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7 21:14:51

공양학

파일:종교표지_유교_흰색.png
중국에서의 유교 변천사
선진유학 훈고학 성리학 양명학 고증학 공양학 현대 신유학


1. 개요2. 성립3. 쇠퇴 4. 부활5. 사상가

1. 개요

공양학()은 청나라 말기에 재등장한 유학의 일파이다. 19세기에 영국, 프랑스 등 서양 열강 침입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대응할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등장하였다. 후한 훈고학이 성립되기 전의 춘추공양전 중심의 금문경학이 1500여 년만에 재등장하게 되었다. 1840년에 있었던 아편전쟁이후, 본격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하여, 양무운동이 실패한 후, 변법자강운동의 사상적 기초가 되는 사상이다.

2. 성립

전한 초기에 생긴 금문학파(今文學派)는 공자를 정치가로, 그가 편성한 육경(六經)을 공자의 정치이론서라고 생각하였다. 그 가운데서도 특히 《춘추공양전》에 그 핵심 사상이 들어 있다고 생각하여 서한의 대학자 동중서(董仲舒)와 공손홍(公孫弘)이 중심이 되어 이 공양학을 창설하였다.

또 중국은 하나라는 사상인 이른바 대일통(大一統)사상이 공양전 속에서 강조되자, 이 학문이 정치에 큰 도움이 되겠다고 판단한 한나라 무제가 정치이론서로 선택하고 또 공손홍을 승상으로 등용하자 공양학은 매우 번창하였다. 후한(後漢) 때는 학자 하휴가 《춘추공양해고(春秋公羊解詁)》 《공양묵수(公羊墨守)》《좌씨고황(左氏膏肓)》 《곡량폐질(穀梁廢疾》 등을 지어 더욱 발전시켰다.

3. 쇠퇴

후한 시기에 접어들면서 고문경서가 연달아 발견되면서 4차례에 걸친 금고문경학 논쟁에서 금문학파가 패배하여 점차 쇠퇴하였다. 그 결과 금문경학은 고문경학에 통합되었다. 그리고 후한이 멸망하면서, 금문경학은 학자들 사이에서 잊혀졌다.

4. 부활

청나라 초중기에 성행하던 고증학이 형식화되자 이를 비판하며 출현한 것이 공양학이다. 공양학은 하휴가 남긴 《춘추공양해고(春秋公羊解詁)》를 바탕으로 사회개혁적인 논리를 전개하였다.

5. 사상가

  • 한대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