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30 09:51:52

퍼플 2

1. 개요2. 상세 설정3. 무장 및 장비 일람4. 슈퍼로봇대전 시리즈에서

1. 개요

파일:external/img.photobucket.com/MAJESTIC_PRINCE_2013_PURPLE_TWO_1.jpg

AHSMB-002 PURPLE TWO

은하기공대 마제스틱 프린스에 등장하는 주역 기체 중 하나.

쿠기미야 케이의 전용 애시로 전고 12.0m의 컨트롤 타입 기체. 통칭 퍼플 투.

2. 상세 설정

11기의 애시 중 소체의 모습이 가장 이질적인 기체로, 사지 매니퓰레이터까지 색적 및 정보 처리 기능에 할당하는 바람에 인간의 손과 발에 해당하는 부위가 일절 존재하지 않는다. 거기다가 기능 강화를 위해 장착한 센서 유닛의 지름 문제도 있어서, 피트함에 착함할 수 없는 경우 발에 해당하는 부위로 강제 동체 착륙이 가능한 다른 애시들과 달리, 이 쪽은 피트함이 아닐 경우 유도 견인 착륙을 기다려야 한다. 소체의 전고가 다른 소체들보다 2m 작은 걸로 보아, 정말로 공용 프레임 위에 필요최저한의 껍데기만 씌운 것으로 보인다.

기체 설명에서는 광역 전술 경계 관제용 기체라고 해서 조기경보기의 일종처럼 설명하고 있으나, 컨트롤 타입이라는 이름답게 전투에서 아군기의 실드 전개나 미사일 발사 타이밍을 적극적으로 지시하는 면모를 보였다. 아무래도 이지스 시스템에서 모티브를 따 온 것으로 보이는데, 전투시 최후방에 위치한 상태로 직접 공격은 하지 않고 간접적으로 지시만 내린다.

원래대로라면 이 쪽이 '지휘관'으로서의 리더 기체라고 해야 할 것 같지만, 케이의 성격도 성격이고 퍼플 2의 내구도가 본인 말마따나 '종잇장 내구도'라 최전선의 정보 수집은 블루 1과 레드 5에게 전담하고 있어서, 어디까지나 색적 및 정보 분석을 기반으로 레드 5의 상황 판단을 도와 주는 역할에만 머물러 있다.[1] 애초에 콕핏 자체가 일반적인 파일럿 시트가 아니라 삼각 기둥 모양의 지지대에 의지한 채 키보드 인터페이스에 몸을 고정한 형태라 전투용 기동을 제대로 감당해낼 수 없는 모습이기도 하고.[2]

극장판에서는 화이트 0의 기체를 제어하기 위한 외부 제어 유닛이 되어 각성했는데, 각성 형태가 링 유닛을 허리 뒤로 뒤집어 양 팔과 다리를 동체 전면으로 내린 사족보행 형태였고, 사지의 길이가 같은데다 헤드 유닛이 동물의 머리 같은 모양새라 오히려 사족보행 형태에서 프로포션이 더 적절해져 디자인적으로 호평을 받았다. 덧붙여 오프닝 때 링 유닛의 왼쪽 절반을 잃었던 걸 빼면 피해가 전무했기에, 마지막까지 멀쩡한 모습을 유지한 유일한 애시가 됐다.

3. 무장 및 장비 일람

  • 89식2호II형 3차원 복합 센서 유닛: 퍼플 2의 허리 부분에 고정되어 있는 링 모양의 센서 유닛. 퍼플 2의 색적 기능의 대부분을 담당하고 있다. 출격시에는 양 다리 바깥쪽 45도 각도로 펼쳐져 분리되어 있다가, 발진 사인이 떨어지면 하나의 링 유닛으로 합쳐져 작동을 개시한다. 센서 유닛이면서 동시에 레일 디펜더의 지지 프레임 역할도 하는 등, 필요최저한의 내구도는 갖추고 있다.
  • 90식 기동입자방어기 액티브 가더: 링 유닛에 장착된 에너지 실드 발생기. 애시 공용 에너지 실드와 별개의 물건으로, 기체 전방에 발생시켜 일시적으로 추가 방어력을 얻을 수 있다. 추가 동력을 소모하여 일시적으로 전방 실드를 1장 더 펴는 방식인데다, 이걸 사용하면 센서에 간섭을 일으키기 때문에, 어디까지나 다가오는 적의 공격을 방어하며 전투 공역을 최대한 안전하게 이탈하는 데 주 목적이 있는 장비.
  • 86식 기동폭뢰: 골드 4와 공유하는 무장. 퍼플 2의 백팩에 달린 웨폰 컨테이너에 수납되어 있으며, 우주 공간에 뿌려 다가오는 적기에게 타격을 입히는 공간방어용 견제병기이다. 살포 및 활성화에 시간이 걸리므로 본격적인 전장에서 능동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 90식 고기동유도입자검 슬래시 소드: 센서 유닛의 링 구조물과 다리 파츠에 내장되어 있는 근접방어형 빔 소드. 내구도가 허약하고 기본적인 기동성이 낮은 편인 퍼플 2에게 있어서 이 무장이 작동된다는 것은 그 자체로 절체절명의 위기를 의미하며, 완전 능동 방어가 아니라 파일럿이 빔 날을 사출해야 작동하는 방식이기에 아예 사용하지도 못하고 격추될 가능성도 높다.[3] 결국 극장판까지 단 한 번도 사용되지 않은 설정상의 무장으로 남았다.
  • 88식 복합 경입자총: 어깨의 돌출부에 내장된 발칸포. 블루 1의 것과 마찬가지로 견제용 무장 정도의 화력만 가지고 있다.
  • 89식 자율방위용 입자총 레일 디펜더: 센서 유닛의 링 좌우 부분에 고정된 균형추 겸 빔 캐논. 일단 주무장으로서의 화력을 가지고 있는 듯하나, 액티브 가더와 마찬가지로 이걸 사용하면 센서에 간섭을 일으키는데다 장착 위치 특성상 발사각과 안정성이 제한되어 있어서 명중률은 기대할 수 없다. 역시 다가오는 적을 견제하고 전투 공역을 이탈하는 데 주 목적이 있는 무장.

4. 슈퍼로봇대전 시리즈에서

슈퍼로봇대전 X-Ω에 한번 참전했으나 모바일 게임이라 심도있게 다루어지지는 않았고, 판권작으로는 슈퍼로봇대전 30에서 사실상 첫 참전이 이루어졌다.

기체 성능은 본인이 전투 대사에서 말하는 그대로 '종잇장 내구도'에 공격 성능도 영 좋지 않다. 사용 가능한 무장도 복합 경입자총과 레일 디펜더 둘뿐. 애초에 설정상 전투 능력이 '자신을 지킬 최소한의 수준'인지라 공격 성능이 떨어지는 건 당연한 거긴 한데, 그나마 공격력이 나오는 레일 디펜더가 P병기가 아닌데 정신기에 돌격이 없어서, 원작에서 헤드 발칸 수준으로 묘사되었던 견제용 무장인 복합 경입자총에 많이 의존하게 된다. 그러다 보니 작정하고 포메이션을 짜고 격추수 몰아주기 노가다를 하지 않으면 케이에게 에이스 보너스를 달아주기가 쉽지 않다. 합체기인 래빗 포메이션 역시 이동 후 사용 불가능이라[4] 화력 개선 이외에는 딱히 나아지는 게 없다.

대신 보조 기체로서의 성능이 뛰어나다. 케이에게 보급 정신기가 있는데다 퍼플 2에 재밍 기능이 기본적으로 달려 있고, 퍼플 2의 풀개조 기본 특전이 역대 색적 계열 기체가 가졌던 범위 내 명중율/회피율 상승 특전이며, '광역 전술 경계'라는 퍼플 2 전용 특수 커맨드가 존재해 한 미션당 한 번 현재 맵에 나와 있는 모든 적에게 분석 정신기를 공짜로 거는 엄청난 특전이 제공된다. 분석 걸린 기체 상대로 대미지 1.2배 보정을 받는 이글 비전의 FTO를 본격적으로 굴릴 수 있게 해 주고, 그게 아니더라도 웨이브계 미션이 아닌 함내 미션이나 주요 보스전에서 쏠쏠하게 활약할 수 있다. 동일 수준 강화시 메타스 다음으로 전력치가 약한 기체라는 약점을 시스템 보정으로 보상받는 셈.


[1] 무장이 달려 있긴 해서 전투에 나서지 못하는 것은 아니지만, 퍼플 2에 탑재된 무장은 어디까지나 '다가오는 적을 견제하며 전투 공역을 이탈해 관제 임무를 실행 가능한 후방으로 빠지는' 목적에 충실해 본격적인 전투를 하기에는 무리가 많다. [2] 케이의 탑승 형태가 마치 삼각목마에 구속된 모습을 연상하게 해서, 처음 비주얼이 공개되었을 때 이슈거리가 되기도 했다. 실제로 케이가 전투 기동이 무리라고 판단한 데는 콕핏 디자인의 영향이 결정적이었다. [3] 작중 다수의 기체가 근접해 빔 공격을 날렸을 때, 레드 5가 대신 공격을 맞아 주는 동안에도 슬래시 소드가 작동되지 않았다. [4] 퍼플 2 이외에도 짝수 숫자 기체인 골드 4와 블랙 6가 이동 후 사용 불가능 판정.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3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