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3 12:19:38

호위함/계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호위함
전투수상함의 계보
고속정/계보 초계함/계보 호위구축함/계보 호위함/계보 구축함/계보 순양함/계보 중순양함/계보 순양전함/계보 전함/계보

1. 개요2. 미국 호위함의 계보3. 대한민국 호위함의 계보4. 일본 호위함의 계보
4.1. PF(Patrol Frigate; 초계호위함)4.2. DE(Destroyer escort; 호위구축함)
5. 관련 문서

1. 개요

일본의 호위함은 이 항목에서 제외한다. 기본적으로 일본은 영문으로 FF(호위함)이란 표기를 쓴 적이 없다. 일본은 모든 전투수상함을 호위구축함이나 호위함으로 통칭한다. 항공모함급이나 헬기항모 마저 호위함으로 명명했지만 정작 영문표기로는 호위함(FF)란 등급을 쓴 적이 거의 없다. 계보는 선도함이나 후속함을 역추적하여 표기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1]

2. 미국 호위함의 계보

진수/취역 시기 함급 만재배수량 종류(군함 등급)
1942년 12월 7일(초도함) 진수 에바츠급 호위구축함(DE/K) 1,360톤 호위구축함
1943년 1월 9일(초도함) 진수 버클리급 호위구축함(DE/APD/K) 1,740톤 호위구축함
1943년 9월 26일(초도함) 취역 캐논급 호위구축함(DE/PS/PF) 1,620톤 호위구축함
1943년 4월 10일(초도함) 취역 에드솔급 호위구축함(DE/PF) 1,590톤 호위구축함
1943년 10월 14일(초도함) 진수 루더로우급 호위구축함(DE/APD) 1,770톤 호위구축함
1944년 3월 31일(초도함) 취역 존 C. 버틀러급 호위구축함(DE) 1,773톤 호위구축함
1945년 9월 2일: 제2차 세계 대전 종료
1954년 6월 3일(초도함) 취역 딜리급 호위구축함(DE) 1,907톤 호위구축함
1959년 2월 10일(초도함) 취역 클로드 존스급 호위구축함[2](DE) 2,000톤 호위구축함
1963년 6월 15일(초도함) 취역 브론스테인급 호위함(FF) 2,960톤 호위함
1964년 12월 21일(초도함) 취역 가르시아급 호위함(FF) 3.400톤 호위함
1966년 3월 12일(초도함) 취역 브룩급 호위함(FFG)(가르시아급 파생형) 3,426톤 호위함
1969년 4월 12일(초도함) 취역 녹스급 호위함(FF) 4,260톤 호위함
1977년 12월 17일(초도함) 취역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 호위함(FFG/F/PFG) 4,200톤 호위함
2008년 11월 8일(초도함) 취역 프리덤급 연안전투함(LCS) 3,000톤 연안전투함
2010년 1월 16일(초도함) 취역 인디펜던스급 연안전투함(LCS)(프리덤급과 동시기에 진행) 3,104톤 연안전투함

3. 대한민국 호위함의 계보

진수/취역 시기 함급 만재배수량 종류(군함 등급)
1945년 9월 2일: 제2차 세계 대전 종료
1950년 10월 23일 (인도받음) PF-61 두만함( 타코마급 호위함)(PF)/USS Muskogee (PF-49) 2,415톤 호위함 (최초의 국내 도입 호위함)
1950년 10월 23일 (인도받음) PF-62 압록함( 타코마급 호위함)(PF)/USS Rockford (PF-48) 2,415톤 호위함
1951년 10월 9일 (인도받음) PF-63 대동함( 타코마급 호위함)(PF)/USS Tacoma (PF-3) 2,415톤 호위함
1951년 10월 5일 (인도받음) PF-65 낙동함( 타코마급 호위함)(PF)/USS Hoquiam (PF-5) 2,415톤 호위함
1952년 9월 4일 (인도받음) PF-66 임진함( 타코마급 호위함)(PF)/USS Sausalit (PF-4) 2,415톤 호위함
1963년 5월 16일 (인도받음) DD-911 충무함( 플레처급 구축함)(DD)/USS Erben (DD-631) 2,500톤 구축함[3]
1968년 4월 27일 (인도받음) DD-912 서울함( 플레처급 구축함)(DD)/USS Halsey Powell (DD-686) 2,500톤 구축함
1968년 11월 15일 (인도받음) DD-913 부산함( 플레처급 구축함)(DD)/USS Hickox (DD-673) 2,500톤 구축함
1981년 1월 1일(초도함) 취역 울산급 호위함 (FF) 2,350톤 호위함 (최초의 국산 호위함)[4]
2013년 1월 17일(초도함) 취역 인천급 Batch-1 호위함 (FFG) 3,251톤 호위함
2016년 6월 2일(초도함) 진수 대구급(인천급 Batch-2) 호위함 (FFG) 3,593톤 호위함
배수량, 함대에서 차지하는 비중, 함의 이름으로 볼 때 2,000톤급의 울산급이 플래처급의 동급 후계함으로 보인다.

4. 일본 호위함의 계보


일본은 기본적으로 모든 전투수상함을 자국중심으로 표기할 때 호위함으로 명명하였다. 하지만 정작 제일 중요한 함번의 분류 코드에는 호위함이란 등급을 쓴 적은 거의 없다. 굳이 비교하자면 호위구축함을 호위함에 준하는 체급으로 상정하여 비교할 수 있다. 하지만 일본은 (FF)란 명칭을 한번도 사용한 적이 없기에 이것 또한 애매하다. 그러므로 이 항목에서는 일본의 전투수상함들을 제외한다.

4.1. PF(Patrol Frigate; 초계호위함)

PF(Patrol Frigate)를 초계호위함 정도로 번역한다면 단 한척을 호위함으로 사용한 적이 있다. 하지만 이것은 매우 일시적이고 예외적인 사건이다. 전후 미국은 단 한척의 USS Ogden(PF-39)를 일본에 양도한다. 이것은 타코마급 호위함으로 호위함과 초계함, 구축함의 함급이 아직 정착이 안되고 뒤죽박죽 하던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에 Frigate(프리킷 또는 호위함, 초계호위함)으로 불렸던 함정이다. 이것을 해자대는 JDS Kusu (PF-281)로 재명명하였으며 1953년 1월 14일에 미국으로부터 인도받는다. 미국은 구축함이나 호위함을 구분할 때 제2차 세계 대전 또는 전후시기의 명명법과 구분하기 위해서인지 DD, FF, SS 등으로 중요명칭을 중복하여 기재하였다. 영문위키백과의 호위함 항목에 따르면 미국은 초기 PF(Patrol Frigate)에 해당하는 함선들을 PG(Patrol Gunboat: 초계포함)로 불렀다고 한다. 하지만 등급 재정립을 통하여 PG에 해당하는 함선들을 PF(Patrol Frigate)로 수정하였다고 한다. 일본은 유일한 호위함(PF: Frigate)이였던 JDS Kusu (PF-281)를 1976년 1월 14일에 퇴역시킨다.

파일:wF1a27j.jpg
USS Peoria (PF-67)/ 타코마급 호위함, 1945년 6월
진수/취역 시기 함급 만재배수량 종류(군함 등급)
1953년 1월 14일(인도받음) 타코마급 호위함 USS Ogden (PF-39)[5]/JDS Kusu (PF-281) 만재: 2,415톤(기준: 1,284톤) 호위함

다음은 일본이 전후 사용한 구축함(영문 함수 코드) 등급이다.
일본이 사용한 군함 등급
영문 함수 코드 영문 해석 해당 군함
DDH Helicopter Destroyer 헬기 구축함 이즈모급, 휴우가급, 시라네급
DDG[6] Guided Missile Destroye 방공 구축함 아타고급, 공고급, 하타카제급
DD Destroyer 구축함 아키즈키급, 다카나미급, 무라사메급, 하츠유키급, 아사기리급
DDA All Purpose Destroyer 다목적 구축함
DDK Anti Submarine Destroyer 대잠 구축함
DE Destroyer Escort 호위구축함 아부쿠마급
PF Patrol Frigate 초계함, 초계프리킷, 초계호위함, 호위함, 일부 약어집에서는 Corvette( 콜벳) JDS Kusu (PF-281)
PG Patrol Gunboat 고속정, 초계정, 초계포함 하야부사급 미사일 고속정
SS Submarine 잠수함 소류급, 오야시오급
MHS Ocean Minehunters/Minesweepers 대양 기뢰함
MHC Coastal Minehunters/Minesweepers 연안 기뢰함
LST Tank Landing Ship 전차상륙함 오오스미급
미해군의 함선 명칭
Frigates/Corvettes (프리깃함; 호위함/코르벳함)
F/FF Frigate. 프리깃(호위함)
FFG Guided Missile Frigate 유도 미사일장착 프리깃(호위함)
FFH Frigate with an assigned Helicopter 할당된 헬리콥터가 있는 프리깃(호위함)
FFT Reserve/Training Frigate 비축/훈련 프리깃(호위함)
PE Patrol Escort 호위순찰함
PF Corvette 코르벳(초계함)
PFG Guided Missile Corvette 유도 미사일장착 코르벳(초계함)
PFR Radar Picket Corvette 레이더 감시 코르벳(초계함)
1940년 - 1945년, 미해군의 다른 약어집[7][8]
Frigate PF
Gunboat PG
River Gunboat PR
Converted Yacht PG
Smaller Converted Yacht PY
Coastal Yacht PYc
Escort Patrol Craft PCE
Eagle Boats PE
Patrol Craft, Sweepers PCS
Motor Gunboats PGM
Motor Torpedo Boats PT
Motor Boat Submarine Chasers PTC

4.2. DE(Destroyer escort; 호위구축함)

진수/취역 시기 함급 만재배수량 종류(군함 등급)
1945년 9월 2일: 제2차 세계 대전 종료
1955년 6월 14일(인도 받음) 캐논급 호위구축함 USS Amick (DE-168)[9]/JDS Asahi (DE-262) 1,646톤 호위구축함
1955년 6월 14일(인도 받음) 캐논급 호위구축함 USS Atherton (DE-169)[10]/JDS Hatsuhi (DE-263) 1,646톤 호위구축함
1956년 5월 31일(재취역) 와카바(DE-261) 호위구축함[11] (DE) 1,580톤 호위구축함
1956년 3월 20일(초도함) 취역 아케보노(DE-201) 호위구축함[12] (DE) 1,372톤 호위구축함
1955년 8월 4일(초도함) 취역 이카즈치급 호위구축함[13] (DE) 1,097톤(기준배수량) 호위구축함
1961년 7월 29일(초도함) 취역 이스즈급 호위구축함[14] (DE) 1,727톤 호위구축함
1971년 5월 20일(초도함) 취역 지쿠고급 호위구축함[15] (DE) 1,829톤 호위구축함
1981년 3월 28일(초도함) 취역 이시카리(DE-226) 호위구축함[16] (DE) 1,600톤 호위구축함
1983년 3월 18일(초도함) 취역 유바리급 호위구축함[17] (DE) 1,750톤 호위구축함
1989년 12월 12일(초도함) 취역 아부쿠마급 호위구축함 (DE) 2,900톤 호위구축함
2021년 이후 예정 모가미급 호위구축함 (DE) 5,500톤 호위구축함

일본의 호위구축함을 호위함에 포함시킨다면 일본의 호위함의 또 다른 개념은 상위와 같다. 단 상위의 계보에는 타코마급 호위함은 제외되어 있다. 와카바(DE-261)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 제국의 개발한 구축함이었다. 일본의 구축함은 TBD(torpedo-boat destroyer; 어뢰정 구축함)의 계승개념에서 출발하여 배수량이 1,000 ~ 3,000톤이 대부분이었으며 서방세계 개념 보다 하위체급의 함선이었다. 대부분의 전투수상함이 파괴되거나 몰수 된 일본에서 마지막까지 남아있던 것은 이 와카바급 구축함이었다. 일본은 이 와카바 구축함을 호위구축함으로 재명명한다. 그 이유는 전쟁이 끝난 후 미국으로부터 호위구축함( 캐논급 호위구축함)을 도입하였기 때문이다. 캐논급과 비슷한 배수량과 미국으로부터 도입한 새로운 개념에 맞추기 위해 와카바는 구축함(D)에서 호위구축함(DE)이 되었다. 사실 미국의 호위구축함 개념도 지금의 호위함과 다를바는 없다. 일본이 패망한 후 단 한척만이 해자대에 남은 이 전투수상함은 당시 해자대에서 가장 큰 배였다. 나머지는 중화민국 소련이 가져갔다. 원래 호칭은 마츠급 구축함이다. 일본제국의 구축함은 군함 중 최하등급으로 초계함이나 호위함과 비슷한 위치였다. 그 바로 아래 등급은 현대의 고속정이나 고속함과 비슷한 체급인 어뢰정이었으며 대부분 500톤급이었다. 마츠급의 건조시기는 1943년 ~ 1945년이다. 총 18척이 건조되었다. 자매함인 타치바나급 구축함도 14척이 건조되었다. 전후 일본에 1척만 남은 마츠급은 JDS Wakaba (DE-261) 호위구축함으로 불리었으나 최초 이름은 IJN Nashi(나시) 구축함이였다. 최초 취역은 전쟁 말기(미국이 마닐라를 탈환한 시기)인 1945년 3월 15일이다. 계보상 와카바급은 캐논급 이후 호위구축함으로 재취역하였기에 캐논급이 상위에 있다. 일본은 1950년대 아케보노(DE-201) 이카즈치급 호위구축함을 개발하여 취역시킨다. 다시 1960년대에는 이스즈급 호위구축함을 취역시켰으며 1970년대 초에 지쿠고급 호위구축함을 취역시킨다. 1980년대 역대 최고인 3종류의 호위구축함을 개발하고 취역시킨다. 그 주인공들은 이시카리(DE-226), 유바리급 호위구축함, 아부쿠마급 호위구축함이다. 이 중 아부쿠마급은 최초로 만재 2,000톤이 넘어가는 호위구축함으로 현재까지 취역하고 있다. 일본웹과 밀리터리계에서는 2021년 이후 새로운 3,000톤급 호위구축함이 취역한다는 소문이 돌고있다.

5. 관련 문서


[1] 영문위키백과 중심으로 추적 [2] Claud Jones-class destroyer escort [3] 미국이 2차세계대전 당시에 사용할때는 구축함으로 사용했지만 대한민국 국군으로 공여된 이후 서울함, 부산함과 함께 호위함으로 사용. 그래서 구축함/계보와 중복. [4] 광개토대왕급(KDX-I) 구축함 이후로 신형 구축함이 배치되기 이전에는 사실상 구축함으로 취급받으면서까지 주력 기함으로 사용. [5] USS Ogden (PF-39) 기준 1,284톤 [6] http://en.wikipedia.org/wiki/Guided_missile_destroyer [7] http://fas.org/man/dod-101/sys/ship/names.htm [8] http://ww2db.com/other.php?other_id=35 [9] USS_Amic [10] USS_Atherton [11] JDS_Wakaba, 일본위키 자료: 만재 1,580톤, 기준 1,350톤/영문위키 자료: 기준 1,250톤 [12] JDS_Akebono [13] http://en.wikipedia.org/wiki/Isuzu_class_destroyer_escort [14] http://en.wikipedia.org/wiki/Isuzu_class_destroyer_escort, 영문위키는 만재 1,727톤 [15] http://en.wikipedia.org/wiki/Chikugo_class_frigate, 영문위키는 만재 1,829톤 [16] JDS_Ishikari, 영문위키는 1,450톤/일본위키 자료는 1,600톤 [17] http://en.wikipedia.org/wiki/Yubari-class_destroyer_escort, 영문위키는 1,690톤/일본위키 자료는 1,750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