력 기해년(己亥年) 정월(正月) 보름날 아이들 부럼 깨무는 소리라 꿈이 깨니 원통하다 언제나.”

    필자가 본 한국에서는 전기와 통신망이 잘 연결되어 있으며, 도로가 잘 정비되어 인도와 차도가 잘 구분되어 있으며[12] 도시의 구획이 우물 정자로 딱딱 나뉘는데다 거리가 가로수와 꽃으로 잘 꾸며져 있고, 도시는 고층빌딩이 즐비한 대도시가 되어 있고, 식자율이 99% 이상일 정도로 교육 제도가 발달했으며 학교가 모든 곳에 세워져 있고, 공원에는 여러 위인들의 상이 세워져 있으며 분수대로 아름답게 꾸며져 있고, 큰 상점에 들어가 봤더니 없는 것이 없을 만큼 시장경제가 잘 발달해 있고, 한강은 배를 탈 필요 없이 다리로 편하게 건널 수 있으며, 해안선은 포대로 잘 지켜져 외세나 비적이 없어지고 인천에는 태극 국기 단 군함이 가득하며, 국민의 손으로 뽑힌 잘 배운 대표들이 국회에서 나랏일을 의논하며, 세출이 세입보다 많고[13], 외국인들이 수만 명씩 찾아와 관광을 하고 돈을 쓰며, 행정과 사법의 발전으로 무명 잡세가 없어지고 무고한 죄인, 혹독한 형벌이 사라졌다고 한다. 또한 나라에 공이 있는 사람에게 지나가는 사람들이 갓을 벗고 예를 표했다는 것도 언급하고 있다.
    그가 꿈 속에서 상의원에 들어가보니, 한 의원이 연설하기를 "수백 년[14] 전 나라가 나날이 위태로웠다. 그 때는 (사람들에게) 학문이 없고 매관매직도 성행하였는데, 백성들이 들고 일어나자 외국 사람들도 조금 희망이 있다고 했으나 이걸 나라에서 찍어누르고 입을 막아버렸다. 그러던 중 이대로 백성들을 억압하면 나라가 성치 못할 것을 알고 죽기로 힘을 다해 관민간 합심해 오늘날 우리나라가 문명 강국이 된 것이다."라고 하면서 위인들의 동상을 세우자고 제청했다고 한다. 그러고 나서 부럼 깨는 소리에 잠이 깨었다는 것이 논설의 내용이다. # [15]

    해당 논설 전문은 국립중앙도서관 아카이브 제국신문 DB에서 확인할 수 있다.


[1] 사진 출처 - 서울역사박물관. [2] 현재 신문의 사회면과 비슷하다. [a] 뎨국신문, 1907년 6월 7일, 「본사의 행복과 본 기자의 해임」 [b] 뎨국신문, 1907년 6월 14일, “남대문 밖 원경민씨가 보낸 글”, 통권, 제2430호 [b] [6] 외세에 대한 비판 기사를 쓴 기자를 연행하고 기사를 삭제하는 등 횡포가 만연했었다. [7] 조항 중 보증금 납부 조항이 있었다. [8] 당시 인쇄비 때문에 신문의 가격이 비싼 편이여서 대중들은 섣불리 을 꺼내기 힘들었다. 비슷한 시기 발행되었던 《 독립신문》의 창간 당시 반 단(14행) 기준 구독료가 1년에 1원 30전, 1달에 12전, 1장에 1푼이었다고 한다. 나름대로 서재필은 싸게 매긴 가격이었는데도 신문값이 너무 비싸다며 항의 편지를 쓰는 독자들이 많았다. 거기다가 화폐 개념에 대한 대중의 무지와 운송 시설의 미비가 겹쳐 제국신문 뿐만 아니라 구한 말 시절의 신문들은 재정난에 허덕였다. [9] 대한제국기(1898~ 1908) ≪제국신문≫의 법제개혁론 [10] 《황성신문》은 중층 이상을 타겟으로 삼았다. [a] [12] 불과 1960년대까지만 해도 대한민국은 서울 차도에서 우마차가 다니는 곳이었다. [13] 구한말의 갈망을 반영한 것으로 본다면, 정부가 부정부패 없이 적극적으로 복지나 기술개발 등에 예산을 투자하는 것을 의미한 것으로 보인다. [14] 필자가 논설을 작성한 때로부터 120여 년이 지났다. [15] 여담으로 마지막 문장을 보면 꿈에서 깨고 보니 원통하다(...) 라고 쓰여 있다. 아시발꿈도 예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