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군주의 칭호 | ||||||
{{{#!wiki style="min-height: 20px; 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공통 | |||||
임금 | 왕 | ||||||
고조선 | 진국 · 삼한 | 백제 | 고구려· 신라 | |||
단군 | 한왕, 신지, 읍차 | 태왕 | ||||
신라 | ||||||
거서간 | 차차웅 | 이사금 | 마립간 | |||
신라· 가야 | 탐라 | 발해 | 고려 | |||
간지, 한기 | 성주, 왕자 | 가독부 | 대왕, 황제 | |||
조선 | 대한제국 | |||||
왕, 대군주 | 황제, 대황제 | }}}}}}}}} |
1. 소개
"
그 나라 사람들은
왕을 일컬어 가독부(可毒夫) 또는 성왕(聖王) 또는 기하(基下)라 하고, 명(命)은 교(敎)라 하며, 왕의 아버지는 노왕(老王), 어머니는 태비(太妃), 왕후는 귀비(貴妃), 장자(長子)는 부왕(副王), 다른 아들들은 왕자(王子)라 한다."
《 신당서》 〈북적열전〉 발해
《 신당서》 〈북적열전〉 발해
군주를 가독부(可毒夫)라 하고, 대면하여서는 성(聖)이라 하였으며, 군주에게 올리는 글에서는 기하(其下)라고 부른다.
《 구오대사》 〈외국열전〉 발해말갈
《 구오대사》 〈외국열전〉 발해말갈
가독부(可毒夫)는 발해에서 군주를 뜻하던 말이다.
마지막 글자인 부(夫)는 거칠부, 노리부, 명림답부와 같은 것을 볼 때 현대 한국어에서 울보, 먹보 등으로 남아 있는 고대 한국어 존칭 접미사 '보'로 생각된다.
가독(可毒)의 경우 사서에서 같이 언급된 성(聖)과 연관지어 '거룩하다'는 뜻으로 해석하기도 하며[1], 만주어로 "다스리다"를 뜻하는 동사인 kadalambi과 유관하다는 주장도 있다.[2]
2. 그 외 용어
한문에서 '○下' 형태로 상대를 호칭하는 것은 문어체 어휘로, 한자문화권에서 실제 입말로는 잘 사용되지 않았던 표현이다. 이런 점에서 위의 기록들에서 보이는 '기하(基下)'는 임금을 부를 때 사용하던 ' 폐하(陛下)'를 발해 내부에서 대체하여 사용한 표현으로 추정된다.발해가 무분별하게, 현 중국공산당 정부의 표현대로 '지방정권'처럼 당나라의 제도를 받아들인게 아니라는 것이 당나라 문헌에서 드러난다. 일단 정석적인 중국 왕조식 예법을 보면:
- 제후왕의 아버지는 상왕 혹 태상왕.
- 제후왕의 어머니는 왕대비 혹 대왕대비.
- 제후왕의 아내는 왕비.
- 제후왕의 장남(후계자)은 왕세자.
- 제후왕의 아들들은 왕자.
사실 중국식 예법으로는 제후국들이 태조니 태종이니 하는 별호를 붙이는 것도 금지고 (몽골 간섭기 고려처럼) xx왕이라고만 해야 한다. 물론 조선이나 월남이나 중국과 긴밀한 관계였던 국가들도 무시하고 잘만 썼다(...).
《 일본서기》에는 발해 왕이 자신을 "천손(天孫)"이라고 언급해 일본의 천황이 언짢아했다는 기록도 나온다.
가독부, 성왕, 기하, 천손뿐 아니라 "황상(皇上)"이라는 중국 황제만이 쓰는 용어를 발해 왕이 사용하기도 했다. 예를 들면 <정혜공주 묘지명>에 황상이라는 표현이 보인다.
같은 비석에서 ' 대왕'이라는 표현이 나오는 만큼, 당시 칭호가 '황제'였던 건 아님이 확실하다. 성상(聖上), 주상(主上) 등과 마찬가지로 신하가 주군을 부르는 표현 중 하나가 황상이었다고 보는 게 맞을 것이다.
신라에서도 비슷한 예가 보인다. 현전하는 신라의 금석문 중 하나인 <갈항사석탑기>(葛項寺石塔記)에서도 국왕 본인은 '대왕'으로 되어 있는데 부인과 모후는 '황후'와 '황태후'로 표기한 예가 보인다.
즉 국왕의 칭호가 '황제'는 아니었지만 皇이 왕과 관계된 용어들에 사용될 수 있는 표현 중 하나였던 것으로 이해하는 게 좋을 듯하다. 또 그렇게 한다는 것 자체가 적어도 국내적으로는 발해나 신라가 자국의 왕을 거의 황제에 준하는 존재로 인식했다는 증거로 볼 수 있다.
요나라 측 기록에 따르면, 성왕(聖王)이라는 칭호는 거란어에서 '주칸(ju qan)'이라고 읽었던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