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공원(한국체대)역 | ||
방화 방면 둔촌동 ← 1.4 ㎞ |
5호선 (P550) |
마천 방면 방 이 0.9 ㎞ → |
개화 방면 한성백제 ← 1.4 ㎞ |
9호선 (936) |
[[중앙보훈병원역| 중앙보훈병원 방면 ]]
둔촌오륜1.0 ㎞ → |
김포공항 방면 석 촌 ← 3.0 ㎞ |
[[서울 지하철 9호선| 9호선 급행 ]]
|
[[중앙보훈병원역| 중앙보훈병원 방면 ]]
중앙보훈병원2.7 ㎞ → |
역명 표기 | ||
5호선 |
올림픽공원 (한국체대) Olympic Park (Korea National Sport Univ.) 올림픽公園 (韓國體大) / 奥林匹克公园 / オリンピック[ruby(公園, ruby=ゴンウォン)] |
|
9호선 |
올림픽공원 (한국체대) Olympic Park (Korea National Sport Univ.) 올림픽公園 (韓國體大) / 奥林匹克公园 (韩国体育大学) / オリンピック[ruby(公園, ruby=ゴンウォン)] |
|
주소 | ||
5호선 | ||
서울특별시 송파구 양재대로 지하1233 ( 방이동 89-28) | ||
9호선 | ||
서울특별시 송파구 양재대로 지하1231 ( 방이동 89-28) | ||
소속 영업사업소 | ||
5호선 | 강동영업사업소 강동역[1] | |
운영 기관 | ||
5호선 | 서울교통공사 | |
9호선 | ||
개업일 | ||
5호선 | 1996년 3월 30일 | |
9호선 | 2018년 12월 1일 | |
역사 구조 | ||
지하 2층(
5호선) 지하 3층( 9호선) |
||
승강장 구조 | ||
5호선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9호선 복선 섬식 승강장 |
[clearfix]
1. 개요
- 수도권 전철 5호선 P550번[2], 서울특별시 송파구 양재대로 지하1233 ( 방이동 89-28) 소재.
- 서울 지하철 9호선 936번, 서울특별시 송파구 양재대로 지하1231 ( 방이동 89-28) 소재.
2. 역 정보
5호선 대합실 |
9호선 대합실 |
역 안내도 3번 출구 계단 설치 전
|
인근에 올림픽공원이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병기역명은 한국체대로 개통 당시부터 붙어 있었던 이름인데, 인근에 한국체육대학교가 있어서 붙여졌다. 본래는 한국체육대학이었다가 한국체육대학이 종합대학 한국체육대학교가 되면서 병기역명도 한국체대로 바뀌었다. 영어 병기역명도 예전에는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Physical Education'이었다가 지금처럼 Korea National Sport Univ.로 바뀌었다.
9호선 3단계 구간( 종합운동장역 ~ 중앙보훈병원역) 연장으로 환승역이 되었다. 계양역의 구조와 효창공원앞역의 구조를 합친 듯 한 환승구조를 가지며 교차하지 않고 나란히 붙어있다. 승강장 형태는 섬식이다.
9호선 올림픽공원역 조감도 |
9호선은 올림픽공원 ~ 중앙보훈병원 구간에만 80도 드리프트가 2개나 나온다. 본래는 몽촌토성 지하를 관통해 올림픽공원역과 십자 모양으로 만나고 올림픽선수기자촌 한가운데 지하를 지날 예정이었으나, 올림픽선수기자촌 주민들의 반대로 인해 노선이 수정되면서 현재와 같은 선형이 되었다.
출입구는 총 4개이다. 그 중 3번 출입구는 지하철 출입구임에도 복층에 에스컬레이터가 각 층에 4대, 총 8대가 있는 거대한 규모이다. 올림픽공원 내 각종 무대행사 및 스포츠 경기로 인해 발생하는 인파에 대처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해당 출입구는 5호선 개통 당시에도 존재했으며 프랑스 루브르 박물관과 비슷한 유리 피라미드 모양을 가지고 있었다. 당시 사진 당시에도 일반 출입구의 거의 2배 정도의 폭을 갖고 있는 거대한 출입구였다. 2012년 11월 9호선 공사로 해당 출입구와 엘리베이터를 철거하였고, 9호선 개통과 함께 3번 출입구는 9호선 대합실과 이어지는 출입구로 재개방되었다. 본래는 에스컬레이터만 있었지만 2024년 8월 23일 인근 행사시 혼잡 방지를 위해 계단도 설치됐다. #
4번 출입구는 9호선 공사로 인해 폐쇄되었던 3번 출입구를 대체하기 위해 2012년 9월에 임시로 개통되었다. 2018년 2월부터 9호선과의 연결을 위해 폐쇄되었으나 같은 해 5월에 임시 출입구는 다시 개방되었다. 2018년 12월 1일 9호선 개통과 함께 이 임시 출입구는 공식적으로 4번 출입구가 되고 9호선 대합실과 연결되었다.
역 근처에 올림픽공원 핸드볼경기장, 체조경기장, 올림픽홀 등이 있으므로 주말 저녁 시간대에 이 역에서 갑자기 사람들이 많이 타면 100%의 확률로 공연장에 다녀온 사람들이다.
환승역이 되면서 5호선에는 세븐일레븐, 9호선에는 GS25가 입점하게 되었다.
최근 무임승차 방지를 위해 5호선 측 개찰구 위치를 조정하였다. 위치 변경 전에는 양 승강장으로 직접 통하는 엘리베이터가 개찰구 앞에 있었고, 엘리베이터를 타고 내려가면 간이 개집표기만 설치되어 있어 무임승차에 최적인 환경이었지만, 개찰구 위치가 엘리베이터 앞으로 조정되면서 무임승차는 줄어들 듯하다.
[clearfix]
2.1. 환승
환승 통로(5호선 마천 방향 승강장 방향)
서울시의 최동단 환승역이다.[3] 최북단은 도봉산역, 최서단은 김포공항역, 최남단은 복정역이다.
5호선 마천방면에서 9호선으로 가는 환승은 개념환승이다. 승강장에서 바로 연결되는 환승통로를 지나 한 층 내려가면 된다. 방화 방면은 한 층 올라가 대합실을 거쳐서 9호선 승강장까지 한 번에 내려오는 에스컬레이터를 타면 된다. 승객의 이동 편의성을 많이 고려한 듯 하다.
강동구에서( 둔촌오륜역, 중앙보훈병원역에서 출발 시) 9호선에서 하차하여 환승시 마천 방향으로는 환승거리가 나름 짧은 편이기 때문에 이 방향으로 5호선을 이용, 오금역을 이용해 3호선을 타는 것은 그래도 착석 보장이라는 면에서 좋다.[4] 다만 배차간격이 긴 편이니 앱을 참고하는 게 좋다.
9호선 전체에서 급행 ↔ 일반 갈아타기 난이도가 높은 역이다. 9호선은 타 추월운행역과 다르게 송파나루에서 추월운행시 유독 시간을 더 많이 써서 석촌 ↔ 올림픽공원 일반열차의 운행시간이 급행보다 유독 더 긴데, 이 때문에 한성백제역 이용객들은 반대편인 올림픽공원역으로 가서 급행을 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출퇴근시간에 서울 서쪽으로 가는 승객들이 일반열차를 타고 올림픽공원역에 도착하면, 반드시 반대 방향 급행이 직전에 출발해 무조건 10분 가량의 시간을 역에서 대기하도록 설계되어 있다.[5] 올림픽공원역에 중앙보훈병원행 급행이 도착할 때에도 마찬가지로, 텅텅 빈 반대방향 일반열차가 출발한 직후 도착하도록 시간표가 맞추어져 있다. 이런 설계가 9호선 입장에서는 나름의 이유가 있겠지만 안그래도 혼잡한 올림픽공원역 대기인수를 늘리고 사용자가 적은 한성백제역 출발 승객들을 더 불편하게 만드는 부작용을 낳았다.
3. 역 주변 정보
주변에는 올림픽공원이 있으며, 1988년 개최된 서울 올림픽 선수촌으로 쓰였던 올림픽선수기자촌아파트, 그리고 한국체육대학교가 분포하고 있다. 평소와 달리 올림픽공원 안에 있는 핸드볼경기장, 체조경기장에서 대형 공연이라도 있는 날에는 역 내부가 문자 그대로 사람의 바다를 이루는 광경을 볼 수 있다. 또, 대한바둑협회가 올림픽공원 내에 있다.참고로 올림픽공원의 가장 상징적이고 유명한 시설물인 세계 평화의 문은 몽촌토성역이나 한성백제역이 훨씬 더 가깝다. 다만 인지도 넘버투 시설물인 88잔디마당은 이 역에서 더 가까운 편이다.
JYP엔터테인먼트 신사옥이 이 역에서 도보 10분 거리에 있다.[6]
3번 출구 앞에 자동화 기계식 자전거 주차타워가 있다. 요금도 무료이고 이용방법도 편리하다. 참고로 자전거 도난은 불가능하니 자출 시 참고해두자.
3.1. 출구 정보
올림픽공원(한국체대)역 출구 정보 | |
1 |
강동 Wee 센터 방이119안전센터 보성중· 고등학교 서울세륜초등학교 오륜중학교 창덕여자고등학교 |
2 |
오륜동우체국 오륜동주민센터 서울오륜초등학교 오륜치안센터 올림픽선수기자촌아파트 |
3 |
올림픽공원 올림픽홀 한성백제박물관 |
4 |
올림픽공원 서울체육고등학교 한국체육대학교 |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293896><bgcolor=#996cac> 연도 ||
||
||<bgcolor=#996cac> 총합 ||<bgcolor=#996cac>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0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2000년 | 14,118명 | 14,753명 | 24,880명 | 비고 | ||||
2001년 | 13,748명 | ||||||||
2002년 | 13,643명 | ||||||||
2003년 | 13,314명 | ||||||||
2004년 | 13,313명 | ||||||||
2005년 | 13,302명 | ||||||||
2006년 | 12,554명 | ||||||||
2007년 | 12,206명 | ||||||||
2008년 | 12,370명 | ||||||||
2009년 | 12,022명 | }}}}}}}}} | |||||||
2010년 | 12,938명 | ||||||||
2011년 | 13,812명 | ||||||||
2012년 | 14,218명 | ||||||||
2013년 | 14,715명 | ||||||||
2014년 | 14,156명 | ||||||||
2015년 | 14,814명 | ||||||||
2016년 | 14,314명 | ||||||||
2017년 | 12,637명 | ||||||||
2018년 | 12,671명 | 12,517명 | 25,188명 | [7] | |||||
2019년 | 10,127명 | 14,753명 | 24,880명 | ||||||
2020년 | 6,258명 | 8,875명 | 15,133명 | ||||||
2021년 | 6,817명 | 10,131명 | 16,948명 | ||||||
2022년 | 8,095명 | 13,982명 | 22,077명 | ||||||
2023년 | 9,693명 | 17,641명 | 27,334명 | ||||||
출처 | |||||||||
:
서울교통공사 자료실 : 서울열린데이터광장, 국토교통부 철도통계[8] |
- 2023년 기준 두 노선의 이용객 수를 합하면 27,334명이다. 서쪽으로는 올림픽공원과 한국체육대학교, 동쪽으로는 올림픽선수기자촌이 있다. 근데 그걸로 역세권은 끝이며, 이외에 승객을 끌어올 만한 요소가 아무것도 없다. 그나마 유일하게 있는 주거단지라고는 실버타운 + 부촌이라 자가용 이용률이 높은 동네이고, 설령 선수촌 등의 아파트 단지들 입주자들이 지하철을 이용한다 하더라도 5호선의 마천지선은 배차 간격이 좋지 못해 3214번 버스 등의 버스나 택시를 타고 강동역으로 가거나 버스를 타고 잠실역으로 가서 2호선을 탄다. 물론 9호선을 이용할 경우는 해당없이 그냥 이 역을 이용한다. 아울러 올림픽공원의 정문은 몽촌토성역으로 이쪽이 접근성으로 보나 배차로 보나 이용하기가 더 편리하다. 한국체대 역시 대학교의 특성상 외부와의 왕래가 적은 편이다.
- 하남 감일지구와 교산신도시 입주가 시작되면 올림픽공원역이 가깝기 때문에 수요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감소세를 보이는 5호선에서 그나마 수요 증가를 노릴 수 있을 것으로 보이고 9호선에서도 이 역에서 강남까지 빨리 갈 수 있어서 9호선의 수요가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개통 첫해부터 5호선 이용객수와 비슷하더니 개통 2년차에 5호선 이용객수를 뛰어넘었다. 2023년에는 2배 가까이 벌어졌다. 다만 실제로는 9호선 올림픽공원역은 5호선을 이용해 4번 출구를 이용하는 승객도 포함되어 있다. 9호선 공사와 함께 올림픽공원, 경기장 방면으로 4번 출구가 들어섰는데 이 출구를 이용한다면 5호선 이용객도 9호선 게이트를 통과하게 안내하고 있다. 즉, 게이트 위치가 9호선쪽이 더 유리하게 설계되어 있어 9호선 승하차량이 더 많은 것. 코로나 이후 올림픽공원 방문객, 주경기장 행사 등이 많아졌는데 9호선쪽 승하차량이 크게 늘어난건 바로 이 이유 때문.
5. 승강장
5.1. 수도권 전철 5호선
5호선 승강장 |
5호선 역명판[9] |
둔촌동 ↑ | |||
하 | ㅣ | ㅣ | 상 |
↓ 방이 |
상 | 수도권 전철 5호선 | 강동· 천호· 김포공항· 방화 방면 |
하 | 방이· 오금· 거여· 마천 방면 |
5호선 승강장은 2면 2선식 상대식 승강장으로 갖추고 있으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도어가 닫힐 때 경고음이 추가되었다.
엘리베이터가 승강장에서 대합실로 가는데 그쪽이 비운임구역이라 간이단말기가 승강장에 있다.
5.2. 서울 지하철 9호선
9호선 승강장 |
9호선 역명판 |
일반: 한성백제, 급행: 석촌 ↑ | |||
ㅣ | 상 | 하 | ㅣ |
↓ 일반: 둔촌오륜, 급행: 중앙보훈병원 |
하 | 서울 지하철 9호선 | 완행·급행 | 종합운동장· 선정릉· 신논현· 노량진· 개화 방면 |
상 | 완행·급행 | 둔촌오륜· 중앙보훈병원 방면 |
9호선 승강장은 지하 3층에 있다.
6. 기타
- 5호선과 9호선의 환승역 중 유일하게 두 노선의 운영 기관이 일치하는 역이다. 2028년에 9호선 고덕역까지 연장되면 유일이라는 타이틀은 깨진다.
- 5호선은 이 역에서 여의도역이나 김포공항역으로 가는 방향이 상행이지만, 9호선은 반대로 하행이다.
- 5호선과 9호선의 환승역 중 유일하게 5호선이 본선으로 지나지 않고 지선으로만 지난다. 김포공항역, 여의도역은 5호선이 본선으로 지난다.
- 이 역에서 같은 5호선과 9호선 환승역 김포공항역에 간다면 5호선은 74분, 9호선 급행은 49분 걸린다. 또한 여의도역에 간다면 5호선은 47분 9호선 급행은 30분 걸리므로 9호선 급행이 빠르기 때문에 9호선 급행을 타는게 좋다.
7. 둘러보기
수도권 전철 5호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서울 지하철 5호선|{{{#!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본선 |
방화 -
개화산 -
송정 -
마곡 -
발산 -
우장산 -
화곡 -
까치산 -
신정 -
목동 -
오목교 -
양평 -
영등포구청 -
영등포시장 -
신길 -
여의도 -
여의나루 -
마포 -
애오개 -
충정로 -
서대문 -
광화문 -
을지로4가 -
청구 -
신금호 -
행당 -
마장 -
답십리 -
장한평 -
군자 -
아차산 -
광나루 -
천호 -
강동 -
길동 -
굽은다리 -
명일 -
고덕 -
|
[[마천지선|{{{#!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강동 -
둔촌동 -
올림픽공원 -
방이 -
오금 -
개롱 -
거여 -
|
||
하남선 |
상일동 -
강일 -
미사 -
하남풍산 -
하남시청 -
|
}}}}}}}}} | |
타 노선의 역 둘러보기 |
서울 지하철 9호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개화 -
공항시장 -
신방화 -
마곡나루 -
양천향교 -
가양 -
증미 -
등촌 -
염창 -
신목동 -
선유도 -
당산 -
국회의사당 -
여의도 -
샛강 -
노량진 -
노들 -
흑석 -
동작 -
구반포 -
신반포 -
사평 -
신논현 -
언주 -
선정릉 -
삼성중앙 -
봉은사 -
종합운동장 -
삼전 -
석촌고분 -
석촌 -
송파나루 -
한성백제 -
올림픽공원 -
둔촌오륜 -
|
}}} ※ 볼드+빨간글씨는 급행열차 정차역}}}}}} |
타 노선의 역 둘러보기 |
[1]
9호선 올림픽공원역은
서울교통공사의 사내 독립 기업인 9호선운영부문이 운영하므로 소속 영업사업소가 없다.
[2]
개정 전 555번. 현재 555번은
미사역이 쓰고 있다.
[3]
노선 분기 환승역까지 포함한다면
강동역이 타이틀을 갖는다.
[4]
한강 이북인
마포구나 도심지인
용산구,
중구,
종로구 등으로 갈 경우 그렇지 않으면 3-9호선간 환승을
고속터미널역에서 하게 되는데, 문제는 이 역은 환승객들과 3호선 이용객들로 인하여
헬게이트가 열린다는 점이다. 3호선 대화, 구파발행의 경우 지나온 역이 강남 도심구간인
교대역 ↔
수서역이기 때문에 혼잡도가 엄청난 것은 덤.
[5]
여의도까지만 가려고 해도 급행과 일반열차 시간이 20분 이상 나니 급행을 타게 된다.
[6]
정확한 위치는 올림픽공원 북2문 맞은편이다. 4번 출구로 나와 성내천을 따라 걷다보면 나온다.
[7]
9호선의 자료는 개통일인 12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총 31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8]
2023년~
[9]
과거 지하철체 시절에는 역명과 병기역명이 병렬로 배치되었다.