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세계 대전의 이탈리아 왕립 해군 군함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고속 어뢰정 | <colbgcolor=#fefefe,#393b42> M,A,S 어뢰정 | ||
구축함 호위 어뢰정 | 스피카급, 오르사급, 아리에테급, 치클로네급 | |||
구축함 | 알레산드로 포에리오급, 카를로 밀레발로급, 팔레스트로급, 제네랄리급, 쿠르타토네급, 레오네급, 퀸티노 셀라급, 나자리오 사우로급, 투르비네급, 나비가토리급, 다르도급(프레치아급), 폴고레급, 마에스트랄레급, 알프레도 오리아니급, 솔다티급(*), 코만단티 메달리에 도로급(*) | |||
잠수함 | 발릴라급, 아르고나우타급, 아르키메데급, 시레나급, 페를라급, 아두아급, 브린급, 아르고급, 아차이오급, 마르첼로급, 로몰로급(*) | |||
장갑순양함 | 산 조르지오급 | |||
방호순양함 | 니노 빅시오급(**) | |||
경순양함 |
콘도티에리급, |
|||
중순양함 |
|
|||
항공모함 |
|
|||
수상기모함 | 주세페 미랄리아 | |||
순양전함 |
|
|||
전함 |
|
|||
노획함 |
순양함: 카타로
, 구축함: 프레무다 , 시베니코 , 류비야나 , 잠수함: 프란체스코 리스몬도 , 안토니오 바자몬티 , 기타 2차대전기 이탈리아 포획 함선 |
|||
포함 | 에리트레아 포함, 디아나 포함 | |||
(*) 표기: 해당 함급의 일부 또는 전부가 건조 중단된 함급 (**) 표기: 1차 세계 대전 전후 2차 세계 대전 이전 해체 및 계획 취소되었지만 편의상 틀에 넣은 함급 윗첨차E 표기: 수출용 함급,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이탈리아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
이탈리아 전함의 계보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전함 |
→ → → → → → |
|
순양전함 | |
→ → |
|
기타 | |
}}}}}}}}} |
냉전 시기의 소련 해군 수상함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전함 | <colbgcolor=#fefefe,#191919> 옥차브리스카야 레볼루치야급, 아르항겔스크UK, 노보로시스크배상, 슐레스비히-홀슈타인배상, 비보르크배상, 헤센나포 | |||
순양전함 |
|
||||
순양함 | 순양함 |
키로프급, 막심 고리키급, 카가노비치급,
차파예프급,
아드미랄 나히모프급,
스베르들로프급, |
|||
미사일 순양함 |
프로젝트 63형,
킨다급, |
||||
대잠 순양함 | 크레스타급, 카라급, 프로젝트 1199형, 프로젝트 11990형 | ||||
구축함 | 구축함 | T33배상, T-12배상, T-17배상, 프릿키배상, 필키배상, 프로치니배상, 프라보르니배상, 베르니배상, 브니자프니배상, 보즈로조니급배상, 룍키배상, 라프키배상, 레뚜치배상, 리호이배상, 레그키배상, 로브배상, 윅스급UK, 프로젝트 30형, 오그네보이급, 프로젝트 31형, 코틀린급, 킬딘급, 카닌급, 소브레멘니급 | |||
대잠 구축함 | 카닌급, 카신급, 우달로이급, 프로젝트 1156형, 프로젝트 11560형, 프로젝트 11000형 | ||||
호위함 |
프로젝트 29형,
네우스트라시미급,
콜라급,
코니급,
리가급,
페트야급,
미르카급,
크리박급, |
||||
초계함 | 소형 미사일함 (МРК) |
나누추카급,
보라급,
타란툴급, |
|||
소형 대잠함 (МПК) | 크론슈타트급, 포티급, 그리샤급, 프로젝트 1141형, 폴급, 파르킴급, 무하급, 파우크급 | ||||
소형 함포함(Мак) | 야즈급 | ||||
경비정 | 프로젝트 D 361형, 프로젝트 P 361형, 프로젝트 T 361형, 프로젝트 B 361형, 프로젝트 C 361형, 프로젝트 125, 프로젝트 125A형, 프로젝트 D 376형, 스텐카급, 주크급, 스베틀야크급 | ||||
모니터함 | 제레즈냐코프급, 하산급 | ||||
함포정 | 쉬멜급 | ||||
어뢰정 | 프로젝트 123-bis형, P-6급, P-4급, 프로젝트 184형, 셰르셴급, 프로젝트 125형, 투르야급, 무라베이급 | ||||
대잠정 | 무레야급, S·O-1급 | ||||
미사일 고속정 | 코마급, 오사급, 마트카급, 타란툴급 | ||||
항공모함 |
프로젝트 85형, PBIA,
모스크바급,
키예프급, |
||||
상륙함 | 강습상륙함 |
|
|||
대형 상륙함(БДК) | 앨리게이터급, 이반 로고프급, 로푸카급, 폴노시니급, 프로젝트 778형 | ||||
중형 상륙함 | 프로젝트 572형, 프로젝트 118형, 폴노크니급 | ||||
소형 상륙함(МДК) | 프로젝트 450형, 프로젝트 189형, 프로젝트 106형 | ||||
공기부양 소형상륙함 | 주브르급, 아이스트급, 프로젝트 10210형 | ||||
공기부양정 | 거스급, 레베디급, 우테노크급, 프로젝트 1238형, 무레나급 | ||||
LCU | 프로젝트 80형, 프로젝트 306형, 프로젝트 1785형, 온다트라급 | ||||
기뢰함 | 대양 소해함 | 프로젝트 73-K형, T43, T58급, 유르카급, 리다급, 나탸급, 프로젝트 923형, 고랴급 | |||
기본 소해함 | 프로젝트 3형, 프로젝트 265형, 바냐급, 프로젝트 699형, 제니야급, 소냐급 | ||||
연안 소해정 | MT급, 프로젝트 255형, 예브게니야급, 프로젝트 10751형 | ||||
정보수집함 | 프로젝트 393형, 프로젝트 393-A형, 프로젝트 394B형, 프로젝트 850-M형, 프로젝트 861M형, 프로젝트 08621형, 프로젝트 08622형, 비시냐급, 프로젝트 1826형, 프로젝트 10221형, SSV-33 우랄 | ||||
추적유도함 | 프로젝트 1128형, 프로젝트 1129형, 프로젝트 1129B형, 프로젝트 1130형, 마쉘 네델급 | ||||
통합보급함(ККС) | 베레지나급 | ||||
급유함 | 프로젝트 563형, 프로젝트 1589형, 보리스 칠킨급, 프로젝트 577형, 프로젝트 160형, 두브나급, 이만급, 어얼구나급 | ||||
고속 및 특수급유함 | 프로젝트 437-K형, 프로젝트 1545형, 프로젝트 1844형, 프로젝트 1541형, 프로젝트 11510형 | ||||
급탄함 | 프로젝트 1791형, 프로젝트 11570형, 프로젝트 10680형 | ||||
잠수함지원함/잠수함구조함 | 돈급, 프로젝트 1886형, 콤무나 | ||||
위그선 | 룬급 | ||||
해양연구함 | 블라디미르 카브라이스키, 프로젝트 852형 | ||||
수로탐사함 | 프로젝트 861형, 프로젝트 862형 | ||||
훈련함 | 드네프르, 프로젝트 887형, 프로젝트 888형 | ||||
※ 윗첨자UK: 영국이 대여해준 함선 ※ 윗첨자배상: 추축국인 나치 독일, 이탈리아 왕국, 일본 제국 등으로부터 전후 배상받은 함선 ※ 윗첨자나포: 추축국의 함정을 나포해서 운용하게 된 함선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러시아·소련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
콘테 디 카보우르급 전함 개장 전 |
콘테 디 카보우르급 전함 개장 후 |
Classe Conte di Cavour |
1. 개요
콘테 디 카보우르급 전함(Classe Conte di Cavour)은 이탈리아 왕립 해군의 전함으로 제1차~제2차 세계 대전동안 운용하였으며 중간에 대개장을 받아 거의 새로운 함급으로 재탄생하였다.1번함 함명은 이탈리아 통일 삼걸중 하나이자 사르데냐 왕국, 통일 이탈리아 왕국의 수상이던 카밀로 카보우르의 작위명에서 유래되었다.
2. 제원
개장 이후의 제원을 나타낸다.
이전 함급 | 단테 알리기에리급 전함 |
다음 함급 | 카이오 두일리오급 전함 |
기준배수량 | 26,140롱톤 |
만재배수량 | 29,100롱톤 |
길이 | 186.4m |
너비 | 28.6m |
흘수선 | 10.42m |
출력 |
대개장전 31,000마력 대개장후 75,000마력 대개장후 줄리오 체자레 최대 93,430마력 도달 |
속력 |
대개장전 21.5노트 대개장후 27노트 대개장후 줄리오 체자레 최대 28.24노트 도달 |
항속거리 | 20kn 기준 3,100해리[1] |
무장 |
320mm 3연장포 2기 320mm 2연장포 2기 |
120mm 2연장포 6기 100mm 2연장포 8기 |
|
37mm 2연장기총탑 8기 13.2mm 2연장 기총탑 6기 |
|
장갑 |
현측수선 130~250mm 갑판 135~166mm 장갑함교 260mm 바벳 130~280mm 주포탑전면 280mm |
승무원 | 1,260명 |
3. 역사
3.1. 제1차 세계 대전
이탈리아 해군은 1910년에 1번함인 ( 콘테 디 카보우르(Conte di Cavour) 는 라스페치아 공창, 2번함인 카이오 줄리오 체자레[2]는 칸타에리 안살도 사, 3번함인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칸티에리 오데로사에서 건조되었다.3척 모두 1910년에 건조를 시작해서 1914년에 준공되어서 다음 함급인 카이오 두일리오급 전함과 함께 이탈리아 해군의 주력이 되었다. 1916년에는 폭발 사고로 레오나르도 다 빈치를 상실했다.[3]
3.2.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해군의 전력을 제한하는 워싱턴 해군 군축조약 때문에 1928년에 콘테 디 카보우르급 전함은 예비함이 되었고, 이후 대체 함선이 건조되어서 해체될 가능성도 있었다.[4] 각국 해군은 조약 제한 내에서 전력향상을 도모하고자 구식 함선들을 근대화개장을 했다. 콘테 디 카보우르급 개장은 1932년에 이루어졌다 문제는...함선의 60%를 뜯어고치는 대규모의 개장이었는데 현측장갑과 선체의 기본모양 이외에는 이전의 함선과는 전혀 다르게 만들어져서 새로 건조를 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그중 가장 괴랄한것이 윗사진의 설계도들 처럼 함수 부분은 1차세계대전 당시 개장전 함수에다가 새로운 함수를 덮어놓은거다 그리고 해당 개장 사진으로 진짜 기존 함수 위에 새 함수를 씌우는게 맞았다. 물론, 같은 케이스인 카이오 두일리오급 전함도 비슷하기는 했지만 흔적만 남아있지, 저렇게 완전히 새 함수로 덮어 씌워놓지는 않았다. 일단 왜 저런식으로 개장은 했는지는 이유는 불명이지만 아마도 많은 비용이 들어가는 개장비용을 조금이라도 줄일려는 것으로 보인다.
보일러와 터빈을 교체하여 기존 31,000마력 출력에서 75,000마력으로 올렸고, 물의 저항을 줄이기 위해서 함수의 길이도 10m가량 연장한 덕분에 27노트의 속력을 내는 고속전함이 되었다. 줄리오 체자레 경우 93,430마력에서 28.24노트의 속력에 도달한 적이 있다고 한다. 305mm의 구경을 가진 3연장 포탑[5]하나가 철거되었고, 주포의 안쪽 부분을 깎아내서[6] 320mm 포로 만들고, 부포는 18문에서 12문으로 줄었지만, 포탑형식으로 교체되었기 때문에 전보다 훨씬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100mm 2연장 고각도포도 4기 추가되었다.
콘테 디 카보우르급의 대개장은 대성공으로 이후 리토리오급 전함이 등장할 때까지의 연결로 큰 의미가 있었다.
그러나 경비와 공기가 예상외로 많이 들어가서 신형 전함의 건조가 늦어지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3.3. 제2차 세계 대전
1940년 7월 9일에는 선단 호위의 귀로에 있던 콘테 디 카보우르급 전함 2척과 영국의 전함 워스파이트와 말라야, 로열 소버린이 칼라브리아 해전에서 포격전을 했다. 이때 워스파이트가 쏜 주포탄 중 1발이 줄리오 체자레의 후방갑판에 명중되어 37mm 대공기관포의 탄약이 폭발하고 화재가 발생하였는데 화재 연기가 보일러실로 흘러 들어가 승무원이 숨을 쉴 수 없게 돼 보일러 4기를 멈추어야 했고 줄리오 체자레의 항행능력을 떨어트렸다.
1940년 11월 12일 영국 항모 함재기의 타란토 공습 작전 당시 항구에 정박 중이던 1번함 콘테 디 카보우르 함이 페어리 소드피시 편대의 뇌격을 받아 항구 바닥에 착저하여 종전 시까지 처박혀 있었다. 이때 줄리오 체자레도 같이 뇌격을 맞았고 심각한 피해를 보았다.
1942년에는 연료가 심각할 정도로 부족해서 전함들이 행동을 하기가 어려웠다. 이탈리아 해군은 콘테 디 카보우르를 해체했고, 이후 활동하지 않았다. 1943년에 이탈리아가 연합군에게 항복을 하면서 줄리오 체자레는 몰타섬으로 탈출하여 연합국의 관리하에 놓였다.
3.4. 소련의 배상함
2번함 줄리오 체자레는 1948년에 소련 해군에게 배상함으로 넘어갔으며 노보로시스크라는 이름으로 개명되어 사용되다가 1955년 10월 29일 의문의 폭발 사고로 침몰하였다. 이탈리아 해군 특수부대가 사고를 가장한 파괴공작을 벌였다는 설도 있다.4. 기타
이후 이 함급의 이름은 현재 이탈리아군의 항공모함 함급의 이름으로 계승되었다.5. 동형함
함명 | 건조 | 비고 | |
콘테 디 카보우르 | 기공 | 1910-08-10 |
|
진수 | 1911-08-10 | ||
완공 | 1915-04-01 | ||
줄리오 체자레 | 기공 | 1910-06-24 |
|
진수 | 1911-10-15 | ||
완공 | 1914-05-14 | ||
레오나르도 다 빈치 | 기공 | 1910-07-18 |
|
진수 | 1911-10-14 | ||
완공 | 1914-05-17 |
6. 참고링크
Wikipedia:Conte di Cavour-class battleshipPlancia di Comando-Cavour class
7. 매체에서의 등장
네이비필드에서 이탈리아 전함으로 나온다. 초기형은 3차 전함으로, 개장함은 4차 전함으로 나온다. 다만 밸런스 문제인지 개장형은 초기형에 비하면 크기가 상당히 커진다.월드 오브 워쉽에서 줄리오 체자레가 대개장 이후 사양으로 이탈리아 5티어 프리미엄 전함으로 등장하였으며, 1번함인 콘테 디 타보우르가 대개장 이전 사양으로 이탈리아 전함 정규 트리 5티어로 등장한다. 소련에 배상함으로 넘겨진 노보라시스크는 프리미엄 전함 6티어로 등장한다.
벽람항로에서 사디아 제국 소속으로 콘테 디 카보우르와 줄리오 체자레가 등장한다.
함대 컬렉션에서도 등장한다.
[1]
5,741km
[2]
이하 줄리오 체자레로 표기
[3]
수리를 위해 1919년 인양하였으나 예산 부족을 이유로 수리가 취소되어 1923년에 해체되었다.
[4]
2번함 줄리오 체사레는 1934년, 초도함 콘테 디 카보우르는 1935년에 함령이 20년을 넘기게 되는데, 함령이 20년을 넘긴 노후함은 신형함을 건조해 대체해도 된다는
워싱턴 해군 군축조약의 조항에 따라, 이 시기가 되면 신형함의 건조가 가능했다. 비슷한 예로, 일본제국도
공고급 순양전함의 함령이 20년을 넘게 되는 1934년 이후에 공고급의 대체함을 건조하기 위해 설계를 진행한 바 있다.
[5]
콘테 디 카보우르급은 건조 당시 305mm 함포가 3-2-(함교)-3-(함교)-2-3 이런 식으로 배치가 되어있었다. 이후 건조된
카이오 두일리오급 전함도 마찬가지
[6]
이 부분에 대해선 자료마다 내용이 서로 다름. 어떤 자료에는 주포를 교체했다고 나오고, 어떤 자료에는 깎아서 했다고 나온다.
[7]
카이오 두일리오급 전함은 근대화 개장중이었고,
리토리오급 전함은 건조중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