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금석문( 金 石 文)은 돌이나 금속 따위에 새겨진 글, 기록을 뜻한다.정의 범위를 넓히면 목간은 물론 도자기, 불상, 범종, 칼, 암각화(서석), 벽화(묵서명), 심지어 직물에 쓴 포기(布記) 등까지 범위가 마구 늘어나기도 한다. ※
고대 한국사는 사서로 남은 기록이 부실하고 남아있기도 힘들 뿐더러[1], 현재까지 전하는 역사서 중 가장 오래된 정사 삼국사기 역시 삼국시대가 아니라 몇백 년은 지난 고려 때 쓰인 것이다. 이렇게 기록이 부족한 상황에서 광개토대왕릉비, 북한산 진흥왕 순수비같이 금석문은 얼마 남지 않은 당대에 기록된 1차 사료로서 가치가 높다.
예를 들면 신라 태조 성한왕에 대한 기록, 백제의 매국노 예식진에 대한 기록, 연남생의 묘비에 기록된 연개소문 가문의 가계도 등 사서에 없거나 부족한 부분을 금석문으로 알 수 있다.
한국사에서 유독 고구려와 신라는 각지에 비석을 많이 세웠고 영토 확장, 지방 시찰, 법령과 판결, 외교관계, 수묘법 등 국가의 통치 행위에 관한 중요한 내용을 기록하고 알리는 데 활용하는 면모가 두드러진다. 반면 백제나 그 영향을 받았을 고대 일본은 다른 기록에 비해 상대적으로 금석문을 많이 남기지 않은 편이고, 내용도 국가적 기록보다는 사찰 건립이나 지역 단위의 기록이 많다.
발견된 금석문을 기록하거나 알리기 위해 본뜨는 행위로 탁본이 있다. 요철이 자세히 드러나므로 사진보다 훨씬 알아보기 쉽고, 이보다 자세히 기록하는 방법은 3D 스캐너 정도밖에 없다.
2. 목록
2.1. 한국의 주요 금석문
나무위키 문서가 있는 한민족 국가별 금석문 목록 |
고구려 | 백제 | 신라 | 고려 | 조선 |
- 경주 남산 신성비
- 경주 찬지비
- 경주 태종무열왕릉비
- 광개토대왕릉비
- 단양 신라 적성비
- 대구 무술명 오작비
- 명활산성비
- 무령왕릉 지석
- 문무왕릉비
- 부여 사택지적비
- 사천 선진리 신라비
- 영천 청제비
-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 울주 천전리 암각화
- 울진 봉평리 신라비
- 울진 성류굴 명문
- 이차돈 순교비
- 임신서기석
- 점제현 신사비
- 충주 고구려비
- 진흥왕 순수비
진흥왕 순수비 眞興王巡狩碑 |
|||
북한산 진흥왕 순수비 | 창녕 진흥왕 척경비 | 황초령 진흥왕 순수비 | 마운령 진흥왕 순수비 |
※ 파주 감악산비는 진흥왕 순수비 중 하나로 추정되나 확실하지 않음. |
2.2. 외국의 금석문
- 고대 그리스나 고대 로마도 금석문이 있어서, 이를 편찬한 자료인 Corpus Inscriptionum Graecarum, Corpus Inscriptionum Latinarum이 간행되었다.
- 고즈케 삼비(上野三碑)
- 로제타 석
- 메사 석비
- 베히스툰 비문
- 석각 유훈: 역사상에 존재하였다는 금석문으로 송나라를 건국한 송태조의 유훈을 새겨놓았는데, 새로 즉위하는 황제들은 입 무겁고 글 못 읽는 환관 하나와 함께 소리 없이 이를 읽었다고 한다. 북송 시절에는 극비 중 극비라서 아무리 총애받는 신하라 해도 그 존재조차 몰랐지만, 정강의 변 이후 금나라 시절에 석각 유훈의 존재와 그 내용이 알려졌다고 한다.
- 팔레르모 석
- 함무라비 법전
[1]
무엇보다 책은 누가 베끼기 전에 불타거나 씻기거나 썩으면 그걸로 끝이지만 돌에 새긴 것은 왠만하면 수백 수천년도 버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