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14 16:17:44

대웅전

대웅보전에서 넘어옴
절의 건물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법당
상단
대웅전 | 각황전 적광전 | 비로전 | 화엄전 | 광명전 극락전 | 아미타전 | 무량수전 | 수광전
미륵전 | 용화전 | 장륙전 약사전 | 만월전 | 유리광전 | 보광전 문수전
관음전 | 원통전 | 보타전 | 대비전 천불전 | 불조전 나한전
응진전 영산전 | 팔상전 적멸보궁
중단
지장전 | 명부전 | 시왕전 조사전 | 영각
하단
삼성각 산신각 칠성각 | 북극전
독성각 용왕각 가람각
강당
설법전 보제루 | 만세루 | 구광루
<rowcolor=#fff> 기타 전각 생활공간
판전 | 대장전 | 법보전 범종각 요사
일주문 천왕문 금강문 불이문 | 해탈문
부속 시설
암자 선원 }}}}}}}}}


大雄殿 | Mahavira Hall

1. 개요2. 상세3. 주요 대웅전4. 기타5. 관련항목

1. 개요

에서 석가모니불을 본존불로 모시는 법당이며 격을 높여 대웅보전이라고도 하고, 석가모니를 깨달음의 왕 혹은 각성의 황제라 하여 각황전(覺皇殿)이라고도 한다. 화엄사의 경우는 대웅전과 각황전이 따로 있다.

국내의 절 대부분은 대웅전이 중심 건물로 있기 때문에, 불교를 잘 모른다면 대웅전이 절의 중심 건물을 지칭하는 단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대웅전은 어디까지나 석가모니를 본존불로 모신 하나의 법당을 지칭할 뿐이다. 그래서 절에 따라 특별히 모시는 부처나 보살이 따로 있다면 다른 법당이 해당 절의 중심 건물이 되기도 한다. 화엄종 계열은 적광전, 법상종 계열은 미륵전, 정토종 계열은 극락전, 천태종 계열은 영산전이 중심 건물이다.

고대 한반도에서 절의 중심 불전은 금당(金堂)이었다. 가령 신라의 국찰 황룡사의 경우 대웅전은 없고, 그 역할을 금당이 맡았다. 그래서 현대 한반도의 사찰에서는 쓰이지 않는 명칭이지만 고고학계나 사학계는 고대의 사찰에 대해 다룰 때 이 명칭이 사용된다. 반대로 일본은 예부터 지금까지 절의 중심건물을 대웅전이 아닌 금당이라고 한다.[1]

2. 상세

이름 클 대 자와, 영웅의 의미가 있는 수컷 웅 자를 써서 큰 힘이 있어서 도력과 법력으로 세상을 밝히는 영웅을 모신 전각이라는 뜻이다. '대웅(大雄)'은 산스크리트어 महावीर(mahāvīra)를 한역한 말로, 법화경에서 석가모니를 위대한 영웅, 즉 대웅이라 일컬은 데서 유래하였다.

국내 기준으로 대웅전은 본존불인 석가모니불이 있는 건물이다. 대웅전 중심에 수미산의 형태를 한 불단, 수미단(須彌壇)[2]을 만들고 그 위에 석가모니 불상을 안치한다. 그리고 석가모니불의 양 옆에 협시불을 세우는데, 일반적으로는 문수보살 보현보살을 세우며 관음보살, 지장보살, 미륵보살, 제화갈라보살 등 다른 보살을 세우는 경우도 있다.[3]

국내 대부분의 절에서 대웅전은 이렇지만, 간혹 보살 대신 아미타불, 약사여래, 비로자나불, 노사나불 등 다른 부처의 불상을 세우는 삼신불(三身佛)의 형태를 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 격을 높혀 '보(寶)' 자가 추가된 '대웅보전'이라 부르기도 한다. 중화권에서는 대웅전보다 대웅보전이라는 호칭이 일반적이다.

다만 이는 일반적인 관례가 그렇다는 것이고 실제로는 건물의 현판과 내부의 불상이 다른 경우도 흔하다. 예컨대 구례 화엄사와 보은 법주사의 대웅전에는 비로자나불이 본존불로 있으면서 좌우로 노사나불과 석가모니불이 있다. 관례대로라면 본존불을 따라 건물의 이름은 적광전이 되어야 한다. 이런 경우 비록 중심 건물은 대웅전이지만 본존불이 비로자나불이므로 이러한 절은 화엄종 계열의 절이거나 한때 그에 영향을 받았던 절이라고 볼 수 있다. 이렇게 관습을 따르지 않는 경향은 조선시대에 중수한 절에서 자주 보인다.

한국 불교의 관습에서는 석가모니 진신사리를 모시는 통도사와 같은 절에는 그 사리를 봉안한 적멸보궁(寂滅寶宮)이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대웅전에 불상을 모시지 않는다. 불상은 부처의 모습을 형상화한 것에 불과하고, 진신사리는 부처의 몸에서 나온 것이므로 진신사리가 불상을 완전히 대체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통도사 대웅전에는 빈 불단만 놓여 있고, 적멸보궁을 볼 수 있게 그쪽으로 문이 나 있다.

일반적으로 법회는 대웅전에서 하지만 다른 전각에서 하는 경우[4]도 있다. 중고등부, 청년부 등 특정 신분을 위한 법회는 거의 다른 전각에서 열린다. 규모가 작은 절에선 대웅전 없이 극락전(아미타전)[5], 미륵전(용화전)[6], 적광전(비로전)[7] 등만 있고 모든 법회가 해당 전각에서 진행되는 경우도 있다.

우리나라의 사찰예절에서는 대웅전 등 중심이 되는 불전에 있는 문들 중에서 한 가운데 있는 문을 어간문(御間門)이라 부르며 사용하지 못 하게 막는다. 어간문은 해당 절의 주지나 큰스님 정도만 사용하고, 일반 신도들은 물론 어지간한 승려들도 모두 양 옆에 있는 다른 문으로 드나들게 한다.

3. 주요 대웅전

거의 대부분의 절에 대웅전이 있을 정도로 다수의 대웅전이 있다. 이중 역사가 오래된 절의 대웅전은 국가지정문화재(국보, 보물)로 지정된 경우가 많다.
  • 보물
    • 서산 개심사 대웅전 (보물 제143호)
    • 청양 장곡사 상 대웅전 (보물 제162호)
      청양 장곡사 하 대웅전 (보물 제181호)

      • 장곡사는 보물로 지정된 대웅전이 두 채 있는 절이다. 산 아래에 하(下) 대웅전이 있고 그보다 더 위쪽에 상(上) 대웅전이 있다. 대웅전에는 원래 석가모니를 주불로 모셔야 하는데, 장곡사의 하 대웅전에는 약사여래불, 상 대웅전에는 비로자나불이 봉안되어 있다. 한 절 안에 두 채의 대웅전이 있는 것도 이례적이고, 두 대웅전 안에 석가모니가 아닌 다른 부처를 모신 것 또한 이례적이다. 한국 불교의 통례대로라면 장곡사의 두 대웅전의 명칭은 각각 약사전과 대적광전(비로전)이어야 한다.
    • 화순 쌍봉사 대웅전 (보물 제163호)[8]
    • 강화 전등사 대웅전 (보물 제178호)
    • 창녕 관룡사 대웅전 (보물 제212호)
    • 고창 선운사 대웅전 (보물 제290호)
    • 부안 내소사 대웅보전 (보물 제291호)
    • 부안 개암사 대웅전 (보물 제292호)
    • 구례 화엄사 대웅전 (보물 제299호)
    • 산청 율곡사 대웅전 (보물 제374호)
    • 여수 흥국사 대웅전 (보물 제396호)
    • 홍성 고산사 대웅전 (보물 제399호)
    • 논산 쌍계사 대웅전 (보물 제408호)
    • 부산 범어사 대웅전 (보물 제434호)
    • 하동 쌍계사 대웅전 (보물 제500호)
    • 경산 환성사 대웅전 (보물 제562호)
    • 청주 안심사 대웅전 (보물 제664호)
    • 공주 마곡사 대웅보전 (보물 제801호)
    • 고창 선운사 참당암 대웅전 (보물 제803호)
    • 순천 정혜사 대웅전 (보물 제804호)
    • 안성 청룡사 대웅전 (보물 제824호)
    • 영광 불갑사 대웅전 (보물 제830호)
    • 청도 대비사 대웅전 (보물 제834호)
    • 청도 운문사 대웅보전 (보물 제835호)[9]
    • 보은 법주사 대웅보전 (보물 제915호)
    • 해남 미황사 대웅전 (보물 제947호)
    • 울진 불영사 대웅보전 (보물 제1201호)
    • 완주 송광사 대웅전 (보물 제1243호)
    • 고흥 능가사 대웅전 (보물 제1307호)
    • 나주 불회사 대웅전 (보물 제1310호)
    • 순천 선암사 대웅전 (보물 제1311호)
    • 대구 동화사 대웅전 (보물 제1563호)
    • 김천 직지사 대웅전 (보물 제1576호)
    • 경주 불국사 대웅전 (보물 제1744호)
    • 기장 장안사 대웅전 (보물 제1771호)
    • 의성 대곡사 대웅전 (보물 제1831호)
    • 남해 용문사 대웅전 (보물 제1849호)
    • 부산 운수사 대웅전 (보물 제1896호)
    • 화성 용주사 대웅보전 (보물 제1942호)
    • 구미 대둔사 대웅전 (보물 제1945호)
    • 안성 칠장사 대웅전 (보물 제2036호)
    • 안동 봉황사 대웅전 (보물 제2068호)
    • 공주 갑사 대웅전 (보물 제2120호)
    • 칠곡 송림사 대웅전 (보물 제2131호)

4. 기타

  • 일부 환단고기 신봉자들은 원래 환웅을 모시던 곳인데, 불교가 전래되면서 우리 민족의 정신이 왜곡되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그 증거로 대웅전이라는 전각은 우리나라에만 있다는 주장이 나오는데, 이는 잘못된 주장이다. 구글에서 대웅전(大雄殿), 대웅보전(大雄寶殿, 정체), 대웅보전(大雄宝殿, 간체) 등을 검색하면 수많은 중국 사찰의 사진들과 정보들이 뜬다. 또한 사찰의 중심건물에 '대웅전'이라는 명칭을 붙혔다는 기록은 고려~조선 시대에서 부터 나온다. 만약 이 주장이 맞다면 한국에 불교가 전래된 시기부터 대웅전이라고 불렀다는 기록이 있어야 한다.
  • 2021년 3월 5일 오후 6시 50분, 전라북도 정읍시에 소재한 내장사 대웅전에서 만취한 50대 승려가 방화하여 완전히 전소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1 #2 함께 지내던 동료들이 섭섭하게 해서 술을 마시고 홧김에 불을 질렀다고 전해졌다.

5. 관련항목



[1] 일본에서도 대웅전이 없지는 않지만 한국, 중국에 비해 그 수가 적다. [2] 대부분은 그저 불단일 뿐이지만 어떤 경우에는 예술성이 뛰어나 문화재로까지 지정되어있는데 은해사 백흥암과 직지사 대웅전의 수미단은 각각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3] 가람의 규모가 작아서 별도로 관음전, 지장전(명부전) 등이 없는 경우에는 관세음보살 지장보살을 석가모니불의 협시불로 모시고, 문수보살 보현보살은 신중탱화에 모시는 경우도 많다. 화엄성중에 문수보살과 보현보살 또한 포함되기 때문이다. [4] 대표적으로 봉은사가 있다. 봉은사에서 법회는 대웅전이 아니라 법왕루에서 봉행한다. [5] 아미타불을 주존불로 모심. [6] 미륵불을 주존불로 모심. [7] 비로자나불을 주존불로 삼존불을 모심. [8] 1984년 화재로 소실 [9] 운문사도 청양 장곡사처럼 대웅보전이 두 채 있다. 그러나 장곡사와 달리 운문사 대웅보전 중 한 척은 1994년 신축한 건물로 문화재로 지정되지 않았다. [10] 화재로 전소되고 다시 짓기를 반복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