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30 10:25:53

그리고 모든 증오가 시작되는 곳/설정

그리고 모든 증오가 시작되는 곳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b14962,#b1496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등장인물
( 선생 · 선생 일행 · 아리우스의 잔당)
설정
( 저주 · 발광 현상)
}}}}}}}}}}}} ||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1. 개요2. 작중 시점3. 성별4. 선생의 거처5. 저주6. 발광 현상7. 페로로 페스티벌8. 싯딤의 상자9. 색채10. 특기전력 5인

[clearfix]

1. 개요

모바일 게임 블루 아카이브 팬픽 소설 그리고 모든 증오가 시작되는 곳의 설정이다.

2. 작중 시점

작중 시점은 기본적으로는 메인 스토리 기준 1부 최종편이 끝난 이후이며 카르바노그의 토끼 2장 직전에 갈라졌다.

그러나 이벤트 스토리의 시간 순서는 조금 다르다. 가령 Trip-Trap-Train 이벤트는 카르바노그의 토끼 2장이 끝난 뒤에 나온 이벤트이지만 여기서는 선생이 이치카와 쌓은 인연을 떠올리거나 이오리가 열차 사건을 언급하는 등 이미 벌어진 일인 것으로 나온다. 작가가 밝히길 헷갈린 건 아니고 원작과 다른 평행우주라는 것을 표현하기 위해 조금씩 변형시켰다고 한다.

이후에도 원작의 세계선과는 별도의 세계선으로 갈 것이며, 현 시점의 한섭에 등장하지 않은 2부 등장인물은 가급적 등장하지 않을 거라 밝혔다.

3. 성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블루 아카이브/설정 문서
번 문단을
성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키보토스에 인간 남성은 극히 드물다고 언급되고 있다. 원작에서는 인간 남성이 표현과 언급이 아예 안 되고 있을 뿐 존재 자체가 드물거나 없다고 명확히 언급된 바가 없다.

4. 선생의 거처

선생이 거주하는 장소. 작중 시점에 따라 거처가 바뀌고 있으며, 가장 오래 선생이 거주한 거처는 아비도스이다. 거처라는 명칭은 7화부터 언급된다. 선생의 모든 거처는 키보토스에 있다.
선생의 키보토스 거처 목록
<colbgcolor=#b14962,#b14962><colcolor=#ffffff,#dddddd> 1화 이전 선생의 집[1]
1-2화 없음
2화 블랙마켓 지구 골목
3-5화 사오리의 은신처
6-9화 아리우스 스쿼드의 은신처
9-21화 흥신소 68 사무실
21-133화 아비도스 고등학교
133-136화 차량
136화-161화 게헨나 자치구 폐건물
162화- 차량[2]

5. 저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저주(그리고 모든 증오가 시작되는 곳)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발광 현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발광 현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페로로 페스티벌

111화에서 처음 언급된 축제. 원작에선 히후미의 모모톡 프로필로 언급되었으며 본작에서 오리지널 설정이 꽤 덧붙여졌다. 말 그대로 페로로를 비롯한 모모프렌즈를 메인 테마로 한 축제로, 해당 축제를 개최하기 전 대표로 선정할 캐릭터로서 페로로가 뽑혀 페로로의 이름이 들어갔다고 한다. 트리니티에서 개최되며, 총 4일에 걸쳐서 진행된다. 본래는 이런 큰 행사 직전에 총학생회 테러 사건이 발생해 취소가 유력했으나, 총학생회장 대행이 된 카야가 어지러운 정세를 무마하고 키보토스는 안전하다고 선전하기 위해서 개최를 강행하였다. 이에 선생 일행과 그 협력자들은 총학생회 테러의 범인들이 축제 도중에 또 일을 벌일 수 있다고 판단하여, 트리니티 티파티가 보충수업부를 축제 현장에 보내는 등 예의주시하고 있으며, 게헨나 수뇌부 등 저주로 인해 선생과 적대하는 이들도 총학생회 테러범으로 추정 중인 선생이 무슨 일을 벌일지 모른다는 생각에 역시 주시하고 있다.

그리고 역시나 클리셰대로 이 페스티벌에서 무언가 터질 거라고 노골적인 떡밥이 던져지고, 164화에서 마침내 퍼레이드 도중에 애니매트로닉스들이 언데드 아리우스 학생들에게 조종당하고 인형의 몸에서 나온 언데드 아리우스 학생의 신체 조각을 통해 붉은 구슬 여러 개가 살포, 파괴되면서 나온 적광(赤光)에 근처 학생들이 직접적으로 노출되면서 퍼레이드장이 쑥대밭이 되고 만다. 그리고 이 사건을 통해서 발광 현상의 위험성이 키보토스 전역에 확실하게 알려진다.
총 4일에 걸친 주요 행사 일정은 아래와 같다.
<colcolor=#ffffff,#dddddd> 페로로 페스티벌 주요 행사 일정
<colbgcolor=#b14962,#b14962> 일자 행사명
상세
1일 모모프렌즈 서바이벌 퀴즈 쇼
페로로 페스티벌 한정 굿즈를 우승 상품으로 걸고 있는 퀴즈 쇼. 트리니티 보충수업부가 축제에서 발광 현상이 일어나는지 감시하는 임무를 수행 중이었는데 히후미와 아즈사가 결국 유혹을 이기지 못하고 참가해 히후미가 우승까지 해서 한정 굿즈를 손에 넣었다. 그 때문에 성과를 내지 못해 나기사에게 한소리 들었지만, 부상으로 퍼레이드 참가권을 얻은 덕에 퍼레이드에 직접 참가하여 감시하기로 한다.
2일 트리니티-게헨나 간 모모프렌즈 퍼레이드
이름 그대로 모모프렌즈를 소재로 한 거대한 인형들과 애니매트로닉스들을 동원한, 트리니티에서 출발해 게헨나까지 이동하는 초대형 퍼레이드 행사이자 본 축제의 핵심 행사. 선생 측도, 저주에 걸린 학생들 측도 이 행사에서 가장 큰 테러가 발생할 것을 우려해 예의주시하고 있으며, 언데드 돌연변이 아리우스 학생 2인조 또한 이때에 테러가 터질 것을 암시하는 말을 남겼다. 그리고 164화에서 퍼레이드가 진행되던 중 언데드 아리우스 학생들 일부가 애니매트로닉스에 침투해, 붉은 구슬을 통해 적광을 퍼뜨려 퍼레이드장을 엉망으로 만들어 놓는다.

152화 후반부에 본격적으로 개최된다. 참가한 세력은 아래와 같다.
  • 선생 측: 미사키(히구치 마도카 신분, 156화에서 행사장 이탈) + 흥신소 68 전원(히나와 동맹) + 저주가 풀린 게헨나 선도부 학생들 전원(히나와 동맹) + 트리니티 보충수업부 전원 + 아비도스 대책위원회 전원(히마리의 AI와 동행 중) + 미카 + 아리스를 제외한 게임개발부 전원
  • 게헨나 측: 히나(선도부), 이부키(만마전), 사츠키(만마전), 마코토(만마전, 165화에서 참가)
  • 트리니티 측: 레이사(자경단), 방과후 디저트부(참가 시점 최소 2일차, 카즈사를 제외한 3명 발광 및 기절 상태)
  • 카이저 PMC(경호원)
  • 평행세계의 선생
    모모프렌즈 퍼레이드에서 언데드 아리우스 학생들이 대규모 발광 현상을 일으킨 후 현장에 나타난 인물들이나 세력은 아래와 같다.
  • 시로코 테러(166화에서 난입)
  • RABBIT 소대(168화에서 난입)
  • 이즈나(169화에서 난입)
  • 네루, 츠루기(171화에서 난입 예고)

8. 싯딤의 상자

본편 세계의 선생이 사용하던 싯딤의 상자는 선생의 도피생활로 인해 내부에 파손이 많이 일어나 능력을 온전히 이끌어내지 못하고 있으며, 그 때문에 작중에서 선생이 몸을 제대로 지키지 못해 세 번이나 죽을 뻔했다. 결국 미카와의 전투에서 아로나와 프라나가 싯딤의 상자의 힘을 제어권을 선생에게 양도하면서 선생이 직접 싯딤의 상자의 방어 능력을 사용하고 있지만, 그마저도 원작에 비해 온전하지 못해 견딜 수 있는 충격량도 원작보다 크게 줄어들어 잘못하면 깨져버릴 수 있고 이를 노린 적에 의해 내부 기판이 박살나 완전히 못 쓰게 될 가능성도 있어서 웬만해서는 사용을 자제하고 있다. 내부 파손이 얼마나 심각하냐면, 174화에서는 프라나가 차 밀리는 시간을 계산하면서 원래대로라면 발생할 수가 없는 "15분 23초에서 23시간 1분 29초"라는 심각한 오차가 나올 정도로 연산 기능도 많이 저하되었다. 선생은 밀레니엄의 도움을 전혀 받을 수 없는 상태에서 이 싯딤의 상자를 수리하기 위해 어른의 카드를 쓸까도 생각해 보았지만, 선생의 몸 상태고 좋지 않은 데다 원작의 에덴조약 당시 미카를 구하기 위해 어른의 카드를 썼을 때 몸에 상당한 무리가 간 적이 있어 어른의 카드를 함부로 쓸 수도 없는 상황이다.

평행세계의 선생은 방어막을 아예 공격에 사용하기도 하는데, 작중에서 평행세계의 아로나가 검은 양복과 시로코 테러 앞에서 까불기만 하는 평행세계의 선생을 방어막에 가두어서 수축시키며 응징하기도 하고, 평행세계의 선생이 오토마타에게 기습을 받았을 때 자기를 기습한 오토마타들 중 하나의 사지를 뽑아버리고 방어막에 가둬버린 다음 방어막을 축소시켜 오토마타를 완전히 찌그러뜨려 손바닥 크기로 압축했다. 평행세계의 싯딤의 상자의 제어권은 여전히 평행세계의 아로나가 쥐고 있다.

원작과 마찬가지로 히마리를 비롯한 전기, 전자 계열 전공자들은 여전히 싯딤의 상자를 해킹하지 못한다. 실제로도 히마리의 AI가 시로코와 노노미에게 자신의 원본이 싯딤의 상자를 해킹하려고 시도한 적이 있지만 접근 자체가 아예 불가능했다는 사실을 직접 이야기한다.

9. 색채

위에서 언급한 저주와 발광 현상 외에, 작중 등장하는 색채의 힘으로 발휘할 수 있는 오리지널 요소는 다음과 같다.
  • 죽은 키보토스인을 언데드로 되살려 자신의 하수인으로 부려먹을 수 있다. 해당 색채의 힘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언데드들의 생사여탈권이 달려 있다.
    사용자: 베아트리체
  • 색채의 힘을 뒤집어쓴 자에게 불로를 부여한다.
    영향자: 평행세계의 선생
  • 어른의 카드를 쓸 수 있는 자가 어른의 카드의 힘을 색채의 힘과 조합해서 차원을 열어 물건을 소환할 수 있다.
    사용자: 평행세계의 선생
  • 색채의 힘이 적용된 곳에서 색채의 힘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평행세계의 선생, 시로코 테러

10. 특기전력 5인

SRT 특수학원이 폐교되기 전, SRT 특수학원에서 정의한 학생들 중 손꼽히는 최상위권의 강자 5명을 지칭한다.[3] 이름의 유래는 당연히 블리치 특기전력. 목록은 등장 순서대로 아래와 같으며, 171화 기준으로 츠루기를 마지막으로 5인이 본편에 전부 등장했다.


[1] 본작 사건 이전 키보토스에 선생의 집이 있었지만 유우카의 샬레 폭격 이후 선생이 더 이상 거주하지 않는다. [2] 162화에서 흥신소 68이 선생 일행이 "게헨나 자치구를 벗어났다"고 언급했지만 페로로 페스티벌에서 발광 현상이 일어나면서 게헨나 자치구로 돌아왔다. [3] 이 5명은 실제로 스토리 묘사를 통해 유저들로부터 키보토스 학생들 중 최강자 반열로 여겨지는 이들이지만, 원작에서는 따로 특별히 지칭하는 이름은 없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96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967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