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ㅏ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ㄱ |
ㅣ |
|
|
집춘문 | ||||||||||
← | 대온실 | 관덕정 | ㅣ | ||||||||||
창덕궁 | 춘당지 |
|
국립어린이과학관 | ㅣ | |||||||||
|
성종 태실 |
앙부일구 풍기대 |
관리사무소 | 월근문 | |||||||||
함양문 |
|
|
|
ㅣ | |||||||||
|
|
|
|
|
|
|
ㅣ | ||||||
|
통명전 | 양화당 |
|
집복헌 | 영춘헌 | ㅣ | |||||||
|
|
|
|
|
|
|
|
|
|
||||
ㄴ | ㄱ |
|
|
ㅣ | |||||||||
ㅣ | 경춘전 | 환경전 |
|
|
|
ㅣ | |||||||
ㅣ |
|
함인정 |
|
|
|
|
ㅣ | ||||||
|
빈양문 | 명정전 | 명정문 | 옥천교 | 홍화문 | ||||||||
ㄴ | ㅡ | ㅡ |
|
|
숭문당 | 문정전 | 문정문 |
|
ㅣ | ||||
|
|
|
|
|
|
ㅣ | |||||||
|
|
|
ㅣ | ||||||||||
|
|
|
|
|
선인문 | ||||||||
|
|
|
ㅣ | ||||||||||
|
+ | ↓ | 종묘 | ㅡ |
|
|
┛ | ||||||
※ '●' 표시가 붙은 건물은 현재 창덕궁 영역이다. | |||||||||||||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
|
|
<colbgcolor=#bf1400> 춘당지의 사계. 윗줄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봄, 여름, 가을, 겨울의 모습이다.[1] |
대한민국 사적 제123호 창경궁 | ||
<colbgcolor=#bf1400> 창경궁 춘당지 昌慶宮 春塘池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 185 ( 와룡동) | |
건축시기 | 1909년 (확장) | |
면적 |
[clearfix]
1. 개요
창경궁의 연못이다. 연못이 두 개로, 북쪽의 작은 연못(소춘당지)과 남쪽의 큰 연못(대춘당지)으로 이루어져 있다.2. 이름
연못 이름은 근처에 있던 춘당대에서 따왔다. 춘당대는 창덕궁 영화당 앞의 넓은 마당이다.조선 시대에는 창덕궁과 창경궁을 한 권역으로 묶어 사용했다. 특히 후원 권역은 더욱 그랬다. 지금은 춘당대 한 가운데를 담으로 막아 인식하기 어렵지만, 춘당대의 위치는 현재의 춘당지 바로 옆이다. 그래서 연못의 이름을 거기서 따온 것이다.
|
<colbgcolor=#bf1400> 춘당대 자리. 파란 원 안이다. |
3. 역사
남쪽 연못 자리에는 원래 권농장(勸農場)이 있었다. 권농장은 임금이 농사를 장려하고 백성들의 고단한 노동을 직접 체험하기 위해 만든 궁궐 내의 작은 농장이었다. 크고 작은 논 11개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 논을 일컬어 내농포(內農圃)라 한다.[2]북쪽 연못은 조선 시대부터 있었다. 《 동궐도》를 보면 그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
<colbgcolor=#bf1400> 〈동궐도〉에 나온 현재 춘당지 일대. 왼쪽 상단의 연못이 현재의 북춘당지이고 오른쪽의 논 11개가 권농장이다. |
그러다 1909년( 융희 3년) 일제가 창경궁을 놀이공원 창경원으로 개조하면서, 권농장 자리에 큰 연못을 만들고 기존에 있던 북쪽 연못과 합쳤다. 그리고 이름을 춘당지라 지었다.
춘당지는 창경원 시절 서울의 핫플레이스로 유명했다. 놀거리가 별로 없던 시절, 도심 한복판에 있는 테마파크의 큰 연못은 그 자체로 시민들의 발길을 끌기에 충분했다. 일제강점기 때에는 남춘당지 북쪽에 일본식 건물 수정(水亭)을 세웠고, 8.15 광복 이후 1965년에는 케이블카까지 설치했다. 이 밖에도 파라솔과 테이블 등 여러 관람 편의 시설을 춘당지 주변에 마련했다.
|
<colbgcolor=#bf1400> 일제강점기의 수정[3] |
|
〈대한뉴스〉 제 356호 - 〈창경원에 케이블카〉 |
|
|
<colbgcolor=#bf1400> 수정궁[5] | <colbgcolor=#bf1400> 수정궁 스케이트장[6] |
|
|
수정궁 야경[7] |
1984년 문화재관리국에서 창경궁 복원 사업을 진행하면서 여러 놀이 시설, 편의 시설을 전부 철거했고, 현재의 모습으로 재정비했다. 문화재청에서 내농포로 다시 원래대로 되돌릴 계획이 있지만 추진이 지지부진한 편이다.
4. 여담
- 창경원 시절 봄 밤에 벚꽃놀이할 때, 이곳에서 미팅하려는 대학생들이 많았다. 이를 은어로 ‘나체팅’이라고 했다. 당연히 이상한 건 아니고, '나이트(night) 체리 블러섬(Cherry blossom) 미팅(meeting)'의 줄임말로, '밤 벚꽃 미팅'이란 뜻이다.[8]
- 1970년 5월 창경원 시절 식물원 보일러실의 벙커C유가 흘러들어 소춘당지의 연꽃들이 시들어버린 일이 있었다. #
- 한겨레에서 만든 지역밀착형 섹션신문 《서울&》에서 춘당지 케이블카와 관련한 웃픈(?) 사연을 소개했다. 강원도 양양군에 살던 한 어린이가 케이블카를 너무 타보고 싶었고, 몇 년 지나고 상경한 뒤 드디어 창경원에 가면서 소원을 이루는 듯 했다. 하지만 사람들이 너무 많아서 아버지가 돌아가자고 하는 바람에 못타고 말았다. 다음해에 미국으로 떠났다가 1986년에 한국으로 돌아왔지만, 이미 2년 전에 창경궁 복원사업으로 케이블카가 사라져 결국 영원히 탈 수 없었다는 이야기이다. #
5. 매체에서
[1]
첫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립문화유산포털.
두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립문화유산포털.
세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립문화유산포털.
네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립문화유산포털. [2] 1907년(융희 1년)에 제작된 동궐도형에는 10개의 논으로 되어있고 이름도 10개의 논을 의미하는 답십야미(畓十夜味)로 되어있었다. [3] 사진 출처 - 서울역사아카이브. [4] 수정궁은 1976년 국가 소유로 넘어갔고, 이후 '궁에서 어떻게 술을 파냐'는 여론에 밀려 영업을 정지했다. 그리고 후술할 1984년 철거당할 때까지 방치 상태로 놓였다. # [5] 사진 출처 - 국가기록원. [6] 사진 출처 - 국가기록원. [7] 사진 출처 - 국가기록원. [8] 꼭 춘당지만은 아니고, 창경원 내 벚꽃이 핀 장소면 어디든 해당했다.
두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립문화유산포털.
세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립문화유산포털.
네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립문화유산포털. [2] 1907년(융희 1년)에 제작된 동궐도형에는 10개의 논으로 되어있고 이름도 10개의 논을 의미하는 답십야미(畓十夜味)로 되어있었다. [3] 사진 출처 - 서울역사아카이브. [4] 수정궁은 1976년 국가 소유로 넘어갔고, 이후 '궁에서 어떻게 술을 파냐'는 여론에 밀려 영업을 정지했다. 그리고 후술할 1984년 철거당할 때까지 방치 상태로 놓였다. # [5] 사진 출처 - 국가기록원. [6] 사진 출처 - 국가기록원. [7] 사진 출처 - 국가기록원. [8] 꼭 춘당지만은 아니고, 창경원 내 벚꽃이 핀 장소면 어디든 해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