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1 21:00:36

청주종합경기장 주경기장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1c48> 파일:K리그2 로고(흰색).svg K리그2
구단별 경기장 (2024)
}}}||
{{{#!wiki style="color:#ffffff; 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2c292a; margin:-5px -1px -11px"
파일:경남 FC 로고.svg

창원축구센터 ★
파일:창원홈.png
파일:김포 FC 엠블럼.svg

김포솔터축구장 ★■
파일:김포fc홈.jpg
파일:부산 아이파크 로고.svg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
파일:부산홈.png
구덕운동장
파일:부천 FC 1995 로고.svg

부천종합운동장 ■
파일:부천홈.png
파일:서울 이랜드 FC 로고.svg

목동종합운동장
파일:목동홈.png
파일:성남 FC 엠블럼.svg

탄천종합운동장 ■
파일:탄천종합운동장조감도.png
파일:수원 삼성 블루윙즈 로고.svg

수원월드컵경기장 ★
파일:수원삼성홈조감도.png
용인미르스타디움
파일:충남 아산 FC 로고.svg

이순신종합운동장
파일:아산홈.png
파일:안산 그리너스 FC 로고.svg

안산와~스타디움
파일:안산홈.png
파일:FC 안양 로고.svg

안양종합운동장 ■
파일:안양홈.png
파일:전남 드래곤즈 엠블럼.svg

광양축구전용구장 ★
파일:광양홈.png
파일:천안 시티 FC 엠블럼.svg

천안종합운동장
파일:천안홈.png
파일:충북 청주 FC 엠블럼.svg

청주종합경기장
파일:청주홈.png
파일:K리그2 로고(가로형).svg 파일:K리그2 로고(가로형/흰색).svg
축구 전용 구장 가변석 사용 구장
◀ K리그1 구단별 경기장 K3리그 구단별 경기장 ▶
}}}}}}}}} ||
파일:116698937_2709604295974243_893765242714912172_o.jpg
충북 청주 FC
청주종합경기장 주경기장
Cheongju Sports Complex Main Stadium
개장 1965년
확장 1979년
보수 2004년, 2013년, 2016년
소재지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흥덕로 55 ( 사직동)[1]
경기장 형태 종합 운동장
표면 육상트랙, 천연 잔디
좌석 수 16,280석 (30,000명 수용)
최다 관중 30,000명
(1979년 9월 14일 vs 바레인)
홈 구단 럭키금성 황소 (1987~1989)
청주 FC (2002~2022)
청주 시티 FC (2016~2018)
충북 청주 FC (2023~ )
소유 청주시청
운영 주체 청주시시설관리공단

1. 개요2. 교통3.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ba492446c2d22e676cdecfe760740c14.jpg

1965년 준공돼 1979년 5월 종합경기장으로 확장 개축하면서 주경기장은 22,000명을 수용할 수 있게 되었다. 1990년 제71회 전국체전과 2004년 제85회 전국체전 등 두차례의 전국체전을 통해 그동안 노후되었던 시설의 보수보강으로 안전성을 확보하고 공인기준에 부적합한 시설을 대폭 개선하였다.

위치는 서원구청 인근이며, 부지 내에 주경기장 외에 야구장, 체육관, 유도회관, 수영장, 롤러스케이트장, 생활체육관 등 다양한 편의시설이 갖춰져 있다.

2024년 기준, 대한민국 K리그2에 참가하는 충북 청주 FC가 홈구장으로 활용중이다.

2024년 기준 좌석수는 16,280석에 수용인원 30,000명이며 주요 부대시설로는 22,862㎡(공인 2종) 경기장과 105m×68m 규모의 축구장, 계단식 2층 23단 관람석, 우레탄 400m×8코스의 육상트랙, 전광판과 음향 및 방송시설, 조명탑 4기 등이 갖추어져 있다.

육상과 축구, 충북도민체육대회(유치의 경우), 청주시민체육대회, 회사체육대회, 생활체육대회등 여러 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특히 2005년부터 청주시가 트랙을 시민들에게도 개방함으로써 시민들의 건강증진을 도모하고 있다. 이용 시간은 주간에는 하절기 3월~10월은 오전 8시부터 오후 7시, 동절기 11월~2월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이며, 야간의 경우에는 하절기에는 오후 7시부터 10시까지이고 동절기에는 오후 6시부터 10시까지이다.

K리그 경기는 FC 서울의 전신인 럭키금성 황소 축구단이 1987년부터 1989년까지 3시즌간 충청도를 광역 연고로 삼으면서 사실상의 메인 홈경기장으로[2] 쓰였다. 1990년부터 럭키금성은 서울로 연고지 이전을 단행했으나 이후에도 전국을 순회하는 형태로 홈경기를 치르면서 서울 이외 지역에서 열리는 홈경기 중 일부를 청주에서 치렀다. 이후 1996년부터 K리그에 지역 연고제가 완전 시행된 후에는 청주를 연고로 하는 팀이 없어서 2022년까지 26년간 K리그 경기가 열리지 못했다. 그러나 프로화를 선언한 충북 청주 FC가 2023년부터 K리그2에 참가함에 따라 21세기 들어 다시 청주에서 K리그 경기를 볼 수 있게 됐다.

파일:11d7d8afbd18480dbadf08ef6a123393.jpg
2017년 5월 11일 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이 이 경기장에서 우루과이와의 평가전을 가지기도 했다.

2. 교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청주종합경기장/교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21230; margin:-6px -1px -11px"
구단 기본 문서 연고지 충청북도 | 청주시
구단 충북 청주 FC
유소년 운호고등학교
주요 인물 현재 대표 김현주 | 단장 서원상 | 감독 최윤겸 | 주장 이한샘 | 선수단
역대 역대 감독 | 역대 주장 | 프랜차이즈 선수
구단 시설 홈구장 현재 청주종합경기장
클럽하우스 없음
역사 구단 역사 역사
기록 역대 유니폼 | 역대 등번호
시즌별 역대 시즌 | 역대 유니폼
현재 시즌 2024
문화 팬덤 서포터즈 ULTRAS NNN
마스코트 차바 | 레오니
응원 응원가
}}}}}}}}}}}} ||

청주종합경기장
Cheongju Sports Complex
주경기장 야구장 체육관
국민생활관(SK호크스 아레나) 수영장 인라인롤러경기장


[1] 사직동 808. [2] 원래 럭키금성의 홈구장은 대전공설운동장이었지만 1988년 서울 올림픽 축구 종목의 조별리그 경기장으로 지정되면서 많은 경기를 치르지 못했고 결국 청주종합경기장을 실질적인 홈으로 썼다. 당시 럭키금성은 청주와 대전 외에도 훗날 천안 일화 천마의 홈구장으로 쓰이는 천안 오룡경기장도 홈으로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