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대외관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6자회담 당사국 | |||||||
대한민국 |
북한 |
미국 |
러시아 |
일본 |
||||
아시아 | ||||||||
대만 |
홍콩 |
마카오 |
티베트 |
내몽골 | ||||
몽골 |
베트남 |
라오스 |
말레이시아 |
인도네시아 |
||||
싱가포르 |
미얀마 |
필리핀 |
캄보디아 |
태국 |
||||
인도 |
파키스탄 |
아프가니스탄 |
부탄 |
스리랑카 |
||||
몰디브 |
네팔 |
방글라데시 |
카자흐스탄 |
우즈베키스탄 |
||||
타지키스탄 |
키르기스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
위구르 |
제주특별자치도 |
||||
오키나와현 |
||||||||
유럽 | ||||||||
벨라루스 |
우크라이나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독일 |
||||
스위스 |
폴란드 |
체코 |
슬로바키아 |
헝가리 |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아일랜드 |
||||
스페인 |
포르투갈 |
이탈리아 |
바티칸 |
세르비아 |
||||
알바니아 |
튀르키예 |
그리스 |
노르웨이 |
스웨덴 |
||||
리투아니아 |
라트비아 |
에스토니아 |
||||||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 ||||||||
시리아 |
이란 |
이라크 |
팔레스타인 |
예멘 |
||||
바레인 |
아랍에미리트 |
이스라엘 |
사우디아라비아 |
이집트 |
||||
리비아 |
수단 공화국 |
알제리 |
모로코 |
|||||
아메리카 | ||||||||
캐나다 |
멕시코 |
과테말라 |
니카라과 |
베네수엘라 |
||||
쿠바 |
칠레 |
파라과이 |
브라질 |
가이아나 |
||||
페루 |
아르헨티나 |
에콰도르 |
||||||
아프리카 | ||||||||
에티오피아 |
에리트레아 |
소말리아 |
케냐 |
탄자니아 |
||||
르완다 |
마다가스카르 |
모잠비크 |
코모로 |
모리타니 |
||||
카보베르데 |
세네갈 |
감비아 |
말리 |
니제르 |
||||
기니 |
기니비사우 |
나이지리아 |
차드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
카메룬 |
적도 기니 |
콩고민주공화국 |
앙골라 |
상투메 프린시페 |
||||
가봉 |
콩고 공화국 |
짐바브웨 |
에스와티니 |
남아프리카 공화국 |
||||
잠비아 |
레소토 |
|||||||
오세아니아 | ||||||||
호주 |
뉴질랜드 |
파푸아뉴기니 |
솔로몬 제도 |
팔라우 |
||||
키리바시 |
나우루 |
투발루 |
사모아 |
피지 |
||||
바누아투 |
||||||||
다자관계 | ||||||||
한중일 |
한중러 |
미중러 |
북중러 |
미중일 |
||||
중화권·러시아·만주 |
러시아·인도·중국 |
러시아·몽골·중국 |
중국·인도·파키스탄 |
아프리카 |
||||
아세안 |
오세아니아 |
|||||||
과거의 대외관계 | ||||||||
로마 제국 |
소련 |
가야-후한 관계 | 백제-수나라 관계 | 여요관계 | ||||
당나라 · 송나라 · 명나라 · 청나라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시아· 유럽 | ||||
대한민국 |
중국 |
영국 |
|||
아프리카 | |||||
소말리아 |
탄자니아 |
남수단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중국 | 케냐 |
1. 개요
중국과 케냐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2. 역사적 관계
2.1. 중세
스와힐리 해안의 스와힐리족 상인들이 케냐 북부 해안의 소말리인 상인들과 함께 인도양 무역 네트워크를 통해 중국과도 교역하였다.2.2. 20세기
케냐가 20세기 후반에 영국의 지배에서 벗어난 뒤에 양국은 공식수교했다. 그리고 케냐는 중국과 수교하면서 교류와 협력이 많아지기 시작했다. 문화대혁명 당시 홍위병들이 주중 케냐 대사관에 저지른 폭력사태도 케냐의 중국 단교- 대만 수교를 이끌어낼 수는 없었다.2.3. 21세기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양국의 교류, 협력이 활발해지기 시작했다. 수많은 중국인 관광객들이 케냐로 관광하러 오는 경우가 자주 있다.[1] 중국 기업들이 케냐에도 많이 진출했고 양국간의 경제 협력이 활발하다. 다른 아프리카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케냐도 중국과는 교류, 협력이 활발해지고 있다.다만, 이 과정에서 갈등이 발생되기도 한다. 케냐는 일대일로에도 참가하다보니 중국의 채무와 관련된 것으로 인해 갈등이 존재한다.
케냐는 2020년부터 중국어를 제2외국어로 지정했다. #
왕이 외교부장이 케냐를 포함한 아프리카 5개국을 방문했다. #
2020년부터 코로나19가 전세계에 퍼지면서 케냐는 코로나19와 관련된 피해를 입었다. 이에 양국은 갈등을 빚었다. 그리고 채무로 인해 갈등을 빚었다. 코로나19가 발생되었을 때 중국에서 아프리카인들이 차별대우를 받자 케냐 정부는 중국에 항의했다. # 3월 21일에 중국은 화상회의를 열어 케냐를 포함한 다른 아프리카 국가들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 2021년 1월 20일에 중국측은 270억 실링(약 2천700억 원) 규모의 케냐 부채의 상환 기한을 6개월 연장해줬다. # 4월 19일에는 라무섬에 중국교통건설이 세운 항만시설이 6월에 개통될 예정이다. #
2022년 1월 5일에 왕이 외교부장이 에리트레아를 방문한데 이어 케냐를 방문했다. #
3. 관련 문서
[1]
탄자니아도 중국인 관광객들이 자주 오는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