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9 23:05:12

향아치/의상


{{{#!wiki style="margin:-10px"
파일:향아치_둘러보기_프로필.png 향아치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d2f34> 소개 설정 · 방송 용어 · 연관 방송인 · 방송 특징
방송 기록 2022년 · 2023년 · 2024년
외형 <colbgcolor=#f5f5f5,#2d2f34> 육신 Avatar 최종 · 과거 · 초정밀 · 공식 영정
의상 관복(대례복) · 상복 · 소례복 · 서양식 대례복 · 제복 · 학창의 · 조복 · 조복 · 기타
과거 육신 의상 · 초정밀육신 의상
콘텐츠 식객 · 야외 · 가락 · 대회 · 캠방 · 호짓기 · 명절 · 시참 · 역사 이야기 ( 전반 · 수능 관련 ) · 강의 초청
팬덤 팬덤 캐릭터 · 공식 굿즈 · 규칙
기타 노래 커버 · 기타
}}}}}}}}}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향아치
1. 개요2. 과거 육신
2.1. 짧소대감 물도포
3. 최종육신
3.1. 관복, 대례복(大禮服)3.2. 상복(喪服)3.3. 소례복(小禮服)3.4. 서양식 대례복(大禮服)3.5. 제복(祭服)3.6. 학창의(鶴氅衣)3.7. 조복(朝服)3.8. 기타 의상
4. 초정밀육신
4.1. 기존 관복4.2. 조끼4.3. 물도포4.4. 800만원 관복

1. 개요

  • 향아치의 의상을 서술한 문서이다.
  • 공개 순서 기준으로 정렬하고, 초정밀육신을 문서의 마지막에 둔다.
  • 현격히 사용 용례가 적은 복장의 경우 ‘기타 의상’에 작성한다.

2. 과거 육신

  • 최초육신~짧소대감을 서술한다.
  • 가장 초기엔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006633; border-radius: 3px; padding: 3px 4px"
현록색}}}[1] 대례복을 입었으나, 고증(논문)을 거쳐 평면 육신부터
아청색
대례복으로 교체되었다. 정확하게는 단령의 색이므로 흑색으로 표기한다.
  • '쌍학 흉배'[2]를 사용하며 침향은대(삽은대) → 대모금대(소금대) → 학정대(소금대) → 자색[3] → 침향금대(삽금대)] 순으로 품대가 변화하였다. 도움자료[4]
  • 대례복의 '운문단'[5] 또한 매 육신마다 변하는 편이다. 각 육신의 운문단을 비교해보는 것도 재밌는 포인트이다.

2.1. 짧소대감 물도포

파일:옹심이 나들이복 3면도.png
물도포[6]
  • 2023년 6월 15일, 일본 시찰을 다녀오고 복귀하는 방송에서 공개한 짧소대감의 신의상이다.
  • 도포+ 세조대+ 보터햇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아이템으로 흑애채, 부채, 지팡이가 추가되었다.
  • 처음 방송 때에는 1:9의 가르마를 타고 나왔으나 이후 최종 육신과 유사한 머리[7]로 위와 같이 변경되었다.
  • 옷차림의 조합을 일반적으로 낯설게 느낄텐데, 대감이 살던 1901년에는 서양식 옷차림과 동양식 옷차림이 섞이는 개화기의 시대였으며 위와 같이 양쪽의 옷을 혼재해 입는 방식이 드물지 않았기에 고증에 어긋나지 않는다.
  • 복장의 기초는 대감이 실제 갖고 있고, 야외 방송 중 입고 나온 하늘색 물도포[8]와 일본 여행 중 구매한 보터햇[9]을 반영한 것.

3. 최종육신

3.1. 관복, 대례복(大禮服)


파일:향아치 궁극육신 세부자료.png
  • 2023년 8월 6일 공개된 최종육신의 기본 의상이다. 대례복 혹은 흑단령이라고도 한다.
  • 국립중앙박물관에 가져다 팔아도 될 정도'를 목표로 전문가들의 자문을 받아 30개 이상의 자료를 통해 만들었다. 서울역사박물관과의 야외 방송을 성공한 공로를 인정받아 종2품에서 정2품으로 승계했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이에 따라 품대가 소금대에서 삽금대로 변화하였다.
  • 관복들에도 변화가 생겼는데,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004898; border-radius: 3px; padding: 3px 4px"
아청색}}}의 대례복에서
북청색
[10][* 컬러파레트를 기준으로 값을 뽑자면
#2D3E4E
인 듯하다.]으로 변하였으며, 품대 또한 퀄리티가 높아졌다. 여러 조각들이 무늬가 아닌 양각으로 새겨져 있으며, 앞에는 북두칠성, 뒤에는 남두육성을 새겼다고 한다.
  • 실제 대감이 소유한 것처럼 붉은 술이 달린 호패가 품대 왼쪽 뒤에 새로 추가되었고, 사모의 무늬도 고증[11]에 맞게 모아레 무늬[12]로 변화하였다. 또한 숨구멍과 잠화를 꽂을 수 있는 화공(잠화꽂이)도 고증에 맞추어 추가되었다.

3.2. 상복(喪服)[13]


파일:향아치 상복 3면도.png
  • 2023년 8월 6일, 최종육신과 흑단령이 공개되면서 함께 공개되었다.
  • 백포로 만든 단령이며 사모, 품대, 목화까지 모두 백색으로 바뀌었다.
    • 사실상 기본 옷인 대례복에서 흉배를 빼고 색과 재질만 바꾼 색 놀이 옷이다.
  • 상복은 본래 군주가 붕어하였을 때 입는 옷이기에 그에 준하는 슬픈 일이 있을 때 입는다.

3.3. 소례복(小禮服)

파일:향아치_소례복.png
소례복
  • 2023년 12월 4일 공개되었다.
  • 소례복은 큰 의례가 아닌 작은 의례 때 입는 관복이다.[14]
    • 방송에서 기능상 흉배를 탈부착할 수 있으나, 원래 소례복은 흉배를 떼어놓고 입는다.
    • 대례복에 비해 소매가 좁고 품대가 대례복에 비해 얇으며, 소례복도 대례복과 같은 단령이다.

3.4. 서양식 대례복(大禮服)[15]


파일:향아치_설정표_-_문관대례복_워터.jpg
파일:향아치_설정표_-_문관대례복_워터.png
  • 2023년 8월 31일, 계묘진연 행사에서 공개되었다.
  • 이 의상은 황제가 1900년 4월 17일에 칙령 제14호 문관복장규칙[文官服裝規則], 칙령 제15호 문관대례복제식[文官大禮服制式]을 반포함으로써 무관에 이어 문관도 서양식 제복으로 변경된 것을 반영한 의상이다.
  • 최종 육신 제작과 함께 작업이 되었으나 제작 난이도로 인하여 육신 공개 후 약 한 달 뒤인 8월 31일에 공개되었다.
  • 앞면에는 칙임관 2등이므로 전근화(온전한 꽃) 4개, 반근화(옷 가운데 반으로 갈라진 꽃) 6개를 달고 있다. [착용모습]
  • 착용은 특별한 날[17]에 입을 계획이라고 한다.
  • 여담으로 이 양장형 대례복은 실제로 대한제국에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닌, 외국에서 수입해왔기 때문에 가격도 비쌌으며 생산에도 오래 걸렸다. 그동안 돈이 없어서 단령형을 취했다는 것이 고증을 해치는 부분이 아닌 이유이다.

3.5. 제복(祭服)


파일:향아치 제복 삼면도 (화질 개선).png
  • 2024년 3월 20일, 학창의와 함께 방송 2주년 발표에서 공개되었다.
  • 제복은 관복 중 종묘와 사직에 제사를 지낼때 입는 정복으로, 대한제국 당시의 제복을 반영하여 제작하게 되었다.
  • 내부의 제관의 무늬와, 탕건, 후수[18], 망수[19], 패옥[20] 부분도 재현되어 있다. 본인 말로는 지금까지 3D화 된 제복 중 가장 퀄리티가 높을 것이라고 한다.
  • 제복을 입고 언리얼 엔진을 이용하여 종묘 대제를 재연하는 영상을 비영리로 만들 계획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예고편

3.6. 학창의(鶴氅衣)


파일:향아치 학창의 삼면도 (v2).png
  • 2024년 3월 20일, 제복과 함께 방송 2주년 발표에서 공개되었다.
  • 학창의는 트임이 있는 창의의 일종인 사대부가 일상복으로 입었던 겉옷으로, 예로부터 신선이 입는 옷이라 하여 도사나 학자가 입는 옷으로 인식되어 사대부가 심의 대신 입었다.
  • 깃, 소매부리, 섶 가장자리, 밑단 등에 검은색 선이 둘러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정자관과 안의 탕건, 세조대 또한 재현되어 있다. 안쪽의 옷은 옥색 두루마기이다.

3.7. 조복(朝服)

파일:향아치 조복.png
조복(朝服)
  • 2024년 8월 6일, 생일을 맞아 공개되었다.
  • 조복은 즉위, 절일, 동지 같은 나라의 경사에 입는다.
  • 외형
    • 폐슬, 폐용은 대감 시기에 바탕옷에 기워 부착하는 형태로 변형이 되었다.
    • 금관과 함께 착용한다.

3.8. 기타 의상

  • 루돌프, 해적, 스님 등의 다른 의상을 가끔씩 입기도 한다. 주로 어린이날, 만우절 등 기념일인 경우가 많다.
해적
스님

4. 초정밀육신

4.1. 기존 관복

파일:향아치 리얼육신 경복궁.png 파일:향아치 경희궁 야방룩.png
기존 관복
  • 2022년 11월 19일 경운궁 나들이 야외방송과 서울역사박물관 콜라보 야외방송 때 입었던 옷이다.
  • 2024년 7월 15일~7월 21일 SM 마케팅 브랜드 쏙 스토어와 협력한 팝업스토어에서 전시했다.

4.2. 조끼

파일:향아치 리얼육신 조끼.png
조끼

4.3. 물도포

파일:향아치 물도포.png
물도포

4.4. 800만원 관복

800만원 관복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75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758 ( 이전 역사)
문서의 r1761 ( 이전 역사)


[1] 이해를 위해 방송에서 수박 껍질 색이라고 비유하였다. [2] 문관이자 당상관이기에 쌍학흉배를 사용한다. 무관은 호랑이 흉배, 왕실은 봉황이나 기린 흉배 등 [3] 품대가 당시 유행에 따라 색이 변하였다고 한다. [4] 사실 1900년에 문관복장규칙이 만들어지면서(디자인 도식은 1901년 공개) 관복이 고유의 단령형에서 양장형으로 바뀌었으나, 고증적으로도 양장형과 단령형은 교차해가며 혼용하였기에 두 옷을 바꿔 입어도 고증적으로는 문제가 없다. [5] 전통 구름무늬 [6] 출처 [7] 짧소와 최종 육신의 제작자들이 같은 사람들인 만큼 후에 공개될 궁극 육신의 머리를 미리 적용시켰다고 한다. [8] 파일:향아치 물도포.png [9] 파일:향아치 리얼 보터햇.png [10] 대감이 자문단에게 북청색이 무슨 색이냐고 묻자 '밤하늘 색'이라고만 일관하였다. 과거 조상님들이 자연에서 색을 따온 만큼 어떠한 색을 콕 집긴 힘들며, 밤하늘에 표현된 모든 빛과 그림자의 색을 북청색으로 표현한 듯하다. 즉 밤하늘에 표현된 그라데이션의 모든 색이 북청색이라고 생각하면 될 듯 하다. [11] 대감이 이전에 사용하던 무늬가 새겨진 사모뿔은 조선 초기에 사용하였으며, 이후에는 모아레 무늬로 사모뿔을 만들었다고 한다. [12] 실과 실이 직각 교차되며, 조금이라도 각도가 틀어지면 일렁이는 현상을 조상님들이 '무늬로' 만들었다. 이를 3D로 재현해 낸 석공 曰 "보통 이 현상을 없애려고 노력하는 거 아십니까?"라고 할 정도로 보통 무늬로 쓰지 않는 현상인데, 영정으로 남아있어 재현하려면 어쩔 수 없었다. [13] 출처 [14] 2023년 12월 4일 방송 [15] 출처 [착용모습] 파일:문관대례복 착용모습.png [17] 대례복은 폐하의 생신이나 대한제국의 행사날 같이 폐하가 직접 참여하는 국가 행사 때 입는 옷이다. [18] 뒷면의 8마리 학 자수 부분 [19] 후수 밑부분의 푸른천 부분. 매듭으로 만든 무늬공예 [20] 옆구리의 길게 늘어진 푸른 천 부분. 여러 개의 옥을 연결한 장식품으로, 걸을 때마다 옥이 부딫쳐 소리가 나게 하며 비단으로 가려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