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16 13:32:45

프테라노돈

프테라노돈[1]
Pteranodon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Pteranodon_amnh_martyniuk.jpg
백악기 후기 산토눔절
86,000,000 년 전~84,500,000 년 전
북아메리카
학명
Pteranodon longiceps
Marsh, 1876
분류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미분류 석형류Sauropsida
익룡목Pterosauria
아목 †프테로닥틸루스아목Pterodactyloidea
하목 †에웁테로닥틸루스하목Eupterodactyloidea
계통군 †프테라노돈토이데아Pteranodontoidea
†프테라노돈과Pteranodontidae
프테라노돈속Pteranodon
[[생물 분류 단계#종|{{{#000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Pteranodon_longiceps_mmartyniuk_wiki.png
복원도

1. 개요2. 연구사3. 등장 매체
3.1. 이 익룡을 모티브로 한 캐릭터
4. 여담

[clearfix]

1. 개요

백악기 후기 산토눔절 북아메리카에서 살았던 익룡이며 속명의 뜻은 '이빨 없는 날개'. 머리에 난 기다란 볏이 특징이다.

2. 연구사

파일:external/static.squarespace.com/Pteranodon.jpg
골격도
최초로 발견된 화석은 1870년 미국 캔자스에서 오스니얼 찰스 마시에 의해 발굴된 날개뼈 일부분이었다. 다만 발견 당시에는 프테로닥틸루스의 일종으로 여겨졌는데, 해당 화석과 함께 발견된 거대 육식성 경골어류 크시팍티누스의 이빨 화석을 이 녀석의 것으로 잘못 판단했기 때문이었다. 이후 1876년에 두개골 화석이 발견되고서야 현재의 학명을 부여받아 별도의 속으로 재분류될 수 있었다.

긴 목과 부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몸통을 지녔으나 날개를 활짝 펴면 그 길이가 수컷의 경우 대략 5~6m 정도에 암컷은 그보다 다소 작은 4m 정도에 이를 정도다. 한 거대한 표본의 익장은 6.25~6.5m에 몸길이는 2.6m로 트로페오그나투스 아즈다르코류 익룡들이 알려지기 이전까지는 익룡 중에서 가장 거대한 크기였다.[2] 그에 비해 몸무게는 최대 50kg 남짓으로 매우 가벼운 편이었으리라 추정된다. 날개 끝은 전체적으로 끝이 둥글었고 꼬리는 매우 짧았는데, 꼬리뼈 마지막 마디는 가늘고 길며 두 갈래로 갈라져 있었다.

앞발은 바위절벽 등에 매달리기 좋은 갈고리 모양을 하고 있으며, 속명에서 이미 언급한 것처럼 이빨이 없는 부리를 갖고 있었다. 이로 미루어보건대 해안가에서 살았던 어식성 익룡으로 추정된다. 한때는 제비갈매기처럼 수면 가까이 날면서 부리로 물을 갈라 어류를 사냥하거나 독수리 등의 맹금류처럼 육상동물을 발톱으로 낚아채는 방식으로 사냥하는 묘사가 많았다. 그러나 실제 프테라노돈과 그 친족들의 다리는 매우 부실해 뒷다리로 뭘 잡기는커녕 육지에서 오랜 시간을 보내는 것 자체를 선호하지 않았을 것으로 보이며, 부리로 물을 가르며 사냥했을 것이라는 가설은 신체 구조상 불가능하다고 판명되어 폐기되었다.[3]익룡 전문가 마크 위튼에 따르면 이들의 적당히 견고하고 유체역학적인 두개골 구조로 미루어 보건대 사다새 가넷 등의 물새들처럼 낮은 고도에서 물로 뛰어드는 사냥방식을 택했을 것이라고 한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Pteranodonts.png
프테라노돈, 게오스턴버기아, 다운드라코의 개체 비교도

수컷과 암컷 간에는 크기 차이 외에도 성적 이형이 있었다. 지금까지 발견된 모식종 화석 표본들을 토대로 경향성을 분석해보면 수컷은 볏이 길게 늘어나있고 암컷은 수컷의 것보다 더 짧았으며 개체가 성장할수록 길어지는데, 이는 이 볏이 이성 개체에게 구애하기 위한 과시용이었음을 암시하며 같은 과에 속하는 친척들도 비슷했으리라 여겨진다. 과거 프테라노돈속에는 넓고 휘어진 볏이 특징적인 스테른베르기(P. sternbergi)종이 있었지만 현재 이 종은 게오스턴버기아라는 다른 속으로 분류된 상태이며, 그 외에도 프테라노돈의 일종으로 여겨진 몇몇 개체들이 다운드라코(Dawndraco)라는 별개의 속으로 재동정된 적이 있었다. 그러나 현재 다운드라코속은 프테라노돈속에 다시 흡수된 상태이며, 게오스턴버기아도 다시 프테라노돈의 한 종으로 되돌려야 한다는 주장이 점점 대두되는 상황이라 프테라노돈의 볏 모양이 어느 정도의 다양성을 보였는지는 좀 더 지켜봐야 알 수 있을 듯하다. 2023년 4월 기준으로 영문 위키백과에선 게오스테른베르기아를 프테라노돈의 종으로 통합하였다.

지질박물관 중앙 홀 천장에 중가립테루스와 함께 전시골격으로 매달려 있다.

크립티드 중 하나로 아프리카 중남부 밀림 지대에서 발견된다는 콩가마토가 살아남은 프테라노돈이라는 주장도 있다. 그러나 프테라노돈은 북아메리카에 살았기 때문에 가능성은 희박하다.

3. 등장 매체

가장 인지도가 높은 익룡인 덕분에 공룡이 아님에도 불구하고[4] 공룡을 소재로 한 창작물에선 티라노사우루스, 트리케라톱스 등과 함께 거의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5] 호리호리한 생김새 때문인지, 주로 히로인이나 히로인의 파트너로 많이 등장하는 편이다.[6]

하늘을 나는 익룡이라는 점에서 주인공을 태우고 비행하기도 하며 티라노사우루스 트리케라톱스가 공격형이나 방어형, 파워형을 맡는다면 이쪽은 스피드형을 맡아 다른 공룡캐릭터를 보조하는 조력자 역할로 자주 등장한다. 하지만 티라노사우루스와는 다르게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매체는 드물다.
  • 대중매체에서 처음으로 출연한 작품은 코난 도일의 소설 잃어버린 세계이며, 이 작품을 기점으로 대중매체에서의 익룡의 이미지가 정착된 것으로 보인다.
  • 프라이미벌에서도 등장하였다. 시즌 1에서 골퍼를 죽인 범인으로 지목되었으나 배설물에서는 물고기와 소형 파충류의 뼈밖에 발견되지 않아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시즌 2에서는 헬렌이 단백질 보충하려고 이 녀석의 알을 훔치다가 걸려서 공격당하며, 시즌 3에서는 백악기로 도망친 헬렌을 먹이로 인식해 덮치려 했다. '프라이미벌: 뉴 월드'에도 출연하였는데, 스핀오프 작품인데도 외형이 다른데다가 더 이상하게 복원되었기에 혹평이 많았다.
  • 쥬라기 월드: 더 게임에서도 전시 가능한 익룡으로 나온다. 가장 유명한 익룡이라서 그런지 '전설' 등급으로 나온다.
  • ARK: Survival Evolved에서도 길들일 수 있는 생물로 등장한다. 공중 생물 중 가장 빠르고 가장 먼저 안장을 달 수 있지만 체력이 종잇장이라는게 흠. 특이한 점으로는, 길들이면 배럴 롤을 시전할 수 있으며 심지어 낚아채기도 가능하다. 여담으로 대중성을 위해서인지 대중에 알려진 모습과 흡사한데, "이빨 없는 날개"라는 학명에도 불구,이빨이 있고, 털하나 없이 매끈한 피부를 가지고있다
  • KKND2에서 이 익룡이 돌연변이의 전투기로 등장한다.
  • Beasts of Bermuda에서 플레이 가능한 생물로 등장한다. 모델링은 원래 롱기켑스종을 기반으로 했으나, 현재는 스테른베르기종을 기반으로 한다.
  • 디 아일 에서도 등장. 실제 프테라노돈과 달리 디 아일에서는 육지에서 벗어나 하늘을 날아 다른 생물들의 맹공을 피할 수 있다는 절대적 장점 때문에 여러가지 너프를 먹었다. 먼저 성체가 되어도 사람보다 작은 크기의 익룡으로 격하되었으며 상당히 약해 직접 사냥할 수 있는 생물은 물고기나 토끼등의 소형 동물들로 한정되어 있고 성체가 되어서야 사슴 정도의 동물을 사냥할 수 있게 되었다. 플레이어블 생물과 싸운다면 중소형 공룡의 새끼나 힙실로포돈이 아니면 이길 수 있는 상대가 없다. 다만 익룡이라는 엄청난 장점 때문에 새끼 시절의 유저들이 잘못 만나면 사신이나 다름 없다.

3.1. 이 익룡을 모티브로 한 캐릭터

4. 여담

  • 보통 매체에서 티라노사우루스와 같이 나오는 경우가 많은데[13], 백악기 후기 북아메리카에서 살았다는 공통점이 있긴 하지만 실제로 공존하지는 않았다. 프테라노돈은 백악기 후기 중반 무렵인 코냑절에서 산토눔절 사이에 생존했고, 티라노사우루스는 백악기 후기의 거의 막바지인 마스트리히트절에 생존했다.[14]

[1] 어원인 그리스어 발음을 따라 프테라노돈으로 부르는 것이 옳으나, 영어로는 p를 묵음 처리하여 테라노돈으로 발음한다. [2] 익장이 7.25m에 달하는 화석이 발견되기도 했다. [3] 사실 '부리로 물을 가르며 사냥하는' 기술은 상상 이상으로 어렵다. 조류학자 Zusi는 1962년 이런 사냥 기술을 가진 가위부리제비갈매기속 조류 3종이 26가지나 되는 고유 특징을 지녔다는 점을 정리했다. [4] 익룡과 어룡, 장경룡 등은 공룡이 아니다. [5] 이 녀석에 버금갈 정도로 공룡 소재 창작물에 많이 등장하는 공룡이 아닌 파충류로는 장경룡 플레시오사우루스 정도를 꼽을 수 있을 듯. [6] 이 점은 파라사우롤로푸스와 동일하다. [7] 주황색을 띄는 볏과 부리에 눈은 노란색이고 그 주위에 푸른색의 주름진 피부가 있는 것으로 묘사된다. 사실 사지형 어류가 등장하는 장면 이후에 등장하는 고생물들이 죄다 풍경과 비슷한 색으로 단조롭게 그려진 편이라 더 돋보이는 것이지만. [8] 그런데 전자의 경우 실제 프테라노돈이 살았던 시대 및 지역에 맞지 않게 세노마눔절의 남아메리카에 사는 모습을 보인다. [9] 이전까지는 다른 매체의 프테라들처럼 여성 대원에게 간 반면, 쿄류저에서는 남성 대원에게 갔다. [10] 메카 합체 시 다소 찬밥 대우를 많이 받는 편. 아바레인저에서는 아예 프테라가 빠진 버전의 아바렌오를 아바렌오지라 하여 등장시켰을 정도. 다만 쿄류저에서는 신전사 버프로 인해 단독으로 인간 형태로 변형해서 전투가 가능한 수준까지 올라갔다. [11] 테러소어의 색놀이 버전이다. [12] 정작 이빨이 달린 주둥이와 기다란 꼬리 때문에 오히려 람포링쿠스 계열 익룡을 연상시킨다. 그나마 메가진화를 시키면 머리 뒤의 뿔이 더욱 길어지면서 조금 나아지지만... [13] 아기공룡 버디가 대표적이다. [14] 오히려 티라노사우루스와 같은 시기에 살았던 익룡은 가장 거대한 익룡인 케찰코아틀루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