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스턴 레드삭스의 야구선수에 대한 내용은 크리스 머피(야구선수)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214388><tablebgcolor=#214388>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214388><tablebgcolor=#214388>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네바다 | 네브래스카 | ||
노스다코타 | 노스캐롤라이나 | |||
뉴멕시코 | 뉴욕 | |||
뉴저지 | 뉴햄프셔 | |||
델라웨어 | 로드아일랜드 | |||
루이지애나 | 매사추세츠 | |||
메릴랜드 | 메인 | |||
몬태나 | 미네소타 | |||
미시간 | 미시시피 | |||
미주리 | 버몬트 | |||
버지니아 | 사우스다코타 | |||
사우스캐롤라이나 | 아이다호 | |||
아이오와 | 아칸소 | |||
알래스카 | 애리조나 | |||
앨라배마 | 오리건 | |||
오클라호마 | 오하이오 | |||
와이오밍 | 워싱턴 | |||
패티 머리
상원 임시의장 |
||||
웨스트버지니아 | 위스콘신 | |||
유타 | 인디애나 | |||
일리노이 | 조지아 | |||
캔자스 | 캘리포니아 | |||
켄터키 | 코네티컷 | |||
콜로라도 | 테네시 | |||
텍사스 | 펜실베이니아 | |||
플로리다 | 하와이 | |||
* 2023.01.08 네브래스카
벤 새스 사직 * 2023.09.29 캘리포니아 다이앤 파인스타인 사망 * 2024.05.31 웨스트버지니아 조 맨친 민주당 탈당 * 2024.08.20 뉴저지 밥 메넨데즈사직 * 2024.12.08 캘리포니아 라폰자 버틀러, 뉴저지 조지 헬미 사직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0044C9><tablebgcolor=#0044C9>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0044C9><tablebgcolor=#0044C9>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상원 임시의장 | ||||
워싱턴 패티 머리 |
|||||
상원 원내대표 | |||||
뉴욕 척 슈머 |
|||||
상원 원내총무 | |||||
일리노이 딕 더빈 |
|||||
일반 상원의원 | |||||
네바다 캐서린 코테즈 매스토 |
네바다 재키 로젠 |
뉴멕시코 벤 레이 루한 |
뉴멕시코 마틴 하인릭 |
뉴욕 키어스틴 질리브랜드 |
|
뉴저지 앤디 김1 |
뉴저지 코리 부커 |
뉴햄프셔 진 샤힌 |
뉴햄프셔 매기 해슨 |
델라웨어 토마스 카퍼 |
|
델라웨어 크리스 쿤스 |
로드아일랜드 잭 리드 |
로드아일랜드 셸던 와이트하우스 |
매사추세츠 엘리자베스 워런 |
매사추세츠 에드 마키 |
|
메릴랜드 벤저민 카딘 |
메릴랜드 크리스 밴홀런 |
몬태나 존 테스터 |
미네소타 에이미 클로버샤 |
미네소타 티나 스미스 |
|
미시간 데비 스태버나우 |
미시간 개리 피터스 |
버몬트 피터 웰치 |
버지니아주 마크 워너 |
버지니아주 팀 케인 |
|
애리조나 마크 켈리 |
오리건 론 와이든 |
오리건 제프 머클리 |
오하이오 셰러드 브라운 |
워싱턴 마리아 캔트웰 |
|
위스콘신 태미 볼드윈 |
일리노이 태미 더크워스 |
조지아 라파엘 워녹 |
조지아 존 오소프 |
캘리포니아 애덤 시프2 |
|
캘리포니아 알렉스 파디야 |
코네티컷 리처드 블루먼솔 |
코네티컷 크리스 머피 |
콜로라도 마이클 베넷 |
콜로라도 존 히켄루퍼 |
|
펜실베이니아 밥 케이시 |
펜실베이니아 존 페터먼 |
하와이 브라이언 샤츠 |
하와이 메이지 히로노 |
||
1.
밥 메넨데즈의 사임으로 인해 지명된
조지 헬미로부터 승계 2. 다이앤 파인스타인의 사망으로 인해 지명된 라폰자 버틀러로부터 승계 |
|||||
공화당 · 무소속 |
미합중국 제113-121대 연방 상원의원
크리스토퍼 스콧 머피 Christopher Scott Murphy |
|
|
|
출생 | 1973년 8월 3일 ([age(1973-08-03)]세) |
미국 뉴욕 주 화이트 플레인스 | |
국적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정당 |
|
학력 |
윌리엄스 칼리지 (
역사학,
정치학 /
B.A.) 옥스퍼드 대학교 ( 정치학 / 석사 ) 코네티컷 대학교 ( 법학 / J.D.) |
가족 |
배우자 캐시 홀래핸 자녀 2명 |
종교 | 개신교[1] |
신체 | 182cm |
경력 |
코네티컷 주하원의원 (1999~2003 / 81구) 코네티컷 주상원의원 (2003~2007 / 16구) 연방 하원의원 (2007~2013 / 코네티컷 5구) 연방 상원의원 (2013~ / 코네티컷) |
[clearfix]
1. 개요
미국 민주당 소속으로 상원의원을 역임하고 있다.2. 생애
2.1. 초당적 총기규제안 주도
|
롭 초등학교 총기난사 사건 직후 상원에서 연설하는 크리스 머피 |
2022년 5월 24일에 롭 초등학교 총기난사 사건이 발생하자 공화당의 존 코닌 의원과 함께 초당적 총기규제안을 만드는 과정을 주도했다. 당시 민주당 내에서는 강성 진보층을 중심으로 이 초당적 총기규제안이 총기난사 사건을 억제할만큼 강력하지 않다며 반대하는 움직임이 있었으나 머피 의원이 척 슈머 원내대표와 함께 이들을 설득하면서 초당적 움직임을 유지할 수 있도록 노력했다.
특히 머피 의원이 2012년에 발생한 샌디 훅 초등학교 총기난사 사건 이후 총기 규제에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총기 규제에 반대하는 NRA에게 F등급, 총기 규제에 찬성하는 Brady에서 100%를 받는 등 대표적인 총기 규제 정치인 중 한 명으로 손꼽히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그 목소리가 민주당 내에서도 더 호소력이 있었다.
덕분에 민주당이 오랜만에 공화당 온건파와 손잡고 1993년 이후 근 30년만에 총기규제안을 6월 23일, 연방 상원에서 필리버스터를 뚫고[2] 찬성 65표, 반대 33표로 통과시킬 수 있었다. 언론에서는 이 과정을 다루면서 만족스러운 수준은 아니지만 모처럼만에 의회가 정상적으로 기능했다면서 긍정적인 평가를 기록하기도 했다.
3. 선거 이력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1998 | 미국 코네티컷 주의회 하원의원 선거 | 코네티컷 81구 |
|
4,462 (55.03%) | 당선 (1위) | 초선 |
2000 | 미국 코네티컷 주의회 하원의원 선거 | 7,016 (68.22%) | 당선 (1위) | 재선 | ||
2002 | 미국 코네티컷 주의회 상원의원 선거 | 코네티컷 16구 | 15,953 (52.61%) | 당선 (1위) | 초선 | |
2004 | 미국 코네티컷 주의회 상원의원 선거 | 24,026 (59.94%) | 당선 (1위) | 재선 | ||
2006 | 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 | 코네티컷 5구 | 122,980 (56.46%) | 당선 (1위) | 초선 | |
2008 | 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 | 178,377 (59.19%) | 당선 (1위) | 재선 | ||
2010 | 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 | 122,879 (54.06%) | 당선 (1위) | 3선 | ||
2012 | 미국 연방상원의원 선거 | 코네티컷 | 830,221 (55.23%) | 당선 (1위) | 초선[3] | |
2018 | 미국 연방상원의원 선거 | 825,579 (59.53%) | 당선 (1위) | 재선 | ||
2024 | 미국 연방상원의원 선거 | 1,000,695 (58.58%) | 당선 (1위) | 3선 |
4. 기타
- 113대 의회의 최연소 상원 의원, 유일한 30대 상원 의원으로 이름을 알린 바 있다.
- 미국 민주당 내에서 온건파로 분류되는 대표적인 정치인이다. 성소수자 지지, 환경주의, 소통 외교 등 당의 기본적 입장을 지지하지만 일부 분야에서 특히나 보수적인[4] 스탠스를 자주 보이는 편이다.
- 자국 내 총기규제 옹호파의 대표격으로 올랜도 총기 난사 사건 당시 규제 법안 통과를 위해 장장 15시간에 달하는 필리버스터를 이어나가며 공화당 측과 합의를 이끌어냈다.
- 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 패배 이후 본인의 견해를 피력하였다. 민주당의 전략이 실패했으며, 중도주의자들에게 확장성을 가지기 위해 경제적 포퓰리즘과 같은 빅 텐트 전략을 앞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이다. 다만 정부효율부에 한해서는 권력자가 부를 독점하는 도둑정치에 가까워지는 길이라며 비판적 시각을 내비쳤다.
- 온건파 의원 중 유독 중앙정치에 집중하는 성향이 강하다. 같은 온건파 중진인 에이미 클로버샤의 경우만 봐도 비슷한 처지에서 피트 부티지지의 부상과 동시에 러스트벨트의 영향력을 강조하며 대선을 출마하는 등 역동적 역할론을 제시했으나 이와 반대로 머피는 당 내에서 본인의 입장을 적극적으로 내세우진 않고 있다.
- 탄탄한 커리어를 구축해나가고 있는 민주당의 몇 안되는 정치인이다. 여태 치러본 선거 중 패배한 전적이 없고 주의회 하원과 상원 모두 중진까지 경험한데다, 코네티컷 주 연방 하원의원부터 상원의원 중진까지 이어오며 대통령, 부통령, 의장, 주지사 격 이전 의원으로 맡을 수 있는 가장 높은 위치까지 50대 중반 이내에 도달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