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2-31 19:15:40

논리함수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표제어 현상 유지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 토론 - 표제어 현상 유지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수학기초론
Foundations of Mathematics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다루는 대상과 주요 토픽
수리논리학 논리 · 논증{ 귀납논증 · 연역논증 · 귀추 · 유추} · 공리 및 공준 · 증명{ 자동정리증명 · 귀류법 · 수학적 귀납법 · 반증 · 더블 카운팅 · PWW} · 논리함수 · 논리 연산 · 잘 정의됨 · 조건문( 조각적 정의) · 명제 논리( 명제 · 아이버슨 괄호 · · · 대우) · 양상논리 · 술어 논리( 존재성과 유일성) · 형식문법 · 유형 이론 · 모형 이론
집합론 집합( 원소 · 공집합 · 집합족 · 곱집합 · 멱집합) · 관계( 동치관계 · 순서 관계) · 순서쌍( 튜플) · 서수( 하세 다이어그램 · 큰 가산서수) · 수 체계 · ZFC( 선택공리) · 기수( 초한기수) · 절대적 무한 · 모임
범주론 범주 · 함자 · 수반 · 자연 변환 · 모나드 · 쌍대성
계산가능성 이론 계산 · 오토마타 · 튜링 기계 · 바쁜 비버 · 정지 문제 · 재귀함수
정리
드모르간 법칙 · 대각선 논법 · 러셀의 역설 · 거짓말쟁이의 역설 · 뢰벤하임-스콜렘 정리 · 슈뢰더-베른슈타인 정리 · 집합-부분합 정리 · 퍼스의 항진명제 · 굿스타인 정리 · 완전성 정리 · 불완전성 정리( 괴델 부호화) · 힐베르트의 호텔 · 연속체 가설 · 퍼지 논리
기타
예비사항( 약어 및 기호) · 추상화 · 벤 다이어그램 · 수학철학
틀:논리학 · 틀:이산수학 · 틀:이론 컴퓨터 과학 · 철학 관련 정보 · 논리학 관련 정보 · 수학 관련 정보 }}}}}}}}}



1. 개요2. 명제화3. 제한자

[clearfix]

1. 개요



입력에 따라 참, 거짓 중 하나의 값을 출력하는 함수.
가령 [math(f(\rm A, B) = A \cdot B)]라고 하면(단, [math(\rm A)]와 [math(\rm B)]는 부울 변수), A와 B의 값에 따라서 f는 참(True), 거짓(False) 둘 중 하나의 값을 출력할 수 있다.
논리함수는 위와 같이 AND, OR과 같은 논리연산만으로도 이루어 질 수도 있지만, [math(f = x == 5)], [math(f = x< 3)], [math(f = \text{``오늘 비가 온다''})]와 같이 결과값이 참, 거짓으로 나오는 모든 연산과 논리로 구성될 수 있다.

당연한 것이겠지만 논리함수에 값을 집어넣으면 참 또는 거짓인 값을 출력해 낸다. 일반 함수처럼 생각하면 된다.

대표적인 예시로 지시함수가 있다. 입력값이 지정한 집합에 속해 있으면 1, 그렇지 않으면 0을 출력한다.

2. 명제화

주의할 점은, 부울 함수는 그 자체로 명제가 아니라는 것이다. 명제란 참 거짓이 명확한 문장으로써, 논리함수는 입력하는 값에 따라 참 또는 거짓이 되므로 명제가 아니다. 논리함수가 명제가 되려면 함수의 결과값으로 무조건 참이 나오거나, 무조건 거짓이 나와야 한다.

그럼 논리함수를 명제화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단순히 생각하면 입력의 값을 제어하면 된다. 예를 들어 값의 범위를 지정하는 방법이 있는데, 가령 [math(f = x < 5)]라는 논리함수에서 [math(x<3)]의 범위를 지정하면 [math(f)]는 무조건 참이 된다. 이는 명제다.

3. 제한자

여기서 더 나아가 모든(Universal, [math(∀)])과 어떤(Existantial, [math(∃)])[1]이라는 제한자(quantifier)라는 것이 있다. 이것들 또한 값의 범위를 지정하는 것으로 각각 '모든 원소가', '어떤 한 원소가' 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가령 [math(f(x))]를 "[math(x)]는 3의 배수인 정수이다." 라고 하면, "모든 [math(x)]에 대해서 [math(f(x))]가 성립한다(= 참이다)", "어떤 [math(x)]에 대해서 [math(f(x))]가 성립한다."와 같이 제한자를 사용한다.

다만 이 제한자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논리함수가 정의되는 범위(domain)가 반드시 필요하다. 가령 위에서 말한 [math(f(x))]가 '6의 배수를 모은 집합'에서 정의가 된다고 하면 모든 [math(x)]에 대해서 [math(f(x))]가 성립하지만 '모든 자연수' 에서 정의된다고 하면 모든 [math(x)]에 대해 [math(f(x))]가 성립하지는 않는다.

[1] 해당 기호는 증명 약어로 존재한다(Exist)라는 의미를 지니기도 하므로 사용에 주의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