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7 13:39:18

나무위키:편집지침/특정 분야/과학기술

특정 분야/과학기술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로고2.png 파일:나무위키:로고2 c7c7c7.svg 나무위키의 규정
기본방침 ( 문서 관리 방침 · 토론 관리 방침 · 이용자 관리 방침 · 운영 관리 방침 /운영진 선출) · 편집지침 ( 일반 문서 · 특수 문서 · 특정 분야 ( 인문사회 · 과학기술 · 문화예술 · 창작물) · 등재 기준 · 표제어)
파일:나무위키:로고2.png 파일:나무위키:로고2 c7c7c7.svg 나무위키의 도움말
FAQ · 도움말 ( 기능 · 편집 · 문법 ( 심화 · 수식 · 개발) · 토론 · 설정 · 소명 · 권리침해 · 자주 하는 실수 · 문서 삭제식 이동 · 더미)
파일:나무위키:로고2.png 파일:나무위키:로고2 c7c7c7.svg 나무위키의 운영
관리자 · 중재자 · 역대 운영진 · 운영진 지원 · 운영 도움말 ( 관리 · 중재 · 권한) · 접근 제한 ( 문서 목록) · 운영회의 ( 시행규칙 · 안건 건의) · 운영진 임명 회의 /진행 중인 회의 · 봇 리스트 · 투명성 보고서 · 소급 적용 규정 일람 · 공지 목록
파일:나무위키:로고2.png 파일:나무위키:로고2 c7c7c7.svg 나무위키의 기능
분류 · 게시판 · 엔진 ( 업데이트) · 계정 · 통계 · 연습장 · 내 문서함 · 문서 작성 요청
파일:나무위키:로고2.png 파일:나무위키:로고2 c7c7c7.svg 나무위키의 분류
프로젝트 · 주요 페이지 링크 · 보존문서 · 파일 · · 템플릿

특정 분야에 대한 편집지침 (색인)
인문·사회 과학·기술 문화·예술 창작물


파일:나무위키:로고2.png 파일:나무위키:로고2 c7c7c7.svg
이 문서는 나무위키의 공식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나무위키의 운영에 사용되는 문서입니다. 따라서 문서의 수정 자격이 제한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신중히 문서를 편집해 주시기 바랍니다.


파일:나무위키:로고3.png
나무위키의 편집지침을 서술하는 문서입니다.

나무위키의 모든 문서는 이를 준수해야 합니다. 편집지침은 개정 토론을 거쳐 개정할 수 있습니다.

1. 수학 분야2. 자연재해 분야
2.1. 지진 관련 문서
2.1.1. 일반 서술 기준2.1.2. 규모 서술 기준2.1.3. 진도 서술 기준
3. 자동차 분야4. 전자기기 분야
4.1. 스마트 디바이스 문서
4.1.1. 파생 모델 및 형제 모델에 대한 지침4.1.2. 조건부 작성 허용 공개 전 기기에 대한 지침4.1.3. 애플 스마트 디바이스에 관련된 지침4.1.4. 스마트 디바이스 렌더링 이미지 업로드 지침4.1.5. 스마트 디바이스 문서의 둘러보기 틀4.1.6. 스마트 디바이스 문서의 사양표
4.1.6.1. 카메라 표기 관련
4.1.7. 스마트 디바이스 문서 소프트웨어 지원 종료 서술 관련4.1.8. 가상 메모리 기술 서술 관련 지침4.1.9. 스마트 디바이스의 비판, 논란, 사건 사고 서술
4.2. 메모리 카드 규격에 대한 표기4.3. 모바일 AP 서술 지침

1. 수학 분야

  • 정수 문서들을 묶은 둘러보기 틀은 생성할 수 없습니다.

2. 자연재해 분야

2.1. 지진 관련 문서

'규모', '진도', '발생 시각', '진앙지', '진원 깊이' 위 다섯 가지를 '지진의 기본 정보'라 합니다. (이하 '기본 정보' 라 한다.)
'기본 정보'는 '일반 서술 기준'을 우선적으로 적용한 후, 각 항목의 세부 기준을 준수합니다.

2.1.1. 일반 서술 기준

근대적 지진 관측 이후 지진계를 통해 관측한 지진일 경우, 아래 기상기관의 수치를 우선순위로 서술합니다.
  1. 진앙이 특정국의 영토와 특정국과 접한 공해가 아닌 바다에서 일어난 지진일 경우, 해당 지진 발생국의 기상기관이 발표한 수치.
    • 북한에서 발생한 지진은 대한민국 기상청이 발표한 수치를 인용합니다.
    • 여러 국가가 접한 공해가 아닌 바다에서 발생한 지진 중 수치를 발표한 인근 국가 기상기관이 여럿 존재할 경우, 그 중 진앙지로부터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지진 관측소를 보유한 기상기관이 발표한 수치.
  2. 1순위를 확인할 수 없거나, 공해/무주지의 지진일 경우 USGS가 발표한 수치.
  3. 1,2순위를 확인할 수 없을 경우 EMSC가 발표한 수치.
  4. 1,2,3순위를 확인할 수 없을 경우, 진앙지 인근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지진 관측소에 위치한 기상기관이 발표한 수치.
  5. 이외 나머지 기상기관에서 발표한 수치.
  6. 후순위는 원칙적으로 서술하지 않으나, 본문에서 해당 기관의 지진 분석 결과를 인용할 때 사용 또는 병기할 수 있습니다.

2.1.2. 규모 서술 기준

  • 모든 지진 관련 문서에서 지진의 규모 서술은 아래 규정을 적용받습니다. 지진의 규모를 서술할 시, 어떠한 규모를 사용한 것인지 명확히 표기해야 합니다.
  • 기상 기관이 하나 이상의 규모 수치를 발표하였을 경우, 아래 기준을 우선시합니다.
    1. 모멘트 규모 (Mw)
    2. 일본 기상청 규모(Mj) 또는 실체파 규모(Mb)
    3. 표면파 규모 (Ms)
    4. 이외 기타 규모 수치.
  • 우선순위에 따라 작성한 규모가 모멘트 규모가 아닐 경우, 모멘트 규모를 발표한 차순위 기상기관의 수치를 병기할 수 있습니다.
  • 단, 모멘트 규모(Mw), 실체파 규모(Mb), 일본 기상청 규모(Mj), 표면파 규모(Ms) 중 단 하나라도 규모 6.5 이상을 만족하는 대지진의 경우, 모멘트 규모를 발표한 차순위 기상기관의 수치를 우선 서술합니다.

2.1.3. 진도 서술 기준

  • 기상 기관이 하나 이상의 진도 수치를 발표하였을 경우, 아래 기준을 우선시합니다.
    1. 해당 발생국의 기상기관에서 사용하는 표준 진도 계급
    2. USGS에서 발표한 ShakeMap MMI
    3. 이외 기타 규모 수치.
  • 근대적 지진 관측 이전으로 지진계로 관측하지 못한 역사지진일 경우, 사료상 지진이라는 특성상 추산 규모의 오차가 매우 크므로 토론 관리 방침의 근거 신뢰성 순위 6순위 이상 연구자료 중 제일 작은 규모를 인용합니다.

3. 자동차 분야

  • 자동차 분야의 문서 양식은 템플릿:자동차 또는 템플릿:자동차 플랫폼을 따릅니다.
  • 특정 자동차 문서의 최상단에 올 수 있는 출시명은 대한민국 출시명, 해당 브랜드 본사 현재 소재지 출시명, 기타 출시국 출시명 순서를 따르는 것을 우선합니다.
  • 출시명이 한글이나 로마자가 아닐 경우 해당 출시 국가명을 각주로 기재하는 것을 우선합니다.
  • 특정 자동차 문서에서 해당 모델이 시판 중인 모델이 아닐 경우 브랜드명은 해당 모델의 단종 시점을 기준으로 서술하는 것을 우선합니다.

4. 전자기기 분야

4.1. 스마트 디바이스 문서

4.1.1. 파생 모델 및 형제 모델에 대한 지침

  • 파생 모델의 경우 본가 모델 문서에 작성을 하며 이후 한국 출시가 될 때 별도의 문서로 분리합니다.
    • 정식 발매명을 공유하나 기기의 컨셉이 다른 경우[1] 파생 모델로 취급하며, 이동통신에 의해 파생된 모델이나 기기의 컨셉은 동일한 경우[2] 본가 모델과 동일한 것으로 취급합니다.
  • 기기가 공개되었을 때 동일한 목적과 성격을 지닌 둘 이상의 모델로 나왔을 경우[3](이하 '형제 모델'), 한국 출시가 이루어진 경우 단독 문서를 허용하나, 한국 출시가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 메인 모델의 정식 발매명을 제품군으로 지칭해서 문서를 개설합니다.[4]
    • 다만, 형제 모델은 메인 모델과 동등한 위치에 있기에 파생 모델로 취급하지는 않습니다.
    • 단순히 RAM 용량, 내장 메모리 용량 등으로 구분한 경우, 형제 모델로 취급하지 않고 메인 모델과 동일한 기기로 취급합니다.[5] 단, 문서 내부에서 서술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 형제 모델의 정식 발매명은 리다이렉트 문서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6]

[1] (예시) 갤럭시 S4- 갤럭시 S4 mini(소형화), 갤럭시 S5- 갤럭시 S5 Active(러기드), LG G3- LG G3 A(이통사 요청) 등 [2] (예시) 갤럭시 S5- 갤럭시 S5 광대역 LTE-A, 갤럭시 노트4- 갤럭시 노트4 S-LTE, LG G3- LG G3 Cat.6 [3] (예시) 갤럭시 S6- 갤럭시 S6 엣지, iPhone 6s- iPhone 6s Plus, 엑스페리아 Z5- 엑스페리아 Z5 컴팩트- 엑스페리아 Z5 프리미엄 [4] (예시) 엑스페리아 Z5(제품군), 알카텔 IDOL 4(제품군), Lumia 950(제품군) [5] (예시) G6 - G6+, G7 ThinQ - G7 ThinQ+ [6] (예시) 엑스페리아 Z5 컴팩트, 엑스페리아 XA, Lumia 950 XL

4.1.2. 조건부 작성 허용 공개 전 기기에 대한 지침

  • 스마트 디바이스 등재 기준에 의해 기기가 공개되지 않아도 문서 생성이 조건 부로 허용될 수 있습니다.
    • 단, 기기가 형제 모델 제품군으로 나올 것이라 추정될 경우 기기 각각의 문서를 개설하지 않고 단일 문서에서 다룹니다.
  • 문서 작성 허용 시기는 기기가 공개될 것으로 추정되는 X월의 1일을 기점으로 5달 전부터 자동으로 허용합니다.[7]
  • 문서가 개설된 이후, 공개 전 루머를 기록할 때 필수적으로 출처 URL을 년/월/일까지 명확하게 명기하고 출처 URL을 링크로 첨부한 뒤에 해당 루머에 대해 간단히 서술합니다.
  • 해당 기기가 실제로 공개될 시, [[(기기 정식 발매명)/공개 전 루머]]로 문서를 이동 혹은 분리합니다.
  • 해당 기기가 실제로 공개되지 않을 시, 한국 시각 기준으로 다음 달 1일에 문서를 삭제합니다.[8]
  • 문서가 삭제될 경우 재개설은 1개월이 지난 시점부터 가능합니다. 단, 이 경우에도 문서 작성 허용 시기를 충족해야 작성이 허용됩니다.[9]
  • 재개설 불가 기간 내에 기기가 공개되어 등재 기준을 충족할 경우 그 즉시 문서 개설이 가능합니다.
    • 이때 기존 내역은 [[(기기 정식 발매명)/공개 전 루머]]로 문서를 이동 혹은 분리합니다.

[7] (예시) '아이폰 N'이 202X년 9월 중에 공개가 될 것으로 추정. → 202X년 9월 1일을 기준으로 5달 전 날짜인 202X년 4월 1일부터 작성이 허용됩니다. [8] (예시) '아이폰 N'이 201X년 9월 중에 공개가 될 것으로 추정. → 202X년 9월 1일을 기준으로 5달 전 날짜인 202X년 4월 1일부터 문서 작성 허용. → 202X년 9월 30일이 지나도 기기 공개가 이루어지지 않음. → 한국 시각 202X년 10월 1일 0시를 기점으로 문서는 일괄 삭제. [9] (예시) '아이폰 N'이 202X년 9월 중에 공개가 될 것으로 추정되었으나 공개되지 않아 한국 시각 202X년 10월 1일 0시에 삭제됨. → 한국 시각 202X년 11월 1일 0시부터 재개설이 가능함.

4.1.3. 애플 스마트 디바이스에 관련된 지침

  • iOS, iPadOS, watchOS 기기의 사양표에 운영체제 버전을 서술할 때는 운영체제 버전을 x.y.z라 표기할 때, x만 기재합니다.
    • 단, 기기 공개 당시의 최초 버전과 OS 업그레이드 종료에 따른 마지막 최종 버전은 x.y.z 전부를 반영합니다.
  • 문서 상단 템플릿의 제품명 텍스트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 라이트 모드 글자 색상: #333
    • 다크 모드 글자 색상: #ddd
    • font-family: -apple-system, BlinkMacSystemFont, SF Pro Display, HelveticaNeue, Arial, sans serif

    문법 예시
    {{{#!wiki style="margin-top: -15px;"
{{{#!wiki style="font-family:-apple-system, BlinkMacSystemFont, SF Pro Display, HelveticaNeue, Arial, sans serif"
{{{#333,#ddd 제품명}}}}}}
}}}

4.1.4. 스마트 디바이스 렌더링 이미지 업로드 지침

  • 스마트 디바이스 문서에 렌더링 이미지를 올릴 때 제조사 및 이동통신사 등 기기와 관련된 공식 주체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업로드합니다.
    • 단, 공식 주체가 제공한 자료를 사용하나 같은 제조사라 하더라도 기기가 다르면 제공 자료가 다르기 때문에 통합 렌더링이나 색상 별 렌더링에 대해서는 별도로 강제하지는 않습니다.
    • 색상 별 렌더링 이미지를 올리는 경우 기기 공개 시 같이 공개된 기본 색상만 올리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 각 기기별 상황에 따라 추가로 공개된 색상 즉, 추가 색상이 나올 경우, 다음과 같이 업로드합니다.
    • 추가 색상을 업로드할 경우, 펼치기 · 접기 문법을 이용해 기본 색상 밑에 추가합니다.

4.1.5. 스마트 디바이스 문서의 둘러보기 틀

  • 상위 편집지침은 모두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 각 영역에 들어가는 명칭은 제조사 명칭을 제외한 기기의 정식 발매명(이하 '공식 명칭')으로 합니다.
    • 대체가 가능한 공식 명칭이 존재할 경우 별도의 토론을 통해 등재할 명칭을 정할 수 있습니다.[10]
  • 제조사의 공식 명칭이 길 경우, 축약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별도로 제조사가 공식적으로 사용한 축약어(이하 '공식 축약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공개 이후 4주의 기간(이하 '유예 기간')을 지난 시점부터 제조사에서 사용하지 않은 축약어(이하 '비공식 축약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유예 기간에는 공식 명칭이나 공식 축약어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비공식 축약어를 사용되고 있던 틀에 새로운 기기가 추가될 경우에도 유예 기간을 거쳐야 합니다.
        • 단, 비공식 축약어를 사용하고 있던 틀에서 축약 시 브랜드 명칭을 제외하는 것이 포함될 때와 새로운 기기의 수식어가 기존 기기의 수식어와 동일하며 기존 기기가 있는 틀에 새로운 기기를 추가할 때에 한정해 브랜드 명칭을 제외하고 수식어를 축약할 수 있습니다. 이는 제조사와 브랜드가 다르고 동일한 둘러보기 틀이 아니라면 적용되지 않습니다.
      • 비공식 축약어 사용으로 인한 분쟁 발생 시 토론이 발제될 경우 공식 명칭 혹은 공식 축약어로 서술 고정을 합니다.
  • 명칭 사용과 관련된 토론이 발제됐을 때 공식 명칭과 공식 축약어가 모두 신규 서술인 경우, 제조사 공식 채널[11]에서 사용되는 명칭으로 서술을 고정합니다.
    • 단, 제조사 명칭이 포함될 경우 제조사 명칭은 제외합니다.
    • 한국 시장에 출시되었거나 출시될 예정임이 확실한 기기이고 제조사의 한국 공식 사이트가 있을 경우 해당 페이지를 따릅니다. 없을 경우 영문 페이지를 따르며 이마저도 없을 경우 제조사의 국적 국가의 페이지를 우선합니다.
  • 틀의 하단 영역 분할은 1행에 최대 6열까지만 가능합니다.
  • 정보 전달은 분류된 틀 내에서 단 한 번의 추가 분류만 허용하며, 분쟁이 발생할 경우 별도의 토론을 진행해서 정해야 합니다.
  • 공개되지 않은 기기를 표기할 때는 하이퍼 링크를 ~~취소선~~ 처리합니다.[12]

[10] LG Q8(2018), 갤럭시 A8 2018 에디션 등이 Q Stylus, 갤럭시 A8⑧ 등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11] 공식 사이트, 고객지원 사이트, 공식 블로그, 보도자료 등이 해당됩니다. [12] 예를 들어, '스마트폰 X'이라는 기기가 공개 전 기기로 문서가 개설되었을 경우, ~~[[스마트폰 X]]~~와 같이 표기합니다.

4.1.6. 스마트 디바이스 문서의 사양표

  • 스마트 디바이스의 색상을 표기할 경우 위키 문법 등으로 글자 색을 스마트 디바이스의 색상으로 변경할 수 없습니다.[13]
  • 단자를 표기할 경우 단자의 표준을 정하는 조직이 제공하는 명칭을 우선합니다.
    • 더 보편적인 명칭이 있다면 해당 명칭을 대신 사용할 수 있습니다.[14]
    • 둘 이상의 규격을 뜻할 수 있는 명칭[15]을 사용해야 할 경우 이유를 각주에 기재해야 합니다.

[13] 예: iPhone 14문서의 r260 리비전. [14] 예: FireWire [15] 예: USB 3.2
4.1.6.1. 카메라 표기 관련
  • 싱글 렌즈일 경우 별도로 표기하지 않습니다.
  • 듀얼 렌즈 이상의 개수가 모였을 경우 다음과 같이 간략히 표현합니다.
    • 기본: 기본 카메라, 제조사 기준 '광각'이라 표기되었거나 별도의 표기가 없고 실질적인 메인 카메라의 역할을 하는 렌즈
    • 광각: 광각 카메라, 제조사 기준 '광각' 내지 '초광각'이라 표기되었거나 실질적인 메인 카메라와는 별개로 존재하는 렌즈
    • 망원: 망원 카메라, 제조사 기준 '망원'이라 표기되어진 렌즈
    • 심도: ToF 센서, 3D Depth, 일반적인 심도 측정 목적 등 촬영에 직접적으로 사용되어지지 않고 심도 측정을 목적으로 하는 렌즈
    • 컬러: RGB 컬러 카메라. 제조사 기준으로 RGB 렌즈와 흑백 모노크롬 렌즈로 구분되었을 경우 전자에 해당.
    • 흑백: 흑백 모노크롬 카메라. 제조사 기준으로 RGB 렌즈와 흑백 모노크롬 렌즈로 구분되었을 경우 후자에 해당.
    • 위 6가지 항목 이외의 경우로 특수하게 탑재되었을 경우 개인 기여 자격으로 적당한 용어를 선택합니다. 문제가 발생했을 시 각 문서의 토론을 통해 용어를 합의합니다.
  • 제조사가 화각에 대한 표기를 별도로 했다면 이를 사양표에 기재할 것을 권장합니다.
    • 구체적인 수치를 명시하지 않았다면 기재할 수 없습니다.
  • 각 렌즈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상세 문단에서 표기합니다.

4.1.7. 스마트 디바이스 문서 소프트웨어 지원 종료 서술 관련

  • 소프트웨어 지원 내역을 제외한 부분에서 '현 시점 기준'을 언급하는 행위는 금지합니다.
  • 마지막으로 소프트웨어 지원 내역이 있은지 햇수로 3년 이상된 기기에 한해서 문구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 단, 기준이 되는 기기명을 반드시 명시해야 합니다.

4.1.8. 가상 메모리 기술 서술 관련 지침

  • 스마트 디바이스의 사양 문단 내 메모리란에 가상 메모리 관련 서술 삽입을 금지합니다.
  • 제조사가 공식적으로 지원하는 가상 메모리 기술은 스마트 디바이스 문서 내 기능 문단에 서술합니다.
    • 가상 메모리 기술의 공식 기술명칭과 용량을 서술하되 물리 메모리가 아닌 가상 메모리임을 명시해야 합니다.

4.1.9. 스마트 디바이스의 비판, 논란, 사건 사고 서술

  • 스마트 디바이스의 논란 및 비판 중 삼성과 애플의 기기에 대해 서술할 때는 다음과 같은 기준을 만족시켜야 합니다.
    • 문단명이 논란 및 비판이 아니더라도 그 내용이 논란 및 비판에 해당되면 해당 규정을 적용받습니다.
  • 논란의 경우, 다음 조건을 그 사실 여부가 확실하지 않을 때, 1개 이상 충족되는 경우에만 논란으로 작성 가능합니다.
    1. 이를 '문제'로서 다루는[16] 제도권 언론 혹은 계열 브랜드 언론의 보도가 1건 이상
    2. 등재 기준을 충족하는 인터넷 콘텐츠 제작자에 의해 공론화되었으며, 동시에 조회수가 10만 이상인 경우[17][18]
  • 비판의 경우, 다음과 같은 규정에 따릅니다.
    1. 위의 '논란'의 조건에 부합하며, 그 사실 여부가 확실한 경우
    2. 이 경우, 해당 사건 사고가 해당 스마트 디바이스의 명백한 원인임을 확증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러나 이를 확증할 때 독자연구는 인정하지 않습니다.
  • 비판, 논란을 서술하려면 문서 내에서 최소 1건 이상의 등재기준을 충족함을 알 수 있는 링크 형태로 접근할 수 있어야 합니다.
    • 링크에 접속할 수 없거나, 해당 논란 혹은 비판을 삭제하는 것이 아니라면 기준 충족 여부를 입증하기 위한 링크를 지워서는 안 됩니다.

4.2. 메모리 카드 규격에 대한 표기

  • 전자 기기가 지원하는 메모리 카드 규격을 표기할 때, ? 슬롯 (x GB 공식 지원)으로 표기합니다.
    • ?는 "micro SDXC"나 "UFS Card" 등의 규격을 표기하며, x는 제조사 공식 사이트에 나온 최대 지원 용량을 표기합니다. ex) 64 GB, 128 GB, 200 GB 등
    • 제조사의 표기가 없다면 용량에 대한 서술을 생략할 수 있습니다.

4.3. 모바일 AP 서술 지침

  • 모바일 AP는 스마트 디바이스에 탑재되는 프로세서를 의미합니다.
  • AP 제조사가 정식 공개하지 않았고 동시에 정식 출시 기기에 탑재되지 않은 모바일 AP의 경우, 문단을 접고 제목에 (미공개)를 부착하며, 그 내용은 불특정 다수가 접근 가능한 복수의 URL을 출처로써 첨부해야 합니다.

[16] 단순히 객관적인 사실만을 전달하는 것은 문제로서 다루는 것이 아닙니다. [17] 직접적으로 해당 논란을 다루지 않은 채 언급만 하며 넘어간 경우에는 공론화 한 것으로 취급하지 않습니다. [18] 여러 사안을 한번에 다루는 경우에는 그 중 이 논란을 직접적으로 다루는 사례가 있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