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2-15 14:37:56

프레더릭 생어

프레더릭 생어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The Nobel Prize.png
노벨상 다회 수상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d9f5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55555,#aaaaaa
단체
파일:The Nobel Prize.png 파일:The Nobel Prize.png 파일:The Nobel Prize.png 파일:The Nobel Prize.png 파일:The Nobel Prize.png
국제적십자위원회
( 평화)
유엔난민기구
( 평화)
개인
파일:The Nobel Prize.png 파일:The Nobel Prize.png 파일:The Nobel Prize.png 파일:The Nobel Prize.png 파일:The Nobel Prize.png 파일:The Nobel Prize.png 파일:The Nobel Prize.png 파일:The Nobel Prize.png
마리 퀴리
( 물리학, 화학)
프레더릭 생어
( 화학)
라이너스 폴링
( 화학, 평화)
존 바딘
( 물리학)
파일:The Nobel Prize.png 파일:The Nobel Prize.png
배리 샤플리스
( 화학)
}}}}}}}}}}}}}}}

파일:The Nobel Prize.png
역대 노벨화학상 수상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d9f5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55555,#aaaaaa
<rowcolor=#cd9f51> 1901 1902 1903 1904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야코뷔스 헨드리퀴스 판트호프 헤르만 에밀 피셔 스반테 아레니우스 윌리엄 램지
<rowcolor=#cd9f51> 1905 1906 1907 1908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아돌프 폰 바이어 앙리 무아상 에두아르트 부흐너 어니스트 러더퍼드
<rowcolor=#cd9f51> 1909 1910 1911 1912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빌헬름 오스트발트 오토 발라흐 마리 퀴리 빅토르 그리냐르
<rowcolor=#cd9f51> 1912 1913 1914 1915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폴 사바티에 알프레드 베르너 시어도어 윌리엄 리처즈 리하르트 빌슈테터
<rowcolor=#cd9f51> 1918 1920 1921 1922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프리츠 하버 발터 네른스트 프레더릭 소디 프랜시스 윌리엄 애스턴
<rowcolor=#cd9f51> 1923 1925 1926 1927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프리츠 프레글 리하르트 아돌프 지그몬디 테오도르 스베드베리 하인리히 오토 빌란트
<rowcolor=#cd9f51> 1928 1929 1930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아돌프 오토 라인홀트 빈다우스 아서 하든 한스 폰 오일러켈핀 한스 피셔
<rowcolor=#cd9f51> 1931 1932 1934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카를 보슈 프리드리히 베르기우스 어빙 랭뮤어 해럴드 클라이턴 유리
<rowcolor=#cd9f51> 1935 1936 1937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장 졸리오퀴리 이렌 졸리오퀴리 피터 디바이 월터 호어스
<rowcolor=#cd9f51> 1937 1938 1939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울 카러 리하르트 쿤 아돌프 부테난트 레오폴드 루지치카
<rowcolor=#cd9f51> 1943 1944 1945 1946
파일:헝가리 국기.svg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파일:핀란드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조르주 드 헤베시 오토 한 아르투리 일마르 비르타넨 제임스 B. 섬너
<rowcolor=#cd9f51> 1946 1947 1948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존 하워드 노스럽 웬들 매러디스 스탠리 로버트 로빈슨 아르네 티셀리우스
<rowcolor=#cd9f51> 1949 1950 1951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윌리엄 지오크 오토 딜스 쿠르트 알더 에드윈 맥밀런
<rowcolor=#cd9f51> 1951 1952 1953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글렌 시보그 아처 마틴 리처드 싱 헤르만 슈타우딩거
<rowcolor=#cd9f51> 1954 1955 1956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1955-1980).svg
라이너스 폴링 빈센트 뒤비뇨 시릴 노먼 힌셜우드 니콜라이 세묘노프
<rowcolor=#cd9f51> 1957 1958 1959 1960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체코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알렉산더 R. 토드 프레더릭 생어 야로슬라프 헤이로프스키 윌러드 리비
<rowcolor=#cd9f51> 1961 1962 1963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멜빈 캘빈 존 켄드루 막스 페루츠 줄리오 나타
<rowcolor=#cd9f51> 1963 1964 1965 1966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카를 치글러 도러시 호지킨 로버트 번스 우드워드 로버트 샌더슨 멀리컨
<rowcolor=#cd9f51> 1967 1968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만프레트 아이겐 로널드 조지 레이퍼드 노리시 조지 포터 라르스 온사게르
<rowcolor=#cd9f51> 1969 1970 1971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디릭 바턴 오드 하셀 루이스 페데리코 를루아르 게르하르트 헤르츠베르크
<rowcolor=#cd9f51> 1972 1973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크리스천 베이커 안핀센 스탠퍼드 무어 윌리엄 하워드 스타인 에른스트 오토 피셔
<rowcolor=#cd9f51> 1973 1974 1975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제프리 윌킨슨 폴 플로리 존 콘포스 블라디미르 프렐로그
<rowcolor=#cd9f51> 1976 1977 1978 1979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윌리엄 립스컴 일리야 프리고진 피터 데니스 미첼 허버트 찰스 브라운
<rowcolor=#cd9f51> 1979 1980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게오르크 비티히 폴 버그 월터 길버트 프레더릭 생어
<rowcolor=#cd9f51> 1981 1982 1983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후쿠이 겐이치 로알드 호프만 에런 클루그 헨리 타우버
<rowcolor=#cd9f51> 1984 1985 1986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로버트 브루스 메리필드 허버트 애런 하우프트먼 제롬 칼 더들리 로버트 허슈바크
<rowcolor=#cd9f51> 1986 1987
파일:대만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헝가리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리위안저 존 찰스 폴라니 장 마리 렌 찰스 피더슨
<rowcolor=#cd9f51> 1987 1988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도널드 J. 크램 요한 다이젠호퍼 로베르트 후버 하르트무트 미헬
<rowcolor=#cd9f51> 1989 1990 1991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시드니 올트먼 토머스 로버트 체크 일라이어스 제임스 코리 리하르트 로베르트 에른스트
<rowcolor=#cd9f51> 1992 1993 1994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헝가리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루돌프 마커스 캐리 멀리스 마이클 스미스 조지 앤드루 올라
<rowcolor=#cd9f51> 1995 1996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울 크뤼천 프랭크 셔우드 롤런드 마리오 호세 몰리나 로버트 컬
<rowcolor=#cd9f51> 1996 1997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해럴드 크로토 리처드 스몰리 존 워커 폴 보이어
<rowcolor=#cd9f51> 1997 1998 1999
파일:덴마크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이집트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옌스 스코우 월터 콘 존 포플 아메드 즈웨일
<rowcolor=#cd9f51> 2000 2001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앨런 히거 앨런 맥더미드 시라카와 히데키 윌리엄 S. 놀스
<rowcolor=#cd9f51> 2001 2002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노요리 료지 배리 샤플리스 다나카 고이치 존 B. 펜
<rowcolor=#cd9f51> 2002 2003 2004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쿠르트 뷔트리히 피터 아그리 로더릭 매키넌 어윈 로즈
<rowcolor=#cd9f51> 2004 2005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아브람 헤르슈코 아론 치에하노베르 이브 쇼뱅 로버트 그럽스
<rowcolor=#cd9f51> 2005 2006 2007 2008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리처드 R. 슈록 로저 콘버그 게르하르트 에르틀 로저 첸
<rowcolor=#cd9f51> 2008 2009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마틴 챌피 시모무라 오사무 벤카트라만 라마크리슈난 토머스 스타이츠
<rowcolor=#cd9f51> 2009 2010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아다 요나트 스즈키 아키라 네기시 에이이치 리처드 헥
<rowcolor=#cd9f51> 2011 2012 2013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단 셰흐트만 브라이언 코빌카 로버트 레프코위츠 마이클 레빗
<rowcolor=#cd9f51> 2013 2014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마르틴 카르플루스 아리에 와르셸 에릭 베치그 슈테판 헬
<rowcolor=#cd9f51> 2014 2015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윌리엄 머너 토마스 린달 폴 모드리치 아지즈 산자르
<rowcolor=#cd9f51> 2016 2017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장피에르 소바주 프레이저 스토더트 베르나르트 L. 페링하 자크 뒤보셰
<rowcolor=#cd9f51> 2017 2018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요아힘 프랑크 리처드 헨더슨 조지 스미스 그레고리 윈터
<rowcolor=#cd9f51> 2018 2019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프랜시스 아널드 요시노 아키라 존 굿이너프 스탠리 휘팅엄
<rowcolor=#cd9f51> 2020 2021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제니퍼 다우드나 에마뉘엘 샤르팡티에 베냐민 리스트 데이비드 맥밀런
<rowcolor=#cd9f51> 2022 2023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덴마크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튀니지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캐럴린 버토지 모르텐 멜달 배리 샤플리스 문지 바웬디
<rowcolor=#cd9f51> 2023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루이스 E. 브러스 알렉세이 예키모프 }}}}}}}}}}}}}}}

컴패니언 오브 아너 수훈자
Order of the Companions of Honour – (CH)
{{{#!wiki style="margin:0 -10px -5px"
{{{#black,#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CH 파일:CHCompanionofHonour.jpg
윌리엄 서머싯 몸
(1954)
아놀드 토인비
(1956)
패트릭 블래킷
(1965)
막스 페루츠
(1975)
존 길구드
(1977)
프레더릭 생어
(1981)
칼 포퍼
(1982)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1984)
스티븐 호킹
(1989)
조지프 니덤
(1992)
알렉 기네스
(1994)
데이비드 애튼버러
(1995)
리처드 돌
(1996)
데이비드 호크니
(1997)
크리스 패튼
(1997)
에릭 홉스봄
(1998)
존 메이저
(1999)
도리스 레싱
(2000)
외국인
아마르티아 센
(2000)
해럴드 핀터
(2002)
주디 덴치
(2005)
이안 맥켈런
(2008)
마이클 하워드
(2011)
피터 힉스
(2012)
매기 스미스
(2014)
외국인
데즈먼드 투투
(2015)
조지 오스번
(2016)
폴 매카트니
(2017)
J. K. 롤링
(2017)
델리아 스미스
(2017)
마거릿 애트우드
(2018)
엘튼 존
(2019)
폴 스미스
(2020)
데이비드 치퍼필드
(2020)
폴 너스
(2022)
메리 퀀트
(2023)
안나 윈투어
(2023)
※ 참고: 전체 영어 명칭은 Order of the Companions of Honour이지만
영연방의 정부(내각), 관보(런던 가제트), 왕실 등 공공기관 웹사이트에서 약칭 Companion of Honour로 표기, 안내하고 있다.
{{{#black,#white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013a; font-size: .8em"
}}}}}}}}} ||
FRS FAA
프레더릭 생어
Frederick Sanger
<colcolor=#fff> OM CH CBE
파일:Frederick sanger_old age.jpg
<colbgcolor=#000> 출생 <colbgcolor=#fff,#191919> 1918년 8월 13일
잉글랜드 글로스터셔 렌드콤
사망 2013년 11월 19일 (향년 95세)
잉글랜드 케임브리지셔 케임브리지
국적
[[영국|]][[틀:국기|]][[틀:국기|]]
가족 배우자 마거릿 조안 하우[1](1940년 결혼 ~ 2012년 사별)
장남 로빈 생어(1943년생)
차남 피터 생어(1946년생)
장녀 샐리 조안 생어(1960년생)
직업 생화학자
학력 파일:케임브리지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케임브리지 대학교 세인트 존스 컬리지
( 생화학 / B.A. · Ph.D.) (1939년 · 1943년)[2][3]
주요 업적 아미노산 서열 해독
염기서열 해독법 개발
링크 파일:스코푸스.png 파일:케임브리지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1. 개요2. 약력

[clearfix]

1. 개요

프레더릭 생어(Frederick Sanger)는 영국 생화학자이다. 아미노산 서열과 염기 서열을 해독하는 방법을 개발하여 그 공로로 두 번 노벨화학상을 수상했다.

2. 약력

케임브리지 대학교 세인트 존스 컬리지 생화학[NST] 학석사 연계과정을 졸업하고 같은해인 1940년 동 대학원에 입학하여 1944년에 생명체 내에서의 아미노산 라이신 대사작용을 연구하여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박사후과정 연구원으로 찰스 치브널(Charles Chibnall)의 연구실에 들어가서 본격적인 연구를 시작했다.[5]

1951년과 1952년에 각각 소 인슐린 B와 A의 아미노산 서열을 완벽하게 밝혀내었다. 생어의 인슐린 해독에 대한 좋은 글. 생어가 인슐린의 서열을 밝혀내기 전까지 단백질은 비결정 고체(액체와 고체의 중간적인 형태)로 생각되고 있었으나 생어는 단백질이 잘 구조화된 화학 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증명했다. 이 발견은 프랜시스 크릭의 서열 가설(1958년)에 큰 영향을 줬다.

1964년에는 동료였던 덴마크 과학자 키엘 마르커(Kjeld Marcker)와 함께 RNA 서열 연구를 하다가 박테리아의 단백질 합성을 게시하는 포밀메사이오닌(N-Formyl-methionine) tRNA를 발견했다. 그러나 1965년에 tRNA의 서열을 해독하는 경쟁에서는 미국 코넬 대학교의 로버트 할리에게 패배했다. 그러고 나서 생어는 DNA 해독에 매달렸다. 참고로 tRNA의 삼차구조를 밝힌 사람은 김성호 박사이다.

1975년 앨런 콜슨(Alan Coulson)과 함께 첫번째 DNA 해독법인 '음양법'(Plus and Minus technique)을 만들어 박테리오파지 φX174의 유전체 서열을 밝혀내어 최초로 DNA 유전체를 해독했으나 한계점이 많았다.

1977년 생여 연구팀은 사슬종결법(Chain-termination method), 일명 생어해독법 혹은 생어시퀀싱을 개발하여 획기적으로 DNA 서열을 해독할 수 있게 만들었다. 1980년 생어는 생어해독법을 개발한 공로로 공동 연구자인 원터 길버트, 폴 버그와 함께, 두번째 노벨화학상을 수상했다.

그 뒤 1981년과 1982년에는 생어해독법을 이용하여 각각 인간 미토콘드리아 DNA와 박테리오파지 λ의 DNA 유전체를 해독했다.
[1] Margaret Joan Howe [2] 입학 당시 전공은 자연과학. 19세기부터 내려온 케임브리지의 자연과학 분야 교육과정(Natural Science Tripos) 특성 상 입학 때가 아니라 3학년 때 세부 전공을 정한다. 케임브리지 대학교/학위과정 및 전공 문서 참고. [3] 박사 학위 논문 : The metabolism of the amino acid lysine in the animal body = 동물체내의 아미노산 라이신의 신진대사(1944) [NST] [5] 찰스 치브널은 소의 인슐린의 아미노산 구조에 대해서 잘 알고 있는 전문가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