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문서: 세계수를 따먹다/설정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table bordercolor=#fff><width=50%>
||
주요 설정 ||
#!wiki style
----
#!wiki style
----
#!wiki style
----
[clearfix]
1. 개요
웹소설 세계수를 따먹다에 등장하는 작중 설정.2. 상세
파괴된 것을 제외한 모든
왕관이 빛을 드러내었을 때, 근원의 길이 열린다. 그릇은 서로를 깨부수고, 시대를 개벽할 가치를 증명한다.
경지 너머에 있는 ‘근원’[1]의 본질이 형상화된 것으로 총 3개의 왕관[2]이 존재하는데, 이 세 왕관이 각각 근원으로 향하는 최소한의 자격을 증명하는 역할을 한다.[3]세계수들에게도 신화 속 존재로 여겨지는 ’위그드라실‘이 최초의 사용자다. 이후 이를 물려받은 '세계수의 시조' 초대 가이아가 ’세계수들의 왕‘에 등극하여 세 왕관으로 역사의 흐름을 통제하고, 창조의 권능으로 이를 물려받을 후계들을 탄생시켰는데, 초대 가이아를 이은 '세계수의 왕' 2대 가이아, '고대의 현자' 므두셀라, '파괴신' 기간테스가 바로 그 후계들이며, 이후 일련의 사건들로 인해 세 왕관의 주인은 모두 변경된다.[4]
고대의 탑 편에서 왕관의 잔재에 해당되는 위스테리아, 제네럴 셔먼이 모습을 드러냈다. 왕관의 잔재들은 초대 목령왕에게 배신당하거나 대적하다 소멸당해 왕관의 일부가 되었던 존재들이다. 이시헌, 정시우, 타라곤의 일러스트를 보면 왕관마다 형태와 색이 저마다 다른 것으로 보인다.
3. 능력
세 왕관은 본질적으로 동일하다고 언급되며, 왕의 권능과는 별개의 힘인 '왕의 힘'[5]을 다룰 수 있게 해주는 매개체로 그릇이 성장할수록 왕관의 역량도 성장한다.정령계 왕관의 원 소유자이자 초대 가이아가 창조한 존재 중 한명인 므두셀라는 세 왕관[6] 중에서 두 개가 부서지는 한이 있더라도 최소 하나만큼은 무사해야 한다고 이야기했고 왕관은 자유의지를 가지기 때문에 종족 특성상 의지가 약한 인간이 사용했다간 타락하기 십상이며, 이를 우회하기 위해 목령왕이 개발한 방법이 바로 왕관의 자유의지를 조절하고 정신적 부담을 대신 받아줄 개체인 인자를 심어넣는 것이었지만 결국 실패했다고 한다.
위그드라실의 후계자인 초대 가이아[7]는 세 왕관의 힘으로 역사의 흐름을 통제했고 창조의 권능으로 세계수의 왕(2대 가이아), 므두셀라, 기간테스를 창조했다고 언급된다.
제네럴 셔먼, 위스트레아 등 왕관의 잔재들은 초대 목령왕에게 배신당하거나 대적하다 소멸당해 왕관의 일부가 되었던 존재들이라 나오는 것을 보면 타인을 왕관의 일부로 흡수할 수도 있는 듯 하다.
3.1. 동화
<기간테스의 왕관>의 능력[8]으로 사용자가 왕관에 동화되어 그가 쓰던 것과 같은 힘을 일시적으로 손에 넣게 해주는 능력으로, 왕관과 동화할수록 사용자가 조금씩 나무에 집어삼켜지면서 능력 전반이 강화된다.-
1차 동화
몸 바깥으로 흉기와도 같은 갑피가 돋아나며, 흑룡포를 집어삼킬 정도로 거대한 기운이 몸에 붙고 눈동자가 붉게 불타는 등 괴수와도 같은 형상으로 변한다. -
2차 동화
왕관이 맥동하면서 파동을 일으켜, 주변에서 사용된 해방이나 결계 등을 강제로 해제한다. -
3차 동화
상세불명. 작중에선 사용한 적이 없다. 이후 본 세계선의 이시헌이 고대의 탑에서 여려 기연을 얻음으로써 이 단계에 이르렀다. -
4차 동화
왕관을 완전히 집어삼켜 동화한 최종 형태로,[9] 최상급 정령과 왕관을 통해 발동한 대마법이라도 단번에 해제하는 것은 물론 어마어마한 규모의 마력을 운용할 수 있게 되는 대신, 이성을 상실한 괴물이 된다.[10] 외모는 왕관이 아예 사라지는 대신 온몸의 갑피가 더욱 두터워지고, 머리에 붉은 휘광을 덧씌운 모습이 된다.
현 세대 왕관의 주인들 중 가장 장기간 왕관을 사용한 이시헌의 경우 하이페리온, 멜리아와 상대하며 자신만의 경지를 만들어냈는데, 전대 사용자인 1대 목령왕의 의지와 별개이기 때문에 천마의 힘과 서로 상충하지도 않아 완전한 위력을 발휘한다고 한다.[11]
3.2. 부작용
평범한 인간이 사용하게 되면 호르몬 조절을 위한 약을 먹는 등 약물 요법이 필요할 정도로 성욕을 극단적으로 높이며[12], 그 외에도 자격이 없는 이가 사용하면 심각한 정신적 고통을 동반하기 때문에 성격이 충동적이고 폭력적으로 변하는 문제가 있어[13] 초대 목령왕이 자신의 고통을 분담할 반려인 '인자'를 창조해 우회를 시도했지만 끝내 실패하고 정신이 붕괴했다. 현재 이시헌이 사용하고 있는 왕관의 원 소유주였던 기간테스 또한 왕관의 힘에 의해 자멸되었을 정도.또한 수목의 왕의 경우와 같이 왕관의 일부를 탈취당하면 힘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5대 세계수를 포함한 고대의 세계수들 중 다수를 겁탈한 목령왕이 몰락한 이유 또한 순결과의 최후 결전에서 왕관의 절반을 빼앗겨 전력이 크게 약화되고 부하들마저 다수 상실한 상태에서 공격당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14]
이러한 부작용 때문에 순결의 혈통을 이은 존재는 본능적으로 왕관의 사용자를 대적하도록 유전적으로 각인되어 있다. 균형을 지키는 존재들인 그녀들로서는 본질적으로 이를 적대할 수 밖에 없다고 한다.
4. 역대 사용자
{{{#!wiki style="margin:-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fff> | 왕관의 주인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위대한 물푸레나무 위그드라실 |
||||||
↓ | |||||||
세계수의 시조 초대 가이아 |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세계수의 왕 2대 가이아 |
고대의 현자 므두셀라 |
파괴신 기간테스 |
}}} |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ATU의 여왕 멜리아 |
정령계의 여왕 에리니에스 |
인간계의 왕 목령왕 |
}}} |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세계수의 용사 정시우 |
플라워의 수장 타라곤 |
2대 목령왕 이시헌 |
}}} | }}}}}}}}} |
위그드라실•가이아•기간테스에 대한 내용은 세계수 진영 문서 참고하십시오.
5. 또다른 왕관?
요람의 성모인 목화 또한 왕관의 소유자로 묘사되며, 심지어 그 왕관이 이시헌의 왕관과 공명하며 분명한 연관성이 있다는 묘사가 지속적으로 나왔으나, 위그드라실과 가이아가 사용했던 왕관은 3개로만 알려져 있고, 므두셀라 역시 에리니에스에게 ‘3개의 왕관’이라고만 전했기 때문에 목화의 왕관이 이들 왕관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가 주요 떡밥이다.[16]6. 인격?
작중 묘사되는 바에 따르면 왕관은 독자적인 자아를 가진 것처럼 보인다.1부 말 이시헌의 각성 당시 왕관은 왕의 인자와 함께 왕의 자질을 판단하는 역할을 맡았으며 인자와는 달리 이시헌을 왕으로 인정했다.
[1]
왕관의 진정한 힘을 해방한 이들끼리 싸워 힘을 흡수해 도달하는 경지로 세계수들과 극소수의 실력자들을 제외하면 아는 이가 거의 없는 개념에 해당된다. 초대
목령왕조차도 근원에 도달하는 데에 실패해 좌절을 겪였고 현 시점에서 근원에 도달한 존재로는 세계수들의 왕,
세피로트,
수목의 왕이 있고 인식하는 존재로는
알바,
위키,
이시헌, 초대
목령왕이 있다. 그 중에서 위키와 이시헌, 전성기 시절의 순결과 이시바는 근원에 도달할만한 포텐셜이 있다고 언급된다.
[2]
목화의 왕관과 관련해서는 ‘또다른 왕관?’ 문단 참고.
[3]
이와 같은 열쇠의 역할은 각각의 왕관이 진정한 주인을 만남으로써 유효하게 되는데,
수목의 왕을 통해 미래의 일을 전해 들은
이시헌은 작품 진행시점에서의 소유자인
멜리아와 에리니에스는 그 적격이 없다고 평가했고,
정시우와
타라곤이 그 적격자라고 평가했다. 실제로 미공개 일러스트 분을 보면 정시우와 타라곤의 머리 위에 월계관처럼 생긴 것이 떠올라있다. 이시헌의 독백과 미공개 일러스트 묘사와 연관지어보면 얼마 안 있어 타라곤과 정시우가 에리니에스와 멜리아로부터 왕관을 탈취할 것이라는 복선이라 볼 수 있다.
[4]
역대 사용자는 아래
문단 참고.
[5]
대표적으로 수목의 왕의 가지나 갑피, 이시헌의 체취나 예속 등이 존재한다.
[6]
각각 세계수, 정령계, 인간을 상징한다.
[7]
므두셀라, 기간테스, 2대 가이아를 창조한 존재로 현 신위(神威)를 세워 전
차원의
법칙과 윤리를 재편했다고 전해지는 생명의 정점이며 곧
세계수((世界樹)라는 이름의 시조이자 최초의 신으로 언급된다. 다만 왕관을 이을 3명의 후계들을 탄생시킨 이후 정체를 알 수 없는 나무에게 살해당했다.
[8]
다른 두 왕관의 경우는 사용 가능한지 여부가 밝혀지지 않았다.
[9]
폭주나 스태미나 소모 등의 문제 때문에 일반적으로 발동할 수 있는 기술은 아니다. 수목의 왕은 이시헌에게 왕관의 절반을 빼앗긴 덕분에 나머지 절반만 삼켜도 완전 동화가 가능한 상태가 되어 아슬아슬하게 사용할 수 있었던 것.
[10]
이 때문에
알바가 갑자기 전장에 난입한 시바를 필사적으로 막으려고 했던 이유기도 한데, 방금 전 서술한 것처럼 이성을 잃고 폭주한 수목의 왕이 시바를 만나게 되면 어떠한 변수가 생길지 전혀 짐작이 가지 않기 때문.
[11]
이전까지는 왕관의 힘과 천마의 힘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었기에 두 힘을 모두 끌어내 사용하면 상당한 반작용을 입게 되었으나, 이시헌이 본인만의 완전 동화를 터득해냄으로써 이러한 반작용으로 작중 전투에서 자체 너프를 당하게 될 우려는 없어졌다.
[12]
그러나 그 성욕을 충족시킬 경우 사용자에게 극한의 쾌락과 이를 뛰어넘을 정도의 상쾌함까지 선사하며, 힘의 출력범위도 더욱 커진다.
[13]
실제로 매우 선한 인격을 가졌던 초대
목령왕 또한 왕관의 영향으로 대외적으로 알려진 것처럼 극악무도한 폭군이 되었고 그의 후계자인 이시헌 또한 점점 영향을 받는듯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14]
이 때 목령왕은 순결과 관련된 모든 기억을 지우는 것으로 복수했다. 순결이 빼앗아간 왕관의 절반은 당시 어렸을 적의 이시헌에게 심어졌다.
[15]
인자와 사이가 좋지 않은 이시헌 또한 지난 세월 동안 혼자서 고통을 견더온 인자에게 경외감을 가젔을 정도. 다시 모습을 드러낸 초대
천마 또한 재회한 제자이자 사위인 이시헌을 향해 괜찮기는 한 거냐며 잔소리하듯이 말했다.
알바의 친어머니인 전대 현자 또한 이시헌을 보자마자 영혼이 무너지고 있으며 존재의 소멸에 이를지도 모른다며 우려를 표했다. 전대 현자의 우려로 보건데
영혼에 영구적 손상을 입히고 그 정도가 심해지거나 최악의 경우 존재가 소멸될 수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16]
목화의 왕관은 이시헌의 왕관에 비해 비교적 작은 크기이며 내뿜는 광채도 비교적 소량이라는 묘사도 존재한다.
[17]
일러스트에선 머리 위에 붕 뜬 가시관의 형태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