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6 22:31:41

유 퀴즈 온 더 블럭/249회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유 퀴즈 온 더 블럭
파일:유퀴즈온더블럭.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에피소드
시즌 1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10회 · 11회 · 12회
시즌 2 13회 · 14회 · 15회 · 16회 · 17회 · 18회 · 19회 · 20회 · 21회 · 22회 · 23회 · 24회 · 25회 · 26회 · 27회 · 28회 · 29회 · 30회 · 31회 · 32회 · 33회 · 34회 · 35회 · 36회 · 37회 · 38회 · 39회 · 40회 · 41회 · 42회 · 43회 · 44회 · 45회 · 46회
시즌 3 47회 · 48회 · 49회 · 50회 · 51회 · 52회 · 53회 · 54회 · 55회 · 56회 · 57회 · 58회 · 59회 · 60회 · 61회 · 62회 · 63회 · 64회 · 65회 · 66회 · 67회 · 68회 · 69회 · 70회 · 71회 · 72회 · 73회 · 74회 · 75회 · 76회 · 77회 · 78회 · 79회 · 80회 · 81회 · 82회 · 83회 · 84회 · 85회 · 86회 · 87회 · 88회 · 89회 · 90회 · 91회 · 92회 · 93회 · 94회 · 95회 · 96회 · 97회 · 98회 · 99회 · 100회 · 101회 · 102회 · 103회 · 104회 · 105회 · 106회 · 107회 · 108회 · 109회 · 110회 · 111회 · 112회 · 113회 · 114회 · 115회 · 116회 · 117회 · 118회 · 119회 · 120회 · 121회 · 122회 · 123회 · 124회 · 125회 · 126회 · 127회 · 128회 · 129회 · 130회 · 131회 · 132회 · 133회 · 134회 · 135회 · 136회 · 137회 · 138회 · 139회 · 140회 · 141회 · 142회 · 143회 · 144회 · 145회 · 146회 · 147회 · 148회 · 149회 · 150회 · 151회 · 152회 · 153회 · 154회 · 155회 · 156회 · 157회 · 158회 · 159회 · 160회 · 161회 · 162회
시즌 4 163회 · 164회 · 165회 · 166회 · 167회 · 168회 · 169회 · 170회 · 171회 · 172회 · 173회 · 174회 · 175회 · 176회 · 177회 · 178회 · 179회 · 180회 · 181회 · 182회 · 183회 · 184회 · 185회 · 186회 · 187회 · 188회 · 189회 · 190회 · 191회 · 192회 · 193회 · 194회 · 195회 · 196회 · 197회 · 198회 · 199회 · 200회 · 201회 · 202회 · 203회 · 204회 · 205회 · 206회 · 207회 · 208회 · 209회 · 210회 · 211회 · 212회 · 213회 · 214회 · 215회 · 216회 · 217회 · 218회 · 219회 · 220회 · 221회 · 222회 · 223회 · 224회 · 225회 · 226회 · 227회 · 228회 · 229회 · 230회 · 231회 · 232회 · 233회 · 234회 · 235회 · 236회 · 237회 · 238회 · 239회 · 240회 · 241회 · 242회 · 243회 · 244회 · 245회 · 246회 · 247회 · 248회 · 249회 · 250회 · 251회 · 252회 · 253회 · 254회 · 255회
관련 문서
상금 수령자 · 부제 및 시청률 · 잇템 · 스핀오프 · 논란 및 사건 사고
}}}}}}}}} ||

1. 개요2. 첫번째 유퀴저: 김윤서&김연준3. 두번째 유퀴저: 여진구4. 세번째 유퀴저: 허준이5. 기타

1. 개요

유 퀴즈 온 더 블럭의 249화 방영 내용에 관한 문서.

2. 첫번째 유퀴저: 김윤서&김연준


  • 비탈길 미끄러지는 트럭을 온몸으로 막아낸 고등학생 슈퍼맨
  • 김윤서, 김연준 자기님은 비탈길 미끄러지는 1톤 트럭을 온몸으로 멈춰 세워 대참사를 막아낸 바 있다. 위험천만했던 당시의 상황에 대해 자세하게 들려준 동시에 두사람의 풋풋한 이야기도 들려줬다. 현장에는 김윤서 자기님의 어머니와 동생, 김연준 자기님의 아버지와 누나가 방문했다.
  • 유퀴즈 출연 소식의 주변 반응, 급박했던 당시의 상황[1], 비탈길의 올바른 주차법[2], 사건 종료 후 세간의 알려지기까지의 과정[3]
  • 두 사람의 풋풋한 이야기도 들려줬다. 두 자기님은 중학교 때부터 절친이었고 같은 학교&같은 반이다. 들려오는 제보에 의하면 교내 방송부 활동[4]도 함께했고, 단편 영화 주인공 역할[5]도 함께 맡는다고 하며, 두 사람이 같은 등교 버스를 탄다고 한다. 이를 들은 큰 자기가 "이거 ' 선업튀' 내용인데?"라고 말하기도 하였다. 평소 상대에 대한 생각, 가족들의 생각, 김윤서 자기님에게 고백한 일화 등 이야기했다.
  • 이 외에 가족과의 유대 관계가 어떤지 대해 이야기했다. 또한 다가오는 기말고사에 대한 포부를 이야기했으며, 학교 축제에서 MC를 맡게 된 김연준 자기님에게 멘트 조언을 하기도 하였다.
  • 두 자기님은 퀴즈를 맞춰 받은 상금은 물론 축제 축전 영상을 받았고 촬영이 마친 후 다음 회차에 등장 예정인 빌리 아일리시 자기님의 촬영도 직관으로 봤다.

3. 두번째 유퀴저: 여진구


  • 인생의 절반 이상 연기의 길을 걸어온 배우
  • 여진구 자기님은 20년차 배우[6]로 아역 배우 시절부터 수많은 영화, 드라마 등 굵직한 작품들로 자신만의 필모그래피를 쌓아왔다. 아역 배우로서 인생 성장통과 앞으로 다가올 30대에 대한 기대감으로 솔직한 이야기를 전했다.
  • 자기님의 차기작은 하이재킹으로, 1971년 여객기 납치 사건을 모티브로 만든 영화로 자기님은 납치범 역할을 맡았다.[7] 영화에서 기장으로 나온 성동일 자기님과의 인연[8]을 공개했다.
  • 자기님의 인생 연기에 대해 이야기했다. 9 살 때 <새드 무비>를 시작으로 12살에 < 타짜>, < 일지매>, < 식객> 등 7년 간 총 15명 배우의 아역으로 출연하였다. 유재석의 아역까지 맡았던 반전 에피소드[9], '진구 오빠'라는 수식어를 가져다준 드라마 ' 해를 품은 달'[10]의 명대사와 비하인드, 아역 여진구를 배우 여진구로 각인 시킨 영화 화이의 비하인드[11], 인생의 전환점을 겪고 23살에 만난 드라마 ' 호텔 델루나'의 비하인드[12]와 상대 배우 [[아이유]0에 대한 이야기 등 이야기했다.
  • 세대별 아역 배우[13], 요즘 아역들을 보면서 느낀점, 자기님의 학창시절[14], 아역배우로서의 성장통[15], 혼자서 즉흥적으로 부산 여행으로 간 에피소드 등 이야기했다.
  • 이 외에 이름 때문에 여진대비 홍보대사가 된 사연[16], 어릴적 별명[17], 양심상 모솔이라고 못한 사연, 앞으로 기대하는 30대 인생 등 이야기했다.
  • 받은 상금은 '한국 소아암 재단'에 기부하였다.

4. 세번째 유퀴저: 허준이


  • 한국 수학자 최초로 수학계 노벨상인 ' 필즈상'을 수상한 수학자
  • 허준이 자기님은 유퀴즈에 최초로 등장한 수학자다. 자기님은 미국 프린스턴 대학교 교수로 아인슈타인, 오펜하이머와 동문이며,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출신이라고 한다. 자기님은 인류가 해결못했던 무려 11개의 난제를 해결한 끝에 한국 수학자 최초로 '필즈상'[18]을 수상했다고 한다. 그랬던 자기님이 2년의 기다림 끝에 드디어 '유퀴즈' 출연이 성사됐으며, 현장에는 가족들과 함께 방문했다.
  • 난제에 대해 이야기했다. 난제의 정의[19] 난제를 접근해낸 이유, 난제를 쉽게 설명하기 어려운 이유와 난제를 연구하는 이유[20] 등 이야기했다.[21]
  • 필즈상 수상 연락을 받았을 때 느낀 기분, 하버드대, 프린스턴대 등 여러 명문 대학교 중 프린스턴대에서 종신 교수 제안을 승낙한 이유[22], 필즈상보단 종신대 교수가 더 좋다고 말한 이유, 자기님의 이웃[23], 난제가 있을 때의 일상[24], 자기님의 생활 루틴[25], 모두를 울컥하게 만든 모교 서울대 졸업 축사 비하인드 등 이야기했다.
  • 자기님의 인생에 대해 이야기했다. 부모님의 연예시절[26], 자기님의 학창시절[27], 수업시간 보단 하교 시간이 더 좋았단 이유, 고등학교를 자퇴한 이유[28] 등 이야기했다.
    • 이후 자기님은 검정고시로 서울대 물리천문학과에 입학 후 미국 일리노이 대학교에 유학갔다. 박사 1년 차에 45년 난제인 ' 리드 추측'을 해결한 후 전 세계 천재들만 갈 수 있다는 프리스턴고등연구소로 갔다. 거기서 자기님은 수학자들만 모여서 수다 떠는 그 시간이 너무나 좋아했고 카이스트 한국고등과학원에 '허준이 수학난제연구소'를 설립했다고 한다.
  • 이 외에 아내와의 첫만남[29], 수학자들의 특성[30], 수학을 해야 하는 이유 등 이야기했다. 이후 자기님은 인생의 난제에 부딪힌 청춘에게 건네는 진심 어린 위로와 응원의 한마디를 남기기도 하였다.

5. 기타

  • '난제를 푸는 법' 특집.


[1] 배드민턴을 치러 가다가 트럭을 발견하고 막았다고 한다. 이 때, 주변의 어른들에게 도움을 받아 20여분 동안 지켰다고 한다. [2] 사이드 브레이크, 바퀴 방향을 안쪽으로 비틀기, 바퀴에 고임목 받쳐주기. [3] 사건 당시엔 그냥 갔지만, 이틀 후 김윤서 자기님에게 기자가 연락이 와 당시의 상황에 대해 자세하게 이야기를, 기억에 남은 댓글, 당시의 상황에 대한 가족들의 반응 등 이야기했다 [4] 김연준 자기님은 부기장, 김윤서 자기님은 기장이다. [5] 주인공은 김연준 자기님이 꼭 하겠다고 하며, 김윤서 자기님은 사다리 타기로 됐다고 한다. [6] 공식적으로는 2005년에 데뷔했다. [7] 자기님은 데뷔 20년 만에 맡은 첫 악역이라고 한다. [8] 자기님과는 18년 전 아빠와 막내 아들로 나왔다고 한다. 믹스를 타줬지만 지금은 쏘맥을 말아준다고 한다. [9] SBS 반전 드라마에서 '키스 못하는 남자' 편에서 큰 자기님의 아역으로 나온 바 있다. [10] 20부작 총 6부작을 이끌어 줬다. [11] 17살 때 이 영화를 통해 최연소 신인 남우상을 휩쓸었다. 하지만 개봉 당시 미성년자라서 정작 영화를 보지 못했다가 20살이 되자마자 기다렸듯이 봤다. [12] 자기님에겐 스스로 칭찬을 해주고 싶은 작품이라고 한다. [13] 2000년대엔 유승호, 이현우, 박지빈이 있고 80년 대엔 김민정, 양동근, 이건주 등이 있다. 자기님은 형들이 앞길을 잘 닦아 줬다고 한다. [14] 자기님은 전교 부회장이고 성적도 벼락치기로 제법 나왔으나, 고등학교때는 그마저도 힘들었다고 한다. [15] 어린시절 부터 연기만 해서 정작 기차 타는 법, 대학 등록금 내는 법도 몰랐고 스몰토크도 어려워 인간관계에서 멍해졌다고 한다. [16] 참고로 지진희 자기님은 <지진대비 홍보대사>라고 한다. [17] 독특한 성 때문에 여자, 여자친구, 여학생등이 있다. 여담으로 황희찬 자기님의 별명이 여진구라고 하며, 곧 출연을 예고했다. [18] 수학계의 노벨상으로, 4년 만에 가장 뛰어난 40세 미만의 수학자에게 수여받은 상이다. 300년 난제였던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해결한 앤드루 와일스도 수상을 받았다고 한다. [19] 오랫동안 여러 사람이 시도를 했지만 풀리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그 난제를 풀고 찾아내는 것이 수학자들의 역할이라고 말한다. [20] 기존에 있던 틀을 부수고 포괄적인 더 큰 틀을 만들고 반복한 끝에 이미 태곳적부터 존재하던 사실을 발견하는 쾌감이 있다고 말한다. [21] 개인 인터뷰에서 자기님이 해결한 난제 중 하나를 직접 예시를 보여주면서 난제에 대해 자세하게 풀어냈다. [22] 프린스턴대학교가 수학은 제일 잘한다고 생각하는데, 실제로 프린스턴은 '수학의 도시'라고 불린다. [23] 이웃들이 필즈상을 받은 수학자들이라고 한다. 자기님은 수학자까리 있으면 편다고 하며, 돈을 안줘도 수학할 것 같은데 돈까지 주니 너무 감사한다고 말한다. [24] 난제가 있을 때 비교적 단순하게 지낸다고 한다. [25] 매일 아침에 아메리카노 딱 한잔을 마신다고 하며, 집중을 못해서 시간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모래시계를 구입했다고 한다. 이 외에 새벽 3시에 기상 후 명상하고, 조깅을 꾸준히 한다고 한다. [26] 아버지는 고려대 통계학과 허명희 교수님이고, 어머니는 서울대 노어노문학과 이인영 교수하고 한다. [27] 매 한학기마다 수학을 한 단어씩만 공부해서 성적은 좋지 않았다고 한다. [28] 간 기능이 약하다는 이유로 자퇴했다고 하다. [29] 서울대 수리과학과 CC라고 한다. [30] 수학자의 특유의 시선처리가 있는데, 수학자들은 대화할 때 자기 구두 코를 본다고 한다. 또한 사회성이 뛰어난 수학자들은 상대의 구두 코를 본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