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22 00:34:22

군관구사령부

관구사령부에서 넘어옴
대한민국 육군/ 해병대 국방부 직할부대의 편제단위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6400> 대(隊)급 편제
편제 분대 소대 중대 지역대 대대 연대
지휘관 분대장 반장 소대장 중대장 지역대장 대장 대대장 연대장
부지휘관 부분대장   부소대장 부중대장     부대대장 부연대장
단(團)급 편제 군(軍)급 편제
편제 여단 사단 군단 작전사령부 야전군 집단군 군관구
지휘관 단장 여단장 사단장 군단장 작전사령관 야전군사령관 집단군사령관 군관구사령관
부지휘관 부단장 부여단장 부사단장 부군단장 부사령관
포병의 편제 지휘소
편제 포반 전포대 포대 포병단 사령부
지휘관 포반장 전포대장 포대장 단장 사령관
※둘러보기: 군사학교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제1군관구사령부.png 파일:제2군관구사령부.png 파일:제3군관구사령부.png 파일:제5군관구사령부.png 파일:6관구사령부_부대마크.png
1군관구사령부 2군관구사령부 3군관구사령부 5군관구사령부 6군관구사령부
파일:육군교육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육군군수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울산경비사령부.jpg 파일:동해경비사.jpg 파일:수도군단 부대상징.svg
육군전투사령부 군수기지사령부 울산경비사령부 동해안경비사령부 경인지역방어사령부
파일:서울올림픽지원사령부 마크.jpg 파일:유도탄사.jpg 파일:육군미사일사령부.png 파일:external/bm.gametree.co.kr/gpictnff.jpg 파일:external/46aec1b1329773da39791e881bd431d38eb91af23e7468e959e9cc7d263ddd51.jpg
서울올림픽지원사령부 방공포병사령부 육군유도탄사령부 2군수지원사령부 3군수지원사령부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시흥지구전투사령부 김포지구전투사령부 백야전사령부 옹진지구전투사령부
※ 둘러보기: 해체·해편된 각급 육군 부대
작전사령부 · 기능사령부 | 해체된 야전군 · 해체된 기능사령부
}}}}}}}}} ||
파일:external/mmzone.co.kr/mmzimg1412482572717.jpg
軍管區司令部 military district command
1. 개요2. 상세3. 대한민국 육군의 군관구사령부 목록4. 여담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육군에 존재했던 사령부. 정식 명칭은 군관구사령부 였지만, 대부분 그냥 줄여서 관구사령부라고 불렀다.

2. 상세

1954년, 제2야전군이 창설되어, 후방에 관한 업무를 분장하기 위해, 5개의 관구사령부가 창설 되었는데,[1] 각각의 사령부는 당해 소관구역내의 육군 제부대에 대한 군수,[2] 군행정의 지원, 관할지역내의 정부 재산과 군시설보호 유지 관리, 그리고 군관구위수사령부로서 지역내의 위수업무, 예배속부대에 대한 교육훈련의 지휘 및 감독의 제임무를 수행했다.

부대 규모는 군단 사단의 중간 수준이며 사령관은 대부분 전방 사단장 보직을 마친 소장이 맡았다. 보직 계급은 사단장 준장이었고 군관구사령관이 소장이었으며 보직 루트가 사단장( 준장) → 부군단장( 준장) → 군관구사령관( 소장) → 군단장( 중장)이었으나 군관구사령부가 폐지되고 사단 바로 위가 군단으로 개편되자 사단장의 보직 계급이 소장으로 오르고 보직 루트도 사단장( 소장) → 소장급 참모 → 군단장( 중장)으로 개편되었다.

이후 해체되면서 일부 군관구사령부는 군수지원 기능만 남아 야전군 휘하의 군수지원사령부로 이어졌다.

3. 대한민국 육군의 군관구사령부 목록

4. 여담

50년대에 창설되어, 80년대 초반에 해체되었기 때문에, 나이 좀 많은 사람들말고는 아는사람이 거의 없다. 그래서 노인들이 X관구사령부에 근무했다고 말하면 어리둥절한 경우가 많다.



[1] 동시에 창설된건 아니고, 몇년동안 차례로 창설되었다. [2] 지금의 각 군수지원사령부 역할도 겸했다는 얘기다. [3] 당시 전주 주둔. 2013년에 임실로 이전. [4] 당시 창원 주둔. 2015년에 함안으로 이전. [5] 당시 조치원(현 세종시 조치원읍) 주둔. 이후 기계화사단으로 전방 재배치되었다가 향토사단 환원으로 지금의 둔산신도시 일대에 주둔하다가 현 위치(세종시)로 이전. [6] 지금의 안동 구70사단 부지에 주둔. [7] 지금의 36사단 관할구역인 강원도 남부내륙을 담당 [8] 당시 대구 용산동 주둔. [9] 지금의 문래공원 자리. 그래서 문래공원 안에는 일명 "박정희 벙커"가 남아있다. [10] 30사단 33사단 관할 지역. 전방군단 지역인 경기북부 대부분이 빠졌다고 보면 된다. [11] 지금의 수도군단 예하 51, 55사단과 수방사 예하 52, 56사단이 창설(사단 증편)된 것은 1980년대의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