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1 01:36:34

NHK 홍백가합전

홍백가합전에서 넘어옴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951년 1월 3일
1952년 1월 3일
1953년 1월 2일
1953년 12월 31일
1954년
쇼와 26년
쇼와 27년
쇼와 28년
쇼와 28년
쇼와 29년
白勝
白勝
白勝
紅勝
紅勝
1955년
1956년
1957년
1958년
1959년
쇼와 30년
쇼와 31년
쇼와 32년
쇼와 33년
쇼와 34년
紅勝
白勝
紅勝
紅勝
紅勝
1960년
1961년
1962년
1963년
1964년
쇼와 35년
쇼와 36년
쇼와 37년
쇼와 38년
쇼와 39년
白勝
白勝
白勝
紅勝
白勝
1965년
1966년
1967년
1968년
1969년
쇼와 40년
쇼와 41년
쇼와 42년
쇼와 43년
쇼와 44년
白勝
紅勝
紅勝
白勝
紅勝
1970년
1971년
1972년
1973년
1974년
쇼와 45년
쇼와 46년
쇼와 47년
쇼와 48년
쇼와 49년
紅勝
白勝
紅勝
紅勝
紅勝
1975년
1976년
1977년
1978년
1979년
쇼와 50년
쇼와 51년
쇼와 52년
쇼와 53년
쇼와 54년
白勝
紅勝
白勝
白勝
紅勝
1980년
1981년
1982년
1983년
1984년
쇼와 55년
쇼와 56년
쇼와 57년
쇼와 58년
쇼와 59년
紅勝
白勝
紅勝
白勝
紅勝
1985년
1986년
1987년
1988년
1989년
쇼와 60년
쇼와 61년
쇼와 62년
쇼와 63년
헤이세이 원년
紅勝
白勝
紅勝
白勝
紅勝
1990년
1991년
1992년
1993년
1994년
헤이세이 2년
헤이세이 3년
헤이세이 4년
헤이세이 5년
헤이세이 6년
白勝
紅勝
白勝
白勝
紅勝
1995년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헤이세이 7년
헤이세이 8년
헤이세이 9년
헤이세이 10년
헤이세이 11년
白勝
白勝
白勝
紅勝
白勝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헤이세이 12년
헤이세이 13년
헤이세이 14년
헤이세이 15년
헤이세이 16년
紅勝
白勝
紅勝
白勝
紅勝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헤이세이 17년
헤이세이 18년
헤이세이 19년
헤이세이 20년
헤이세이 21년
白勝
白勝
白勝
白勝
白勝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헤이세이 22년
헤이세이 23년
헤이세이 24년
헤이세이 25년
헤이세이 26년
白勝
紅勝
白勝
白勝
白勝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헤이세이 27년
헤이세이 28년
헤이세이 29년
헤이세이 30년
레이와 원년
紅勝
紅勝
白勝
白勝
白勝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레이와 2년
레이와 3년
레이와 4년
레이와 5년
레이와 6년
紅勝
紅勝
白勝
紅勝
회차 · 사회 · 토리
}}}}}}}}}

<colcolor=#FFF>
NHK 홍백가합전
NHK[ruby(紅白歌合戦, ruby=こうはくうたがっせん)] | NHK Kōhaku Uta Gassen
파일:NHK 홍백가합전 로고.png
<colbgcolor=#B48737> 방송 국가
[[일본|]][[틀:국기|]][[틀:국기|]]
제작 일본방송협회
채널 NHK 종합 텔레비전, NHK 라디오 제1방송, NHK BS 프리미엄 4K, NHK BS8K, NHK 월드 프리미엄, TV JAPAN, NHK+(2020년 제71회 이후)
방송 형식 생방송
방송 기간 1951년 1월 3일~
ON AIR
([age(1951-01-03)]주년)
매년 12월 31일
방송 시간 19:15~23:45(270분)
최근 방송 제74회
프로듀서 야지마 료(2017년~현재)
엔딩곡 蛍の光(반딧불의 빛)[1]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진행 방식3. 역사4. 역대 홍백가합전5. 로고6. 시청률 및 인지도
6.1. 역대 시청률
7. 출전 가수
7.1. 해외 가수
7.1.1. 한국 가수
7.2. 애니송 및 성우 가수
8. 역대 우승팀9. 각종 기록10. 사건 사고11. 기타

[clearfix]

1. 개요

NHK 홍백가합전(NHK[ruby(紅白歌合戦, ruby=こうはくうたがっせん)])은 일본방송협회(NHK)가 매년 신년전야에 개최하는 남녀 대항전 가요 방송이다.

시청률 및 화제성 면에서 일본 음악 방송 중 단연 독보적인 입지를 자랑하는 프로그램이고, 한국의 연말 가요제에 해당한다. 한 해 동안 가장 인기 많은 가수들을 몇 선정하여 출전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일본 가수들에게 음악계로의 본격적인 메이저 진입을 의미하는 일본 무도관 콘서트와 더불어서 홍백가합전은 인기 가수로서의 척도로 평가받기 때문에 가요계 내 커리어에서도 큰 영향을 끼친다.

2. 진행 방식

보통은 19시 15분에 시작하여 23시 45분에 종료하고, 1부와 2부로 나뉘어 방송한다. 1부와 2부 사이에 5분 간 NHK 뉴스가 방송된다. 이 중간 뉴스의 아나운서는 방송 중 긴급지진속보 같은 긴급뉴스를 전할 때 담당 앵커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홍백가합전 생방송 중 긴급지진속보가 송출된 사례는 없다. 하지만 그 다음날에 발생한 사례는 있다.

그 해에 히트곡을 낸 가수들이 출장하며, 홍백가합전에 출전할수록 인기와 경력을 나타내는 상징이라고 할 수 있다. 여성은 홍팀(紅組: 아카구미), 남성은 백팀(白組: 시로구미)으로 구성된다. 다만 그룹의 경우는 리드 보컬의 성별에 따라서 결정되며 듀엣의 경우는 나이, 데뷔 연도에 따라 홍팀과 백팀으로 갈린다. 승패는 게스트로 초대된 심사위원들[2]과 시청자 참여로 결정된다. 현재까지 70번의 경기를 치러 양팀의 통산 전적이 과거엔 비등비등했지만, 최근 들어 백팀 쪽으로 기울어지고있는 추세. 역대 승률은 2022년 73회까지를 기준으로 백팀이 높다(40승 33패, 54.2%).[3]

1973년 제24회부터 도쿄 시부야 NHK 홀에서 가수들이 홍팀과 백팀으로 나뉘어 홍백팀 대항 형식으로 노래를 부른다. 홍백인 이유는 이 빨간색과 하얀색의 조합이 일본에서 나라를 대표하는 색조합이자 길(吉)함의 상징으로 여겨지기 때문.[4] 한마디로 새해에 가장 어울리는 색인 셈. 1180년대 겐페이 전쟁에서 유래한 단어이기도 하다. 헤이안 시대 말 미나모토(原) 씨와 타이라(平) 씨가 일본의 패권을 두고 전쟁을 벌였는데, 이때 미나모토 가문은 흰 깃발, 타이라 가문은 붉은 깃발을 사용한 데에서 유래했다. 이런 이유로 홍백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일본에서 나온 검도의 룰인 상대방의 점수를 계산하기 위해 만든 홍백기에서 나온 것. 당시 프로듀서가 검도부인 탓으로 간부에게 이야기를 하던 와중에 만들어진 제목이다. 실제 일본인들도 이에 대해 모르는 경우가 많다.

가수들은 대부분 NHK 홀에서 노래를 부르지만, 1990년과 2002년 이후 야외 무대나 가수의 콘서트 도중 방송과 연결하여 무대를 여는 경우도 생겼다. NHK 홀이 아닌 다른 곳에서 노래를 부른 경우의 대표적인 예가 2002년 홍백가합전 당시 나카지마 미유키가 쿠로베 댐에서 <지상의 별>을 부른 경우[5]와 동년에 히라이 켄 미국 매사추세츠에서 열창한 경우가 있다. 2012년에도 후쿠야마 마사하루[6]가 요코하마에 있는 콘서트장에서 자신의 노래를 불렀다. 그리고 MISIA도 중계로 노래를 불렀는데, 부른 장소가 무려 아프리카의 나미브 사막. 현지 아이들도 출연시켰다. 외국 가수 중에는 조용필이 바로 그 케이스인데 1990년 홍백가합전 당시 서울 롯데월드에서 < 돌아와요 부산항에>를 열창한 전례가 있다. 실제로 NHK 홀이 아닌 다른 곳에서 부른 것이 중계된 시점은 1990년부터이다. 그러나 1990년에 NHK 홀에서 노래를 부른 다른 가수들의 불만이 제기되는 바람에 1991년부터 2001년까지는 모든 가수들이 NHK 홀에서 노래를 불렀다. 더 정확한 이유는 1990년 베를린에서 중계로 출연한 나가부치 츠요시가 안 그래도 시간 분배가 팍팍한 상황에서 제 멋대로 3곡, 17분이나 불러제끼고 NHK 직원에게 욕설을 하는 따위 행동을 한 것이다. 2016년에는 런던에 거주하는 우타다 히카루를 홍백 제작진이 찾아가 중계했다.

피날레는 <반딧불이의 빛(蛍の光)>[7]이라는 일본에서 주로 졸업식 등 마무리 노래로 많이 쓰이는 노래로 장식한다. 예외적으로 이듬해 1964 도쿄 올림픽이 개최될 예정이던 1963년 제 14회 홍백가합전은 도쿄올림픽 찬가[8]로 마무리되었다. 이듬해 올림픽이 다시 열리는 2019년에도 약간 다를 것이라고 예상되었지만, 예외는 없었다.

홍백 양팀의 마지막 무대를 토리(トリ), 특히 맨 마지막 순서를 오오토리(大トリ)라고 한다. 이는 가수로서 대단히 영광스러운 자리이다. 인기만으로만 아니라 경력과 품격 등을 갖추어야 설 수 있는 무대. 주로 관록 있는 엔카 계열 가수들이 맡는데 전설적인 가수인 미소라 히바리, 이츠키 히로시가 각각 13번의 토리에 나서는 영광을 안았다. 이외에도 미나미 하루오, 이시카와 사유리, 키타지마 사부로도 토리를 다수 맡은 바 있다.[9] 예외가 있다면 1978년 제 29회 야마구치 모모에 사와다 켄지의 토리. 원래 솔로가수 외에는 설 수가 없다는 관례가 있었는데 2003년 SMAP이 토리에 서면서 관례가 깨졌고 2012년에는 SMAP과 이키모노가카리[10]가 나섰다.

참가하는 NHK 스태프들의 수당은 만 원이고 대본은 통째로 암기한다고 한다. 또한 참가한 가수들 모두에게 각자의 이름이 새겨진 트로피를 준다. 모두가 열심히 싸웠다는 의미.

방송사에서도 홍백가합전을 적극적으로 알리기 위해 한두 달 전쯤부터 시작해 뉴스 시간에 홍백가합전 관련한 소식들을 내보내고, NHK 종합과 BS 채널 등에서는 홍백가합전에 나오는 일부 가수들의 다큐멘터리를 방영한다든지 아예 ROAD TO 홍백이라는 제목으로 별도의 스팟 프로그램을 방송하기도 한다.

2014년에는 NHK 측에서 직접 오퍼를 넣어 오와라이 콤비 바나나맨 홍백 선전부로 기용했다. 선전부장은 바나나맨의 시타라 오사무. 홍백 선전부로서의 활동으로, 2014년부터 지금까지 홍백선전부(紅白宣伝部)라는 생방송과 홍백 우라 토크 채널의 사회를 맡고 있다. 홍백선전부는 홍백 본방의 며칠 전부터 각기 다른 홍백 출연자들을 게스트로 불러 PR을 하는 생방송. 쿠보타 유카 아나운서가 함께 사회를 맡는다.

홍백 우라 토크 채널은 백스테이지 중계 시스템이다. 시스템 자체는 2010년 61회부터 생겨나서 테리 이토가 사회를 맡고 있었지만, 주목을 받은 것은 2014년 65회부터 홍백 선전부인 바나나맨으로 사회가 바뀐 이후이다. 시청자와 같은 입장에서 공연을 보며, 호응하고 자유롭게 토크를 진행하는 바나나맨의 입답에 힘입어 상당히 좋은 반응을 얻었다. 부모님 세대는 시끄럽다며 부음성을 듣지 않는 편이라지만, 젊은 세대는 바나나맨의 우라 토크 때문에 홍백을 전부 챙겨보게 되었다는 반응을 보일 정도. 한 스포츠지에서는 바나나맨을 홍백의 숨겨진 MVP라 칭하며, 본공연에 크게 얽매이지 않는 진행과 시청자의 시선에 맞춘 토크가 시청자들의 공감을 모았던 것이라며 아주 호평했다. 물론 너무나도 자유롭게 토크하는지라 일부 시청자에게서 비판과 우려의 목소리가 있었지만, 함께 사회를 진행한 쿠보타 유카 아나운서조차 "정말 노래를 듣고 싶은 분들은 부음성을 듣지 않을 것이니 괜찮다."라며 자유로운 분위기를 장려하기도 했다. 듣는 방법은 리모콘으로 부음성으로 전환하거나 홈페이지에서 들을 수 있다.

참고로 우라 토크의 중계석은 객석의 뒤쪽에 위치해 있어 가끔 아는 가수들이 공연 도중 바나나맨에게 손을 흔들어 주는 모습이 포착되기도 하는데, 그때의 음성을 들어 보면 좋아서 난리를 치는 것을 알 수 있다.[11]

3. 역사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1945년 12월 31일, 홍백음악시합이라는 라디오 프로그램이 방송되었다. 애당초 명칭 또한 홍백가합전이었지만, 연합군 총사령부가 전쟁 戦 자가 들어간 명칭을 허가하지 않아서 시합으로 바꿨다. 호응은 대단히 좋았다. 하지만 매년 같은 포맷을 하겠다는 생각까지는 없었다. 당시엔 같은 것을 반복하기를 무능하다는 증거로 여겨 1회성 기획으로 끝났다.

하지만 워낙 인기를 얻었기에 연말기획이 아닌 신년기획으로 살짝 바꿔서 1951년 1월 3일에 제1회 NHK 홍백가합전(第1回NHK紅白歌合戦)이라는 이름으로 포맷이 같은 방송을 기획했다. 1회 홍백가합전이 방송할 당시에도 스태프들은 홍백가합전이 단발성 새해맞이 프로그램으로만 끝나리라고 여겨서 방송 순간의 사진을 찍지 않았기 때문에 1회 당시의 무대 사진은 남은 것이 없다.

제 1,2,3회까지는 라디오 방송만 했지만, 제3회를 방영한 1953년에 NHK가 TV방송을 시작하면서 텔레비전 중계를 개시하였다. 제 3회까지는 신년특별 프로그램으로 1월 3일에 방영되었다가 제 4회부터 다시 12월 31일로 바뀌었다.[12] 당시는 NHK 홀이 생기기 이전이라 일본 극장을 무대로 빌렸는데, 하필 비는 시간대가 이 날이었다고. 그렇게 오늘까지 일본의 연말을 대표하는 국민 프로그램이 되었다.

1959년 당시 황태자 아키히토 친왕과 미치코 친왕비의 결혼식 중계와 1964 도쿄 올림픽 개최를 계기로 TV붐이 일고 나서 더 인기를 끌게 되었다. 1982년부터는 다른 음악 방송의 흐름과 함께 가사 자막을 띄우게 되었다. 무려 60년이나 된 프로그램으로, 쇼와 시대부터 시작해 헤이세이 시대를 거쳐 레이와 시대에 이어지는 등 3시대를 거친 몇 안 되는 국민 프로그램.

4. 역대 홍백가합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NHK 홍백가합전/역대 홍백가합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951년 1월 3일
1952년 1월 3일
1953년 1월 2일
1953년 12월 31일
1954년
쇼와 26년
쇼와 27년
쇼와 28년
쇼와 28년
쇼와 29년
白勝
白勝
白勝
紅勝
紅勝
1955년
1956년
1957년
1958년
1959년
쇼와 30년
쇼와 31년
쇼와 32년
쇼와 33년
쇼와 34년
紅勝
白勝
紅勝
紅勝
紅勝
1960년
1961년
1962년
1963년
1964년
쇼와 35년
쇼와 36년
쇼와 37년
쇼와 38년
쇼와 39년
白勝
白勝
白勝
紅勝
白勝
1965년
1966년
1967년
1968년
1969년
쇼와 40년
쇼와 41년
쇼와 42년
쇼와 43년
쇼와 44년
白勝
紅勝
紅勝
白勝
紅勝
1970년
1971년
1972년
1973년
1974년
쇼와 45년
쇼와 46년
쇼와 47년
쇼와 48년
쇼와 49년
紅勝
白勝
紅勝
紅勝
紅勝
1975년
1976년
1977년
1978년
1979년
쇼와 50년
쇼와 51년
쇼와 52년
쇼와 53년
쇼와 54년
白勝
紅勝
白勝
白勝
紅勝
1980년
1981년
1982년
1983년
1984년
쇼와 55년
쇼와 56년
쇼와 57년
쇼와 58년
쇼와 59년
紅勝
白勝
紅勝
白勝
紅勝
1985년
1986년
1987년
1988년
1989년
쇼와 60년
쇼와 61년
쇼와 62년
쇼와 63년
헤이세이 원년
紅勝
白勝
紅勝
白勝
紅勝
1990년
1991년
1992년
1993년
1994년
헤이세이 2년
헤이세이 3년
헤이세이 4년
헤이세이 5년
헤이세이 6년
白勝
紅勝
白勝
白勝
紅勝
1995년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헤이세이 7년
헤이세이 8년
헤이세이 9년
헤이세이 10년
헤이세이 11년
白勝
白勝
白勝
紅勝
白勝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헤이세이 12년
헤이세이 13년
헤이세이 14년
헤이세이 15년
헤이세이 16년
紅勝
白勝
紅勝
白勝
紅勝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헤이세이 17년
헤이세이 18년
헤이세이 19년
헤이세이 20년
헤이세이 21년
白勝
白勝
白勝
白勝
白勝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헤이세이 22년
헤이세이 23년
헤이세이 24년
헤이세이 25년
헤이세이 26년
白勝
紅勝
白勝
白勝
白勝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헤이세이 27년
헤이세이 28년
헤이세이 29년
헤이세이 30년
레이와 원년
紅勝
紅勝
白勝
白勝
白勝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레이와 2년
레이와 3년
레이와 4년
레이와 5년
레이와 6년
紅勝
紅勝
白勝
紅勝
회차 · 사회 · 토리
}}}}}}}}}

파일:NHK 홍백가합전 로고.png
NHK 홍백가합전 사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
1951년
1952년
1953년 1월
<rowcolor=#FFF>
쇼와 26년
쇼와 27년
쇼와 28년
종합
紅組
혼다 스가 아나운서
白組
미야타 테루 아나운서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
1953년 12월
1954년
1955년
1956년
<rowcolor=#FFF>
쇼와 28년
쇼와 29년
쇼와 30년
쇼와 31년
종합
紅組
미야타 테루 아나운서
미야타 테루 아나운서
白組
<rowcolor=#FFF>
1957년
1958년
1959년
1960년
<rowcolor=#FFF>
쇼와 32년
쇼와 33년
쇼와 34년
쇼와 35년
종합
紅組
白組
<rowcolor=#FFF>
1961년
1962년
1963년
1964년
<rowcolor=#FFF>
쇼와 36년
쇼와 37년
쇼와 38년
쇼와 39년
종합
紅組
白組
미야타 테루 아나운서
미야타 테루 아나운서
미야타 테루 아나운서
<rowcolor=#FFF>
1965년
1966년
1967년
1968년
<rowcolor=#FFF>
쇼와 40년
쇼와 41년
쇼와 42년
쇼와 43년
종합
미야타 테루 아나운서
紅組
白組
미야타 테루 아나운서
미야타 테루 아나운서
미야타 테루 아나운서
<rowcolor=#FFF>
1969년
1970년
1971년
1972년
<rowcolor=#FFF>
쇼와 44년
쇼와 45년
쇼와 46년
쇼와 47년
종합
미야타 테루 아나운서
스즈키 분야 아나운서
紅組
白組
미야타 테루 아나운서
미야타 테루 아나운서
미야타 테루 아나운서
<rowcolor=#FFF>
1973년
1974년
1975년
1976년
<rowcolor=#FFF>
쇼와 48년
쇼와 49년
쇼와 50년
쇼와 51년
종합
도몬 마사오 아나운서
나카에 요조 아나운서
紅組
白組
미야타 테루 아나운서
<rowcolor=#FFF>
1977년
1978년
1979년
1980년
<rowcolor=#FFF>
쇼와 52년
쇼와 53년
쇼와 54년
쇼와 55년
종합
나카에 요조 아나운서
나카에 요조 아나운서
紅組
白組
<rowcolor=#FFF>
1981년
1982년
1983년
1984년
<rowcolor=#FFF>
쇼와 56년
쇼와 57년
쇼와 58년
쇼와 59년
종합
紅組
白組
스즈키 켄지 아나운서
스즈키 켄지 아나운서
<rowcolor=#FFF>
1985년
1986년
1987년
1988년
<rowcolor=#FFF>
쇼와 60년
쇼와 61년
쇼와 62년
쇼와 63년
종합
센다 마사호 아나운서
紅組
白組
스즈키 켄지 아나운서
센다 마사호 아나운서
<rowcolor=#FFF>
1989년
1990년
1991년
1992년
<rowcolor=#FFF>
헤이세이 원년
헤이세이 2년
헤이세이 3년
헤이세이 4년
종합
紅組
白組
<rowcolor=#FFF>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rowcolor=#FFF>
헤이세이 5년
헤이세이 6년
헤이세이 7년
헤이세이 8년
종합
紅組
白組
<rowcolor=#FFF>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rowcolor=#FFF>
헤이세이 9년
헤이세이 10년
헤이세이 11년
헤이세이 12년
종합
紅組
쿠보 준코 아나운서
쿠보 준코 아나운서
쿠보 준코 아나운서
白組
<rowcolor=#FFF>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rowcolor=#FFF>
헤이세이 13년
헤이세이 14년
헤이세이 15년
헤이세이 16년
종합
紅組
우도 유미코 아나운서
우도 유미코 아나운서
우도 유미코 아나운서
오노 후미에 아나운서
젠바 타카코 아나운서
白組
아베 와타루 아나운서
아베 와타루 아나운서
아베 와타루 아나운서
아베 와타루 아나운서
<rowcolor=#FFF>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rowcolor=#FFF>
헤이세이 17년
헤이세이 18년
헤이세이 19년
헤이세이 20년
종합
오노 후미에 아나운서
紅組
白組
<rowcolor=#FFF>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rowcolor=#FFF>
헤이세이 21년
헤이세이 22년
헤이세이 23년
헤이세이 24년
종합
아베 와타루 아나운서
아베 와타루 아나운서
아베 와타루 아나운서
우도 유미코 아나운서
紅組
白組
<rowcolor=#FFF>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rowcolor=#FFF>
헤이세이 25년
헤이세이 26년
헤이세이 27년
헤이세이 28년
종합
우도 유미코 아나운서
우도 유미코 아나운서
우도 유미코 아나운서
紅組
白組
<rowcolor=#FFF>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rowcolor=#FFF>
헤이세이 29년
헤이세이 30년
레이와 원년
레이와 2년
종합
쿠와코 마호 아나운서
쿠와코 마호 아나운서
쿠와코 마호 아나운서
紅組
白組
통일 사회
<rowcolor=#FFF>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rowcolor=#FFF>
레이와 3년
레이와 4년
레이와 5년
레이와 6년
사쿠라이 쇼(스페셜 내비게이터)
쿠와코 마호 아나운서
타카세 코조 아나운서
회차 · 사회 · 토리
}}}}}}}}}

파일:NHK 홍백가합전 로고.png
NHK 홍백가합전 토리(トリ)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tablealign=center><tablewidth=90>
하얀색 칸
검은색 칸
}}}
: 오토리(大トリ)
}}}
<rowcolor=#FFF>
연도
회차
紅組
白組
<rowcolor=#FFF>
가수
가수
<colbgcolor=#FDF5E7,#333>
1951년
(쇼와 26년)
<colbgcolor=#FDF5E7,#333>
1952년
(쇼와 27년)
1953년
(쇼와 28년) 1월
1953년
(쇼와 28년) 12월
1954년
(쇼와 29년)
1955년
(쇼와 30년)
1956년
(쇼와 31년)
1957년
(쇼와 32년)
1958년
(쇼와 33년)
1959년
(쇼와 34년)
1960년
(쇼와 35년)
1961년
(쇼와 36년)
1962년
(쇼와 37년)
1963년
(쇼와 38년)
1964년
(쇼와 39년)
1965년
(쇼와 40년)
1966년
(쇼와 41년)
1967년
(쇼와 42년)
1968년
(쇼와 43년)
1969년
(쇼와 44년)
1970년
(쇼와 45년)
1971년
(쇼와 46년)
1972년
(쇼와 47년)
1973년
(쇼와 48년)
1974년
(쇼와 49년)
1975년
(쇼와 50년)
1976년
(쇼와 51년)
1977년
(쇼와 52년)
1978년
(쇼와 53년)
1979년
(쇼와 54년)
1980년
(쇼와 55년)
1981년
(쇼와 56년)
1982년
(쇼와 57년)
1983년
(쇼와 58년)
1984년
(쇼와 59년)
1985년
(쇼와 60년)
1986년
(쇼와 61년)
1987년
(쇼와 62년)
1988년
(쇼와 63년)
1989년
(헤이세이 원년)
1990년
(헤이세이 2년)
1991년
(헤이세이 3년)
1992년
(헤이세이 4년)
赤とんぼ〜どこかに帰ろう
1993년
(헤이세이 5년)
1994년
(헤이세이 6년)
1995년
(헤이세이 7년)
1996년
(헤이세이 8년)
1997년
(헤이세이 9년)
1998년
(헤이세이 10년)
1999년
(헤이세이 11년)
2000년
(헤이세이 12년)
2001년
(헤이세이 13년)
2002년
(헤이세이 14년)
2003년
(헤이세이 15년)
2004년
(헤이세이 16년)
2005년
(헤이세이 17년)
2006년
(헤이세이 18년)
2007년
(헤이세이 19년)
2008년
(헤이세이 20년)
2009년
(헤이세이 21년)
その先へ 〜紅白スペシャルヴァージョン〜
2010년
(헤이세이 22년)
生きてゆくのです♡ feat. ザ紅白スペシャルブラスバンド
This is love '10 SPメドレー
2011년
(헤이세이 23년)
SMAP AID 紅白SP
2012년
(헤이세이 24년)
SMAP 2012'SP
2013년
(헤이세이 25년)
Joymap!!
2014년
(헤이세이 26년)
2014 Thanks Medley
2015년
(헤이세이 27년)
2016년
(헤이세이 28년)
嵐×紅白スペシャルメドレー
2017년
(헤이세이 29년)
2018년
(헤이세이 30년)
嵐×紅白スペシャルメドレー
{{{#!wiki style="margin: -15px -10px"
특별기획
<rowcolor=#FFF>
가수
}}}
2019년
(레이와 원년)
{{{#!wiki style="margin: -16px -11px"
アイノカタチメドレー
}}}
嵐×紅白スペシャルメドレー
2020년
(레이와 2년)
2021년
(레이와 3년)
明日へ 2021
道標 〜紅白2021ver.〜
2022년
(레이와 4년)
2023년
(레이와 5년)
{{{#!wiki style="margin: -16px -11px"
紅白スペシャル2023
}}}
「HELLO〜想望」 紅白スペシャルメドレー
2024년
(레이와 6년)
회차 · 사회 · 토리
}}}}}}}}}

5. 로고

파일:NHK 홍백가합전 로고(2007-2020).svg 파일:NHK 홍백가합전 로고.png
<rowcolor=#FFF> 2007년~2020년 2021년~현재

2007년 이전 로고는 여기서 확인할 수 있다.

6. 시청률 및 인지도

홍백가합전에 대해 이야기할 때 시청률 또한 빼놓을 수 없는데, 시청률은 30%대로 상당히 높다. 일본의 국민 프로그램으로서 대개 그 해 히트한 곡이 있는 가수가 나오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외적으로 아예 그냥 인기가수의 급을 뛰어넘어 국민 가수 정도의 위치에 있어서 한 해의 흥행 성적은 신경 안 써도 되는 S급 가수들은 그 해 싱글이나 앨범을 내지 않아서 차트에 성적이 없었던 경우라도 그냥 나오는 경우도 있다.[13]

일본 가수와 팬들은 매년 11월에 홍백 연출 측에서 출연 제의가 오는지 여부에 대해 관심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 제안을 받아들여 출연이 결정되면 이를 하나의 쾌거로 받아들여 적극적으로 홍보하며, 신인이나 홍백에 첫 출연하는 가수들은 이 프로그램에 출연하게 되는 걸 영광으로 생각한다. 일종의 성공의 척도. 물론 슈퍼볼과 다르게 프로그램 시작 전후나 중간 광고를 삽입하는 일 같은 건 있을 수 없는 일이기에[14] 광고주 입장에서는 말 그대로 그림의 떡 같은 프로그램이다.[15]

역대 최고 시청률은 1963년 방송했던 14회로, 공식적인 조사치로는 81.4%로 전무후무한 기록을 가지고 있다. 비공식 조사치로는 89.8%. 흑백으로 방송된 마지막 방송이자, 영상이 온전하게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회수이기도 하다. 출전

하지만 시대가 지나며 홍백가합전의 명성이나 의미가 많이 퇴색했고, 시청률도 떨어졌다. 1984년[16] 78.1%를 기록한 이후 단 2년만에 60%대도 붕괴해 이후로도 다시 찍지 못했을 정도로 급격한 하락세를 겪었다. 이후로도 계속 하락세이며, 최근에는 30% 정도의 시청률을 보이고 있다. 시청률과 관련된 여담은 기타 단락에서 후술.

다만 인터넷, 스마트폰 등 다른 방송 수단의 발달로 인해 지상파 TV 시청률이 떨어지는 것이 비단 홍백만의 문제도 아니라 전 세계 모든 방송 매체의 전반적인 흐름이고, 2020년대 일본에서 30%의 시청률을 보이는 TV 프로그램이 사실상 홍백 말고는 몇 없기 때문에 여전히 홍백가합전은 시청률로는 제일 가는 프로그램 중 하나이다. 즉, 일본 지상파 방송 최고의 프로그램이라는 상대적 위치는 유지하고 있으나, 시청률이나 관심도 등의 절대적 위치는 시대 및 미디어 환경의 변화에 따라 하락세에 있다는 것은 어느 정도 사실이다.

그래도 홍백가합전은 일본 대중음악계의 중요한 이벤트 중 하나다. 실제로 사회자나 출연자가 결정되면 그때마다 NHK에서 크게 보도되고, 여기에 출연하면 홍백 효과라 해서 가수의 음반 판매량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준다.

일부 소속사에서 아티스트를 홍보하기 위해 무리해서 출장을 시키는 경우도 많아졌다. 대표적인 사례가 에이벡스 걸 넥스트 도어 쟈니스의 NYC[17], Sexy Zone이 있다.

6.1. 역대 시청률

<rowcolor=#FFF> 연도 회차 시청률(%)
1951년 제1회 (기록 없음)[18]
1952년 제2회
1953년 1월 제3회
1953년 12월 제4회
1954년 제5회
1955년 제6회
1956년 제7회
1957년 제8회
1958년 제9회
1959년 제10회
1960년 제11회
1961년 제12회
1962년 제13회 80.4
1963년 제14회 81.4
1964년 제15회 72.0
1965년 제16회 78.1
1966년 제17회 74.0
1967년 제18회 76.7
1968년 제19회 76.9
1969년 제20회 69.7
1970년 제21회 77.0
1971년 제22회 78.1
1972년 제23회 80.6
1973년 제24회 75.8
1974년 제25회 74.8
1975년 제26회 72.0
1976년 제27회 74.6
1977년 제28회 77.0
1978년 제29회 72.2
1979년 제30회 77.0
1980년 제31회 71.1
1981년 제32회 74.9
1982년 제33회 69.9
1983년 제34회 74.2
1984년 제35회 78.1
1985년 제36회 66.0
1986년 제37회 59.4
1987년 제38회 55.2
1988년 제39회 53.9
<rowcolor=#FFF> 2부 편성 1부 2부
1989년 제40회 38.5 47.0
1990년 제41회 30.6 51.5
1991년 제42회 34.9 51.5
1992년 제43회 40.2 55.2
1993년 제44회 42.4 50.1
1994년 제45회 40.1 51.5
1995년 제46회 44.9 50.4
1996년 제47회 41.6 53.9
1997년 제48회 40.2 50.7
1998년 제49회 45.4 57.2
1999년 제50회 45.8 50.8
2000년 제51회 39.2 48.4
2001년 제52회 38.1 48.5
2002년 제53회 37.1 47.3
2003년 제54회 35.5 45.9
2004년 제55회 30.8 39.3
2005년 제56회 35.4 42.9
2006년 제57회 30.6 39.8
2007년 제58회 32.8 39.5
2008년 제59회 35.7 42.1
2009년 제60회 37.1 40.8
2010년 제61회 35.7 41.7
2011년 제62회 35.2 41.6
2012년 제63회 33.2 42.5
2013년 제64회 36.9 44.5
2014년 제65회 35.1 42.2
2015년 제66회 34.8 39.2
2016년 제67회 35.1 40.2
2017년 제68회 35.8 39.4
2018년 제69회 37.7 41.5
2019년 제70회 34.7 37.3
2020년 제71회 34.2 40.3
2021년 제72회 31.5 34.3
2022년 제73회 31.2 35.3
2023년 제74회 29.0 31.9

7. 출전 가수

일본 가수들에게 홍백가합전의 출전은 영예로 받아들여지지만 개인적인 이유로 홍백가합전 출전을 하지 않는 가수들도 꽤 있다. 대표적으로 B'z, CHAGE and ASKA 등이 있다. 두 그룹 모두 “연말에는 무조건 쉰다”는 원칙을 이유로, 홍백가합전에 출전하지 않는다고 밝힌 바 있다.[19]

<小さな恋のうた>(작은 사랑의 노래)로 인디 아티스트로서는 이례적인 인기를 끈[20] MONGOL800도 홍백가합전에 출장 요청을 거절하고 홍백가합전이 열리는 날 작은 라이브 하우스에서 콘서트를 진행한 바 있다. 미스터 칠드런의 경우에는 계속해서 출장을 사양하다가 2008년에 2008 베이징 올림픽의 테마송인 <GIFT>를 맡아서 한 번 출장했다. 이처럼 한 번 출장했기 때문에 이후의 출장은 거절하는 경우도 있다.( 아무로 나미에, 라르크 앙 시엘 등.)

어차피 못 나오는 팀은 못 나온다. 예를 들자면, 더 드리프터즈. 전설이라 불렸을 정도로 유명세를 탔지만, 현역 시절엔 응원전에나 간간이 모습을 드러냈고 시무라 켄을 제외하면 다들 은퇴한 지 한참이 지난 2001년에 딱 한 번 나왔다. 사실 1970년에 출장 제의를 받았고 실제로 출장할 예정이었으나,하필이면 카토 챠교통사고를 거하게 일으켜서 출장권을 자진 반납했다. 즉, 사회적 물의를 일으켜서 출장이 좌절된 것.[21] 또 업프론트의 헬로! 프로젝트는 2007년 이후 한 번도 홍백에 나오지 못했다. 그래서 그 유명한 모닝구 무스메마저 홍백에 못 나온 지 15년이 넘어가고 있다. 그 유명한 V6도 2014년에야 처음으로 참가할 정도. 또한 2010년대를 휩쓴 AKB48 모 사건으로 인해 2020년 이후로 나오지 못하고 있다.

일부 여론에 따르면 가수들은 홍백가합전 출전이 확정되는 것보다 홍백가합전에 꾸준히 나오다가 어느 순간부터 못 나오는 걸 더 불명예스럽게 생각한다고 한다. 사쿠라자카46는 사과문을 쓴 적도 있었고, 골덴 봄버는 홍백가합전을 몇 년 간 계속 나오다가 최근에는 계속 나오지 못하게 되자 그 주제로 '이젠 홍백에 내보내주지 않아'라는 앨범을 냈다.

옛날에는 바리톤 성악가 타치카와 스미토, 일본 3대 중창단인 다크 덕스, 듀크 에이세스, 보니 잭스 등 성악가들도 많이 출장했었다.

2023년 기준으로 남성 솔로 가수 중 이츠키 히로시, 키타지마 사부로[22], 여성 솔로 가수 중 이시카와 사유리[23], 남성 그룹 중 TOKIO[24], 여성 그룹 중 더 피너츠와 Perfume[25], 혼성 그룹 중 DREAMS COME TRUE[26]가 최다 출장을 기록했다.

7.1. 해외 가수

일본을 대표하는 연말 가요프로그램이다 보니 해외 가수가 출연하는 경우도 많다. 선발 기준은 당해 일본에서 인기가 있었던 가수들의 올스타전이지, 국적이 아니기 때문.

7.1.1. 한국 가수

<rowcolor=#FFF> 연도 회차 출장자
1987년 제38회 조용필
1988년 제39회 조용필, 계은숙
1989년 제40회 조용필, 계은숙, 김연자, 패티김
1990년 제41회 조용필, 계은숙
1991년 제42회 계은숙
1992년 제43회
1993년 제44회
1994년 제45회 계은숙, 김연자
2001년 제52회 김연자
2002년 제53회 보아
2003년 제54회
2004년 제55회 보아, 이정현, 류
2005년 제56회 보아, 임형주
2006년 제57회 보아
2007년 제58회
2008년 제59회 동방신기
2009년 제60회
2011년 제62회 동방신기, 카라, 소녀시대
2017년 제68회 TWICE
2018년 제69회
2019년 제70회
2022년 제73회 TWICE, IVE, LE SSERAFIM
2023년 제74회 MISAMO, Stray Kids, LE SSERAFIM, 세븐틴, NewJeans
2024년 제75회 TWICE, ILLIT, LE SSERAFIM, 투모로우바이투게더

1987년에 대한민국 가수로서 조용필이 최초로 출연해서 1990년까지 4회 연속 출연했다.[27], 1988년에는 계은숙이 출연해서 1994년까지 7회 연속 출연.[28] 1989년에는 김연자[29], 패티김[30]이 출연했다.

2002년에는 보아[31], 2004년에는 이정현[32], 류[33][34], 2005년에는 임형주[35], 2008년과 2009년에는 동방신기[36][37]가 출연했다. 2011년에는 동방신기, 카라, 소녀시대까지 3팀이나 출연하였다.[38]

그러나 2012년부터 이명박 대통령 독도 방문, 2012년 이명박 대통령 천황 사과 요구 사건으로 한일관계가 급냉각되고 일본 내 반한 감정의 고조, 한국의 음악이 이전만큼 일본에서 인기를 끌지 못하면서 한국 가수들은 2016년까지 홍백가합전에 출연하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다가 2017년 11월 15일 오후 5시 13분, NHK 홍백가합전 공식 트위터에 올라온 라인업에 TWICE의 이름이 올라오면서 6년 만에 한국 가수가 홍백가합전에 출연하게 되었다.[39][40]

2018년 역시 TWICE가 참가하면서 2년 연속 출연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MBC 가요대제전 무대는 비공개 사전 녹화로 진행되었다.[41]

2019년에는 징용 배상 문제 및 일본 정부의 수출 규제 사태 촉발로 한일관계가 다시 급냉각되었다. 그러나 TWICE의 3년 연속 출장이 확정되었고, 역시 MBC 가요대제전에서의 TWICE 무대는 사전 녹화로 진행되었다. 하지만 안 좋은 한일관계를 반영하듯 트와이스 출연 부분은 굉장히 짧았다.

2020년은 코로나19의 여파로 한국 가수들이 직접 NHK 홀에서 무대를 펼칠 수가 없게 되었고[42], 따라서 2020년에는 한국 가수가 출연하지 않는다. 또한 2020년 3월 이후로 거의 모든 종류의 외국인 비자 발급이 일시 중단되면서 2021년에도 외국 가수의 출연은 사실상 불가능했으나, 2022년에는 일본 내부나 외국인에 대한 규제 조치가 크게 완화되어 출연을 기대해 볼 수 있게 되었다.

2022년 11월 8일, IVE가 제73회 NHK 홍백가합전 출연이 내정된 것으로 알려졌으며 LE SSERAFIM도 출연이 유력시되었다. #

하지만 Kpop에 대한 복합적 여론과 홍백가합전 자체가 가지는 상징적 이미지 등이 겹쳐져 반발이 거셌다. '왜 한국 아이돌이 홍백가합전에 나오냐'는 트윗에 5만 개가 넘는 좋아요가 찍히거나 #, 자칭 자민당 소속 정치인들까지 반발 #(삭제됨) 여론이 커져서 공식 발표 기자회견 전까지 확신할 수 없었다. 그럼에도 시청률 30%라는 벽이 깨지기 일보직전이라는 점과, 일본 내에서 케이팝 아이돌 그룹의 영향력을 고려하면 NHK가 시청률을 올리기 위해서라도 섭외할 거라는 낙관적인 예상이 가능했다. 그리고 이전에도 한국인 가수가 출연한 적도 있었기에 마냥 부정적으로 볼 수는 없었다.

11월 14일과 15일, 전날 출연이 유력하다고 뜬 LE SSERAFIM의 내정 기사가 연이어 나왔다. 기사는 AKB48의 멤버로서 이미 홍백에 4번 이상 출연한 미야와키 사쿠라의 복귀라는 점에 초점이 맞추어졌으나, LESSERAFIM은 아직 일본 공식 데뷔 전인 그룹이기에 또 한 번 갑론을박이 펼쳐졌다.[43]

결국 11월 16일, 첫 출장 발표를 통해 IVE LE SSERAFIM의 출장이 공식화되었다. 또한 TWICE도 3년만에 출장이 결정됐다. 한국 그룹의 복수 출전은 2011년 이후 11년 만이다. # #[44]

이러한 2022년의 한국 가수들의 출연은 2023년에도 이어질 분위기이다. 과거와 다르게 한일관계 개선을 양국 정치권에서 밀어주는 분위기가 있으며, 일본 최대 남자 아이돌 사무소인 쟈니스 사무소가 큰 논란으로 인해 NHK 회장이 직접 인터뷰를 통해, '사태 해결책을 소속사가 내놓기 전까지는 쟈니스 사무소 소속 가수들은 NHK 방송에 신규 출연을 금지하겠다'고 선언했으며 이러한 출연 정지 선언은 홍백가합전에도 영향을 미쳐 올해 쟈니스 사무소 소속 남자 아이돌들이 전부 출연 못 할 가능성 매우 높다. NHK 인터뷰 전문 이렇게 비워진 출연자 부분들은 한국 가수들이 차지할 가능성이 높다. 긍정적인 전망을 하자면 2023년 한국 가수들이 최다 출연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렇게 되면 2022년처럼 반발이 심할 수도 있다. 일본에 현지화된 케이팝 그룹[45] 혹은 일본인 멤버가 있는 아이돌 가수들만 뽑힐 가능성이 있다.

결국 2023년 명단에서는 쟈니스 사무소 소속 가수들이 전부 빠지고, 홍팀에서는 LE SSERAFIM과 TWICE의 유닛인 MISAMO가 출전하며, 백팀에서는 Stray Kids 세븐틴이 출전한다. # 12월 29일 NewJeans의 참가[46]가 추가 발표됐다. #[47] 그리고 K-POP 관련 그룹으로 JYP 엔터의 NiziU[48], CJ ENM 산하 소속사에 소속된 JO1[49]까지 총 7팀이 출전하여 2023년은 홍백가합전에 한국 관련 그룹이 가장 많이 출연한 해가 되었다. 특히 NewJeans는 출연한 한국 가수 중 최초로 일본어 번안곡이 아닌, 한국어 원곡으로 공연한 가수가 되었다.

일본 최대 가요 프로그램인 홍백가합전에 K팝 스타가 대거 출연하는 것은 일본 내에서 K팝의 높은 인기를 보여준다는 해석이 나왔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왜 한국 가수들이 나오냐’는 소셜미디어(SNS) 글이 확산되는 등 반발이 없지 않았지만, 최근 한일 관계 개선, 한류 열기 등으로 K팝 스타가 빠지는 게 오히려 이상해지는 분위기가 조성됐다.

여기에 한때 80%를 넘었던 홍백가합전 시청률이 최근 30%대 초반까지 떨어지면서 한류 팬을 끌어들이지 않으면 시청률이 더 추락할 것이라는 현실적 판단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

2024년에 TWICE, LE SSERAFIM, ILLIT, 투모로우바이투게더[50]가 출전한다.

7.2. 애니송 및 성우 가수

오타쿠 문화가 대두된 이후로 홍백에는 매년마다 애니송, 오타쿠 관련 팀이 한두 팀씩 나온다. 요괴워치 같은 어린이용 애니나 마루코는 아홉살 같은 가족 애니는 매년 어김없이 나오며, 심야 오타쿠 애니가 나오는 경우는 좀 드물다.

1990년대에는 1991년 모리구치 히로코가 부른 기동전사 건담 F91 테마곡인 <ETERNAL WIND>나 1994년 시노하라 료코가 부른 스트리트 파이터 2 무비 테마곡인 < 사랑스러움과 안타까움과 믿음직함과>[51], 1995년 타무라 나오미가 부른 마법기사 레이어스 1994년판 오프닝인 <양보할 수 없는 소원> 등이 나오기도 했다.

성우 출신 가수 중에는 미즈키 나나가 2009년에 최초 홍팀에 출전하여, 화이트 앨범 애니버전의 1기 오프닝 테마인 深愛를 부른 이래, 2014년까지 연속 출장하였다. 사실 2007년에 나카가와 쇼코가 나와서 천원돌파 그렌라간의 오프닝 곡인 하늘빛 날들을 불렀으나, 나카가와는 성우 일도 종종 하는 탤런트인 데다 순수히 자력으로 출연한 것이라기보다는 당시 부상하던 오타쿠 문화를 조명하기 위해 마련된 ‘아키바 문화 특집’의 일환으로 출연한 것이었다. NHK 측에서도 성우 최초 출연은 미즈키 나나로 공인했다.

2013년에는 애니송 분야로 Revo 주체의 음악 프로젝트 그룹 링크드 호라이즌도 출전하게 되었는데, 무려 100명의 멤버로 무대에 오르게 되었다. 링크 호라이즌은 진격의 거인 주제가가 노래방 차트 1위에 오를 정도로 히트했기 때문에 나온 것.

2014년에는 겨울왕국 주제가인 < Let It Go>를 부르기 위해 원곡 가수이자 배우인 이디나 멘젤이 직접 나왔다. 외국 애니송으로는 홍백가합전 최초이지만, 디즈니는 일반적으로 말하는 애니송과는 거리가 조금 있으니 예외.

2015년엔 아이돌 컨텐츠로 인기몰이 중인 러브 라이브! μ’s의 출연도 확정되었다. 난죠 요시노는 무릎 부상 및 fripSide 스케줄로 인해 불참하였다.

2018년에는 러브 라이브! 선샤인!! Aqours의 출연이 확정되면서, 3년만의 애니송 가수로 러브라이브 시리즈의 그룹들이 2번 연속으로 출연하는 쾌거를 안겼다.

2019년에는 LiSA의 출연이 확정되었다. 2021년에도 3년 연속 출연이 확정되었다.

2020년에는 YOASOBI가 첫 출연하였다. 2021년에도 2년 연속으로 출연이 확정되었다.

2021년에는 우타이테 출신으로는 처음으로 마후마후의 출연이 확정되었다.

2022년에는 원피스 필름 레드에서 가수 캐릭터로 등장한 우타가 출연했다.[52] 영화 내에서 가창 시의 담당 보컬 성우의 명의가 아닌 그냥 캐릭터인 '우타'의 이름으로 출연 명단에 올라간 것이 특징. #

2023년에는 우타이테 출신 가수인 Ado가 출연했다.[53] 그 외에 최애의 아이 오프닝을 담당한 YOASOBI, 체인소 맨 7화 엔딩을 담당한 아노, 주술회전 2기 회옥 옥절편 오프닝을 담당한 키타니 타츠야 더 퍼스트 슬램덩크 엔딩을 담당한 10-FEET가 출연했다.

8. 역대 우승팀

<rowcolor=#FFF> 연도 회차 <colcolor=#FFF> 우승팀
1951년 제1회
1952년 제2회
1953년 1월 제3회
1953년 12월 제4회
1954년 제5회
1955년 제6회
1956년 제7회
1957년 제8회
1958년 제9회
1959년 제10회
1960년 제11회
1961년 제12회
1962년 제13회
1963년 제14회
1964년 제15회
1965년 제16회
1966년 제17회
1967년 제18회
1968년 제19회
1969년 제20회
1970년 제21회
1971년 제22회
1972년 제23회
1973년 제24회
1974년 제25회
1975년 제26회
1976년 제27회
1977년 제28회
1978년 제29회
1979년 제30회
1980년 제31회
1981년 제32회
1982년 제33회
1983년 제34회
1984년 제35회
1985년 제36회
1986년 제37회
1987년 제38회
1988년 제39회
1989년 제40회
1990년 제41회
1991년 제42회
1992년 제43회
1993년 제44회
1994년 제45회
1995년 제46회
1996년 제47회
1997년 제48회
1998년 제49회
1999년 제50회
2000년 제51회
2001년 제52회
2002년 제53회
2003년 제54회
2004년 제55회
2005년 제56회
2006년 제57회
2007년 제58회
2008년 제59회
2009년 제60회
2010년 제61회
2011년 제62회
2012년 제63회
2013년 제64회
2014년 제65회
2015년 제66회
2016년 제67회
2017년 제68회
2018년 제69회
2019년 제70회
2020년 제71회
2021년 제72회
2022년 제73회
2023년 제74회
<colcolor=#FFF> 통산 성적(2023년 기준)
홍조 34승
백조 40승

9. 각종 기록

  • 가수별 최고 시청률
순위 가수 시청률 연도
1위 아무로 나미에 64.9% 1998년
2위 DREAMS COME TRUE 62.0% 1992년
3위 코메코메 클럽 60.3% 1995년
4위 타마키 코지 59.9% 1996년
5위 아무로 나미에 59.1% 1997년
  • 최연소, 최고령 사회자
사회자 나이
최연소
홍조 마츠 다카코 19세
백조 나카이 마사히로 25세
종합 쿠사노 미츠요 28세
최고령
홍조 모리 미츠코 64세
백조 스즈키 켄지 56세
종합 쿠로야나기 테츠코 82세
  • 최연소, 최고령 출장자
출장자 나이
최연소
홍조 아시다 마나 7세
백조 스즈키 후쿠 7세
최고령
홍조 다카하시 마리코 68세
백조 미와 아키히로 80세
  • 최다 출장자
순위 출장자 출장 횟수
1위 키타지마 사부로 51회
2위 이츠키 히로시 50회
3위 모리 신이치 48회
4위 이시카와 사유리 45회
5위 호소카와 타카시 40회
6위 와다 아키코 39회
7위 시마쿠라 치요코 38회
고 히로미
9위 코바야시 사치코 34회
사카모토 후유미
  • 토리 최다 가창자
순위 출장자 가창 횟수
1위 미소라 히바리 13회
이츠키 히로시
키타지마 사부로
4위 모리 신이치 9회
이시카와 사유리
6위 와다 아키코 7회
7위 시마쿠라 치요코 6회
SMAP
9위 미나미 하루오 5회
미야코 하루미
  • 오오토리 최다 가창자
순위 출장자 가창 횟수
1위 미소라 히바리 11회
키타지마 사부로
3위 이츠키 히로시 6회
SMAP
5위 모리 신이치 5회
6위 미나미 하루오 3회
미야코 하루미
아라시
9위 미하시 미치야 2회
야시로 아키
호소카와 타카시
마츠다 세이코
MISIA
  • 메이저 데뷔 후 가장 빠른 출장
순위 출장자 기간
1위 NiziU 29일
2위 WaT 59일
3위 TOKIO 101일
4위 SMAP 113일
5위 이토 유나 115일
6위 girl next door 119일
7위 오토코구미 129일
8위 닌자[54] 131일
9위 에나리 카즈키 145일
10위 소리마치 타카시 154일

10. 사건 사고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10.1. NHK 홍백가합전 가면라이더 사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NHK 홍백가합전 가면라이더 사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2. NHK 홍백가합전 DJ OZMA 노출 사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NHK 홍백가합전 DJ OZMA 노출 사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기타

  • 일본어에선 NHK 홍백가합전의 가(歌) 자를 우타(うた)라고 훈독하기 때문에, 우리말로도 이를 반영하여 간혹 '홍백노래합전'이라고 옮기기도 한다. '홍백가요대전'이라고 의역한 책도 있다.
  • 사회자 중에 아나운서가 반드시 포함된다. NHK가 일본의 재난주관방송사이므로 불시의 재난이 벌어질 때[55] 바로 재난방송으로 전환하려는 목적도 있다.
  • 제52회(2001년)부터 제55회(2004년)까지의 홍백가합전 사회진(종합, 홍조, 백조)은 당시 회장이었던 에비사와 카츠지(海老沢勝二)의 의향[56]을 반영해서 현직 NHK 아나운서 만으로 구성되었다. 에비사와 회장이 물러난 이후에는 사회자 기용 방식이 이전으로 되돌려졌다.
  • 1970년 홍백가합전의 토리 가수는 원래 미나미 하루오가 고려되었다고 한다. 당년도 만국박람회 테마송을 불렀기 때문. 하지만 모리 신이치의 '긴자의 여자'로 결정. 미나미 하루오도 가창곡을 '오다 노부나가'로 변경하였다.
  • 라디오로만 방송한 제1회(1951년)와 제2회(1952년),제3회(1953년)는 논외로 하더라도,[57] 제4회(1953년)~12회(1961년), 15회(1964년)의 영상은 남아있지 않다. 이는 1959년에야 도입된 VTR 기기와 테이프의 가격이 너무 비싸서 방송이 끝나면 다른 프로그램 녹화에 쓰기 위해 테이프를 재활용하는 것이 일상화되었던 데다가[58] 방송자료로서 녹화를 보존할 생각은 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참고로 전편의 TV 방송 영상이 남아있는 최초의 홍백가합전은 14회(1963년)이다.
그나마 제5회(1954년) 이후에는 라디오 녹음이라도 남았고,[59] 13회(1962년)는 뉴스 촬영 목적으로 녹화된 단편적인 흑백 영상이 있다. 여담으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홍백가합전 컬러 영상은 16회(1965년)의 단축판이며, 그 이후로도 홍백가합전의 컬러 영상은 소실되거나[60] 열악한 녹화만이 전해져왔으나[61] 23회를 방송한 1972년부터 NHK가 홍백가합전의 VTR 보존을 결정함에 따라, 23회 이후의 방영분은 모두 컬러 영상이 온전하게 남아 있다.
  • 중국에서는 CCTV의 '춘절만회'가 비슷한 위상이다.
  • 의외로 출연료가 싸다. 1983년 제34회 홍백가합전에 출연한 적이 있는 유명 가수 우메자와 토미오가 자기가 진행하는 프로그램에서 7만 엔[62] 받았다고 폭로했다. 사실 한국도 음악방송 출연료가 회당 10만 원 수준인 등 양국 방송계 전반의 문제인 듯하다.
  • 1970년대 후반 홍백가합전 무대 스테이지 조형물은 2020년대 기준으론 한물 간 듯 보이지만, 당시 기준으로는 나름대로 화려했다. 1976년 제27회 홍백가합전 무대는 무지개를 연상케 하는 조형물이 압권이었고, 1977년 제28회 홍백가합전 무대는 중앙에 홍팀가수 VS 백팀가수 전광판이 인상적이었다. 1978년 제29회 홍백가합전은 물고기 비늘을 연상케 하는 조형물을 만들었고, 1980년 제31회 홍백가합전은 왕궁에서 볼 법한 호화스러운 파티장을 떠올리게 하는 스테이지가 눈에 확 들어왔다.[63]
  • 시청률과 관련하여 흥미로운 인물로 1972년부터 1984년까지 홍백가합전 연주의 지휘를 맡았던 밴드 마스터[64]였던 단 이케다(ダン池田)가 있다. 그가 홍백가합전에 처음 합류한 시점인 1972년에는 무려 10년 만에 시청률 80%대가 되었고, 마지막 해였던 1984년에도 78.1%라는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다. 그러나 1985년 방영을 1달 앞두고 급작스레 자리에서 강판당한 뒤 66.0%, 1986년에는 최초로 50%대인 59.4%, 급기야 1989년에는 38.5%(1부)를 찍었다. 이후로도 계속 추락해 이제는 30%대도 겨우 사수하는 상황. 스타 가수들이 고작 1, 2년 사이에 물갈이되지 않고 새로운 히트곡들도 계속 나오기 때문에 사실상 그의 커리어가 프로그램의 흥망성쇠 자체였다.
특이하게도 단 이케다와 그의 밴드 '뉴 블리드'는 1960년대 말부터 후지 TV의 전속이었지만 홍백가합전을 비롯해 NHK 등 다른 곳에서도 연주했다. 이렇게 잘 나가던 사람이 갑자기 사라지게 된 이유는 1985년에 출판한 자서전 <芸能界本日モ反省ノ色ナシ>에서 연예계의 뒷이야기를 폭로하는 금기를 범했다는 것이었다.[65] 가장 잘 나가는 밴드 마스터였던 단 이케다가 이런 금기를 범한 데에는 당시 시대 풍조와 신변 변화의 영향이 있었다.
당시 일본에서는 기존의 가요, 라이브 연주, 가창력 등 가수의 기본적 소양으로 여겨지던 것들이 밀려나고 대신 전자음향기기와 녹음 연주 등이 점점 대세가 되어가던 참이었다.[66] 그의 밴드 역시 시대의 변화를 피해갈 수는 없었고 후지TV에서 16년간 출연하던 음악 프로그램인 밤의 히트 스튜디오[67]가 종영하기에 이르렀다. 이후 방송사의 라이브 연주 축소화 경향에 반발하다가 후지TV와 마찰을 빚어 밴드마스터 자리에서도 내려와야 했다. 그래도 잔여 계약이 남았기에 홍백가합전에는 계속 나올 생각이었는데, 그 NHK조차 라이브 연주를 대체해 나갈 계획을 하였다. 화가 난 그는 가수의 기본적인 실력과 인성보다 상품성과 효율을 우선시하는 풍조를 비판하는 책을 내었다.
하지만 결국 당대 스타들을 죄다 거론하여 70만 부나 팔린, 이런 눈에 거슬리는 자서전을 보고도 쟈니스를 비롯한 소속사들과 방송사들이 가만히 있을 리 없었다. 이후 단 이케다는 업계에서 철저히 매장당해 잊히고, 가수 육성으로 재기하려던 시도도 실패해 쓸쓸한 말년을 보냈다. 한편 홍백가합전 역시 이후로는 녹음 반주와 MR을 사용하게 되었는데, 그가 예상한 대로 특색을 잃어버린 프로그램은 몇 년도 안 지나 무너져 버리고 말았다.[68]
* 2023년에는 쟈니스 전 사장 추악한 행적이 드러나 44년 만에 쟈니스 소속 인물들이 출연하지 않았다.
  • 특별한 사정이 없다면 매년 NHK 월드 프리미엄을 통해 전세계 동시 송출[71]을 하고 있는데 일부 가수나 곡 등이 저작권 문제로 국제송신이 불가한 경우에는 엘범아트만 내보내고 잠시 방송을 끊기도 한다. 코로나 19 사태 이후에는 국제 송신이 가능해지는 곡들이 많아진데다 2020년대 애니메이션들의 약진으로 인한 애니송 가수들 및 K-POP 가수, 아이돌들이 최근 홍백가합전으로 출연을 자주 하고 있어 한국 내 시청자도 다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한국어 자막을 지원하지 않는 국제 체널이다보니 시청할 때 주의를 요한다.

[1] 스코틀랜드 민요 Auld Lang Syne을 개사한 곡. [2] 보통 탤런트 스포츠 선수들, 유명인사들이 초대된다. [3] 2012년부터 3년 연속 백팀이 우승하다가 2015년, 2016년에 홍팀이 우승. 하지만 2017~2019년은 다시 백팀이 3년 연속 우승 중이다. 10년~14년까지 백팀 사회를 맡은 아라시 등 보이그룹 팬들의 존재가 백팀에 힘을 실어 주는 요인. [4] 제일 대표적인 예가 일장기. 일본의 경우 운동회도 홍팀과 백팀으로 나눈다. 일본의 교육과정을 들여와 똑같이 운동회를 하는 대한민국의 경우 이전 일본에 대한 반감+ 북한으로 인한 레드 컴플렉스 등의 이유로 색깔이 청백조합으로 바뀌었다. [5] 이때 시청률이 53.8%로, 2000년대 들어와서 조사한 시청률 중 가장 높았다. [6] 작년에 이어 2년 연속. [7] 원곡은 그 유명한 “오랫동안 사귀었던~”으로 시작하는 독립군 애국가로도 쓰였던 스코틀랜드 민요 < 올드 랭 사인>이다. [8] 東京五輪音頭(도쿄 올림픽 온도). [9] 단, 쇼지 타로처럼 출장 당시에 지나치게 원로인 경우는 토리를 맡지 않는다. 참고로 1960년대에 일흔이었던 사람이다. [10] <風が吹いている>를 불렸다. 이 노래는 2012년 런던 올림픽 주제가(일본 방송에서 사용되는)였으며, 덕분에 NHK가 밀어 준 듯. 곡 마지막 부분은 사회자 및 다른 가수들이 나서서 같이 불렀다. [11] 바나나맨이 오랫동안 칸무리 MC를 담당한(현재 진행 중으로 결성 초기인 2011년 8월부터 지금까지 약 6년 가까이 하고 있다) 노기자카46이 등장한 순간의 호응을 보면 정말 공식 오빠답게 노기자카를 생각해 주는 멘트들로 노기 팬들을 또다시 감동시킨다. [12] 이 때문에 1953년은 홍백가합전이 2번 열린 유일한 해가 되었다, [13] 가장 대표적인 예가 홍백의 상징으로 불렸던 키타지마 사부로 SMAP. 최근 마츠다 세이코도 이 포지션에 있다. [14] 한국의 KBS1과 마찬가지로 NHK는 자사의 프로그램 광고나 일부의 공익광고 정도를 제외하면 상업광고를 일절 편성하지 않는다. [15] 다만 1950~1960년대 일부 지방 방송국이나 오키나와 지역 방송국에서 홍백가합전의 방영권을 사들여서 홍백가합전 앞, 뒤에 자체적으로 광고를 삽입한 적 있었다고 한다. 물론 1970년대 이후로는 전혀 볼 수 없는 풍경. [16] 엔카 가수 미야코 하루미의 결혼으로 인한 은퇴 전 마지막 무대로, 출전곡을 부른 후 이례적으로 앵콜곡을 위한 시간까지 마련되었으나 미야코 하루미가 노래를 부를 수 없을 정도로 오열하자 전 출연 가수가 앵콜곡을 대신 불렀다. 미야코 하루미는 이후 1989년 이혼 후 연예계로 복귀했다. [17] 나카야마 유마, Hey! Say! JUMP 야마다 료스케, 치넨 유리로 구성된 유닛. [18] 비디오 리서치 설립 전으로 기록치 없음. [19] 다만 CHAGE and ASKA의 경우 아스카의 숱한 마약과 범죄로 인해 사실상 이제는 나오고 싶어도 못나오는 신세가 되었다. [20] 당시 앨범이 230만 장이나 팔렸고, 발매 10여 년이 지난 2013년까지도 일본 노래방 차트 상위권에 있을 정도로 일본 펑크 록의 명곡으로 평가받는다. [21] 일부는 도리후의 장르가 코미디송이라서 못 나갔다는 생각하는데, 하나 하지메와 크레이지 캣츠의 출장 횟수를 생각하면 말이 안 된다. 크레이지 캣츠는 멤버였던 우에키 히토시의 단독 명의 출장까지 합치면 10번이 넘는다. [22] 총 50회 출장이자 역대 최다 출장. 키타지마 사부로의 경우, 출장 횟수에서 제외되는 특별 출연까지 합하면 51회 출연이다. [23] 총 46회 출장. [24] 총 24회 출장. [25] 총 16회 출장. [26] 총 15회 출장 [27] 1990년 공연은 서울 롯데월드 현지에서 중계되었다. [28] 한국인 가수 중 최다 출연이기도 하다. 이전판까지는 조용필의 4회 기록을 보아가 깼다고 되어 있었는데, 이는 정말로 무지에서 비롯된 잘못된 서술이다. 참고로, 이 정답은 미야자키 미호 후지와라 토모키가 진행하는 한류 예능 프로그램 ‘한류라보’ 에서 "한국인 중에서 가장 많이 홍백가합전에 출연한 가수는?" 의 주제로 문제가 출제된 적이 있었다. [29] 1989년, 1994년, 2001년 3회 출연. [30] 1989년 출연. 길옥윤 작사·작곡의 '이별'을 불렀다. [31] 2007년까지 6년 연속 출연. [32] 이병헌과 함께 출연한 드라마 < 아름다운 날들>이 일본에서 인기를 얻어 출연했다. 일본에서의 공식 데뷔 무대가 홍백가합전이었다는 게 특이한 점. [33] < 겨울연가>의 OST인 < 처음부터 지금까지>를 부른 가수다. <겨울연가>의 열풍으로 홍백가합전을 비롯한 일본의 각종 연말 가요프로그램에 출연하였다. [34] 한국의 기레기들이 연말에 “올해 홍백가합전에 한국 가수 누가 출연할까?”를 주제로 기사를 쓰면서 류시원이 홍백가합전에 출장했다고 쓴다면 100% 이 사람이다. [35] 일본의 전설적인 여가수 마츠토야 유미 및 아시아 각국의 대표가수들과 함께 ‘Friends Of Love The Earth’라는 프로젝트그룹으로 출연했다. [36] 2008년, 2009년, 2011년 3회 출연. [37] 한국 그룹 최초 출연, 한국 그룹 최초 2연속 출연. [38] 2010년에도 카라 소녀시대의 출연이 유력했으나 결국 출연 명단에 들지 못하였다. [39] TWICE는 한국 걸그룹이지만 대만, 일본 등 다른 나라 출신의 멤버들이 섞여 있어 다국적인 느낌이 강하다. 특히 일본인 멤버가 모모, 사나, 미나로 3명이나 된다. 이 점이 홍백가합전 출연에 있어 유리하게 작용했을 수 있다. [40] 이날 동시에 진행되는 MBC 가요대제전 무대에는 출연하나, 28일 사전 녹화 후 일본으로 갔다. 또한 리허설은 가요대제전 사전녹화 이후 29일 오전에 전세기를 타고 가서 리허설을 한 이후 다시 한국으로 날아와 KBS 가요대축제를 진행하고 또다시 일본으로 날아갔다. [41] 해당 사전 녹화 무대는 자정 타종 행사 직후 방송되었는데, 부산 MBC 대구 MBC 권역에서 지역 행사 타종 중계를 이유로 이 무대의 일부 혹은 전체를 자르는 일이 벌어지면서 해당 지역 팬들의 불만 민원이 폭주하는 일이 있었다. [42] 일본에서 2주, 한국에서 2주 총 4주간의 자가격리 기간을 가져야 하는 만큼 리스크가 크다. [43] IVE와 LESSERAFIM 두 그룹 모두 출연을 부정적으로 볼 수 밖에 없는 건 데뷔 이후 제대로 된 일본 활동을 가진 적이 없었기 때문이다. IVE의 장원영과 안유진은 아이즈원 활동 당시 일본활동을 꽤 진행했고 일본인 멤버인 레이가 있지만 ELEVEN의 일본어 버전을 내고 공연 2~3개 정도 돈 것이 끝이라 일본에서 가장 큰 연말 행사 중 하나에 출연하는 것에 의문이 들 수 밖에 없었다. LESSERAFIM 역시 마찬가지로 사쿠라가 아이즈원 활동까지 포함해 일본 연예계 활동 경력이 매우 길고 익숙한 얼굴이고 김채원도 아이즈원 활동 당시 일본에서 꽤 얼굴을 비췄고 일본인 멤버인 카즈하까지 있다지만 르세라핌은 최근에서야 부랴부랴 일본에서 프로모션을 진행하는 일본 입장에서 보면 쌩 신인 그룹이 바로 연말 무대에 나온다고 하는 것과 다름없었다. [44] 또한 한국인이 없는 그룹이지만 한국 연예기획사인 JYP에서 관리하는 NiziU까지 출연했다. 이 경우 2020년, 2021년에 이은 세 번째 출연이었다. [45] NiziU, JO1, INI [46] 홍팀 소속이 아니라 특별 게스트(!)로 출장했다. [47] 생방송에 출연하기 했으나 무대는 사전 녹화로 진행했다. 사녹은 73년간 Mr.Children, 아무로 나미에에 이어 3번째이다. [48] JYP 엔터와 소니 뮤직 재팬이 공동 기획한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 Nizi Project를 통해 결성되었고 결성 이후 JYP 엔터에 소속되어 한일 양국에서 활동 중이다. 한국인 멤버는 없다. 이번 출연으로 4회 연속 출장을 달성하게 되었다. [49] CJ ENM이 일본에서 세운 라포네 엔터테인먼트 소속으로 CJ ENM 오디션 프로그램 ‘프로듀스 101 재팬’을 통해 결성됐다. 또한 전원 일본인으로 구성된 그룹이지만 현지에서 K-POP 장르의 그룹으로 분류된다. [50] 리더 수빈의 컨디션 난조에 의한 일시적 활동 중단으로 4인조 출전. [51] 다만 애니송 가수로서의 출연보다는 1994년 오리콘 차트 싱글 3위에 여성가수 최초 투밀리언 달성라는 기록 때문에 출연했다고 보는 게 맞다. [52] 실제 출연은 Ado이다. [53] 작년에도 등장은 하였으나 우타 이름으로 출연했다. [54] 90년대에 활동한 쟈니스 사무소 아이돌. 표절로 논란을 빚은 룰라의 천상유애의 원곡을 부른 가수이기도 하다. [55] 특히 일본에 잦은 지진, 화산폭발 등 [56] 당시 에비사와 회장은 "NHK 색채를 강하게 드러내고 싶다."는 의향이 강했다. [57] 참고로 상술한 것처럼 1회는 남아있는 사진이 전무하나, 2회부터는 당시 무대를 담은 사진이 남아 있다. [58] 물론 1958년까지는 VTR도 없었기 때문에 방영 당시에도 녹화 자료를 남길 수가 없었다. [59] 5회부터 7회까지의 녹음은 음성 일부가 잘렸다. 전편의 녹음이 남은 가장 오래된 홍백가합전은 제8회(1957년)이다. [60] 17회, 18회, 20회. 물론 이들은 컬러 무대 사진은 물론 흑백 영상도 온전히 남아있어 당시 현장을 간접적으로나마 접할 수 있다. [61] 19회, 21회, 22회 [62] 뜨거운 형제들에서 사이먼 도미닉이 받은 출연료가 회당 70만 원이었다고 한다. [63] 1976-78년, 1980년의 홍백가합전 스테이지는 KBS가 열린음악회나 가요대축제에서 재현해도 원조랑 느낌이 다를 것이다. [64] 지휘자와 비슷하지만 더 상위 개념으로 볼 수 있다. 재즈의 빅 밴드 형식이며 리더와 연주자도 겸하는 보직. 기본적인 통솔 인원 수는 지휘자보다 적지만 때로는 그에 버금갈 정도로 많은 인원을 통솔해야 할 수도 있다. [65] 베스트셀러가 된 덕분에 3부작으로 나왔지만 이후의 것들은 그리 잘 팔리지 않았다. [66] 마이크도 1983년 이후부터 무선으로 대체하는 추세였다. NHK는 1980년부터 1985년까지 금 유선 마이크를 사용했으나 1986년부터 완전 무선 마이크로 전환했다. [67] 유튜브 등에서 1970~80년대 초 노래 잘 부른다던 일본 가수들의 스튜디오 라이브 영상을 찾아보면 대부분 이 프로그램의 녹화본이 올라왔을 정도이다. [68] 홍백가합전도 빅 밴드 연주로 1990년 제41회까지 하다가 1991년 제42회부터 녹음 반주, MR을 쓰기 시작하면서 사실상 빅 밴드로 하는 라이브 연주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69] MBC는 처음부터 12월 31일에 방송하지 않았고 1979년 10.26 사건을 계기로 10월 마지막 주 토요일에 열렸던 것을 12월 31일로 연기되면서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1989년에는 전두환의 국회증언 관계로 행사는 12월 31일에 열리고 다음날인 1월 1일에 녹화방송되었다. [70] 1990년을 제외하고 1981년부터 2012년까지 매년 12월 30일에 열렸다. [71] 한국도 포함해서 송출하고 있다. 녹화방송이 아닌 일본 현지 생방송 거의 그대로 송출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