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23 02:05:23

호류지

호류사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문화유산
1993년

호류지 지역의 불교 기념물
法隆寺地域の仏教建造物
1993년

히메지 성
姫路城
1994년

고대 교토의 역사 기념물
古都京都の文化財(京都市、宇治市、大津市)
1995년

시라카와고 고카야마
역사 마을
白川郷・五箇山の合掌造り集落
1996년

히로시마 평화 기념관
(원폭 돔)

原爆ドーム
1996년

이쓰쿠시마 신사
厳島神社
1998년

고대 나라의 역사 기념물
古都奈良の文化財
1999년

닛코의 신사와 사찰
日光の社寺
2000년

류큐 왕국의
구스쿠 유적지와 관련 유산

琉球王国のグスク及び関連遺産群
2004년

기이 산지의 영지와 참배길
紀伊山地の霊場と参詣道
2007년

이와미 은광과 문화 경관
石見銀山遺跡とその文化的景観
2011년

히라이즈미
: 불교 정토 사상을 대표하는 사찰, 정원, 고고 유적군

平泉 - 仏国土(浄土)を表す
建築 ・ 庭園及び考古学的遺跡群
2013년

후지 산
: 성스러운 장소 그리고 예술적 영감의 원천

富士山 - 信仰の対象と芸術の源泉
2014년

토미오카 제사 공장과 관련 유적지
富岡製糸場と絹産業遺産群
2015년

일본의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
: 철강, 조선 및 탄광

明治日本の産業革命遺産: 製鉄・製鋼、造船、石炭産業
2016년

르 코르뷔지에의 건축 작품
: 모더니즘 운동에 관한 탁월한 기여

ル・コルビュジエの建築作品
- 近代建築運動への顕著な貢献
2017년

신이 사는 섬
무나카타 오키노시마와 관련 유산군

「神宿る島」宗像・沖ノ島と関連遺産群
2018년

나가사키 지역의
은둔 기독교 유산

長崎と天草地方の潜伏キリシタン関連遺産
2019년

모즈·후루이치 고분군
: 고대 일본의 무덤
百舌鳥・古市古墳群 - 古代日本の墳墓群
2021년

홋카이도 · 북도호쿠의 조몬 유적군
北海道・北東北の縄文遺跡群
자연유산
1993년

야쿠시마
屋久島
1993년

시라카미 산지
白神山地
2005년

시레토코
知床
2011년

오가사와라 제도
小笠原諸島
2021년

아마미 오시마, 도쿠노시마,
오키나와섬 북부와 이리오모테
奄美大島、徳之島、沖縄島北部及び西表島
}}}}}}}}} ||

아스카 시대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bd0029> 역사 <colcolor=#000,#fff> 다이카 개신 | 다이호 율령
국가원수 천황
행정구역 나라현( 아스카쿄 | 후지와라쿄) | 고키시치도
문화 사천왕사 | 아스카사 | 호류지( 호류지 금당벽화)
종교 신토
인물 쇼토쿠 태자 | 오노노 이모코 | 소가노 우마코 | 소가노 에미시
}}}}}}}}} ||

파일:6CD64272-AC03-4ED4-A3BE-EF70DD788F10.jpg
유네스코 세계유산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흰 배경).svg
이름 한국어 호류사 지역의 불교기념물
영어 Buddhist Monuments
in the Horyu-ji Area
일본어 法隆寺地域の仏教建造物
프랑스어 Monuments bouddhiques
de la région d'Horyu-ji
국가·위치 일본 나라현
등재유형 문화유산
등재연도 1993년
등재기준 (i)[1], (ii)[2], (iv)[3], (vi)[4]
지정번호 660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가람(伽藍)배치와 건축물
3.1. 유메도노(몽전)3.2. 양식3.3. 가구법
4. 소장 문화재 5. 찾아가는 길6. 기타7.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나라현에서 올린 호류지 설명 영상
[ruby(法, ruby=ほう)][ruby(隆, ruby=りゅう)][ruby(寺, ruby=じ)] / Hōryū-ji / 법륭사

일본 나라현 이코마군 이카루가정에 위치한 사찰이며, 일본 성덕종(聖徳宗)의 총본산이다.

창건시기는 607년이라 알려져 있으며, 서원(西院)은 현존하는 세계 최고(最古), 즉 가장 오래된 목조 건축물이다. 시텐노지와 함께 백제 목조 건축 양식의 영향을 받은 건물로 여겨지고 있다.[5]

일본의 아스카 시대를 상징하는 아스카 양식의 대표작으로, 호류지의 건축물은 호키지(法起寺)[6]와 함께 1993년에 "호류사 지역의 불교기념물"로서 일본 최초의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록되었다.

2. 역사

파일:attachment/Horyu-ji01.jpg

호류지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사찰이자 목조 건축물이지만, 역사적으로는 아스카데라가 일본 최초의 절이다. 호류지는 쇼토쿠 태자가 만든 오사카 시텐노지가 세워진 뒤 역시 쇼토쿠 태자가 명을 내려 20년 후인 607년에 세웠다고 한다. 다만 창건 시기에 대한 확실한 기록은 없고, 당시 쇼토쿠 태자 나이가 너무 어리기 때문에 실제로 그가 건설을 명했다고 믿기는 어렵다.

단지 금당[7]의 히가시노마(東の間)[8]에 안치된 동조약사여래좌상의 광배명(光背銘)에 " 요메이 덴노(用明天皇)가 스스로 병 구완을 위해 가람 건립을 발원했으나, 그가 얼마 안 가 사망했기 때문에 유지를 받든 스이코 덴노와 쇼토쿠 태자 스이코 덴노 15년 (607년), 다시금 불상과 절을 완성했다." 하는 기록이 있을 뿐이다. 아무튼 이때 세워진 호류지는 당시의 지역명에서 따온 이카루가노데라(斑鳩寺)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했다.

일본서기에는 창건 기록이 없으며, 27권에 " 덴지 덴노 9년(670) 4월 밤에 일어난 화재로 호류지는 한 채도 남김없이 소실되었다."[9] 하는 기록만 있다. 이 때문에 현재 호류지의 건축물은 670년 이후에 재건된 것으로 추정한다.

실제로 현재의 호류지 가람 남동쪽 가까운 곳에서 가람터가 발견되었다. 즉 원래의 호류지가 화재로 소실되자 그 터를 비우고, 거기서 서북쪽 가까운 곳에 지금의 호류지를 새로 새운 것이다. 참고로 원래의 호류지 가람 배치는 먼저 지어졌던 시텐노지처럼 정문과 탑, 금당이 일렬로 되어 있는 시텐노지식이었었다.

이후 호류지는 많은 보수와 개축을 거치긴 했어도 1300년 동안 살아남았다. 그러나 1949년에 금당 건물을 해체보수하며 벽화를 수리하던 중 화재가 일어나 금당 내부의 표면이 타버리는 불상사가 일어났고, 벽화가 상당 소실되었다. 다행인 점은 해체보수를 위해 금당의 2층 부분의 목재들과 불상 등은 다른 곳으로 이동했다는 것. 이후 1950년부터 1954년 동안 복구공사를 거쳐 지금의 모습이 되었다.

3. 가람(伽藍)배치와 건축물

호류지는 금당과 5층 목탑이 있는 서원(西院)과 유메도노( 몽전)가 있는 동원(東院)으로 나뉘어 있다. 서원은 1탑 1금당식이며, 이는 전형적인 백제식 가람배치와는 좀 다르다. 먼저 지어졌던 백제양식가람(百濟樣伽藍)의 대표적인 예인 시텐노지는 정문과 탑, 금당이 일렬로 되어 있어 일본에서는 시텐노지식이라는 용어로 구별하고 있다. 호류지의 가람배치는 동전서탑(東殿西塔)이며, 현존하는 중국과 한국의 사례가 없어 과거에는 일본 고유의 식이라고 파악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후 고려~조선시대의 사찰 보제사( 연복사)의 옛 터를 조사해보니 역시 동전서탑 배치였다.

파일:attachment/Horyu-ji03.jpg
가람배치

호류지의 금당 건물은 정황이나 기록상 백제의 목조 건축 양식을 상당부분 받아들였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호류지에 쓰인 난간의 人자형 대공, 하앙의 사용과 배치, 卍자형 난간 등의 특징적인 부분들은 백제나 삼국시대 유물과도 일치하는 점이다. 이 외에도 배흘림( 엔타시스) 양식 기둥 등 역시 한국 건축의 특징과 유사하다.

5층 목탑은 길게 빠진 처마의 우아함이 돋보이며, 이후 일본 목탑의 전형이 된다. 이 역시 인(人)자형 대공와 하앙이 사용되었다. 이 목탑의 구조 중심에는 거대한 심주가 있는데, 히메지 성의 심주와는 다르게 탑을 지탱하고 있지는 않는다. 심주는 탑 꼭대기에 있는 금속 장식인 철반을 지지하기 위함이고, 탑은 다른 작은 기둥들과 공포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또, 이 목탑은 사람이 올라갈 수는 없다. 높이는 31.5m이며, 위로 갈수록 조금씩 작아진다. 체감률이 크기 때문에 5층은 1층의 면적의 절반이다. 1층 처마 밑에 한층 낮게 덧댄 차양 부분은 그 양식을 봤을 때 금당에 있는 것보다 더 뒤의 시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파일:attachment/Horyuji.jpg

호류지의 금당과 목탑 뒤에는 강당이 있지만, 670년 이후에 재건되었던 강당은 또 벼락으로 인해 소실되었으며 지금의 것은 990년에 재건된 것이다. 앞에 있는 중문은 7세기 건물이다. 중문 안에는 양쪽에 금강역사상(金剛力士像)이 서 있는데, 이는 8세기의 것이다. 중문도 금당과 양식이 유사한데, 구조가 유사하긴 하지만 똑같지는 않다. 대문 중앙에 기둥이 있는 것은 상당히 드문 모습이다.

호류지 금당과 목탑 등이 1300년 이상을 버틸 수 있었던 이유 중에는 재료와 가공방법이 매우 좋았다는 점도 있다. 일본의 우수한 목재인 히노끼를 썼으며, 가공 방법 역시 재료를 낭비하더라도 목재가 최대한 변질되지 않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지금은 호류지의 단청이 거의 남아있지 않지만, 과거에는 불교 건축물답게 단청이 있었던 듯하다. 기둥 등 나무표면은 주홍색을 사용하였으며, 난간에는 녹청색, 부재의 단면은 황토색, 벽은 백색, 개판[10]은 호분색[11]을 사용하였다. 또한 실내는 벽화 등으로 화려하게 장식했다.

3.1. 유메도노(몽전)

호류지 탑과 금당이 있는 서원가람과는 다른 곳인 동원에 있다. 몽전은 당나라 건축의 영향을 받은 건물로 파악되지만, 불상은 백제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파악된다. 자세한 것은 몽전 문서 참고. 참고로 몽전 문서는 호류지 문서가 작성되기 한참 전부터 존재하고 있었다.

3.2. 양식

당시 백제와 일본의 교류 정황상 이 절은 백제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고 판단할 수 있는데, 실제로 백제 유물로 발견된 청동소탑편[12]에서 보이는 모습과 호류지 건축물의 부분이 일치하는 점이 있다.

아래로 부재를 내려 지붕을 받치는 하앙(下昻) 방식을 썼으며, 하앙을 받치는 공포(拱包)의 배치도 건물의 모서리에서 대각선 한 방향만 포를 내미는 점에서 청동소탑편과 비슷하다. 앞서 말했던 배흘림기둥도 그렇다. 이쪽은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등으로 익숙한 요소다. 참고로 오랜 기간 동안 한국에 현존하는 건축물 중에서 하앙을 사용한 건축물이 없는 줄 알았기에 하앙 구조가 한반도를 거치지 않고 바로 중국에서 일본으로 바로 수입되었다는 주장도 존재했었지만 1976년에 화암사 극락전이 이 하앙구조를 가지고 있는 건물임이 확인되었다.[13]

또한 호류지보다 앞서 지어진 아스카데라의 기와 유물들은 부여 등에서 출토된 기와와 무늬가 거의 비슷하다. 호류지의 기와는 아스카데라와는 좀 다르지만, 전반적인 형상이 유사해서 아스카데라의 것을 기반으로 발전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아직 한국에서 찾아볼 수 없는 모습도 많다. 호류지 금당과 탑에서 사용된 구름모양의 공포[14]는 한국에서 발견된 적이 없는 모습이다. 고구려 고분 벽화나 청동소탑편 등에서 어느정도 유사한 부재를 찾아볼 수 있어 영향을 짐작할 수는 있지만, 같지는 않아 확실하게 말할 수는 없다.

그리고 서까래의 배치도 한국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모습이다. 한국 건축물은 서까래가 모서리로 갈수록 각도가 변하면서 대각선 형상이 되는 선자연 기법을 사용하고 있지만, 일본의 서까래 배치는 평연과 선자연이 섞여 있다가 고대~중세를 지나던 중 점차 선자연이 사라지고 같은 각도로 평행해서 배치된 평연 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15] 그리고 역시 한국에서는 부연 빼고는 찾아볼 수 없는 각진 모서까래를 사용하고 있다.[16]

호류지 금당과 탑의 서까래는 일본에서만 많이 사용된 모서까래를 평행하게 배치한 수법이다. 이것이 후대에 고쳐진 것이라고 할 수도 없는 것이 다마무시노즈시(옥충주자: 玉蟲廚子)라는 호류지의 소장품 때문이다. 이것은 7세기에 만든 듯한 불상궤로, 상당히 정교한 건물 지붕의 모습을 묘사하였다. 그런데 이 옥충주자의 전체적인 모습은 호류지 금당과 유사하고[17] 서까래는 완전한 평연으로 묘사되고 있는 것. 따라서 호류지가 중건된 시점부터 평연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게다가 백제의 건축 양식이 평연인지, 아니면 호류지에서 평연이 특별하게 사용된 것인지 확실한 답을 알기 어렵다.

이 외에도 독특한 내부의 가구 구조 등은 중국과 한국에 삼국시대 즈음의 건물이 현존하지 않아 비교할 대상조차 없다. 건축 재료가 한국에서 자생하지 않는 히노끼라는 점도 일본 현지에 맞춰 건축되었을지도 모른다는 점을 시사한다. 일본은 자연 환경상 우수한 목재를 얻기 쉬워 서까래까지 좋은 목재를 쓰기 용이했고, 그에 따라서 지붕 하중을 추녀에 집중되게 받는 서까래 배치인 선자연보다는 좀 더 서까래가 하중을 나눠 받는 배치인 평연을 사용하기가 용이했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호류지 금당과 탑은 백제 건축 양식 영향을 강하게 받은 것 같지만 100% 백제 양식 그대로라고 판단할 수는 없다. 세월이 흐르며 보수, 중건 등을 거치며 일본식으로 변형된 부분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3.3. 가구법

앞서 말했듯이 목탑의 체감률은 큰데, 그렇게 만들기 위해 2층과 3층의 공포를 구성할 때 첨차와 구름형태인 소로를 1층보다 작은 것을 사용하고, 4층에서는 인접한 첨차를 연결하고 1개 소로를 공용했다. 이러한 자유로운 방식은 후대의 목탑에서는 볼 수 없는 것이며, 나쁘게 말하면 고대 건축의 미숙함이지만, 좋게 말하면 건축이 규격화되기 전의 자유분방함이라고도 추측해볼 수 있다.

금당 또한 기둥 높이가 전부 똑같고 대들보가 없다. 이는 대량식 구조를 주로 채용했던 후대의 중국이나, 한국 건축물들과는 전혀 구조가 다르다. 심지어 이후의 일본 건축과도 좀 다르다. 얇은 목제로 지붕 등을 구축하는 수법 등은 훗날의 구조에 영향을 준 듯하지만 말이다. 이 외에도 포나 기둥과 보의 결합 등이 견고하지 않다. 아마도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건축물답게 기술적으로는 좀 미숙한 면이 좀 남은 듯하지만, 670년에 복원된 건물이므로 누군가가 처음과 다르게 내부구조를 재건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그리고 이러한 방식은 2층에 있어서 기둥의 배치가 자유로워지기에 나름대로 장점도 있다.

파일:attachment/Hotemple.jpg

호류지 금당의 단면. 2층은 일종의 장식으로 사람이 올라갈 수는 없다. 1층의 외각에 있는 낮은 차양 부분이나 2층 지붕 아래 내부에 있는 십자로 교차되는 종횡 목재는 후대에 추가된 것이다.

4. 소장 문화재

일본의 단일 사찰 및 신사중 소장품이 가장 많은 곳이다. 심지어 삼백여 점이 도쿄국립박물관에 이관되었는데도. 자세한 것은 호류지/중요문화재를, 구장품은 도쿄국립박물관/중요문화재 참조.

5. 찾아가는 길

오사카에서 나라로 가는 중간 길목에 위치하기 때문에 도다이지, 사슴공원 등이 있는 나라 관광 일정에 끼워서 방문하기 좋다.

나라에서 출발했다면 JR 나라역에서 난바역방향 야마토지선 열차를 타고 호류지역에서 내리면 된다.

오사카에서 출발했다면 JR 난바역 또는 신이마미야역, 덴노지역에서 나라역 방향 야마토지선 열차를 타고 호류지역에서 내리면 된다. 이후에 북쪽 출구로 나가서 북쪽 큰 길을 따라 직진하면 나온다. 거리는 도보로 약 20분 정도로 살짝 멀긴 하지만 가는 길이 그렇게 복잡하지도 않고 표지판도 있으니 길 잃을 걱정은 없다.

킨테츠 레일패스의 이용자는 츠츠이역 에서 하차하여 역 남서쪽 훼미리마트 건너편 파출소 앞에서 시내버스를 타면 된다.

6. 기타

  • 고구려 담징이 그렸다고 언급되던 호류지 금당벽화가 있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조.
  • 몽전에 봉안된 구세관음보살입상, 통칭 '구세관음상'을 비롯해 여러 비불을 모셨다.
  • 입장료는 성인 1500엔, 12세 미만은 750엔이다.

7. 관련 문서



[1] 인간의 창의성으로 빚어진 걸작을 대표할 것. [2] 오랜 세월에 걸쳐 또는 세계의 일정 문화권 내에서 건축이나 기술 발전, 기념물 제작, 도시 계획이나 조경 디자인에서 인간 가치의 중요한 교환을 반영. [3] 인류 역사의 중요 단계를 예증하는 건물, 건축이나 기술의 총체, 경관 유형의 대표적 사례일 것. [4] 사건이나 실존하는 전통, 사상이나 신조, 보편적 중요성이 탁월한 예술 및 문학작품과 직접 또는 가시적으로 연관될 것. [5] 다만 호류지의 모든 부분이 전부 백제 양식을 따랐다고 볼 수는 없다. 아래 3.2 양식 문단을 보면 알 수 있듯이, 몇몇 디테일한 부분이 백제 양식과 다르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백제의 건축 양식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은 것으로 여겨지기에 삼국시대 건물 재현과 관련하여 우선적으로 연구되는 것이 바로 호류지다. [6] 706년에 세워진 높이 약 24 m 삼층탑이 유명하며, 시기나 양식적으로 호류지의 건물과 비슷하다. 다만 금당과 강당은 수백 년 뒤에 재건한 것이다. 가람배치는 호류지와 비슷하지만, 탑과 금당의 위치가 반대라 호키지식으로 불린다. [7] 부처상이 안치되어 있는 건물이자, 흔히 한국에서는 대웅전(大雄殿)이라고 부르는 건물이다. 그리고 한국사에서도 고대에는 금당이라고 불렀다. 지금도 남아있는 황룡사 금당 치미는 그 흔적이다. [8] 금당 안에서 동쪽에 있는 부분. [9] "夏四月癸卯朔壬申 夜半之後 災法隆寺 一屋無餘 [10] 천장 등에 쓰이는 목판 [11] 흰색이지만, 천연물감이라 일반적인 백색보다 덜 희다 [12] 청동으로 만들어진 탑의 일부분 [13] 현재 국내 유일의 하앙을 사용한 목조 건축이다 [14] 정확히는 운형 첨차, 운형 소로 [15] 사실 선자연 기법이 사라진 이후에도 중국의 건축을 모방해서 지은 일부 불교건축에는 중국식 선자연 기법이 나타나기는 한다. 하지만 선자연 기법이 없어진 시점과 시간 격차가 크고, 중국의 선자연 기법은 한국에서는 마족연이라 부르는 것으로, 선자연과 유사하나 정교함이 떨어진다. 선자연 기법이 쇠퇴한 일본이나 중국에서는 다 선자연으로 싸잡아 부르지만, 선자연 기법이 발달한 한국에서는 건물의 급에 따라 분리해 엄격하게 적용했다. 현존 고건축에서 선자연은 고급 건물에, 마족연은 격이 낮은 건물에서만 사용한다. [16] 물론 한국에 이러한 모습이 없었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일본 외에 중국에서도 드물긴 하지만, 자금성 숭정전에서 이러한 모습을 볼 수 있고, 몽골의 겨울 궁전에도 발견되기 때문이다. 동북아시아에서 일반적인 한 가지 형식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중국과 몽골 그리고 일본에 있다고 한국도 있었으리라 확신할 수는 없다. [17] 구름모양의 공포 모양은 같지만, 배치는 부채꼴 모양으로 휜 점이나 박공지붕의 형태가 다르다는 점 등의 차이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