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왕녀
[[틀:조선의 왕녀/중종 ~ 철종|{{{#!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ffd400;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51232, #94153e 20%, #94153e 80%, #751232); color: #ffd4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사도세자|{{{#!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
|||
}}}}}}}}} |
<colbgcolor=#94153e><colcolor=#ffd400> 조선 중종의 왕녀
효혜공주 | 孝惠公主 |
|
출생 | 1511년 6월 23일( 음력 5월 18일) |
사망 |
1531년
5월 16일(
음력
4월 20일) (향년 19세) |
묘소 | 고양 신원 원당면(高陽 新院 元堂面)[선원록] |
본관 | 전주 이씨 |
휘 | 옥하(玉荷[훈음])[선원록] |
부모 |
부왕
중종 모후 장경왕후 |
부군 | 연성위 김희(延城尉 金禧)[4] |
자녀 |
슬하 1녀 딸 - 김선옥(金善玉) |
봉호 | 효혜공주(孝惠公主) |
[clearfix]
1. 개요
조선의 공주.조선 제11대 왕 중종과 계비 장경왕후의 적장녀.[5] 또한 인종의 동복누나이자 명종의 이복누나이다.
2. 생애
3. 어린 시절
1515년(중종 10) 공주는 나이 5세에 어머니 장경왕후를 여의었다.[6] 어린 나이에 어머니를 잃은데다 유일한 친남매라는 공감대로 인종과 사이가 매우 돈독했으며, 연려실기술의 인종조 고사본말에서는 나중에 효혜공주가 죽자 인종은 너무 슬퍼하다 병을 얻을 정도였다고 한다.3.1. 혼인
1520년(중종 15) 김안로의 아들 김희(金禧)[7]와 혼인하기로 결정되어 이듬해 11월 가례를 올렸다. 부마가 된 김희는 연성위(延城尉)에 봉해졌다.한편 딸을 사랑한 중종은 공주의 시아버지가 된 김안로에게 "공주가 떠받드는 속에서만 자라서 시부모를 존대하는 예를 모르니 부드럽게 타일러 달라."라고 말했는데, 쉽게 말하자면 '내 딸이 귀하게 자라 버릇 없겠지만 심하게 혼내지 말고 잘 달래라'라는 것이다.[8] -
가례를 올린 공주는 중종이 진성대군일 적 잠저에서 신혼생활을 하였다. 중종과 신하들 모두 효혜공주와 연성위의 집을 중종의 잠저라고 말하고 있다.[9]
3.2. 죽음
1528년(중종 23) 공주가 이질을 앓았는데, 중종이 이를 걱정해 대간의 반대를 부릅쓰고 문병하였다.그로부터 3년 후 외동딸을 출산한 후 산후병으로 향년 21세로 사망했다.[10]
3.3. 사후
효혜공주는 슬하에 김선옥(善玉)이라는 딸 하나만 두었다. 이 딸은 문정왕후의 남동생 윤원로의 아들 윤백원과 혼인했다. 그런데 윤백원은 명종대에 이량 일파에 가담하여 사림을 제거하려다가 유배되는 사람이다. 그 이유가 아버지 윤원로를 죽게 만든 윤원형에게 복수하고자 권신이자 외척인 이량의 말 잘 듣는 장기말이 되었던 것. 이때 효혜공주의 하나밖에 없는 사위라고 문정왕후가 언서를 내려 가까운 곳으로 유배지를 옮겨주었다.[11]사실 문정왕후는 세간의 이미지와 달리 중종의 후궁들이나 자식들에게 야박하게 군 적은 없다.[12]
훗날인 1589년 효혜공주의 사위 윤백원이 의문사한다. 그의 첩 복이와 딸 윤개미치가 아버지/남편을 독살했다는 죄목으로 장을 맞다가 사망하는 참극이 벌어졌다. 13년 후인 1602년, 윤개미치의 아들 이순이 상언하여 재조사가 이루어졌다. 알고보니 진범은 윤백원의 아버지 윤원로의 서자들[13]이었고, 이들이 무고한 사람들에게 죄를 전가하였다는 것이 밝혀졌다. 진실이 밝혀진 뒤 복이와 윤개미치는 뒤늦게 신원(伸冤) 및 복권되었지만 이미 벌어진 일을 돌이킬 수는 없었다. 그야말로 비극. 그나마 진범들은 자신 때문에 억울하게 죽은 사람들이 당한 것과 완전히 똑같은 꼴을 그대로 되돌려받게 되었다.(출처: <조선의 명탐정들>)
4. 조상
본인 | 부모 | 조부모 | 증조부모 |
효혜공주 (孝惠公主) |
<colbgcolor=#fff3e4,#331c00>
중종 (中宗) |
<colbgcolor=#ffffe4,#323300>
성종 (成宗) |
|
덕종 (德宗) |
|||
소혜왕후 (昭惠王后) |
|||
정현왕후 (貞顯王后) |
|||
영원부원군 윤호 (鈴原府院君 尹壕) |
|||
연안부부인 전씨 (延安府夫人 田氏) |
|||
장경왕후 (章敬王后) |
|||
파원부원군 윤여필 (坡原府院君 尹汝弼) |
|||
윤보
|
|||
|
|||
순천부부인 박씨 (順天府夫人 朴氏) |
|||
박중선 |
|||
|
5. 가족관계
- 시부 : 김안로(金安老)(1481 ~ 1537)
- 시모 : 인천 채씨(仁川 蔡氏) - 채수(蔡壽)의 딸
5.1. 외가( 파평 윤씨)
- 외현조부 : 윤번(尹璠)[14]
- 외고조부 : 윤사윤(尹士昀)
- 외증조부 : 윤보(尹甫)
- 외조부 : 파원부원군(坡原府院君) 윤여필(尹汝弼)
- 외조모 : 순천부부인 박씨(順天府夫人 朴氏)
6. 대중매체에서
|
2001년
SBS 월화 드라마
《여인천하》 배우: 이예림 |
- 중종의 효성 깊은 딸이자 문정왕후의 호통에 움츠려드는 심약한 성품으로 그려지는데, 김안로가 권세를 휘두를 수 있게 해주는 원천이 되어준다. 남동생인 인종과 우애가 깊은 사이로 묘사되지만, 문정왕후가 김안로와 대립관계에 있는 탓에 갈굼을 많이 당한다. 또한 남편 김희와 함께 작서의 변에 가담하는 것으로 묘사되며[16] 이에 대한 죄책감에 시달리다 젊은 나이에 요절한다.
|
2003년
MBC 월화 드라마
《대장금》 배우: 미상 |
- 혼인 전 어린 소녀 시절의 모습으로, 아역이 맡아 출연했다. 공주가 여러 날 동안 식사를 거부하는데 이유를 알 수 없어 궁궐이 발칵 뒤집히는 에피소드다. 진실은 장마철 폭우에 잠겼던 미곡에서 미세한 잡내가 나는 것이 거슬려서 도저히 밥을 못 먹었다는 것. 어째서 진작 말하지 않았느냐고 묻자 "아바마마도 군말 없이 드시는 수라를 어찌...(불평하겠느냐는 뜻)"라고 대답한다. 불평하는 것보다 왕녀가 밥을 거르는 게 더 큰일이라는 걸 생각하면 호미로 막을 걸 가래로 막는 인물. 아버지를 포함한 집안 어른들만 걱정시키고 수랏간 나인과 상궁들만 내리갈굼으로 고생했다.(...)
- 애니메이션 신비아파트 특별판: 조선퇴마실록의 등장인물인 효원공주는 효혜공주를 모티브로 한 인물이다.
[선원록]
#
[훈음]
구슬 옥 연꽃 하
[선원록]
[4]
김안로의 아들로, 아내 효혜공주가 죽고 몇 달 뒤에 본인도 같은 해에 사망했다.
[5]
적서를 통틀어서도 장녀이며, 중종이 장남 복성군 다음으로 본 둘째 자녀이다.
[6]
이때 장경왕후는 아들 인종을 낳고 산후병을 얻어 25세 나이로 일찍 떠났는데, 딸인 효혜공주도 똑같이 산후병으로 25세도 넘기지 못하고 죽었다.
[7]
실록에서는 몽룡(夢龍)이라는 이름으로 나오는데, 김희의 아명이거나 초명일 것이다.
[8]
중종실록 43권, 중종 16년 11월 11일 기미 1번째기사.
#
[9]
중종실록 52권, 중종 19년 11월 4일 갑자 1번째기사.
#
[10]
중종실록 70권, 중종 26년 4월 20일 3번째 기사.
#
[11]
선옥은 태어나자마자 어머니 효혜공주가 사망하고 아버지 김휘도 몇 달 뒤에 죽는 바람에 부모님의 사랑을 받지 못했다. 문정왕후도 남동생 윤원로를 정계에서 축출하는 데 동의했을 테니, 그의 아들이자 자신의 친조카이기도 한 윤백원과 자신의 의붓외손녀인 선옥에게 미안한 감정이 있었을 것이다.
[12]
중종의 후궁
희빈 홍씨,
창빈 안씨 등은 명종 대까지 궁중에서 살았고, 문정왕후의 행장에도 평상시에 왕자와 왕손들에게 두루 은전을 베풀었다고 쓰였다.
[13]
즉, 윤백원의 이복동생들.
[14]
세조비
정희왕후의 친정아버지이다. 친가로 보나 외가로 보나 공통조상인 윤번이 서로 겹친다.
[15]
월산대군의 하나뿐인 아들로,
세조와
의경세자를 공통 조상으로 하는 5촌 당숙-조카 관계이면서 이모부-조카 관계를 하는 겹사돈을 맺었다.
월산대군/가족과 후손 문서 참고.
[16]
다만
김안로 부자와 달리 효혜공주는 어디까지나 친동생 인종을 지켜주기 위해서 가담한다. 비록 인종이 중종의 적장자에 세자였으나, 총애 받는 어머니가 살아있는 복성군과 알게 모르게 신경전을 펼치는데다 입지가 불안해서 김안로의 권세에 의지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