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3 10:29:30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김도훈호


파일:나무위키+유도.png  
김도훈호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울산 현대의 김도훈호에 대한 내용은 울산 현대/김도훈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svg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전임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992년 이후
56대

김호
( 김호호)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57대

아나톨리
비쇼베츠

( 비쇼베츠호)
파일:러시아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58대

박종환
( 박종환호)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임시

허정무
( 박종환호)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임시

정병탁
( 박종환호)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임시

고재욱
( 박종환호)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59대

박종환
( 박종환호)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60대

차범근
( 차범근호)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대행

김평석
( 차범근호)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61대

허정무
( 허정무호)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대행

박항서
( 히딩크호)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62대

거스
히딩크

( 히딩크호)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임시

김호곤
( 김호곤호)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63대

움베르투
코엘류

( 코엘류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대행

박성화
( 박성화호)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64대


본프레레

( 본프레레호)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65대


아드보카트

( 아드보카트호)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66대


베어벡

( 베어벡호)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67대

허정무
( 허정무호)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68대

조광래
( 조광래호)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69대

최강희
( 최강희호)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70대

홍명보
( 홍명보호)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대행

신태용
( 슈틸리케호)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71대

울리
슈틸리케

( 슈틸리케호)
파일:독일 국기.svg
72대

신태용
( 신태용호)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73대

파울루
벤투

( 벤투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74대

위르겐
클린스만

( 클린스만호)
파일:독일 국기.svg
임시

황선홍
( 황선홍호)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임시

김도훈
( 김도훈호)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75대

미정
( ○○○호)
파일:국기.svg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비전임제)
전세계 축구 국가대표팀 역대 감독 보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00DCFF 2%, #0B090C 2%, #0B090C 4%, #e6002d 4%, #e6002d 96%, #0B090C 96%, #0B090C 98%, #00DCFF 98%)"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555,#aaa
성인
2024
2024
2026 FIFA 월드컵 2차 예선
선임 과정
}}}}}}}}}}}}}}} ||
<colbgcolor=#e6002d>
[[김도훈|
파일:김도훈오피셜.jpg
]]
임시 감독
김도훈
<colcolor=white> 감독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김도훈 / 임시
코치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박건하 (수석 코치)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조용형 (코치)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최성용 (코치)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양영민 (골키퍼 코치)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이재홍 (피지컬 코치)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정현규 (피지컬 코치)
주장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손흥민
계약 기간 2024년 5월 20일 ~ 2024년 6월 11일
(22일)
계약 중 ( 기준)
성적 A매치 2전 0승 0무 0패

1. 개요2. 임시 감독 선임 과정3. 코칭스태프4. 활동5. 경기 결과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임시 감독 김도훈의 대표팀을 정리한 문서.

대한축구협회가 차기 국가대표팀 감독 선임에 난항을 겪자, 6월 월드컵 2차 예선을 치를 새 임시 감독을 선임하기로 결정했고, 논의 결과 김도훈 라이언 시티 세일러스 FC 감독을 선임하기로 결정했다.

2. 임시 감독 선임 과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김도훈호/선임 과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코칭스태프

<colcolor=white><rowcolor=#ffffff> 직책 이름 국적 생년월일
<colbgcolor=#0b090c> 감독 김도훈
KIM Dohoo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70년 7월 21일 ([age(1970-07-21)]세)
수석 코치 박건하
PARK Kunh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71년 7월 25일 ([age(1971-07-25)]세)
코치 조용형
CHO Yonghyu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3년 11월 3일 ([age(1983-11-03)]세)
최성용
CHOI Sungyo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75년 12월 25일 ([age(1975-12-25)]세)
골키퍼 코치 양영민
YANG Youngmi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74년 7월 19일 ([age(1974-07-19)]세)
피지컬 코치 이재홍
LEE Jaeho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3년 3월 23일 ([age(1983-03-23)]세)
정현규
JEONG Hyeongyu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기준

4. 활동

4.1. 2024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김도훈호/2024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00DCFF 2%, #0B090C 2%, #0B090C 4%, #e6002d 4%, #e6002d 96%, #0B090C 96%, #0B090C 98%, #00DCFF 98%)"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000> 일시(한국시각) 라운드 결과 원정 경기장 하이라이트 비고
06.06 목 21:00 월드컵
아시아 2차예선
싱가포르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싱가포르
국립 경기장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6.11 화 20:00 월드컵
아시아 2차예선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 -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서울월드컵
경기장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

5. 경기 결과

경기 수 득점 실점 승률[1]
- - - - - - -%
<rowcolor=#fff> 일시 / 장소 상대국 ( FIFA 랭킹)[2] 결과 대회 득점[3] 비고
2024년
2024년 6월 6일
( 칼랑, 원정)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155)
-:-
2026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예선
2024년 6월 11일
( 서울, 홈)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88)
-:-

[1] 축구 야구와 달리 승률을 계산할 때 무승부를 분모에 산입 계산해서, 무승부는 패배나 마찬가지로 취급된다. 물론 상대팀의 승률도 하락시킨다. 자세한 내용은 승률 문서 참조 바람. [2] 경기 당시 기준. [3] 대한민국 대표팀 선수의 득점을 기준으로 서술하며, 자책골은 미포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