汝 너 여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水, 3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6획
|
||||
중학교
|
3급
|
||||||
-
|
|||||||
일본어 음독
|
ジョ
|
||||||
일본어 훈독
|
なれ, なんじ
|
||||||
-
|
|||||||
표준 중국어
|
rǔ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汝는 '너 여'라는 한자로, ' 너(2인칭 대명사)'를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너 |
음 | 여 | |
중국어 | 표준어 | rǔ |
광동어 | jyu5 | |
객가어 | nî | |
민북어 | nṳ̌ | |
민동어 | nṳ̄ | |
민남어 | lú[文1], jú[文2] / lí[白] | |
오어 | zr (T3) | |
일본어 | 음독 | ジョ |
훈독 | なれ, なんじ | |
베트남어 | nhữ |
유니코드에는 U+6C5D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EV(水女)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水(물 수)와 소리를 나타내는 女(계집 녀)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원래는 지금의 허난성 일대를 흐르던 '여수'(汝水)라고 하는 강물의 이름을 나타내는 한자였으나, 가차되어 상대방을 가리키는 지시대사로 쓰이게 되었다.
주로 한문에서만 쓰이는 인칭대명사로 현대 표준 중국어에서는 구어로는 사용하지 않으나, 민동어 등의 일부 방언에서는 인칭대명사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4]
일본어에서는 '너'라는 뜻의 문어적인 인칭대명사 난지(なんじ), 혹은 우누(うぬ)로 쓰인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파평 윤씨의 항렬자로 사용한다.
* 김여물( 金汝 岉)
* 김여석( 金汝 錫)
* 르엉니으홋( 梁汝 笏)
* 윤여을( 尹汝 乙)
* 윤여정( 尹汝 貞)
* 임여진( 林汝 眞)
* 정여립( 鄭汝 立)
* 김여물( 金汝 岉)
* 조여우( 趙汝 愚)
* 조여정( 曺汝 貞)
* 최여진( 崔汝 珍)
* 김여물( 金汝 岉)
* 김여석( 金汝 錫)
* 르엉니으홋( 梁汝 笏)
* 윤여을( 尹汝 乙)
* 윤여정( 尹汝 貞)
* 임여진( 林汝 眞)
* 정여립( 鄭汝 立)
* 김여물( 金汝 岉)
* 조여우( 趙汝 愚)
* 조여정( 曺汝 貞)
* 최여진( 崔汝 珍)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奻(송사할 난)
- 釹/ 钕(네오디뮴 녀)
- 汐(조수 석)
- 𤯕[⿰生女](성 성)[5]
- 肗/ 𦘽[⿰肉女](썩을 여)
- 籹(중배끼 여)
- 𪏮[⿰黍女](차질 여)
- 𢖵[⿰忄女](헤아릴 여)
- 𪔈[⿰⿱口鼎女](성씨 운)[6]
- 妆/ 𤖩[⿰片女](단장할 장)
- 汷(물이름 종)
- 𨐎[⿰辛女](첩 첩)
- 𡥃[⿰子女]/ 𢑒[⿰彐女](좋을 호)[7]
- 𩨚[⿰骨女](왈)
- 𠯆
- 𫹌[⿰彳女]
- 𫶯[⿰差女]
- 𣅓[⿰日女]
- 𤘙[⿰牛女]
- 𪱴[⿰木女]
- 𤣷[⿰⺩女]
- 𫀁[⿰示女]
- 𱻲[⿰耒女]
- 𧴱[⿰貝女]
- 𫌳[⿰言女]
- 𩚔[⿰𩙿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