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지진학
규모 ·
진도 ·
지진대 ·
조산운동 ·
습곡산맥(
신기 습곡산맥) ·
단층(
단층산맥 ·
대한민국의 단층)슬로우 슬립 · 쓰나미 · 지진파 · 판 구조론 · 내진설계 · 이상진역 · 지반 액상화 |
||||
발생 양상과 분류
단층지진 ·
수도직하지진 ·
고유지진 ·
군발지진 · 발생 깊이에 따른 분류(
천발지진 ·
중발지진 ·
심발지진)
|
||||
지진경보
지진속보 및 지진조기경보(
재난문자 기준 ·
재난방송 ·
사용자 맞춤형 지진정보서비스)긴급지진속보(일본) · 쓰나미 경보 · 국가지진열도속보 및 예경공정(중국) |
||||
국가별 주요 지진 목록
틀:대한민국 주요 지진 ·
틀:일본 주요 지진
|
||||
전체 지진 목록
목록
|
||||
국가별 지진 문서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튀르키예 ·
칠레 ·
대만
|
||||
대한민국 관련 사이트
기상청(최근지진) ·
기상청(지진목록) ·
사용자 맞춤형 지진정보서비스
|
||||
해외 관련 사이트
일본 기상청 ·
중국 지진국 ·
USGS(지진 목록) ·
EMSC(지진 목록)
|
||||
관련 프로젝트
나무위키:프로젝트/지진
|
}}}}}}}}} | |||
최근 발생한 주요 지진 | ||||
발생 국가: 대만 | ||||
<rowcolor=#000,#e4e4e4> 발생 시각 ( UTC+8) | 규모 | 진원 | 최대 진도 | |
2025년 01월 21일 00시 17분 27초 |
ML 6.4 | 대만 자이현 남동쪽 30km 지역 | 6- | |
쓰나미 여부 미발령 예상 최고높이: -m 실측 최고높이: -m |
||||
2023년 동해 해역 군발지진 | ||
<colbgcolor=#3d5f7e><colcolor=#fff> 발생 (UTC+9) |
<colbgcolor=#fff,#191919>
2023년
4월 23일 0시 52분 40초 ~진행 중 |
|
진앙 |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북동쪽 약 60km 해역 인근 | |
발생 횟수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보고서 기준 최소 232회 기상청 발표 기준 총 70회 규모 2.0 이상 19회 |
|
총 방출량 | Mw 3.8 이상 |
[clearfix]
1. 개요
강원도(현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북동쪽 약 45km-60km 안팎의 해역에서 2023년 4월 23일 오전 0시 52분부터 진행 중인 군발지진. 4월 23일부터 규모 2.0 미만의 미소지진과 규모 2~3 안팎의 지진이 연쇄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5월 15일에는 규모 4.5의 지진이 발생했다.2. 발생 원인
한국에서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지진은 큰 규모의 본진 발생 이후 여진이 이어지는 형태나, 2016년 경주 지진처럼 전진이 발생한 이후 더 규모가 큰 본진이 발생한 뒤 여진이 이어지는 형태로 발생한다. 하지만 2013년 백령도 해역 지진이나 2013년 보령 해역 지진, 2020년 해남 지진처럼 전진, 본진, 여진이 뚜렷하지 않고 비슷한 규모의 지진이 일정기간 동안 여러차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이 바로 군발지진이다.군발지진은 지층의 파괴 밀도가 높은 상황에서 발생한다. 즉, 커다란 응력이 쌓이기 전에 지층의 파괴가 자주 일어나는 상황이다. 파괴 밀도가 높아지는 대표적인 원인으로는 단층에 해수나 지하수 등의 액체 유입이 있다.
한반도 인근에서 발생한 주요 군발지진은 대부분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이후에 발생했다. 동일본 대지진 이후 한반도의 지각이 늘어나 쉽게 지진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 되었기 때문이다.
이번 군발지진의 경우 동해의 해양지각이 꾸준히 한반도의 대륙지각 밑으로 들어가고 있는 상황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 현재 동해안에는 초기 섭입대, 그러니까 판의 경계가 만들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2018년 동해 해안에 대한 연구조사가 진행되었는데, 그 결과 동해 해안선과 평행하게 남북 방향으로 뻗은 메이저 트러스트가 발견됐다. 연구팀은 메이저 트러스트가 동서방향 압축력으로 인해 동해 지각이 한반도 지각 아래로 섭입하면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했다. 또한 지각이 아래로 섭입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지역 깊은 곳에서 역단층을 발견하였다. 당시 연구팀은 2019년 동해 해역 지진이 메이저 트러스트 경계 바로 위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 이번에 발생한 규모 4.5의 지진의 경우 2019년 동해 해역 지진과 같은 남북방향의 역단층에서 발생했고 발생깊이 역시 30km 이상으로 깊기 때문에, 남북 방향의 메이저 트러스트와의 연관성을 의심할 수 밖에 없다. 군발지진이 발생하는 원인 중 하나가 해수의 유입인데, 동해 지각이 해수를 포함하여 한반도 밑으로 섭입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이렇게 멘틀까지 도달하게 되면 용융점을 낮추어 화산 형태로 마그마가 분출할 수도 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진원 정밀 재분석 결과 대부분의 지진이 규모 4.5 지진이 발생한 인근 500m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였으며, 깊이는 기상청 발표보다는 얕은 17~19km에서 발생했다고 분석했다. 지진이 발생 중인 단층은 북북서-남남동의 주향을 가지는 역단층이며, 2019년 동해 해역 지진을 일으킨 단층과 동일한 단층으로 분석했다. 4월 17일 부터 발생 중인 미소지진들은 역단층의 경사면을 따라 동북동에서 점차 서남서쪽으로 이동하여 발생했음을 확인했다. 역단층이 서남서 방향으로 깊어지는 형태이기 때문에 미소지진들 역시 발생깊이가 깊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보고서에서는 이번 지진이 2019년 동해 해역 지진을 일으킨 단층이 재활성화 되어 지진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으며, 규모 4.5 지진을 본진으로 분석했다. 다만 해당 해역에 대한 정밀한 단층 조사는 아직 이뤄지지 않아 정확한 단층 규모를 파악하지는 못했다. 따라서 해당 지역에서 규모 6.0의 지진이 발생할 경우를 상정하여 시뮬레이션을 진행했는데 그 결과 최대진도 V를 관측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후 2024년 2월 '2023년 기상청 지진연보'를 통해서 기상청 추가분석 자료가 공개되었다. 내륙 지진계만을 사용한 진원 분석에서는 깊이 18~33km, 10km 범위에서 진앙이 분포했으며, 해역과 내륙 지진계를 이용하여 분석할 경우 깊이 24~30km, 5km 범위에서 진앙이 분포했다. 해역 지진계만을 사용했을 경우 깊이 20~23km 진앙은 2km 범위에서 분포했다. 즉 기상청의 경우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정밀분석보다 깊은 깊이와 넓은 범위에서 지진이 발생했다고 분석했다.
3. 발생 현황
군발지진 발생 현황 (2024.02.19) |
지진 발생 현황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미소지진 포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rowcolor=#fff> 발생일시 | 진앙 | 깊이 | 규모 | 최대 진도 | |
2023년 4월 23일 | 00:52:40 |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3km 해역 | 26km | 1.7 | I | |
09:22:43 |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 | 22km | 1.6 | Ⅰ | ||
12:05:50 | 22km | 1.6 | Ⅰ | |||
15:16:20 | 23km | 1.7 | Ⅰ | |||
21:06:40 | 27km | 2.7 | Ⅰ | |||
23:41:04 |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4km 해역 | 26km | 1.5 | Ⅰ | ||
2023년 4월 24일 | 02:33:05 |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5km 해역 | 20km | 1.6 | Ⅰ | |
03:53:55 |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3km 해역 | 22km | 1.7 | Ⅰ | ||
05:05:23 | 25km | 1.7 | Ⅰ | |||
13:02:10 |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48km 해역 | 31km | 2.9 | Ⅰ | ||
13:07:53 |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 | 20km | 1.5 | Ⅰ | ||
21:41:45 |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3km 해역 | 27km | 2.1 | Ⅰ | ||
21:50:59 |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 | 27km | 2.4 | Ⅰ | ||
2023년 4월 25일 | 05:03:39 |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4km 해역 | 25km | 2.3 | Ⅰ | |
12:02:50 |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 | 28km | 3.1 | Ⅱ | ||
15:55:55 |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0km 해역 | 33km | 3.5 | Ⅰ | ||
2023년 4월 26일 | 06:51:41 |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1km 해역 | 28km | 2.2 | Ⅰ | |
12:15:24 |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 | 27km | 2.0 | Ⅰ | ||
19:31:46 |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0km 해역 | 28km | 1.5 | Ⅰ | ||
2023년 4월 27일 | 00:55:47 |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1km 해역 | 26km | 1.4 | Ⅰ | |
06:35:32 |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48km 해역 | 29km | 1.8 | Ⅰ | ||
19:38:32 |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3km 해역 | 25km | 1.5 | Ⅰ | ||
2023년 4월 28일 | 02:15:10 |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1km 해역 | 29km | 1.6 | Ⅰ | |
04:43:51 |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 | 26km | 1.9 | Ⅰ | ||
14:11:10 |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0km 해역 | 30km | 1.7 | Ⅰ | ||
23:39:24 |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3km 해역 | 27km | 2.6 | Ⅰ | ||
2023년 4월 29일 | 09:18:49 |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0km 해역 | 31km | 1.8 | Ⅰ | |
23:01:05 |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4km 해역 | 18km | 1.6 | Ⅰ | ||
2023년 5월 8일 | 21:12:05 |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0km 해역 | 23km | 2.1 | Ⅰ | |
23:16:48 |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 | 21km | 1.6 | Ⅰ | ||
2023년 5월 14일 | 08:35:25 |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1km 해역 | 30km | 3.1 | Ⅰ | |
20:02:31 |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 | 27km | 1.9 | Ⅰ | ||
2023년 5월 15일 | 01:49:27 |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3km 해역 | 27km | 1.3 | Ⅰ | |
06:27:37 |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 | 31km | 4.5 | Ⅲ | ||
08:06:32 |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3km 해역 | 24km | 1.8 | Ⅰ | ||
23:25:29 |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 | 26km | 1.2 | Ⅰ | ||
2023년 5월 16일 | 02:56:44 |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1km 해역 | 31km | 1.8 | Ⅰ | |
03:10:24 |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 | 26km | 1.3 | Ⅰ | ||
2023년 5월 18일 | 00:27:12 |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5km 해역 | 21km | 1.2 | Ⅰ | |
23:43:50 |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3km 해역 | 24km | 1.9 | Ⅰ | ||
2023년 5월 19일 | 07:48:58 |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 | 26km | 1.9 | Ⅰ | |
2023년 5월 20일 | 03:51:21 |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0km 해역 | 24km | 1.3 | Ⅰ | |
2023년 5월 22일 | 03:39:18 |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 | 28km | 2.3 | Ⅰ | |
13:40:18 | 26km | 1.3 | Ⅰ | |||
2023년 5월 24일 | 20:52:43 |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 | 22km | 1.5 | Ⅰ | |
22:52:19 |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1km 해역 | 31km | 1.6 | Ⅰ | ||
2023년 5월 25일 | 21:00:03 |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4km 해역 | 21km | 1.0 | Ⅰ | |
2023년 5월 26일 | 04:24:36 |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 | 23km | 1.4 | Ⅰ | |
2023년 6월 2일 | 07:33:20 |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 | 24km | 1.5 | Ⅰ | |
2023년 6월 15일 | 07:12:54 |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북동쪽 53km 해역 | 26km | 1.9 | Ⅰ | |
08:58:24 |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북동쪽 51km 해역 | 25km | 1.8 | Ⅰ | ||
22:06:47 | 27km | 1.6 | Ⅰ | |||
2023년 6월 16일 | 01:17:11 |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북동쪽 53km 해역 | 17km | 1.1 | Ⅰ | |
03:07:04 |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 | 23km | 1.3 | Ⅰ | ||
09:34:21 |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북동쪽 54km 해역 | 19km | 1.3 | Ⅰ | ||
2023년 6월 17일 | 22:34:38 |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북동쪽 49km 해역 | 33km | 2.1 | Ⅰ | |
2023년 7월 1일 | 09:48:39 |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북동쪽 54km 해역 | 18km | 1.9 | Ⅰ | |
2023년 7월 19일 | 13:19:07 |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 | 25km | 1.6 | Ⅰ | |
2023년 8월 27일 | 17:44:14 | 25km | 1.4 | Ⅰ | ||
2023년 10월 11일 | 21:38:41 | 25km | 1.7 | Ⅰ | ||
2023년 10월 22일 | 03:04:09 | 29km | 2.1 | Ⅰ | ||
2023년 10월 24일 | 09:11:37 |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북동쪽 49km 해역 | 31km | 2.7 | Ⅰ | |
2024년 1월 6일 | 12:13:42 |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북동쪽 55km 해역 | 20km | 1.6 | Ⅰ | |
2024년 2월 7일 | 06:22:06 |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북동쪽 54km 해역 | 18km | 1.5 | Ⅰ | |
2024년 8월 26일 | 23:28:10 |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북동쪽 60km 해역 | - | 3.0 | Ⅱ | |
2023년 8월 26일 | 03:54:34 |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북동쪽 48km 해역 | 31km | 1.3 | Ⅰ | |
05:56:55 |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북동쪽 54km 해역 | 19km | 1.5 | Ⅰ | ||
06:53:51 |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북동쪽 53km 해역 | 26km | 1.9 | Ⅰ | ||
2023년 8월 27일 | 18:41:53 |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북동쪽 50km 해역 | 28km | 1.3 | Ⅰ | |
23:02:24 |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북동쪽 54km 해역 | 21km | 2.2 | Ⅰ | }}}}}}}}}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규모 2.0 이상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rowcolor=#fff> 발생일시 | 진앙 | 깊이 | 규모 | 최대 진도 | |
2023년 4월 23일 | 21:06:40 |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 | 27km | 2.7 | Ⅰ | |
2023년 4월 24일 | 13:02:10 |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48km 해역 | 31km | 2.9 | Ⅰ | |
21:41:45 |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3km 해역 | 27km | 2.1 | Ⅰ | ||
21:50:59 |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 | 27km | 2.4 | Ⅰ | ||
2023년 4월 25일 | 05:03:39 |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4km 해역 | 25km | 2.3 | Ⅰ | |
12:02:50 |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 | 28km | 3.1 | Ⅱ | ||
15:55:55 |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0km 해역 | 33km | 3.5 | Ⅰ | ||
2023년 4월 26일 | 06:51:41 |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1km 해역 | 28km | 2.2 | Ⅰ | |
12:15:24 |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 | 27km | 2.0 | Ⅰ | ||
2023년 4월 28일 | 23:39:24 |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3km 해역 | 27km | 2.6 | Ⅰ | |
2023년 5월 8일 | 21:12:05 |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0km 해역 | 23km | 2.1 | Ⅰ | |
2023년 5월 14일 | 08:35:25 |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1km 해역 | 30km | 3.1 | Ⅰ | |
2023년 5월 15일 | 06:27:37 |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 | 31km | 4.5 | Ⅲ | |
2023년 5월 22일 | 03:39:18 | 28km | 2.3 | Ⅰ | ||
2023년 6월 17일 | 22:34:38 |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북동쪽 49km 해역 | 33km | 2.1 | Ⅰ | |
2023년 10월 22일 | 03:04:09 |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 | 29km | 2.1 | Ⅰ | |
2023년 10월 24일 | 09:11:37 |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북동쪽 49km 해역 | 31km | 2.7 | Ⅰ | |
2024년 8월 26일 | 23:28:10 |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북동쪽 60km 해역 | - | 3.0 | Ⅱ | |
2023년 8월 27일 | 23:02:24 |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북동쪽 54km 해역 | 21km | 2.2 | Ⅰ | }}}}}}}}} |
3.1. 2019년 이후 전체 발생 현황
군발지진 발생 현황 (2024.02.19) |
사실 지진활동 자체는 2019년부터 시작되었으며, 정밀분석 결과 2019년 동해 해역 지진과 2023년 동해 해역 지진을 포함하여 모든 지진이 비슷한 주향과 깊이로 관측되어 동일한 단층에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기상청에서는 규모 4.5의 2023년 동해 해역 지진을 본진으로 분류하기는 하였으나, 이시카와현 노토 지방 군발지진의 사례처럼 군발지진 중 가장 강한 지진으로 보이는 지진보다 더 큰 지진이 어느정도 시간 차이를 두고 발생할 수 있는 만큼 앞으로도 주의가 필요해 보인다.[1]
최대 규모의 지진을 중심으로 전진과 여진의 빈도수가 비슷한 일반적인 군발지진이나, 전진보다 많은 수의 여진을 동반하는 일반적인 지진과는 다르게 전진이 많이 발생하고 여진이 적게 발생하는 특이한 모습 또한 보이고 있다.
4. 상세
- 2023년 4월 23일 21시 06분 39초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60km 해역에서 규모 2.7, 최대진도 I의 지진이 발생하였다. 4월 23일에도 이 부근 해역에서 5차례의 미소지진이 발생한 전력이 있다. #
- 2023년 4월 24일 13시 02분 10초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48km 해역에서 규모 2.9, 최대진도 I의 지진이 발생하였으며, 같은 날 21시에 규모 2.1, 최대진도 Ⅰ. 이후 규모 2.4, 최대진도 Ⅰ의 지진이 연달아 일어났다. 바로 전날에 이은 군발성 지진이며, 23-24일에 걸쳐 10건 이상의 군발지진이 발생하였다.
- 2023년 4월 25일 12시 02분 50초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에서 규모 3.1, 최대진도 Ⅱ의 지진이 발생하면서 23일~25일까지 사흘간 동해시 인근 해역 주변에서만 16차례의 군발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기록되자 행정안전부는 오전 5시 30분을 기점으로 지진 위기경보 관심단계를 발령했다. 이에 따라 위기징후 감시(지진발생 모니터링), 유관기관, 지자체 대응 및 상황보고 체계 확인, 상황관리 철저를 당부했으며 지진대응부서 중심으로 '지진 비상대응반'을 운영해 후속 상황관리를 하고 추가 지진이 발생하면 신속하게 대응할 계획이다. #1 #2 #3
- 2023년 4월 26일 6시 51분 41초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1km 해역에서 규모 2.2의 지진이 발생하였고 같은 날 12시 15분 24초에도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에서 규모 2.0의 지진이 발생, 19시 31분 즈음에 비슷한 위치에서 규모 1.5의 지진이 발생하는 등 규모가 1점대의 미소지진으로 줄어들긴 했지만 여전히 동해 인근 50km 해역 주변에서만 수많은 군발지진이 끊이지 않는 불안한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
- 2023년 4월 28일 23시 39분 24초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3km 해역에서 규모 2.6, 최대진도 I의 지진이 발생하면서 근래의 규모 1대의 미소지진만 반복되어 안정화될 것처럼 보였던 동해 인근 해역에서 다시 규모 2 후반대의 지진이 발생하였다. 좀처럼 안정화되지 않을 듯 발생하는 군발지진으로 인해 행정안전부가 내린 지진 위기경보 관심단계는 계속해서 유지되고 있는 상황이다.
- 2023년 5월 8일 21시 12분 05초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에서 규모 2.1, 최대진도 I의 지진이 발생하면서 4월 28일 이후 한동안 잠잠했던 동해시 50km대 해역에서의 군발지진이 다시 발생하였다.
- 2023년 5월 14일 8시 35분 25초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1km 해역에서 규모 3.1, 최대진도 I의 지진이 발생하였다. 동해시 북동쪽 50KM대 해역에서 발생하던 군발지진이 끊이지 않았으며, 4월 25일 이후 처음으로 규모 3을 넘는 지진이 재발하였다.
하위 문서: 2023년 동해 해역 군발지진/5월 15일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 2023년 5월 15일 6시 27분경 강원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에서 규모 4.5, 최대진도 Ⅲ(강원 4개 시군구[2], 경북 봉화군)의 지진이 발생했다. # 마침 월요일 아침이라 강원도에서 출근 중 혹은 출근 준비 도중 진동을 느낀 사람들이 많았으며 자다가 진동을 느끼거나 재난문자 알람 소리에 놀라서 깬 사람들도 많았다.[3] 행정안전부는 지진 위기경보 단계를 '관심'에서 '주의'로 상향했다. #
- 2023년 5월 22일 3시 39분 18초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에서 규모 2.3, 최대진도 I의 지진이 발생하였다. 5월 15일 규모 4.5 지진 이후 처음으로 발생한 규모 2.0 이상의 지진이다.
- 2023년 6월 2일 7시 33분 20초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에서 규모 1.5, 최대진도 I의 지진이 발생하였다. 5월 26일 이후 일주일 만에 발생한 지진이다. 이 지진으로 총 지진발생 횟수가 50회를 넘어섰다.
- 2023년 6월 2일 이후로는 일주일 이상 지진이 발생하지 않았다. 지진활동이 안정화 되고 있는 모습이다. 하지만 안정화된 것 뿐 이 군발지진이 종막을 고한 상태는 아니기 때문에 이 상태로 종료될 지 또는 얼마 안 지나 다시 활동하게 될 지 모르는 일이다.
- 6월 2일 이후 한동안 차츰 안정화되나 싶더니만 2023년 6월 15일 7시 12분 54초, 8시 58분 24초, 22시 6분 47초에 각각 규모 1.9, 1.8, 1.6의 지진이 발생했다. 마지막 지진 이후 약 2주 정도 지난 시점에서 다시 하루에 여러 차례 지진이 발생했다. 동해 해역의 지각층이 다시 활동을 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 6월 15일에 이어 6월 16일에도 지진이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다. 전날에 비해 규모는 작아졌지만 발생 간격이 짧아졌다.
- 6월 17일 22시 34분 38초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북동쪽 49km 해역에서 규모 2.1, 최대진도 I의 지진이 발생하였다. 규모 2.0 이상 지진이 발생한 것은 5월 22일 이후 거의 1달만인 상황이다. 잠깐의 휴식기 이후 다시 본격적인 활동세를 보이는 것 같다 싶었는데...
- 6월 17일 이후로는 현재까지 미소지진은커녕 어떠한 동태조차 없어 응력을 축적하고 있는 중인지, 아니면 군발지진의 활동세가 다시 잠잠해진 건지 알 수 없는 상황이다. 후자의 경우라면 좋겠지만 만약 전자의 경우라면 언제가 될 진 모르겠으나 5월 15일의 지진처럼 제법 규모가 큰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생길 것이다. 실제로 2016년의 경주 지진과 2017년의 포항지진도 동해 지진처럼 전진이 잇따르다가 본진이 발생했기 때문에 해소된 응력이 다시 축적된다면 큰 지진이 일어날 가능성도 있다. 특히 동해시 입장에서는 동해항에서도 지진이 일어났기 때문에 단층대를 조사할 필요성도 생겼다.
- 2023년 7월 1일 오전 9시 48분 39초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북동쪽 54km 해역에서 규모 1.9, 최대 진도 I의 지진이 발생하면서 6월 17일 이후 15일만에 군발지진이 발생하던 위치에서 다시 지진이 발생하였다. 빈도 수가 군발지진 초기에 비하면 정말 많이 줄어들긴 했지만 아직도 관심과 경계가 필요한 요주의 지역이다.
- 2023년 7월 19일 13시 19분 7초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에서 규모 1.6, 최대 진도 I의 지진이 발생하였다. 7월 1일 이후 18일만에 다시 군발지진이 발생하면서 현재는 한 번 지진이 발생하면 20일 이내에 다시 발생하는 양상을 띄고 있다. 군발지진 활성화 시기에 비하면 굉장히 양호해진 상태.
- 2023년 8월 27일 17시 44분 14초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에서 규모 1.4의 지진이 발생했다. 7월 19일 이후 1개월 8일 뒤 발생한 군발지진으로, 아직까지 동해 해역에서 일어나는 군발지진이 끝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 2023년 10월 22일 03시 04분 09초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에서 규모 2.1의 지진이 발생했다. 한동안 미소지진만 이어지다가 약 4개월 만에 다시 규모 2.0 이상의 지진이 발생한 것이다.
- 2023년 10월 24일 09시 11분 37초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북동쪽 49km 해역에서 규모 2.7의 지진이 발생했다. 5월 15일 규모 4.5 지진 이후 발생한 지진 중 가장 규모가 큰 지진이다. 10월 11일 규모 1.7 지진 이후 지진 발생 간격도 짧아지고 규모도 커지면서 지진 활동이 다시 재개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 2024년 1월 6일 12시 13분 42초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북동쪽 55km 해역에서 규모 1.6의 지진이 발생했다. 10월 24일 지진이후 약 3개월만에 발생한 지진이며, 2024년 첫 군발지진이다. 당해 1월 1일 동해 해역에서 발생한 2024년 이시카와현 노토 지방 지진이 동해 해역 지각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높기에 노토 지방 지진의 영향으로 인해 발생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 2024년 4월 14일 기준 마지막 지진이 발생한 2월 7일 이후로 약 2달이상이 지난 8월 24일까지 어떠한 미소지진은 커녕 지진활동 자체가 발생하지 않고 있었다. 군발지진활동이 완전히 종료된 것인지 아니면 응력을 대량으로 축적중인 것인지 아직은 알 수 없기에 계속해서 주의깊게 봐야할듯 하다. 전자의 경우라면 좋겠지만 후자의 경우라면 2023년 5월 15일 지진보다 더 큰 규모(최하 5.0이상)로 지진이 발생할수도 있기때문에 여전히 주의를 기울여야한다.
- 2024년 8월 27일 23시 02분 24초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북동쪽 54km 해역에서 규모 2.2의 지진이 발생했다. 25일에 발생한 규모 3.0 지진 이후 미소지진을 포함한 지진이 잇따라 발생하며 지진 활동이 다시 재개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5. 여담
- 5월 8일부터 동해시 남쪽 지역(내륙)에서 발생중인 군발지진에 동해 해역 군발지진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고 홍태경 교수 연구팀이 분석했다. 두 군발지진은 다른 단층에서 발생한 별개의 지진이지만, 지진 발생으로 방출된 응력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분석했다. # 과거부터 이 지역에서 지진이 연동하는 것처럼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규모 4.5 지진이 발생한 이후에 이 지역에서 또다른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을 주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
- 기상청은 규모 4.5 보다 더 큰 지진이 추가로 발생할 가능성을 낮게보고 있으나, 김영석 교수는 이 지진보다 더 큰 지진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단층 전체가 활성화될 경우 규모 6.0 내외의 지진까지 발생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
- 2019년 동해 해역 지진의 진앙지와 이번 군발지진의 발생위치, 단층 방향이 거의 일치한다.
- 1996년에도 비슷한 지역에서 리히터 규모 4.2의 지진이 발생한 적이 있다. 또한 한국지질자원연구원과 홍태경 교수팀의 자료에 따르면 1936년에도 인근 지역에서 모멘트 규모 5.4의 지진이 발생했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거의 같은 지역에서 과거부터 지진이 반복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일정 기간을 두고 지진이 계속해서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 일각에서는 직선거리 기준 강릉시가 더 가까워 강릉 해역 지진이라고 해야한다는 의견이 있다. 하지만 기상청의 지진 발표는 각 시군구 청사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강릉시청보다 상대적으로 진앙지에 더 가까운 동해시청을 기준으로 발표되고 있다.
6. 둘러보기
문서가 존재하는 2023년 지진 | ||||
[[틀:지진/2022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currentcolor" ]]→ 2023 → [[틀:지진/2024년|{{{#!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currentcolor"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f><rowcolor=#fff> 발생일 | 규모 | 지진명 | 최대진도 |
<colbgcolor=#868e96> 01. 06.~ |
~ M 4.6 | 이시카와현 노토 지방 군발지진(2023년 1월) |
4
|
|
01. 09. | M 3.7 | 강화도 해역 지진 |
Ⅳ
|
|
01. 10. | M 7.9 | 인도네시아 말루쿠 지진 |
Ⅵ
|
|
01. 14. | M 5.6 | 네팔 지진(1월) |
Ⅶ
|
|
02. 06. | M 7.8 | 튀르키예·시리아 대지진 |
XI
|
|
M 7.6 |
Ⅹ
|
|||
02. 25. | M 6.1 | 홋카이도 구시로 해역 지진 |
5-
|
|
03. 18. | M 6.8 | 에콰도르 지진 |
Ⅶ
|
|
03. 21. | M 6.5 | 아프가니스탄 지진(3월) |
Ⅴ
|
|
04. 30.~ |
~M 6.5 | 이시카와현 노토 지방 군발지진[1] / (2023년 5월) |
6+
|
|
05. 11. | M 5.4 | 일본 치바현 남부 지진 |
5+
|
|
05. 11.~ |
~ M 5.3 | 일본 토카라 열도 근해 군발지진 (2023년 5월)[2] |
5-
|
|
04. 23.~ |
~M 4.5[3] | 2023년 동해 해역 군발지진[4] / (5월 15일 지진) |
Ⅲ
|
|
05. 22.~ |
~ M 5.3 | 일본 이즈 제도 근해 군발지진 (2023년 5월) |
5-
|
|
06. 11. | M 6.2 | 홋카이도 우라카와 앞바다 지진 |
5-
|
|
06. 16. | M 5.3 | 프랑스 니오르 지진 |
Ⅶ
|
|
07. 29. | M 3.5 | 장수 지진 |
Ⅴ
|
|
09. 07.~ |
~ M 5.3 | 일본 토카라 열도 근해 군발지진 (2023년 9월) |
4
|
|
09. 07. | M 4.9 | 북한 어랑 해역 지진 |
Ⅱ
|
|
09. 08. | M 7.4 | 모로코 마라케시사피 지진 |
Ⅸ
|
|
10. 07. | M 6.3 | 아프가니스탄 지진(10월) |
Ⅷ
|
|
10. 11. | ||||
10. 15. | ||||
11. 03. | M 6.4 | 네팔 지진(11월) |
Ⅶ
|
|
11. 17. | M 6.7 | 필리핀 민다나오섬 해역 지진(11월) |
Ⅷ
|
|
11. 30. | M 4.0 | 경주 지진 |
Ⅴ
|
|
12. 02. | M 7.6 | 필리핀 민다나오섬 해역 지진 (12월) |
Ⅶ
|
|
12. 18. | M 6.2 | 중국 간쑤성 지진 |
Ⅷ
|
[1]
해당 군발지진은 해당 군발지진 중 가장 큰 지진인 규모 6.5의 지진이 발생한 5월 5일을 기준으로 분류하였음.
[2]
해당 군발지진은 해당 군발지진 중 가장 큰 지진인 규모 5.3의 지진이 발생한 5월 13일을 기준으로 분류하였음.
[3]
이제까지 발생한 지진의 총에너지량을 합산한 모멘트규모는 3.8로 추정되고 있다.
[4]
해당 군발지진은 해당 군발지진 중 가장 큰 지진인 규모 4.5의 지진이 발생한 5월 15일을 기준으로 분류하였음.
[1]
참고로
이시카와현 노토 지방 군발지진의 경우 최대규모와 지진 빈도수가 점차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고, 규모 7.6의
2024년 이시카와현 노토 지방 지진으로 이어졌다.
[2]
강원도 강릉시, 동해시, 태백시, 삼척시
[3]
참고로 이번 지진은 국내 지진 중 2021년 12월 서귀포 해역 지진(ML 4.9) 이후 가장 규모값이 높은 지진이지만 진원지가 해역이기에 체감된 진도값은 비교적 낮은 편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