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4 20:45:49

퀸(밴드)/라이브 투어/데뷔 전

파일:Queen White.png
1970s ~ 1980s Live Performances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970s
{{{#!folding [ 펼치기 · 접기 ] Early Tour
1970. 6. 27 ~ 1973. 4. 9
Queen Tour
1973. 7. 13 ~ 1974. 1. 27
Queen II Tour
1974. 3. 1 ~ 1974. 5. 11
Sheer Heart Attack Tour
1974. 10. 30 ~ 1975. 5. 1
A Night at the Opera Tour
1975. 11. 14 ~ 1976. 4. 23
1976 Summer Gigs
1976. 9. 1 ~ 1976. 9. 18
A Day at the Races Tour
1977. 1. 13 ~ 1977. 6. 7
News of the World Tour
1977. 11. 11 ~ 1978. 5. 13
Jazz Tour
1978. 10. 28 ~ 1979. 5. 6
Crazy Tour
1979. 11. 22 ~ 1979. 12. 26
}}}||
1980s
{{{#!folding [ 펼치기 · 접기 ] The Game + Flash Gordon Tour
1980. 6. 30 ~ 1981. 11. 25
Hot Space Tour
1982. 4. 9 ~ 1982. 11. 3
The Works Tour
1984. 8. 24 ~ 1985. 5. 15
LIVE AID
1985. 7. 13
18:41~19:00
Magic Tour
1986. 6. 7 ~ 1986. 8. 9
}}}||
자세한 내용은 퀸(밴드)/라이브 투어 퀸(밴드)/라이브 투어/상세 일정 문서 참조.
}}}||

Queen's Early Tour
파일:72-12-20 Marquee.jpg
1972년 12월 20일, 영국 런던의 마키 클럽(Marquee Club) 공연.
<colbgcolor=#6E6E6E><colcolor=#E6E6E6> 관련 앨범 없음
기간 1970년 6월 27일 ~ 1973년 4월 9일
기록된 공연 횟수 40회

1. 개요2. 일정3. 상세4. 세트 리스트5. 공연 장비
5.1. 프레디 머큐리
5.1.1. 의상5.1.2. 피아노
5.2. 브라이언 메이
5.2.1. 기타
5.3. 마이크 그로스 / 배리 미첼 / 존 디콘
5.3.1. 베이스 기타
5.4. 로저 테일러
5.4.1. 드럼
6. 조명

[clearfix]

1. 개요

1970년부터 1973년 초까지 무명 신생 밴드에 불과했던 은 주로 소규모 클럽들이나 대학들에서 공연했다.

2. 일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퀸(밴드)/라이브 투어/데뷔 전/상세 일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상세

파일:'70 Imperial College.jpg
1970년 7월 18일, 영국 런던의 임페리얼 칼리지(Imperial College) 공연.
1970년 6월 27일 영국 적십자가 주선한 자선행사로 열린 콘월 트루로의 시청에서의 공연이 퀸 최초의 공연으로, 당시 밴드명은 퀸의 전신인 Smile이었는데, Queen이라는 이름은 다음 공연인 임페리얼 대학 공연에서부터 쓰였다.[1] 그럼에도 이 공연을 최초의 공연으로 하는 이유는 프레디 머큐리, 브라이언 메이, 로저 테일러, 그리고 마이크 그로스(Mike Grose)의 라인업이 이 공연에서 처음 합을 맞췄기 때문이다. 마이크 그로스는 이후 두 번의 공연 후 밴드를 떠나고 대신 배리 미첼(Barry Mitchell)이 들어왔다. 이후 베리 미첼은 1971년 더그 보기(Doug Bogie)에게 자리를 넘겨주었고, 1971년 7월 2일 공연[2]을 시작으로 존 디콘이 들어오게 된다.

이때는 후기의 크고 아름다운 조명 장치와는 동떨어진 몇 개의 불빛 장치만 이용되었다고 한다.[3] 또한 프레디의 목소리도 잘 닦여지지 않고 조금 거친 목소리였다는데(로저의 말에 따르면 아주 힘센 양(...) 같았다고) 당장 Keep Yourself Alive의 1971년 데모만 들어 봐도 우리가 아는 아름다운 미성보다는 정돈되지 않고 거친 느낌이 강하다.[4]

최근까지 이때의 영상은 물론 공개된 음원조차도 전무해 관련 자료라고는 팬들의 후기와 아주 가끔 가다 있는 사진들뿐이었다. 그러나 2024년, 1집 Queen의 재발매 박스 세트 Queen I Collector's Edition1970년 임페리얼 대학 공연의 음원[5]이 수록되어, 드디어 데뷔 전 밴드의 공연을 들을 수 있게 되었다. 다만 사운드보드 녹음이라 주장하는 것 치고는 음질이 괴랄한 편이다.

4. 세트 리스트

Queen's Early Tour
세트 리스트[6]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순서 곡명 수록 앨범
- <rowcolor=#000> Keep Yourself Alive
- <rowcolor=#000> Doing All Right
- <rowcolor=#000> Stone Cold Crazy
- <rowcolor=#000> Great King Rat
- <rowcolor=#000> My Fairy King
- <rowcolor=#000> Son and Daughter / Brighton Rock Guitar Solo /
- <rowcolor=#000> Hangman -
- <rowcolor=#000> Ogre Battle
- <rowcolor=#000> The Night Comes Down
- <rowcolor=#000> Jesus
- <rowcolor=#000> See What a Fool I've Been -
- <rowcolor=#000> Modern Times Rock'n'Roll
- <rowcolor=#000> Jailhouse Rock / Stupid Cupid / Be-Bop-a-Lula (Rock'n'Roll Medley)
Cover
- <rowcolor=#000> Big Spender
Cover
- <rowcolor=#000> Bama Lama Bama Loo
Cover
- <rowcolor=#000> I'm a Man
Cover
파일:Queen logo.png
}}}}}}}}} ||
극초기에는 주로 스마일(Smile) 혹은 아이벡스(Ibex) 등 퀸 멤버들이 거쳐간 아마추어 밴드에서 작곡한 곡들, 혹은 5~60년대 로큰롤 곡들의 커버 버전을 라이브에서 연주하였다. 그러다 1집 음반의 구상이 완료되어 가던 1971년에 들어 1집에 수록될 곡들의 비중이 늘어났다.

Doing All Right은 최종적으로 피아노가 들어간 버전으로 수록되었지만, 초기 라이브에선 스마일 시절 라이브에서부터 종종 연주된 기타로만 이루어진 버전이 연주되었다. 프레디가 라이브에서 피아노를 치기 시작한 것은 1971년 중후반으로 추정되므로, 이때부터 피아노 전주가 추가된 것으로 보인다.

Stone Cold Crazy의 경우 1970년 당시의 많은 공연 후기에서 지금의 엄청나게 빠른 버전보다는 훨씬 느린 템포로 연주되었다고 증언한다. 하지만 1998년 브라이언 메이가 인터뷰에서 프레디가 이전 밴드에서 리프를 더 느리게 연주하려는 시도를 하긴 했지만 퀸에서는 지금과 같은 버전으로 공연되었다고 밝힌 바 있어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조.

Son and Daughter은 1970년부터 우리가 잘 아는 Brighton Rock의 기타 솔로와 함께 연주되었다고 한다. 사실 Brighton Rock 문서에도 서술되어 있듯 이 기타 솔로는 1969년 작곡된 스마일의 곡 Blag에서 유래된 것으로, 이때 연주된 것도 Sheer Heart Attack에 수록된 것보다는 이 곡에 더 가까웠을 가능성이 높다. 이후 이 솔로는 계속해서 발전하여 1986년 매직 투어까지, 심지어 현재까지도 퀸의 세트 리스트에서 굳건히 자리를 지키고 있다.

리스트 중 유일하게 2집에 수록된 Ogre Battle은 위 곡들만큼 일찍 작곡되지는 않았으나 적어도 1972년에는 작곡되고 연주된 것이 확인되었다. 본래 이 곡은 1집에 수록될 예정이었으나 분위기에 맞지 않는다 판단되어 2집으로 밀려났다고 한다.

The Night Comes Down Jesus는 특히 후자의 경우 1970년부터 연주된 기록이 있을 정도로 나름 라이브 단골이었으나, 1973년부터 세트 리스트에서 배제되어 그 후 단 한 번도 라이브로 연주된 적이 없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앙코르의 메들리는 주로 위 세트 리스트처럼 Jailhouse Rock - Stupid Cupid - Be-Bop-a-Lula로 이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나, 종종 Lucille, Tutti Frutti, Whole Lotta Shakin' Going on, Shake Rattle and Roll 등 5-60년대 로큰롤 히트곡들이 등장했다. 이들은 모두 짧게는 1970년대 중반에서 길게는 매직 투어 때까지 퀸의 세트 리스트에 모습을 드러냈다. 베이시스트 마이크 그로스에 따르면 당시 레드 제플린의 초기 곡들을 커버하기도 했다 하는데, 프레디가 1969년 아이벡스 당시 Communication Breakdown을 커버한 음원이 존재하므로 이 곡을 연주했을 가능성이 크다.

엔딩 곡으로는 주로 Big Spender - Bama Lama Bama Loo의 메들리 혹은 Modern Times Rock'n'Roll이 사용되었는데, 이는 2집 때까지 그대로 이어졌다.

5. 공연 장비

프레디 이외의 멤버들이 입은 의상은 자료가 부족해 알 수 없는 상태이다.

5.1. 프레디 머큐리

5.1.1. 의상

프레디의 의상을 분간할 수 있는 사진 자료는 거의 전무하다시피 하지만, 기록에 의하면 그는 가슴이 보이도록 허리까지의 부분이 열린 형태의 케이프가 달린 원피스를 무대의상으로 이용했으며, 검은색과 흰색 두 벌을 가지고 그것을 'Mercury Suit'라 명명하였다고 한다. 아마도 Sheer Heart Attack 투어에서 입었던 검은색 의상과 흰색 날개옷을 합한 형태의 옷이었던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다.

5.1.2. 피아노

파일:Early Piano.jpg
1972년 12월 20일, 영국 런던의 마키 클럽(Marquee Club) 공연.
  • 공연장에서 주어지는 피아노를 사용했다.[7]

5.2. 브라이언 메이

파일:Early Guitar.jpg
1970년 10월 30일, 영국 세인트헬렌스의 College of Technology 공연.

5.2.1. 기타

5.3. 마이크 그로스 / 배리 미첼 / 존 디콘

파일:Early Bass.jpg
1972년 12월 20일, 영국 런던의 마키 클럽(Marquee Club) 공연.

5.3.1. 베이스 기타

  • 펜더 Pre-CBS 프레시전 (마이크 그로스)
  • 깁슨 EB0 (배리 미첼)
  • 리켄배커 4001 ( 존 디콘)

5.4. 로저 테일러

파일:Early Drums.jpg
1970년 10월 30일, 영국 세인트헬렌스의 College of Technology 공연.

5.4.1. 드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로저 테일러/사용 장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조명

사진 등의 자세한 자료가 없어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지금의 화려하고 엄청난 규모를 자랑하는 조명과 달리 직접 준비한 2~3개의 조명 장치 아래서 공연했다고 한다. 대표적으로 멤버가 아닌 관객으로서 1970년의 공연에 참석한 적이 있는 존 디콘[8]은 모두 검은 옷을 입은 데다 조명도 어두워서 모습을 잘 알아볼 수 없었다고 회고한 바 있다.


[1] 이미 이전부터 밴드명은 Queen으로 정해져 있었다. 그해 5월 27일 로저의 일기에 언급되어 있다. 하지만 로저의 어머니가 그 전에 공연 포스터를 Smile 이름으로 만들어 놓았다고. [2] 이 공연을 진짜 퀸의 첫 공연으로 보는 사람들도 있으며, 퀸 측에서도 1970년이 아닌 1971년을 공식적인 결성 연도로 보고 있다. [3] 이때의 공연 사진들을 보면 퀸 멤버들 모두 어둡고 흐릿하게 나온다. [4] 이후 연습과 공연을 쭉 거듭하면서 1집 투어에서는 프레디의 목소리 톤이 많이 깨끗해지고 안정된다. [5] 수록된 곡은 1집의 Jesus와 스펜서 데이비스 그룹(Spencer Davis Group) 커버곡인 I'm a Man이다. [6] 당시 투어는 세트 리스트가 전해지는 공연이 거의 없고, 그 세트 리스트마저도 부정확하거나 불완전한 경우가 많으며, 명확한 레퍼토리나 순서 없이 공연마다 세트 리스트가 모두 제각각이었다. 이 세트 리스트는 그 당시 연주되었던(혹은 연주된 것으로 추정되는) 곡들을 순서 없이 열거한 것이다. [7] 여담으로, 위 사진은 Queen의 앨범 커버에 사용된 사진이다. [8] 당시 베이시스트는 배리 미첼이었으며 그는 아직 멤버들과 일면식도 없는 상태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6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68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