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30 15:27:06

2023년 장수 지진

2023년 장수지진에서 넘어옴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지진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지진학
규모 · 진도 · 지진대 · 조산운동 · 습곡산맥( 신기 습곡산맥) · 단층( 단층산맥 · 대한민국의 단층)
슬로우 슬립 · 쓰나미 · 지진파 · 판 구조론 · 내진설계 · 이상진역 · 지반 액상화
발생 양상과 분류
단층지진 · 수도직하지진 · 고유지진 · 군발지진 · 발생 깊이에 따른 분류( 천발지진 · 중발지진 · 심발지진)
지진경보
지진속보 및 지진조기경보( 재난문자 기준 · 재난방송 · 사용자 맞춤형 지진정보서비스)
긴급지진속보(일본) · 쓰나미 경보 · 국가지진열도속보 및 예경공정(중국)
국가별 주요 지진 목록
틀:대한민국 주요 지진 · 틀:일본 주요 지진
전체 지진 목록
목록
국가별 지진 문서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튀르키예 · 칠레 · 대만
대한민국 관련 사이트
기상청(최근지진) · 기상청(지진목록) · 사용자 맞춤형 지진정보서비스
해외 관련 사이트
일본 기상청 · 중국 지진국 · USGS(지진 목록) · EMSC(지진 목록)
관련 프로젝트
나무위키:프로젝트/지진
}}}}}}}}}
최근 발생한 주요 지진
발생 국가: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rowcolor=#000,#e4e4e4> 발생 시각 ( UTC+9) 규모 진원 최대 진도
2025년 01월 13일
21시 19분 38초
Mj 6.6 휴가나다 해역 5-
쓰나미 여부
쓰나미 예보 해제 #
예상 최고높이: 1m
실측 최고높이: 0.2m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2%; min-height:2em"
{{{#!folding [ 국외지진 ]
{{{#!wiki style="margin:-5px 0 -5px"
<rowcolor=#fff> 대한민국에 영향을 준 주요 국외지진
<rowcolor=#000> 명칭 규모 국내
최대진도
국내
쓰나미
1548년 산둥반도 해역 지진 M 7.0 ? -
1668년 탄청 대지진 M 8.5 ? -
1700년 대마도 지진 M 7.0 ? -
1707년 호에이 대지진 M 8.9 - 관측
1741년 간포 쓰나미 - - 4m 추정
1940년 홋카이도 샤코탄반도 해역 지진 M 7.7 - 1.2m
1940년 일본 시마네현 오키섬 해역 지진 M 6.6
1964년 일본 니가타 해역 지진 M 7.5 - 39cm
1975년 중국 하이청 지진 M 7.0
1983년 일본 아키타 해역 지진 M 7.7 - 4.2m
1983년 일본 오이타 지진 M 6.6
1993년 일본 홋카이도 해역 지진 M 7.8 - 2.76m
1996년 중국 상하이 해역 지진 M 5.6
1999년 중국 지린성 왕칭현 지진
(심발지진)
M 7.1
1999년 중국 랴오닝성 선양 지진 M 5.0
2000년 일본 돗토리 지진 M 7.3
2001년 일본 히로시마 게이요 지진 M 6.7
2005년 일본 후쿠오카현 서부 해역 지진 M 7.0
2014년 일본 이요나다 지진 M 6.2
2015년 일본 가고시마 해역 지진 M 7.1
2016년 일본 구마모토 지진 M 7.3
2022년 일본 휴가나다 지진 M 6.7
2024년 일본 노토반도 지진 M 7.6
85cm
2024년 일본 분고수도 지진 M 6.6
2024년 일본 쓰시마 지진 M 4.1
2024년 산둥반도 해역 지진 M 4.5
2024년 일본 휴가나다 지진 M 7.1
2025년 일본 휴가나다 지진 M 6.6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2%; min-height:2em"
{{{#!folding [ 역사지진 ]
{{{#!wiki style="margin:-5px 0 -5px"
<rowcolor=#fff> 역사지진 (1904년 이전, 규모와 최대진도는 추정값)
<rowcolor=#000> 명칭 규모(추정) 최대 진도
27년 서울 지진 M 6.3
89년 서울 지진 M 6.8
100년 경주 지진 M 6.7
304년 경주 지진 M 6.3
M 6.8
458년 경주 지진 M 6.3
502년 평양 지진 M 6.8
510년 경주 지진 M 6.8
664년 경주 지진 M 6.3
768년 경주 지진 M 6.3
779년 경주 지진 M 6.3~7.0
1036년 경주 지진 M 6.3
1260년 개성 지진 M 6.3
1385년 개성 지진 M 6.3
1455년 순천 지진 M 6.8
1518년 서울 지진 M 6.8
1546년 평산 지진 M 6.2
1594년 홍성 지진 M 6.3
1597년 백두산 지진 M 7.7~8.0
1613년 서울 지진 M 5.7
1632년 개성 지진 M 6.3
1643년 부산 지진 M 6.3
1643년 합천 지진 M 6.8
1643년 울산 대지진 M 6.5~7.4
1670년 순창 지진 M 6.3
1681년 양양 대지진 M 6.1~6.7
M 7.5
1700년 사천 지진 M 6.3
1702년 전주 지진 M 6.3
1714년 개성 지진 M 6.8
1727년 함흥 지진 M 6.8
1810년 부령 지진 M 6.8
1899년 대한제국 지진 M 6.3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2%; min-height:2em"
{{{#!folding [ 초기 계기지진 ]
{{{#!wiki style="margin:-5px 0 -5px"
<rowcolor=#fff> 초기 계기지진 (1905년 ~ 1977년)
<rowcolor=#000> 명칭 규모 최대 진도
1906년 인천 해역 지진 M 6.1
1921년 경주 지진 M 4.2
1925년 홍성 지진 M 4.4
1926년 경상북도 서부 지진 M 5.0
1928년 지리산 지진 M 4.3
1935년 의성 지진 M 5.0
1936년 삼척 해역 지진 M 5.4 -
1936년 지리산 쌍계사 지진 M 6.0
1938년 지리산 지진 M 4.8
1939년 대전 지진 M 5.0
1939년 청주 지진 M 5.3
1944년 조선-중국 국경 지진 M 6.6
1947년 인천 해역 지진 -
1952년 평양 지진 M 6.4
1952년 은천 지진 M 5.6
1956년 대한민국 지진 -
1960년 길주 해역 지진 M 6.8
1963년 영덕-포항 해역 지진 M 5.8~6.3
M 5.8~6.3
1969년 남해 지진 M 5.0
1970년 대한민국 남부 지진 M 4.9
1973년 나진 해역 지진 M 7.7
1975년 속초 해역 지진 M 7.1
1976년 홍도 해역 지진 M 5.4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2%; min-height:2em"
{{{#!folding [ 기상청 계기지진 ]
{{{#!wiki style="margin:-5px 0 -10px"
<rowcolor=#fff> 기상청 계기지진 (1978년 이후)
<rowcolor=#000> 명칭 규모 최대 진도
1978년 속리산 지진 ML5.2
Mw4.6
1978년 홍성 지진 ML5.0
1980년 의주 지진 ML5.3
Mw5.1
1981년 포항 해역 지진 ML4.8
Mw5.2
1982년 사리원 지진 ML4.5
Mw5.3
1982년 울진 해역 지진 ML4.7
1994년 울산 해역 지진 ML4.6
ML4.5
1994년 홍도 해역 지진 ML4.9
Mw5.6
1995년 백령도 해역 지진 ML4.2
1996년 동해 해역 지진 ML4.2
1996년 영월 지진 ML4.5
Mw5.2
1997년 경주 지진 ML4.2
Mw4.8
2003년 홍도 해역 지진 ML4.9
Mw4.8
2003년 백령도 해역 지진 ML5.0
Mw4.6
2004년 울진 해역 지진 ML5.2
Mw5.3
2007년 평창 지진 ML4.8
Mw4.7
2013년 흑산도 해역 지진 ML4.9
Mw4.7
2013년 백령도 해역 지진 ML4.9
Mw4.8
2014년 서격렬비도 해역 지진 ML5.1
Mw4.8
2016년 울산 해역 지진 ML5.0
Mw4.7
2016년 경주 지진 (9.12 지진) ML5.1
Mw5.1
ML5.8
Mw5.5
2017년 포항 지진 ML5.4
Mw5.5
2018년 포항 지진 ML4.6
Mw4.7
2019년 동해 해역 지진 ML4.3
Mw4.0
2021년 서귀포 해역 지진 ML4.9
Mw4.8
2022년 괴산 지진 ML4.1
Mw4.0
2023년 강화 지진 ML3.7
Mw3.5
2023년 동해 해역 지진 ML4.5
Mw3.8
2023년 장수 지진 ML3.5
Mw3.5
2023년 어랑 해역 지진 ( 심발지진)
국내지진 영역 내부에서 발생했으나, 기상청에서 공식 발표하지 않음
Mw 4.7
2023년 경주 지진 ML4.0
Mw3.6
2024년 부안 지진 ML4.8
Mw4.2
ML은 기상청 발표에서 공식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리히터 규모이며, Mw는 단층의 크기와 변위를 분석하여 실제 지진이 방출한 에너지와 연관성이 높으며 기상청에서 상세분석 결과를 통해 추가 발표하고 있는 모멘트 규모이다. }}}}}}}}}}}}
<colbgcolor=#3d5f7e><colcolor=#fff> 2023년 장수 지진
파일:장수 지진최신.png
발생
(UTC+9)
2023년 7월 29일 19시 07분 59초
진앙 전라북도 장수군 북쪽 17km 지역
전라북도 장수군 천천면 연평리 산83
35.80°N 127.53°E
진원의 깊이 6km
단층 운동 주향이동단층
최대 지반가속도 동향관측소(DGHA) PGA: 2.270%g
규모 M,L, 3.5 / M,W, 3.5[1]
진도 전라북도 장수군
전라북도 진안군
전라북도 일부, 충청남도, 충청북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광주광역시, 대전광역시, 전라남도
기상청
상세정보
지진 상세정보
지진분석서
지진
신속정보
발령시간:2023년 7월 29일 19시 08분 09초
규모: 4.1
최대진도 : V
여진 5회
최대 여진: 규모 3.0, 진도 IV
유감신고[2] 51건[3]
1. 개요2. 발생 위치3. 긴급재난문자4. 지진 활동5. 피해 상황6. 여담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2023년 장수 지진 관련 유튜브 영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지진 발생 관련 연합뉴스 TV 영상

KBS 뉴스특보 풀영상

장수 지진의 지진속보를 실시간으로 관측한 영상
}}}}}}}}} ||
2023년 7월 29일 오후 7시 7분 59초경 장수군에서 발생한 지진이다. 지진 규모는 M3.5(± 0.2)이다. 지진 발생 직후 자동으로 계산된 값에 따라 규모 4.1로 발표되었으나, 이후 기상청이 하향 조정하여 발표했다. # [4]

2. 발생 위치

파일:장수지진발생위치.png
전라북도 장수군 진안군 사이의 경계에서 발생했다. 진앙의 위치는 장수군에 있으나 장수군의 위쪽 끄트머리에서 발생한 지진이라 실제론 장수군의 중심지보다 진안군의 중심지[5]에 더 가깝다. # 진원의 깊이는 6km이다.

3. 긴급재난문자

⚠️ 긴급재난문자
파일:기상청 MI_상하.svg
[기상청] 07월29일19:07 전북 장수군 북쪽 18km 지역 규모4.1 지진발생/낙하물로부터 몸 보호, 진동 멈춘 후 야외 대피하며 여진주의

지진속보가 지진 최초관측 이후 8초 만에 발표되었다. 올해 발생했던 2023년 강화 지진 이후로 발표된 모든 지진속보가 기상청 목표치인 10초 이내 발표에 성공했다.

지진속보 발표 당시 규모가 4.1로, 긴급재난문자 전국 발송 기준인 내륙 규모 4.0 이상을 충족해 전국에 긴급재난문자가 발송됐다. 2017년 이 시스템 도입 이후 2017년 포항 지진, 2017년 포항 지진 당일 규모 4.3 여진, 2021년 서귀포 해역 지진, 2022년 괴산 지진에 이은 5번째 전국 발송 사례가 되었다.

20시 26분 중대본에서 보낸 안전안내문자에서 지명을 전북 장수군이 아닌 전남 장수군이라고 표기하는 실수가 발생했다. 20분 후인 20시 46분에 전북으로 수정하여 재발송하였다.
파일:16912161247701363531131693055071.png

4. 지진 활동

지난 2020년 4월 27일과 2021년 2월 6일에 이번 지진과 거의 동일한 위치와 깊이에서 각각 규모 2.8과 2.7의 지진이 발생했다. #1 #2 과거 지진 발생 당시 이번 지진과 유사하게 규모 1.0 정도의 여진이 1일 이내에 발생했다. 2020년 4월 26일까지는 이 지역의 지진 활동이 없었기 때문에 2020년 지진 후 단층 활동이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5개월 뒤인 12월 23일 오전 4시 34분에 같은 위치에서 규모 3.0의 지진이 발생하였다. 이번에도 규모 1.0 정도의 여진이 1일 이내에 발생했다.
발생일시
(UTC+9)
진앙 깊이 규모 최대
진도
비고
2020년 04월 27일 11:07:10 전북 장수군 북쪽 17km 지역 6km 2.8 #
2020년 04월 27일 23:43:50 전북 장수군 북쪽 18km 지역 - 1.3
2020년 06월 02일 02:58:44 전북 장수군 북쪽 17km 지역 7km 1.1
2021년 02월 06일 04:40:03 전북 장수군 북쪽 18km 지역 5km 2.7 #
2021년 02월 06일 04:42:52 전북 장수군 북쪽 18km 지역 - 1.0
2021년 03월 18일 08:51:13 전북 장수군 북쪽 17km 지역 8km 1.2
2021년 08월 06일 13:58:54 전북 장수군 북쪽 18km 지역 - 1.0
2023년 07월 29일 19:07:59 전북 장수군 북쪽 17km 지역 6km 3.5 최대지진
2023년 07월 29일 19:43:56 전북 장수군 북쪽 17km 지역 6km 1.3
2023년 10월 10일 05:40:18 전북 장수군 북쪽 18km 지역 - 1.5
2023년 11월 14일 20:46:00 전북 장수군 북쪽 18km 지역 - 1.1
2023년 12월 23일 04:34:05 전북 장수군 북쪽 17km 지역 6km 3.0 #
2023년 12월 23일 06:14:23 전북 장수군 북쪽 18km 지역 - 1.4

5. 피해 상황

  • 2023년 7월 30일 오전 기준으로 장수군 2건 및 인근 진안군에서 2건 등 총 4건의 피해 신고가 집계되었다. 피해 내용은 주택 담장 균열 및 공동주택 외벽 균열 등으로, 노후화로 인한 균열인지 지진의 영향인지는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고 한다. #
  • 인명 피해는 집계되지 않았으며, 장수군은 여진에 대비해 현재 진행 중인 '쿨밸리 페스티벌' 과 '참샘골 토마토랑 수박축제' 등 2건의 축제를 중단시켰다.

6. 여담

  • 진앙 인근 장수군 및 진안군 주민들은 당시를 "식당에서 밥을 먹다가 탁자가 좌우로 흔들려 깜짝 놀라 밖으로 나왔다", "엉덩이가 들썩일 정도로 방바닥이 흔들렸다" 등으로 묘사하였다. #
  • 이번 지진의 진앙 인근 50km 이내 지역에서 2012년 5월 11일에[6]에서 규모 3.9의 지진이 발생한 바 있다. 비교적 최근인 2023년 6월 5일에도 비교적 인근인 완주군 구이면 광곡리에서도 규모 2.1, 최대진도 3의 지진이 발생했었다. 2020년 당시 전라북도는 이 지역에 내진대비 보강을 하겠다고 밝힌 바 있었다.
  • 이번 지진을 촉발한 단층대는 광주단층으로 추정되고 있다.
  • 재난주관방송사인 KBS KBS 1TV에서는 2023년 강화 지진이 일어났을 때처럼, 평소에는 KBS에서 특보 편성 없이 지진 정보만 발표하는 규모 3의 지진이지만, 처음에 기상청 지진조기경보규모 4로 발표되어 관련 매뉴얼에 따라 규모가 3인 지진인데도 특보가 편성되었다.[7]
    • 지진이 발생할 당시 하필이면 주말 저녁 7시뉴스를 진행하는 김희수 앵커의 클로징 멘트와 동시에 지진조기경보 알람음이 울려퍼지는 상황이 벌어졌다. 앵커가 스튜디오에 앉아있는 상황인데도 뉴스특보는 약 8분 여 뒤인 7시 15분에 시작했다.
    • KBS 뉴스특보에서 앵커가 대응 방송을 시작하기 전 송출된 AI 속보화면에서 지역별 진도 표에 지역명이 출력되지 않는 오류가 발생했다.[8]
    • 역시 재난주관방송 채널인 KBS 제1라디오는 생방송 주말 저녁입니다 방송 도중이었고, 지진조기경보 알람음 발생 당시 진행자인 태의경 아나운서가 패널을 소개하던 중 잠시 멈칫하고, 그 직후 대진대학교 DMZ연구원장으로 참석한 박영민 교수가 서둘러 휴대전화를 가져오며 재난문자알림을 열람하는 모습이 보이는 라디오 생중계로 포착되기도 했다. 이후 약 5분 뒤에 태의경 아나운서가 장수 지진 속보를 2차례 짤막하게 전했고 이후 KBS 뉴스특보가 시작되면서 KBS 1TV 방송을 라디오로 동시 중계했었다.
  • 행정안전부는 지진이 발생하자 신속한 피해 상황 파악과 필요시 긴급조치 등을 하기 위해 오후 7시 10분부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1단계를 가동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이날 관계부처에 신속한 피해 확인 및 비상조치를 긴급 지시하였는데, 2023년 여름 한반도 폭우 사태의 직격탄을 맞아 지반이 불안정한 전북에서 지진이 일어났기 때문에 산사태 발생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산림청에게 지시를 내렸다고 한다. 한 총리는 먼저 이상민 행정안전부장관에게 “지진으로 인한 피해 상황을 신속하게 확인하라”고 지시했다. 한 총리는 이어 남성현 산림청장에게 “지진으로 인한 산사태 발생 가능성을 점검하고 대비하라”고 주문했다
  • 19시 43분 56초에 같은 위치에서 규모 1.3의 여진이 발생했다. 장수군과 진안군에서는 최대진도 Ⅱ를 관측했다.
  • 현재 이 지진까지 합쳐 2023년에만 한국에서 진도 Ⅴ이상의 지진[9]3번이나 발생한 상황이다. 규모 4.0 이상 혹은 진도 Ⅴ 이상의 지진은 통상적으로 1년에 많아봐야 한두 번 가량의 수준이었던 지난 날에 비해, 2023년에는 나무위키 단독 문서 등재 기준을 달성한 국내 지진이 4개나 되는 상황이다.[10][11] 범위를 넓혀 유의미한 진동(진도 Ⅲ~Ⅴ)을 느낄 수 있는 유감지진을 전부 보았을 때는 15번의 지진이 발생했으며, 이 역시도 평년보다 꽤 많은 수치다.

7. 둘러보기

별도의 문서가 존재하는 한반도 지진
2023년 동해 해역 군발지진/5월 15일 2023년 장수 지진 2023년 어랑 해역 지진
문서가 존재하는 2023년 지진
[[틀:지진/2022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currentcolor"
]]
2023
[[틀:지진/2024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currentcolor"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rowcolor=#fff> 발생일 규모 지진명 최대진도
<colbgcolor=#868e96> 01. 06.~
~ M 4.6 이시카와현 노토 지방 군발지진(2023년 1월)
4
01. 09. M 3.7 강화도 해역 지진
01. 10. M 7.9 인도네시아 말루쿠 지진
01. 14. M 5.6 네팔 지진(1월)
02. 06. M 7.8 튀르키예·시리아 대지진
XI
M 7.6
02. 25. M 6.1 홋카이도 구시로 해역 지진
5-
03. 18. M 6.8 에콰도르 지진
03. 21. M 6.5 아프가니스탄 지진(3월)
04. 30.~
~M 6.5 이시카와현 노토 지방 군발지진[1] / (2023년 5월)
6+
05. 11. M 5.4 일본 치바현 남부 지진
5+
05. 11.~
~ M 5.3 일본 토카라 열도 근해 군발지진 (2023년 5월)[2]
5-
04. 23.~
~M 4.5[3] 2023년 동해 해역 군발지진[4] / (5월 15일 지진)
05. 22.~
~ M 5.3 일본 이즈 제도 근해 군발지진 (2023년 5월)
5-
06. 11. M 6.2 홋카이도 우라카와 앞바다 지진
5-
06. 16. M 5.3 프랑스 니오르 지진
07. 29. M 3.5 장수 지진
09. 07.~
~ M 5.3 일본 토카라 열도 근해 군발지진 (2023년 9월)
4
09. 07. M 4.9 북한 어랑 해역 지진
09. 08. M 7.4 모로코 마라케시사피 지진
10. 07. M 6.3 아프가니스탄 지진(10월)
10. 11.
10. 15.
11. 03. M 6.4 네팔 지진(11월)
11. 17. M 6.7 필리핀 민다나오섬 해역 지진(11월)
11. 30. M 4.0 경주 지진
12. 02. M 7.6 필리핀 민다나오섬 해역 지진 (12월)
12. 18. M 6.2 중국 간쑤성 지진
}}}}}}}}} ||

[1] 해당 군발지진은 해당 군발지진 중 가장 큰 지진인 규모 6.5의 지진이 발생한 5월 5일을 기준으로 분류하였음. [2] 해당 군발지진은 해당 군발지진 중 가장 큰 지진인 규모 5.3의 지진이 발생한 5월 13일을 기준으로 분류하였음. [3] 이제까지 발생한 지진의 총에너지량을 합산한 모멘트규모는 3.8로 추정되고 있다. [4] 해당 군발지진은 해당 군발지진 중 가장 큰 지진인 규모 4.5의 지진이 발생한 5월 15일을 기준으로 분류하였음.


[1] 분석신뢰도 90.6% [2] 지진을 감지한 것을 신고한 것 [3] 20시 50분 기준 전북 42건, 전남 1건, 충북 1건, 경북 4건, 경남 2건, 부산 1건 [4] 하향된 이유는 이동속도가 빠른 지진파인 P파만을 이용한 규모 예측 결과가 규모 4.1로 나온 것이고, 추후 수동 분석한 값이 규모 3.5 이다. # [5] 진앙 위치로부터 장수군청은 약 17km, 진안군청은 약 6km 떨어져 있다. [6] 전북 무주군 동북동쪽 약 5km 지역 [7] 규모는 강화 지진보다 약했지만 지진이 발생한 진앙이 굉장히 얕아서인지 최대 진도가 강화 지진보다 강하게 기록되었다. [8] 개요 문단 유튜브 틀에 있는 "KBS 뉴스특보 풀영상"이 그 영상이다. [9] 2023년 장수 지진, 2023년 공주 지진, 2023년 경주 지진. 다만 공주 지진은 규모 4에는 미달한다. [10] 2023년 강화 지진, 2023년 동해 해역 지진, 2023년 장수 지진, 2023년 경주 지진 [11] 긴급재난문자가 발송된 경우 규모 4 이하여도 등재를 허용한다는 개정규정(강화 지진때 개정)이 적용된 두번째 사례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