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1-20 19:29:35

2021년 아프가니스탄 내전/2021년/10월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2021년 아프가니스탄 내전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2021년 아프가니스탄 사태 파일:아프가니스탄 국민 저항 전선기.svg 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10100><colcolor=#fff> 배경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전개 탈레반의 공세 ( 반응 · 탈레반의 재집권 · 탈레반/2022년 · 탈레반/2023년) · 대규모 철수 ( 미라클 작전) · 내전
내전 상황 2021년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2년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3년 / 2024년
장소 카불 · 바그람 공군기지 · 카불 국제공항 · 판지시르 · 바자라크
단체 탈레반 · 탈레반 과도정부 · 미군 · 파키스탄군 · ISI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 아프가니스탄군 · 아프가니스탄 국민 저항 전선 · 아프가니스탄 마오주의 공산당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 · 호라산 이슬람 국가
인물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하이바툴라 아훈드자다 · 압둘 가니 바라다르 · 시라주딘 하카니 · 하미드 카르자이
파일:아프가니스탄 국민 저항 전선기.svg 암룰라 살레 · 아흐마드 마수드 · 하시브 판지시리 · 압둘 가니 알리푸르 · 이스마일 칸 · 압둘 라시드 도스툼
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 사미 사다트 · 아슈라프 가니 · 압둘라 압둘라
파일:미국 국기.svg 조 바이든 · 토니 블링컨 · 로이드 오스틴
사건·사고 IS의 아프가니스탄 테러 ( 하미드 카르자이 국제공항 폭탄 테러) }}}}}}}}}


1. 개요2. 전황
2.1. 10월 1일~6일2.2. 10월 7일2.3. 10월 8일2.4. 10월 10일2.5. 10월 12일2.6. 10월 13일2.7. 10월 14일2.8. 10월 15일2.9. 10월 16일2.10. 10월 17일2.11. 10월 18일2.12. 10월 19일2.13. 10월 20일2.14. 10월 21일2.15. 10월 22일2.16. 10월 25일2.17. 10월 26일2.18. 10월 27일2.19. 10월 28일2.20. 10월 29~30일

1. 개요

2021년 아프가니스탄 판지시르 주와 주변 고지대를 거점으로 하는 반(反) 탈레반 저항군 아프가니스탄 국민 저항 전선의 10월 전황을 알려주는 내용이다.

탈레반 측 주장과 국민저항전선 측 주장이 엇갈리는 부분이 많다. 각자 과장된 주장을 펼친 것이 존재한 만큼, 양 측의 주장을 곧이곧대로 신뢰하지는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다고 가짜뉴스로 치부해서 무의미한 정보로 생각하면 안 되는 것이 어느 정도 자기암시인 면도 있고, 가짜뉴스만으로도 충분히 유불리를 헤아릴 수 있으므로 양측의 주장을 고루 듣는 것이 좋다.

2. 전황

파일:FDnEbM7XoA0ggTU.jpg
아프가니스탄 내 국민 저항 전선 분포도[1][기준일]
출처: Frenkie Mark

기타 전황 관련 링크: Wikipedia Commons ISWN

2.1. 10월 1일~6일

최근(10/6)까지 저항군의 산악 거점 지역인 안다랍을 두고 탈레반의 공세와 패퇴가 반복되고 있으며, 저항군은 판지시르 계곡과 주변 지역에 대한 습격을 반복하여 판지시르 주에 전개된 탈레반 부대들이 다른 지역으로 재배치되지 않게 발목을 잡는 소모전을 유도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판지시르 계곡과 안다랍 일대로 탈레반의 시선이 몰리도록 하면서, 북쪽으로는 바다흐샨 주의 타지키스탄 접경 지대로 진출하고 서쪽으로는 하자라족의 무장봉기와 연대함으로 탈레반의 전선 부담을 키우는 데 몰두하고 있다.

이렇게 판지시르 주 바깥에서 벌어지는 연이은 교전 소식에 대해 탈레반 측은 IS 호라산 지부가 세포 단위로 분열되어 그들의 본거지에서 멀리 벗어난 북부 여러 지역에서 탈레반 부대를 급습한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저항군의 세력 확대 소문을 반박하고 있다.

2.2. 10월 7일

저항군에 따르면 어젯밤, Anaba 지구의 Zamankor 지역에 있는 탈레반 기지를 공격해 40명 이상을 사살하였고, 저항군 측 피해는 없었다고 한다. #

2.3. 10월 8일

Andarab 지역의 한 마을에서 저항군과 탈레반 간의 교전이 발생했고, 저항군 측에서 탈레반 대원 15명을 사살, 10명을 포로로 잡았다고 한다. #

바글란의 Banu 지역을 수복했다고 밝혔다.

2.4. 10월 10일

탈레반이 저항군의 공격에 피해가 누적이 되자 병력 부족 등의 이유로 물자와 함께 조금씩 판지시르에서 철군하기 시작했다는 전황이 포착되었다. 그 덕분에 저항군은 탈레반이 학살한 민간인 매장지를 발견하고 시체들을 수습하고 있다고 밝혔다. # # 판지시르 전황을 정리한 글

저항전선 측의 코만도 부대가 아나바, 루카 지구 탈레반 부대의 지휘관인 물라위 콰흐라만과 탈레반 대원 50명을 사살했다고 밝혔다.

헤라트의 유력군벌인 이스마일 칸이 이란에서 아프가니스탄으로 귀국했다고 현지매체가 밝혔는데 아직 확실하지는 않다.

2.5. 10월 12일

저항군 측에서 바다흐샨 지역을 기습하여 약 20여 명의 탈레반을 사살하고 탄약과 무기도 노획했다고 한다. #

파르완 주의 Shinwari 지구도 탈환했다고 한다. #

바미안에서 하자라족 여성들이 저항군을 조직했다고 한다. #

2.6. 10월 13일

일부 저항군 측 계정은 탈레반이 판지시르에서 모두 철군했다고 했는데, 말이 조금씩 다른 걸로 보아 아직 확실하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 #

파그만 지구에서 저항군 측이 다수의 탈레반을 사살했다고 밝혔다. #

저항군이 Pehsar 지역을 탈환했다고 밝혔다. #

2.7. 10월 14일

저항군이 바글란 주의 Khost wa Fring 지구를 탈환했다고 밝혔다. #

바글란 주에서 저항군이 게릴라 공격을 하여 탈레반 대원 6명을 사살하고, 무기를 노획했다고 한다. #

2.8. 10월 15일

안다랍 지역에서 격렬한 전투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탈레반 500여 명의 공격에 맞서 13시간의 혈투를 벌인 끝에 저항군은 탈레반 대원 80명을 사살하고 25명을 부상입혔고, 저항군 측 부대 지휘관 2명 포함 4명이 전사했다고 밝혔다. #

2.9. 10월 16일

저항군이 판지시르 주의 탈레반 캠프 Mellespeh를 기습공격하여 탈레반 200여명이 죽거나 다쳤다고 밝혔다. #

2.10. 10월 17일

북부 자우즈잔 주의 Aqcha시에서 저항군은 탈레반에게 큰 피해를 입혔으며 저항군 측 피해는 없다고 밝혔다. #

저항군 측이 하시브 판지시리가 부하 2명과 함께 탈레반 13명을 사살하고 첨단 장비 4개를 노획했다고 주장했다. #

북동부 바다흐샨 주의 도시 3곳에서 전투가 벌어지는 중이라고 밝혔다. #

2.11. 10월 18일

판지시르 주의 주도 바자라크와 아나바 지구에서 탈레반 군과의 격렬한 교전이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

2.12. 10월 19일

금일 오전을 기해, 저항군이 탈레반의 바그리 313 특수부대를 비롯한 주둔군의 방어선을 돌파하고 바자라크 시내로 진입했다. 일부 저항군 매체에서는 탈레반을 완전히 격퇴하고 바자리크 일대를 완전히 재탈환했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 이후 바자라크 시내에서 치열한 야간전이 벌어졌다고 알려지면서 아직까진 시내의 여러 건물 안에 미처 철수하지 못한 탈레반 잔존 부대원이 결사 항전 중인 걸로 보여진다.

바자라크 주변 말고도 남쪽의 루카(Rukha) 일대에도 격전이 벌어지고 있으며 탈레반은 로카 이북에 있는 탈레반 부대가 포위 섬멸되는 피해를 최소화하고자 지속적으로 부대와 물자들을 빼내는 데 몰두하고 있다.

한편 카불과 인접한 파르완 주의 고르반드라는 도시까지 유격대가 진격해 탈레반과 충돌했다고 밝혔다. #

하시브 판지시리의 부대가 아나바 지구 전투에서 탈레반 10명을 사살하고 유탄발사기 포함 총기 수십정을 노획했다고 밝혔다. #

카피사 주의 저항군이 탈레반 20명을 사살했다고 밝혔다. #

NRF가 바다흐샨 주 시와 지역에서 외국인 테러리스트 5명을 사살했다고 한다. #

2.13. 10월 20일

카피사주 저항세력이 아프간 국민 저항 전선에 합류했다. #

압둘 라시드 도스툼의 아들인 모하마드 도스툼이 우즈베키스탄 접경 지역 중 하나인 조우즈잔 주의 봉기군에 합류했다는 미확인 소문이 돌고 있다. 아직 확실하지 않아 단언할 수 없으며 아버지 도스툼은 최근까지 우즈베키스탄에 망명 중인 상태로 머물고 있다는 게 확인되었다. 그는 고령으로 인한 건강 문제로 직접적인 저항 운동에 나서지 않고 주변 측근과 자녀들을 통해 저항 의식을 드러내는 것으로 보여진다.

바다흐샨 주에 배치된 탈레반 부대가 저항군의 외부 보급 거점지인 이스카쉼(Ishkashim) 시를 점령하고 저항군의 보급을 끊으려 했으나, 이내 저항군이 반격하면서 도시를 탈환하고, 탈레반 주둔군을 패퇴시켰다는 소식이 들어왔다. #

2.14. 10월 21일

아나바 지구에서 탈레반 다수를 사살하고 아나바를 탈환했다고 밝혔다. #

카피사 주의 Hesa awal 지역에서 게릴라 공격으로 탈레반 8명을 사살하고 6명을 포로로 잡았다고 밝혔다. #

2.15. 10월 22일

파르완 주 바그람 지역에서 탈레반과 격렬한 전투가 일어나고 있다고 밝혔다. #

2.16. 10월 25일

발흐 주 마자르이샤리프시에서도 저항군이 결성되었다고 밝혔다. #

바다흐샨 주에서 저항군의 활동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

바글란의 데헤살라 지구를 해방했다고 밝혔다. # .

2.17. 10월 26일

발흐(Balkh) 주에서 활동하던 저항군이 아프간 국민 저항전선에 합류한것이 확인되었다. #[3]

안다랍과 코스트 피링지구에서 탈레반과 아프가니스탄 국민 저항전선과의 치열한 전투가 4시간 동안 벌어져 탈레반은 큰피해를 입고 퇴각했지만 저항군 지휘관인 왈리 칸 마르자킬이 전사했다.

헤라트에서 탈레반과 반탈레반 군벌간의 시가전이 벌어졌다.

판지시르의 파르얀 지구와 로크 지구 전투에서 탈레반 9명을 사살하고 4명을 부상입혔다고 밝혔다. #

2.18. 10월 27일

판지시르 남부 슈툴지구 하시락 마을에서 저항군은 탈레반을 격파하고 하시락 마을을 해방했다.

저항전선은 바글란주 방면의 나린지구 저항군 지휘관으로 바바 아이샤 여사를 임명했다고 밝혔는데, 아이샤 여사는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에서 활약한 무자헤딘 출신으로 아프가니스탄 국민 저항전선 최초의 여성지휘관이다.

2.19. 10월 28일

저항군은 바글란주 안다랍 나우 바하르 마을에서 탈레반 대원 6명을 사살했다고 밝혔다.

더불어 카피사 주의 Hesa-e-Awal 지역에 주둔하던 탈레반을 공격해 10명 이상의 탈레반 대원을 사살했다고 한다. #

2.20. 10월 29~30일

Jabal al-Seraj 지역과 Golbahar Bazaar 지역에서 저항군과 탈레반 간의 게릴라전이 일어났으며, 저항군 측에서 도합 21명[4]의 탈레반 대원을 사살했다고 밝혔다. 또한 탈레반 측 차량을 다수 파괴했으며, 다양한 무기도 노획했다고 한다. # #

또한 Khenjan 지역의 Bajgah 계곡에서 저항군 측이 게릴라전을 펼쳐 탈레반 대원 3명을 사살하고, 1명을 생포했다고 밝혔다. #


[1] 주황색 지역은 저항과 충돌이 치열한 곳, 보라색 지역은 조직적인 지역 저항군이 결성되거나 최근 무장 충돌 빈도가 증가한 지역, 하늘색 지역은 최소 한번 이상 총격전 등의 무장 충돌이 발생한 지역을 의미한다. 지도를 보면 판지시르 주를 중심으로 저항 물결이 짙은 것을 알 수 있다. [기준일] 21/11/9 [3] 현재까지 바다흐샨, 바미안, 발흐, 파르완, 카피사 주에서 저항군의 활동이 공식적으로 확인되었다. 과거 북부동맹이 장악했던 지역을 중심으로 저항군의 활동선언이 잇따를것으로 전망된다. [4] Jabal al-Seraj에서 13명, Golbahar Bazaar에서 8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