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2 21:07:21

프랭키 데토리

Frankie Dettori에서 넘어옴
파일:british champions series.png QIPCO 브리티시 챔피언스 시리즈 명예의 전당 {{{#!wiki style="margin:0-11px -5px; 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000"
<tablewidth=100%> 경주마
프랑켈 브리거디어 제라드 니진스키 밀 리프
데이주르 댄싱 브레이브 갈릴레오 시 더 스타즈
스트라디바리우스 페블스
기수
레스터 피곳 팻 에더리 프랭키 데토리 윌리 카슨
스티브 코우든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조교사
빈센트 오브라이언 헨리 세실 경 마이클 스타우트 경 에이단 오브라이언 }}} 특별 기여자
엘리자베스 2세 할리드 빈 압둘라 왕자 }}}}}}
QIPCO 브리티시 챔피언스 시리즈 명예의 전당 헌액 기수
MBE
파일:데토리.jpg
<colbgcolor=#2d2f34><colcolor=#fff> 이름 프랭키 데토리
Frankie Dettori
본명 란프랑코 데토리
Lanfranco Dettori
출생 1970년 12월 15일 ([age(1970-12-15)]세)
이탈리아 롬바르디아 밀라노
국적
[[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신체 163cm
직업 경마 기수
데뷔 1985년
성적 영국 3367승
G1 290승 이상
영국 G1 126승
주요 수상 브리티시 챔피언스 시리즈 명예의 전당 (2022)
대영제국 훈장 5등급 (MBE)

1. 개요2. 커리어3. 주요 기승마
3.1. 영국3.2. 프랑스3.3. 아일랜드3.4. 독일3.5. 이탈리아3.6. 미국3.7. 남아공3.8. 일본
4. 기록
4.1. 영국4.2. 프랑스4.3. 미국4.4. 아랍에미리트
5. 기타

[clearfix]

1. 개요

파일:Frankie Dettori Arc.jpg
2017년 10월 1일, 이네이블을 타고 5번째 개선문상 우승을 달성한 순간
이탈리아 출신의 영국 기수. 본명인 란프랑코 데토리보다 '프랭키 데토리(Frankie Dettori)'라는 이름으로 더 많이 불린다.

유럽 경마, 아니 전세계 경마 역사를 통틀어서 역대급 업적을 세우고 있는 전설적인 기수이다.

2. 커리어

파일:dettori career stats(~2023).png
2023년 10월 22일 프랭키 데토리가 유럽에서의 경력을 마친 시점의 기록
데토리 기수 경력에 대한 글 https://alook.so/posts/2xtMmdZ

아버지 지안프랑코 데토리(Gianfranco Dettori. 1941년~)도 기수였으며, 이탈리아 챔피언 기수를 13회 수상한 명기수였다. 어머니는 서커스단 출신이었다.

13살에 이탈리아에서 영국 뉴마켓으로 이사를 갔다. 한 때 영국 생활에 적응하지 못해 이탈리아로 돌아갔으나, 영국으로 다시 돌아가서 본격적인 기수 생활을 시작한다.

1989년, 데토리는 영국 경마 최다 승리 신인 기수가 되었다.
1990년, 19살의 나이로 시즌 149승을 달성했다. 20살이 되기 전 시즌 100승을 돌파한 건 20세기 영국의 가장 위대한 기수 레스터 피곳 이래로 데토리가 처음이었다.

1993년 9월 고돌핀 레이싱과 전속 계약을 맺고 본격적인 전설을 쓰기 시작한다.
1994년 고돌핀의 암말 발란신(Balanchine)을 타며 오크스 스테이크스(엡섬 오크스)를 우승했다.[1] 이는 데토리와 고돌핀의 첫 클래식 경주 우승 기록이었다. 데토리는 발란신과 함께 바로 다음 경기인 아이리시 더비에서도 4마신 반의 큰 차이로 승리했다.
1995년, 람타라(Lammtarra)를 타고 처음으로 킹 조지 6세 &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 개선문상 우승을 달성했다.
1996년 9월 28일, 애스콧 경마장에서 열린 브리티시 페스티벌(British Festival of Racing. 현재 브리티시 챔피언스 데이 전신.)에서 사상 최초로 당일 열리는 7개의 모든 경기를 승리하는 업적을 달성했다.
2001년 사키(Sakhee), 2002년 마리엔바드(Marienbard)로 개선문상 2연패를 달성했다.

2007년부터 데토리와 고돌핀과의 관계는 점점 멀어지다 2012년 초, 고돌핀은 데토리를 대체하기 위해 다른 기수들과 계약을 맺었고, 2012년 10월 데토리가 고돌핀의 숙적 쿨모어(Coolmore)의 말 카멜롯(Camelot)을 타고 개선문상에 참가하자 고돌핀은 데토리와의 관계를 끝냈다.

2012년 12월 데토리는 약물 검사에서 양성 반응을 보여 6개월 자격 정지 처분을 받았고, 데토리는 본인이 코카인을 복용했다는 사실을 인정했다. 이 사건으로 그의 커리어는 머지않아 끝날 것처럼 보였으나 존 고스덴(John Harry Martin Gosden) 조교사와 전속 계약을 맺으며 다시 전설을 썼다.
2015년 골든 혼(Golden Horn), 2017~2020년 이네이블(Enable) 주전 기수로 활동하며 개선문상 역대 최다 우승(6회) 기록을 세웠으며, 2017~2022년 스트라디바리우스(Stradivarius) 주전 기수로 활동하며 유럽 스테이어 전선을 지배했다.

2022년 6월 16일, 스트라디바리우스가 골드 컵에서 3착으로 패배하자 데토리와 존 고스덴 조교사는 갈등을 겪고, 둘 사이의 계약을 종료하기로 합의했다.

데토리는 2023년을 마지막으로 은퇴한다고 발표해 팬들의 아쉬움을 샀으나...사실 유럽에서 은퇴하는 것이였고 이후 미국으로 거점을 옮겨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이때 유럽 시절 마지막 기승인 챔피언 스테이크스에서 킹 오브 스틸을 타고 승리를 거두며 유종의 미를 장식했다.

3. 주요 기승마

  • G1/JpnI 경주만 서술

3.1. 영국

  • 샴쉬르(Shamshir) - 필리스 마일(1990)
  • 세컨드 세트(Second Set) - 서식스 스테이크스(1991)
  • 핍스 프라이드(Pips Pride)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피닉스 스테이크스(1992)
  • 로크송(Lochsong) - 넌소프 스테이크스(1993), 파일:프랑스 국기.svg 아베이 드 롱샹상(1993, 1994)
  • 온리 로열(Only Royale) - 요크셔 오크스(1994)
  • 펠더(Pelder) - 파일:프랑스 국기.svg 가네상(1995)
  • 베토리(Vettori) - 파일:프랑스 국기.svg 풀 데세 드 풀랭(1995)
  • 문셸(Moonshell) - 오크스 스테이크스(1995)
  • 플레멘스퍼스(Flemensfirth) - 파일:프랑스 국기.svg 뤼팽상[2](1995),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로마상(1996)
  • 소 팩츄얼(So Factual) - 넌소프 스테이크스(1995)
  • 토렌셜(Torrential) - 파일:프랑스 국기.svg 장 프라상(1995)
  • 로드 오브 멘(Lord of Men) - 파일:프랑스 국기.svg 살라망드르상[3](1995)
  • 버해미언 바운티(Bahamian Bounty) - 파일:프랑스 국기.svg 모르니상(1996), 미들 파크 스테이크스(1996)
  • 롸야팬(Ryafan) - 파일:프랑스 국기.svg 마르셀 부사크상(1996)
  • 샹투(Shantou) - 세인트 레저 스테이크스(1996),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자키 클럽 대상[4](1996),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밀라노 대상[5](1997)
  • 루소(Luso) -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은행상[6](1997)
  • 글로리시아(Glorosia) - 필리스 마일(1997)
  • 로크엔젤(Lochangel) - 넌소프 스테이크스(1998)
  • 알무타와켈(Almutawakel) - 파일:프랑스 국기.svg 장 프라상(1998)
  • 루자인(Lujain) - 미들 파크 스테이크스(1998)
  • 카이프 타라(Kayf Tara) - 골드 컵(1998),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이리시 세인트 레저(1999)
  • 알쟈브(Aljabr) - 파일:프랑스 국기.svg 살라망드르상(1998), 서식스 스테이크스(1999), 로킨지 스테이크스(2000)
  • 아일랜드 샌즈(Island Sands) - 2000 기니 스테이크스(1999)
  • 무칼리프(Mukhalif)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데르비 이탈리아노[7](1999)
  • 딕타트(Diktat) - 파일:프랑스 국기.svg 모리스 드 게스트상(1999), 스프린트 컵(1999)
  • 테지아노(Teggiano) - 필리스 마일(1999)
  • 무타티르(Muhtathir)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비토리오 디 카푸아상[8](1999), 파일:프랑스 국기.svg 자크 르 마루아상(2000)
  • 바시르(Bachir) - 파일:프랑스 국기.svg 풀 데세 드 풀랭(2000),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이리시 2,000 기니(2000)
  • 레갈 로스(Regal Rose) - 치블리 파크 스테이크스(2000)
  • 크리스탈 뮤직(Crystal Music) - 필리스 마일(2000)
  • 무타파웨크(Mutafaweq) -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인터내셔널 스테이크스(2000), 코로네이션 컵(2001)
  • 레일라니(Lailani)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이리시 오크스(2001), 나소 스테이크스(2001)
  • 노베르(Noverre) - 서식스 스테이크스(2001)
  • 쿠텁(Kutub) - 파일:독일 국기.svg 바이에리셰스 추흐트레넨(2001), 파일:독일 국기.svg 오이로파상(200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자키 클럽 대상(2001)
  • 사키(Sakhee) - 인터내셔널 스테이크스(2001), 파일:프랑스 국기.svg 개선문상(2001)
  • 설크(Sulk) - 파일:프랑스 국기.svg 마르셀 부사크상(2001)
  • 슬리클리(Slickly) - 파일:프랑스 국기.svg 물랭 드 롱샹상(200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비토리오 디 카푸아상(2001, 2002)
  • 카지아(Kazzia) - 1000 기니 스테이크스(2002), 오크스 스테이크스(2002)
  • 베스트 오브 더 베스츠(Best of the Bests) - 파일:프랑스 국기.svg 이스파앙상(2002)
  • 그란데라(Grandera) -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항공 인터내셔널 컵[9](2002), 프린스 오브 웨일스 스테이크스(2002),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이리시 챔피언 스테이크스(2002)
  • 마리엔바드(Marienbard) -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은행상(2002), 파일:독일 국기.svg 바덴 대상(2002), 파일:프랑스 국기.svg 개선문상(2002)
  • 문 발라드(Moon Ballad) -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두바이 월드컵(2003)
  • 마물(Mamool) - 파일:독일 국기.svg 바덴 대상(2003), 파일:독일 국기.svg 오이로파상(2003)
  • 메조 소프라노(Mezzo Soprano) - 파일:프랑스 국기.svg 베르메유상(2003)
  • 캐리 온 케이티(Carry On Katie) - 치블리 파크 스테이크스(2003)
  • 술라마니(Sulamani) -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두바이 시마 클래식(2003), 인터내셔널 스테이크스(2004),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인터내셔널 스테이크스(2004)
  • 에인션트 월드(Ancient World)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비토리오 디 카푸아상(2004)
  • 파피노(Papineau) - 골드 컵(2004)
  • 리퓨즈 투 벤드(Refuse To Bend) - 퀸 앤 스테이크스(2004), 이클립스 스테이크스(2004)
  • 도옌(Doyen) - 킹 조지 6세 &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2004)
  • 바르(Var) - 파일:프랑스 국기.svg 아베이 드 롱샹상(2004)
  • 크림슨 팰리스(Crimson Palace) - 파일:미국 국기.svg 비벌리 D. 스테이크스[10](2004)
  • 윌코(Wilko) - 파일:미국 국기.svg 브리더스컵 주버나일(2004)
  • 두바위(Dubawi)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내셔널 스테이크스[11](2004),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이리시 2,000 기니(2005)
  • 샤마달(Shamardal) - 파일:프랑스 국기.svg 풀 데세 드 풀랭(2005), 파일:프랑스 국기.svg 조케 클뤼브상(2005)
  • 스콜피온(Scorpion) - 세인트 레저 스테이크스(2005)
  • 체리 믹스(Cherry Mix)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자키 클럽 대상(2005)
  • 일렉트로큐셔니스트(Electrocutionist) -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두바이 월드컵(2006)
  • 리브레티스트(Librettist) - 파일:프랑스 국기.svg 자크 르 마루아상(2006), 파일:프랑스 국기.svg 물랭 드 롱샹상(2006)
  • 식스티스 아이콘(Sixties Icon) - 세인트 레저 스테이크스(2006)
  • 더치 아트(Dutch Art) - 미들 파크 스테이크스(2006)
  • 캐러닥(Caradak) - 파일:프랑스 국기.svg 포레상(2006)
  • 서전트 세실(Sergeant Cecil) - 파일:프랑스 국기.svg 카드랑상(2006)
  • 커클리스(Kirklees)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그란 그리테리움[12](2006)
  • 어쏘라이즈드(Authorized) - 레이싱 포스트 트로피[13](2006), 더비 스테이크스(2007), 인터내셔널 스테이크스(2007)
  • 라몬티(Ramonti) - 퀸 앤 스테이크스(2007), 서식스 스테이크스(2007), 퀸 엘리자베스 2세 스테이크스(2007),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컵(2007)
  • 리우 데 라 플라타(Rio de la Plata) - 파일:프랑스 국기.svg 장뤼크 라가르데르상(2007),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비토리오 디 카푸아상(201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로마상(2010)
  • 크리처도어(Creachadoir) - 로킨지 스테이크스(2008)
  • 콘듀잇(Conduit) - 세인트 레저 스테이크스(2008)
  • 나후드(Nahoodh) - 팰머스 스테이크스(2008)
  • 포크 오페라(Folk Opera) - 파일:캐나다 국기.svg E. P. 테일러 스테이크스(2008)
  • 스키아파렐리(Schiaparelli)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자키 클럽 대상(2009)
  • 패션 포 골드(Passion for Gold) - 파일:프랑스 국기.svg 크리테리엄 드 생클루(2009)
  • 화이트 문스톤(White Moonstone) - 필리스 마일(2010)
  • 포에츠 보이스(Poet's Voice) - 퀸 엘리자베스 2세 스테이크스(2010)
  • 카사멘토(Casamento) - 레이싱 포스트 트로피(2010)
  • 캠퍼놀로지스트(Campanologist) -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은행상(2010), 파일:독일 국기.svg 오이로파상(201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자키 클럽 대상(2011)
  • 블루 번팅(Blue Bunting) - 1000 기니 스테이크스(2011),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이리시 오크스(2011), 요크셔 오크스(2011)
  • 나레인(Nahrain) - 파일:프랑스 국기.svg 오페라상(2011)
  • 리릭 오브 라이트(Lyric of Light) - 필리스 마일(2011)
  • 컬러 비전(Colour Vision) - 골드 컵(2012)
  • 올림픽 글로리(Olympic Glory) - 로킨지 스테이크스(2014), 파일:프랑스 국기.svg 포레상(2014)
  • 더 와우 시그널(The Wow Signal) - 파일:프랑스 국기.svg 모르니상(2014)
  • 리본스(Ribbons) - 파일:프랑스 국기.svg 장 로마네상(2014)
  • 골든 혼(Golden Horn) - 더비 스테이크스(2015), 이클립스 스테이크스(2015),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이리시 챔피언 스테이크스(2015), 파일:프랑스 국기.svg 개선문상(2015)
  • 스타 오브 세빌(Star Of Seville) - 파일:프랑스 국기.svg 디안상(2015)
  • 샤알라(Shalaa) - 파일:프랑스 국기.svg 모르니상(2015), 미들 파크 스테이크스(2015)
  • 갈릴레오 골드(Galileo Gold) - 2000 기니 스테이크스(2016), 세인트제임스 팰리스 스테이크스(2016)
  • 퀸스 트러스트(Queen's Trust) - 파일:미국 국기.svg 브리더스컵 필리 & 메어 터프(2016)
  • 펄스웨이시브(Persuasive) - 퀸 엘리자베스 2세 스테이크스(2017)
  • 이네이블(Enable) - 오크스 스테이크스(2017),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이리시 오크스(2017), 킹 조지 6세 &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2017, 2019, 2020), 요크셔 오크스(2017, 2019), 파일:프랑스 국기.svg 개선문상(2017, 2018), 파일:미국 국기.svg 브리더스컵 터프(2018), 이클립스 스테이크스(2019)
  • 위드아웃 퍼롤(Without Parole) - 세인트제임스 팰리스 스테이크스(2018)
  • 애드버타이즈(Advertise)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피닉스 스테이크스(2018), 커먼웰스 컵(2019), 모리스 드 게스트상(2019)
  • 투 던 핫(Too Darn Hot) - 듀허스트 스테이크스(2018), 파일:프랑스 국기.svg 장 프라상(2019), 서식스 스테이크스(2019)
  • 아나푸르나(Anapurna) - 오크스 스테이크스(2019), 파일:프랑스 국기.svg 루아얄리외상(2019)
  • 스타 캐처(Star Catcher)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이리시 오크스(2019), 파일:프랑스 국기.svg 베르메유상(2019), 브리티시 챔피언스 필리스 & 메어스 스테이크스(2019)
  • 코로넷(Coronet) - 파일:프랑스 국기.svg 생클루 대상(2019), 파일:프랑스 국기.svg 장 로마네상(2019)
  • 로지션(Logician) - 세인트 레저 스테이크스(2019)
  • 알슨(Alson) - 파일:프랑스 국기.svg 크리테리엄 앵테르나시오날(2019)
  • 미스 요다(Miss Yoda) - 파일:독일 국기.svg 디아나상(2020)
  • 팰리스 피어(Palace Pier) - 세인트제임스 팰리스 스테이크스(2020), 파일:프랑스 국기.svg 자크 르 마루아상(2020, 2021), 로킨지 스테이크스(2021), 퀸 앤 스테이크스(2021)
  • 캄파넬레(Campanelle) - 파일:프랑스 국기.svg 모르니상(2020), 커먼웰스 컵(2021)
  • 마더 어스(Mother Earth) - 1000 기니 스테이크스(2021)
  • 러빙 드림(Loving Dream) - 파일:프랑스 국기.svg 루아얄리외상(2021)
  • 엔젤 블루(Angel Bleu) - 파일:프랑스 국기.svg 장뤼크 라가르데르상(2021), 파일:프랑스 국기.svg 크리테리엄 앵테르나시오날(2021)
  • 알바르(Albahr) - 파일:캐나다 국기.svg 서머 스테이크스(2021)
  • 와일드 뷰티(Wild Beauty) - 파일:캐나다 국기.svg 나탈마 스테이크스(2021)
  • 월튼 스트리트(Walton Street) -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인터내셔널 스테이크스(2021)
  • 인스파이럴(Inspiral) - 필리스 마일(2021), 코로네이션 스테이크스(2022), 파일:프랑스 국기.svg 자크 르 마루아상(2022, 2023), 선 채리엇 스테이크스(2023), 파일:미국 국기.svg 브리더스컵 필리 & 메어 터프(2023)
  • 캘디언(Chaldean) - 듀허스트 스테이크스(2022), 2000 기니 스테이크스(2023)
  • 에밀리 업존(Emily Upjohn) - 브리티시 챔피언스 필리스 & 메어스 스테이크스(2022), 코로네이션 컵(2023)
  • 소울 시스터(Soul Sister) - 오크스 스테이크스(2023)
  • 커리지 몬 아미(Courage Mon Ami) - 골드 컵(2023)

3.2. 프랑스

  • 폴리테인(Polytain) - 조케 클뤼브상(1992)
  • 웨스트 윈드(West Wind) - 디안상(2007)
  • 로우맨(Lawman) - 조케 클뤼브상(2007)
  • 수단(Sudan)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밀라노 대상(2007)
  • 대빌심(Dabirsim) - 모르니상(2011), 장뤼크 라가르데르상(2011)
  • 엘립티크(Elliptique) - 파일:독일 국기.svg 바이에리셰스 추흐트레넨(2016)
  • 알 우카이르(Al Wukair) - 자크 르 마루아상(2017)

3.3. 아일랜드

  • 레드 락스(Red Rocks) - 파일:미국 국기.svg 브리더스컵 터프(2006)
  • 데인러저스 미지(Dangerous Midge) - 파일:미국 국기.svg 브리더스컵 터프(2010)
  • 빈티지 티플(Vintage Tipple) - 아이리시 오크스(2003)
  • 위크로우 브레이브(Wicklow Brave) - 아이리시 세인트 레저(2016)

3.4. 독일

  • 템퍼럴(Temporal) - 도이체스 더비(1991)
  • 저머니(Germany) - 바이에리셰스 추흐트레넨(1995), 바덴 대상(1995)

3.5. 이탈리아

  • 리걸 케이스(Legal Case) - 로마상[16](1990)
  • 마사드(Masad) - 이탈리아 대상[17](1992)
  • 미실(Misil) - 로마상(1992), 자키 클럽 대상(1993)
  • 바라테아(Barathea) - 파일:미국 국기.svg 브리더스컵 마일(1994)
  • 니콜 팔리(Nicole Pharly) - 오크스 디탈리아[18](1997)
  • 선스트래치(Sunstrach) - 로마상(2002)
  • 팔브라브(Falbrav) - 파일:일본 국기.svg 재팬 컵(2002),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컵(2003)
  • 조슈아 트리(Joshua Tree) -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인터내셔널 스테이크스(2012)

3.6. 미국

  • 후터내니(Hootenanny) - 브리더스컵 주버나일 터프(2014)
  • 레이디 아우렐리아(Lady Aurelia) - 파일:프랑스 국기.svg 모르니상(2016)
  • 뉴게이트(Newgate) - 산타 아니타 핸디캡(2024)
  • 보테 캐시(Beaute Cachee) - 제니 와일리 스테이크스(2024)

3.7. 남아공

  • 이딕트 오브 낭트(Edict of Nantes) - 케이프 더비(2017)

3.8. 일본

4. 기록

  • 영국 평지 경마 챔피언 기수 3회 수상 (1994, 1995, 2004)

4.1. 영국

  • 퀸 앤 스테이크스 최다승 (7승) - Markofdistinction(1990), Allied Forces(1997), Intikhab(1998), Dubai Destination(2003), Refuse to Bend(2004), Ramonti(2007), Palace Pier(2021)
  • 굿우드 컵 최다승[25] (5승) - Kayf Tara(1999), Schiaparelli(2009), Opinion Poll(2011), Stradivarius(2019, 2020)
  • 필리스 마일 최다승 (7승) - Shamshir(1990), Glorosia(1997), Teggiano(1999), Crystal Music(2000), White Moonstone(2010), Lyric of Light(2011), Inspiral(2021)

4.2. 프랑스

  • 루아얄리외상 최다승[26] (6승) - Annaba(1996), Tulipa(1997), Moon Queen(2001), Anna Pavlova(2007), Anapurna(2019), Loving Dream(2021)

4.3. 미국

  • 브리더스컵 필리 앤 메어 터프 최다승[28] (3승) - Ouija Board(2006), Queen's Trust(2016), Inspiral(2023)

4.4. 아랍에미리트

5. 기타

  • 경기에서 승리하고 특유의 자세로 점프하며 하마하는 것이 유명하다.

[1] 참고로 이때 2착마가 딥 임팩트 등의 모마로 유명한 윈드 인 허 헤어이다. [2] 2004년을 끝으로 폐지 [3] 2000년을 끝으로 폐지 [4] 2017년 G2로 강등 [5] 2016년 G2로 강등, 2023년 G3로 강등 [6] 현재 베를린 대상 [7] 2009년 G2로 강등 [8] 2017년 G2로 강등 [9] 2015년을 끝으로 폐지 [10] 2024년 GII로 강등 [11] 현재 빈센트 오브라이언 내셔널 스테이크스 [12] 2014년 G2로 강등 [13] 현재 퓨처리티 트로피 [14] 현재 퀸 엘리자베스 2세 주빌리 스테이크스 [15] 판탈라사와 동착으로 공동 우승 [16] 2017년 G2로 강등 [17] 1996년 리스티드 등급으로 강등 [18] 2007년 G2로 강등 [일본G1] 2007년에 국제 G1으로 지정 [20] 기준 영국 126승, 프랑스 68승, 아일랜드 20승, 독일 14승, 이탈리아 22승, 일본 3승, 홍콩 5승, 싱가포르 1승, 남아공 1승, 두바이 10승, 미국 16승, 캐나다 7승 [21] 재팬 컵 더트는 2007년에 국제 G1으로 지정되었기 때문에 제외한다. [A] 공동 1위 ( 레스터 피곳) [23] 2000 기니 스테이크스, 1000 기니 스테이크스, 더비 스테이크스, 오크스 스테이크스, 세인트 레저 스테이크스 [A] [25] 공동 1위 (젬 로빈슨, 조지 포드햄, 스티브 도노휴, 레스터 피곳, 팻 에더리) [26] 공동 1위 (제랄드 모세) [27] 공동 1위 ( 라이언 무어) [28] 공동 1위 (존 R. 벨라스케스) [29] 공동 1위 (제리 베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