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letter-spacing: -0.4px" |
<colbgcolor=#000080><colcolor=#fff> 단거리 | SCUD ( R-17 엘브루스) · 9K720 이스칸데르 · 화성-11가[?] |
준중거리 | 3M22 지르콘CM(1,000km) | |
중거리 | 오레슈니크 | |
대륙간 | R-36( 아방가르드) · UR-100N · 토폴 · 토폴-M(11,000km) · RS-28 사르마트(18,000km) · 9M730 부레베스트닉CM(무제한) | |
지대공 | 2K22 퉁구스카 · 9K33 오사 · 9K35 스트렐라-10 · 9K330 토르 · 9K37 부크 · 96K6 판치르-S1 · S-200 · S-300 · S-350 · S-400 · S-500 · A-135 · A-235 | |
잠대지 | RSM-56 불라바 | |
공대지·공대함 | Kh-22 부랴 · Kh-25 · Kh-29 · Kh-31 · 3M-14E 칼리브르-NK · Kh-35 · Kh-47M2 킨잘 · Kh-59 · Kh-61 | |
공대공 | R-23 · R-24 · R-27 · R-33 · R-37 · R-60 · R-73 · R-77 | |
어뢰·수중드론 | 포세이돈 | |
[?]: 러시아측에서는 부인함 |
РВВ-СД (Р-77) Vympel R-77 |
1. 개요
러시아 항공우주군의 공대공 미사일. 나토 코드명은 AA-12 애더(Adder). 미국의 AIM-120 암람에 대항하기 위하여 개발한 중장거리 공대공 미사일. 이탓에 암람스키란 별명도 가지고 있다.2. 상세
R-27의 뒤를 이어 1982년부터 개발된 러시아 최초의 능동 레이더 유도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이다.[1] 러시아 공군의 도입 시기는 1994년으로 알려져 있지만 90년대 인도분은 사실상 거의 전량이 불량품이라는 전설적인 신뢰성을 자랑하며 도저히 못 쓸 물건이라는 악평이 쏟아졌고, 실질적으로 어느 정도 운용이 가능해진 것은 2000년대 들어서다.유도방식은 AIM-120과 같은 방식으로 중간유도는 데이터 링크를 통한 관성유도, 종말유도는 자체 레이더를 통한 능동유도 방식이다. 즉 발사 후 AIM-120과 마찬가지로 실질적으로 정확한 명중을 위해서는 AA-12의 자체 레이더가 켜지기 전까지는 발사한 모기가 적기를 계속 조준하여 적기의 위치와 속도를 데이터 링크를 통하여 AA-12에게 업데이트 시켜줘야 한다.[2]
날개는 앞뒤로 긴 사각형에 가까운 형상이며 고정형이다. 특이한 것은 조종을 담당하는 꼬리로, 마치 석쇠마냥 격자 모양을 하고있다. 이는 흔히 Grid Fin, Lattice Fin이라 부르는 물건인데, 항력이 커 보이겠지만 의외로 초음속에서 평판형 날개보다 항력이 더 적고, 날개 방향을 비틀 때 드는 힘도 적다고 한다.[3] 덕분에 받음각 40도 이상에서도 실속이 거의 없고, 적기의 12G급 기동에도 대처가 가능하여 장거리 미사일 답지않게 저공목표에 대한 추적시 AIM-120 같은 동급 미사일에 비해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다.
허나 격자형 꼬리 날개의 주된 단점은 마하 1.3 이하 영역에서 항력이 커서 장착한 기체의 비행성능에 악영향을 끼치며,[4] RCS도 평판형 날개에 비해 훨씬 크기 때문에 스텔스 시대에선 큰 단점이다. 때문에 Su-57 탑재용으로 개발된 R-77인 RVV-SD는 꼬리날개가 평판형으로 되어 있으며, 후속작인 R-77M에서 다시 일반적인 평판형 꼬리날개로 돌아왔다.
사용가능 기종은 매우 많은 편. MiG-21 최신 개량형, MiG-29 및 그 계열기, MiG-31, Su-27 및 그 계열기 등등에서 운용가능. 심지어는 Su-25계열인 Su-39같은 공격기도 사용이 가능하다.
허나 정작 개발당사자인 소련은 예산문제로 MiG-31에 장착하느라 한동안 자국의 주력 전투기인 Su-27과 MiG-29에 이 미사일을 달지 못했다.[5]
사거리가 이쪽 계열 미사일과 비슷한 최소 300m 최대 80km~110km 전후라고 하는데, 자료에 따라 편차가 심하여 어떤 자료에서는 반토막인 40km라고 언급하고 있기도 하다. 사거리를 결론적으로 말하면, 두 수치 전부 맞는 말이다. 전자는 미사일이 날아갈 수 있는 최대사거리이고 후자는 NEZ(no-escape-zone : 회피불능구역)을 고려한 유효사거리이다. 로켓 모터를 사용하는 공대공 미사일의 특성상 발사 이후 로켓 연소단계(보통 5~10초)와, 로켓이 꺼진 뒤에 에너지를 아직 가지고 고기동성을 발휘할 수 있는 실질적인 유효사거리와, 에너지를 많이 잃어 기동성이 저하된 상태로도 일단 날아갈 수는 있는 최대사거리의 괴리가 크기 때문이다. 당연히 진짜 중요한 것은 유효사거리이며, 그 이상으로는 미사일의 기동성이 매우 떨어지기 때문에 조기경보기나 수송기 등에 쏘는게 아닌 이상 큰 의미가 없다고 볼 수 있다.
한때 군사 관련 사이트들에서 AK-47 VS M16 논쟁처럼 AIM-120 vs R-77 떡밥이 돌곤 했다. R-77의 우세를 점하던 쪽의 주장은 R-77의 몸체 직경이 22mm 가량 더 크고 그에 따라 더 두꺼운 로켓모터를 탑재했을 것이므로 AIM-120보다 사거리가 더 길 것이라는 의견이 주된 근거였다. 그러나 2019년 인도-파키스탄 분쟁에서 두 미사일을 탑재한 전투기들이 실제 교전을 벌여 승패가 갈린 이후로는 화제가 되는 일이 드물어졌다. 분쟁 당시 F-16이 AIM-120C-5로 Su-30MKI를 먼저 공격했다는 사실과 이후 인도 공군의 반응을 감안할 때 R-77이 적어도 AIM-120C-5보다는 사거리가 짧다는 게 대체적인 관측.
이는 몸체 외경이 크더라도 알맹이인 모터의 직경이 암람보다 작다는 의미라고 보면 된다. 실제로도 뒤를 찍은 사진을 보면 암람보다 더 오므려져 있는게 보인다.
한편 제작사인 Vympel은 로켓대신 램제트를 사용하여 사거리를 180km급으로 늘린[6] R-77M1(정확한 프로젝트명은 R-77RVV-AE-PD)의 개발도 언급하였으나 실제 개발은 감감 무소식이다.
또한 사거리를 늘린 개량형인 RVV-SD도 개발되였으며 이 미사일의 사거리를 100% 활용할수 있는 장거리 레이더를 탑재한 Su-27SM3, Su-35S, MiG-31BM과 같은 업그레이드형 및 신형기체들이 배치됨에 따라 2012년부터 본격적으로 양산되여 배치된다고 한다. 또한 위에 서술되어 있듯 PAK-FA에 내부탑재하기 위하여 날개를 접을 수 있고 RCS값을 낮추기 위한 모델도 개발중인 것으로 알려져있다.
3. 여담
IHS 제인스에 따르면 인도 공군은 Su-30MKI용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로 기존에 운용하던 R-77을 2021-2022년 사이에 퇴역시킨 후 이스라엘의 I-Derby를 도입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갑작스레 R-77 대체 사업이 추진된 이유는 2019년 인도-파키스탄 분쟁에서 파키스탄 공군 F-16의 AIM-120C-5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더 고성능의 미사일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절감했기 때문이라고 한다.[7] 실제 당시 인도 공군 발표를 보면 Su-30MKI가 암람에 공격당했을때 잘 회피했다는 내용만 있지 반격했다는 내용은 없다. 관련내용 파키스탄군의 스탠드 오프 재머에 대비하지 못했으며 R-77의 부족한 사거리때문에 인도군은 엄연히 한 체급 아래 전투기인 F-16BM에게 속수무책으로 당한 것. 인도공군은 이후로 AIM-120C,D형대비 짧은 사거리에 불만을 가져 이스라엘의 I/)-더비 미사일을 도입했다.다만 사거리가 주요한 불만사항이였음에도 단거리 미사일기반이라 체급의 한계가있어 시거리에서는 R-77대비 우세하기 힘든 I-더비를 도입한 인도공군의 선택에 대해서는 의문이 많다.[8]그런데 2020년에 Su-30MKI가 프랑스제 MICA 미사일 뿐만 아니라 R-77의 개량형인 R-77-1도 시험 발사했다고 하는걸 보니까 그냥 다같이 쓰려는 듯 하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당시 러시아 항공우주군 소속의 Su-35가 이 미사일을 발사하는 영상이 공개되었다.
4. 둘러보기
현대 세르비아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세르비아군 (2006~현재) Bojcка Србије |
||
<colbgcolor=#C7363D><colcolor=#FFF> | <colbgcolor=#C7363D><colcolor=#FFF> | POS 145 | 9K135 코넷 | 9K111 파곳 | 9K11 말륫카 | |
탑재형
|
기갑차량
NOVA |
ALAS |
9K11 말륫카 (
BOV)
|
||
포발사
|
9K120 스비리 | ||
공대지
|
회전익기
9M120 아타카-V고정익기
Kh-29T | Kh-23R
|
||
''' 배회폭탄 '''
|
지대지
|
가브란-145 | |
미스트랄 M3 | 9K38 이글라 | 9K34 스트렐라-3 | 9K32 스트렐라-2 | |||
단거리
|
HQ-17AE | 57E6 · 57E6M-E ( 판치르-S1M) | 9K35M 스트렐라-10M | 9K31 스트렐라-1 | ||
중거리
|
2K12M2 쿠프-M2 | S-125 네바-M1T | ||
장거리
|
FK-3 | ||
단거리
|
R-73 | R-60 | R-13M | ||
''' 중장거리 '''
|
R-77-1 | R-27(R/ER1) | ||
유도폭탄 | KAB-500Kr | ||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대표 발사 플랫폼 |
|||
※둘러보기 :
세르비아군의 운용장비 |
유도무기
|
}}}}}}}}} |
현대 베트남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베트남 인민군 (1945~현재) Quân đội Nhân dân Việt Nam |
||
<colbgcolor=#DA251D><colcolor=#FFFF00> | <colbgcolor=#DA251D><colcolor=#FFFF00> | 9K113 콘쿠르스 | 9K111 파곳 | 9K11 말륫카 | |
포발사
|
9K120 스비리 | ||
공대지
|
고정익기
Kh-29(T/TE)
|
||
공대지 (ALCM)
|
Kh-59 | ||
스커드-(C/D) | |||
함대함
|
Kh-35 우란 | P-21 테르밋 | ||
잠대함
|
3M-54E1 클럽-S | ||
공대함
|
Kh-31A | ||
지대함
|
P-800 오닉스 (바스티온-P) | P-35 퍄툐르카 (4K22 레두트) | P-21 테르밋 (4K51 루베즈) | ||
어뢰 |
경어뢰
|
APR-2 오를란-M | |
중어뢰
|
TEST-96 | TEST-71ME | ||
9K338 이글라-S | 9K38 이글라 | 9K32 스트렐라-2 | |||
단거리
|
9K35M 스트렐라-10M | ||
중거리
|
SPYDER-SR | S-125 네바/페초라 | ||
장거리
|
S-300PMU | S-75R | ||
''' CIWS '''
|
9M337 (팔마) | ||
단거리
|
R-73(M1) | R-60 | R-13M · R-3S | ||
''' 중장거리 '''
|
R-77 | R-27(ER1/R1) | ||
유도폭탄 | KAB-500Kr | ||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대표 발사 플랫폼 |
|||
※둘러보기 :
베트남군의 운용장비 |
유도무기
|
}}}}}}}}} |
현대 말레이시아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
<colbgcolor=#000066><colcolor=#FFCC00> | <colbgcolor=#000066><colcolor=#FFCC00> | NLAW | ERYX | 9K115-2 메티스-M | 모스키토R | |
탑재형
|
기갑차량 카라오크 | ZT3 잉웨 |
박타르 시칸
|
||
공대지
|
고정익기
AGM-65(F/G) 매버릭 |
Kh-29(TE/L)
|
||
공대지 (ALCM)
|
Kh-59ME | ||
{{{#!wiki style="margin: -0px -7px" |
함대함
|
{ NSM} | MM40 블록 2 엑조세 | 오토마트 Mk.2 | MM38 엑조세R | |
잠대함
|
SM39 엑조세 | ||
공대함
|
AGM-84A 하푼 블록 1A | Kh-31A | 시스쿠아 | ||
어뢰 |
경어뢰
|
A244-S | |
중어뢰
|
A184 블랙샤크 | ||
보병
FN-6 |
안자 Mk.(I/II) |
재블린 S15차량
스타스트릭 (
래피드 레인저 체계) |
9K38 이글라 (GK-M1 등)
|
|||
단거리
|
레이피어 Mk.2 FSC | ||
''' CIWS '''
|
사드랄 | ||
''' 개함방공 '''
|
{ VL-MICA EM} | GWS.26 시울프 | 아스피데 | GWS.20 시캣 | ||
''' 단거리 '''
|
AIM-9(X/S) 사이드와인더 | R-73E | R-60M | AIM-9(B/P-4)R | ||
''' 중장거리 '''
|
AIM-120C-5 AMRAAM | R-77 | R-27(R1/ER1) | AIM-7M 스패로우 | ||
Kh-31P | |||
유도폭탄 | GBU-38 JDAM | GBU-12 페이브웨이 II | KAB-500L | KAB-1500L) | ||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및 대표 발사 플랫폼 |
|||
※둘러보기 :
말레이시아군의 운용장비 |
유도무기
|
}}}}}}}}} |
🚀 유도무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685050><colcolor=white>북미 |
미국 |
|||
남미 | |||||
서유럽 | |||||
''' 중부유럽 '''
|
독일 |
폴란드 |
오스트리아 |
스위스 |
|
체코 |
슬로바키아 |
헝가리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포르투갈 |
그리스 |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슬로베니아 |
크로아티아 |
||
세르비아 |
|||||
북유럽 |
스웨덴 |
노르웨이 |
덴마크 |
핀란드 |
|
리투아니아 |
라트비아 |
에스토니아 |
|||
동유럽 |
러시아 |
우크라이나 |
|||
''' 동아시아 '''
|
대한민국 |
북한 |
|||
''' 동남아시아 '''
|
베트남 |
태국 |
말레이시아 |
인도네시아 |
|
필리핀 |
싱가포르 |
||||
''' 남아시아 '''
|
인도 |
파키스탄 |
방글라데시 |
||
''' 중앙아시아 '''
|
|||||
서아시아 |
이란 |
||||
''' 오세아니아 '''
|
|||||
아프리카 | }}}}}}}}}}}} |
[1]
'능동 레이더 유도 -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로는 최초이나, 소련 최초의 능동 레이더 유도 미사일은 아니며, 소련 최초의 중거리 FNF 미사일도 아니다. 1968부터 개발이 시작되어 1981년에 채용된 장거리 미사일 R-33이 능동 레이더 유도식이었고, R-23/24/27 등의 구형 중거리 미사일들에는 적외선 유도 바리에이션이 있어 FNF가 가능했다.
[2]
다만 레이더가 아닌 적외선 시커를 장착한 버전도 있다.
[3]
또 다른 장점으로는 매우 낮은 속도에서도 효율적이고 접이식으로 만들기 유리하기 때문에 미국도
MOAB에 이 격자형 꼬리날개를 사용한다.
[4]
마하 2~3 이상에서는 평판형 날개보다 오히려 항력이 적다. 그러나 발사된 뒤에는 괜찮을지 몰라도, 항공기가 미사일을 달고 날 때에는 보통 그 아래의 속도로 비행하므로 악영향이 커지게 된다.
[5]
각 전투기들의 항전장비를 이 미사일을 운용할 수 있게 업그레이드 하지 못한 것이 주 원인.
[6]
이 사거리 정보 역시 자료마다 천차만별이다.
[7]
다만 이후 급증한 순찰비행의 수요 때문에
러시아로부터
70억원
규모의 대공/대레이더 미사일, 발사관 등을 주문하였다고 한다.
[8]
2022년 공개된
사진에 따르면 인도 공군의 Su-30에 실제 I-더비가 통합된 모습이 관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